KR20200122491A -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491A
KR20200122491A KR1020190045227A KR20190045227A KR20200122491A KR 20200122491 A KR20200122491 A KR 20200122491A KR 1020190045227 A KR1020190045227 A KR 1020190045227A KR 20190045227 A KR20190045227 A KR 20190045227A KR 20200122491 A KR20200122491 A KR 2020012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old
groove
slide
under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이희목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491A/ko
Priority to CN202020156796.0U priority patent/CN212171136U/zh
Publication of KR2020012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non-rigid undercut forming elements, e.g. elastic or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사출물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코어부와 고정캠을 포함하는 제1 금형, 상기 사출물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제2 금형 및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을 형성하는 언더컷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 형성부는 상기 고정캠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캠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코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 이동 시,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이동되는 캠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 이동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장치{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을 쉽게 제거하여 사출물이 금형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여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 램프, 차량의 후진할 때에 후방을 비추는 백업 램프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리는 시그널 램프 등을 포함하는 리어 램프가 설치되며 차량의 전방에는 야간에 전방 시야를 확보해주는 헤드 램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램프 들이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램프들은 대부분 하우징, 플레이트, 리플렉터 및 렌즈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금형 장치에 의하여 융용된 합성수지재가 사출 성형되어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즉, 금형 장치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식은 성형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몰드 코어들이 형성된 상하 또는 좌우한 쌍의 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몰드 코어들에 사출기를 이용하여 융용된 수지를 주입하고 냉각 과정을 거친 다음, 한 쌍의 금형을 상호 분리하여 냉각 성형된 사출물을 꺼낸 후, 최종 형상 가공을 거쳐 합성수지재의 성형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기존의 금형 장치에서는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을 쉽게 제거하기 힘들어 사출물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사출물 형성에 있어서 자유도가 낮다.
또한, 근래에는 3단 금형을 통하여 사출 성형을 하지만 3단 금형의 경우, 2단 금형에 비해 높이가 커지므로, 공간적 제약을 가진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14324호(2017.02.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사출물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코어부와 고정캠을 포함하는 제1 금형, 상기 사출물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제2 금형 및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을 형성하는 언더컷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 형성부는 상기 고정캠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캠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코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 이동 시,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이동되는 캠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 이동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캠의 일면에는 레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되는 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레일부에 의해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캠의 일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코어부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 중 적어도 상기 레일부가 형성된 면은 상기 고정캠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언더컷부 및 상기 캠 이동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캠 이동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금형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수축되는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분리 시, 상기 제1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제1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될 경우,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캠 이동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는 제2 홈이 상하 방향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 홈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접촉하게 될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형은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은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이 결합 시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드부를 상기 제2 코어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캠 이동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캠, 상기 캠의 일면에 연결되는 캠 헤더, 상기 캠 해더에 연결되고, 일면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캠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캠 바디는 상기 제2 코어부에 수용되되, 상기 캠 바디의 타면은 상기 제2 코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과 캠 헤더는 상기 언더컷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캠 이동부는 상기 제2 코어부와 상기 캠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캠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탄성력으로 상기 캠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캠이 상기 언더컷부에 접촉하여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수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의 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캠 바디에 근접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캠의 일면에 연결되는 상기 캠 해더의 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캠 바디로부터 이격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이 상기 제2 탄성부의 탄성력으로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캠의 일면과 상기 캠 헤더의 일면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캠 헤더는 상기 캠 바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캠 바디의 타면은 상기 제2 코어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형성 방향과 상기 결합홈의 형성 방향은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 중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캠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캠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에 의하면,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분리됨에 따라 언더컷 형성부의 슬라이드부 및 캠 이동부가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됨에 따라 금형 장치로부터 사출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에서 A-A'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언더컷 형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슬라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 내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 및 캠 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결합부와 결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에서 A-A'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제1 금형(100), 제2 금형(200) 및 언더컷 형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물(1)은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 결합 시, 제1 코어부(110)와 제2 코어부(210) 및 언더컷 형성부(3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융용된 수지를 주입하고 이를 냉각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램프에 포함되는 렌즈 등을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은 차량용 램프에 포함된 베젤에 연결되는 베젤 걸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물(1)은 베젤 걸이 형상이 포함된 렌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출물(1)이 형성될 경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을 분리하여 사출물을(1)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00)이 고정된 상태로 제2 금형(200)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하거나, 제2 금형(2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금형(1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금형(100)은 사출물(1)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코어부(110)와 고정캠(120)을 포함하고, 제2 금형(200)은 사출물(1)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코어부(210)를 포함하고 제1 금형(100)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언더컷 형성부(300)는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 결합 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 내부에 수용되고,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코어부(110)와 제2 코어부(210)는 사출물(1)의 상면과 하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 결합 시, 제1 코어부(110)와 제2 코어부(21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어부(110)는 렌즈의 출사면을 형성하도록 제1 금형(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코어부(210)는 렌즈의 입사면을 형성하도록 제2 금형(20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언더컷 형성부(300)는 슬라이드부(310) 및 캠 이동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310)는 고정캠(120)에 연결되어 고정캠(120)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캠 이동부(320)는 제2 코어부(210)와 연결되고 슬라이드부(310)가 이동할 경우, 슬라이드부(31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310)에는 제1 홈(315)이 형성되고, 캠 이동부(320)에는 제1 홈 (315) 방향으로 돌출부(3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은 제1 홈(315)과 돌출부(327)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될 경우, 제1 코어부(110), 제2 코어부(120), 제1 홈(315) 및 돌출부(327)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융용된 수지를 주입하여 사출물(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출 성형이 완료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될 경우, 슬라이드부(310)는 고정캠(120)의 형상에 따라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캠 이동부(320)도 슬라이드부(310)의 이동에 따라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으부터 이격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부(310)와 캠 이동부(320)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을 금형 장치에서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310)와 캠 이동부(3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언더컷 형성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슬라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을 참고해보면, 고정캠(120)의 일면에는 레일 홈(122)이 형성되고, 고정캠(120)의 일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 코어부(110)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310)의 일면에는 레일 홈(122)에 결합되는 레일부(31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310)의 일면 중 적어도 레일부(312)가 형성된 면은 고정캠(120)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부(312)도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부(312)는 레일 홈(122)의 기울어진 형상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부(310)는 레일 홈(122)의 기울어진 형상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부(310)는 이동 시, 레일 홈(122)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부(310)는 제1 금형(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출물(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홈(122)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부(310)는 전술한 레일부(312) 외에도, 언더컷부(314), 결합부(316), 탄성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언더컷부(314)는 슬라이드부(310)의 타면에서 제1 코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술한 제1 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16)는 슬라이드부(310)의 타면에서 캠 이동부(3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의 결함 및 분리에 따라 캠 이동부(32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16)는 캠 이동부(320)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캠 이동부(320)의 캠(32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언더컷부(314)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된 길이 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홈(315)도 언더컷부(314)가 형성된 길이 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318)는 슬라이드부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 결합 시, 제1 금형(100)의 내측면 또는 제1 금형(100)에 포함된 기타 구성에 접촉하여 수축되고,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이 분리될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이 결합될 경우, 제1 탄성부는 완충작용으로 슬라이드부 이동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이 분리될 경우, 탄성력을 슬라이드부(310)에 전달하여 슬라이드부(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탄성부(318)는 예를 들어 용수철 또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로 슬라이드부(3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위 사항에 따라 슬라이드부(310)가 제1 코어부(11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될 경우, 언더컷부(314)는 제1 코어부(110)와 이격되는 방향, 즉,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결합부(316)는 캠 이동부(3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캠 이동부(320)는 캠(322), 캠 헤더(324), 캠 바디(326) 및 제2 탄성부(328)를 포함할 수 있다. 캠(322)은 결합부(316)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캠 헤더(324)는 캠(322)의 일면에 연결되고, 캠 바디(326)는 캠 헤더(324)에 연결되고, 캠 바디(326)의 일면에는 전술한 돌출부(32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캠 바디(326)는 제2 코어부(2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캠(322)과 결합부(316)가 결합 시, 캠 바디(326)의 타면은 제2 코어부(210)와 미리 설정한 거리(d)만큼 이격되로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거리(d)는 3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캠(322)의 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캠 바디(326)에 근접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고, 캠(322)의 일면에 연결되는 캠 해더(324)의 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캠 바디(326)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캠 바디(326)의 돌출부(327)는 캠 헤더(324)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캠 바디(326)와 캠 헤더(324)는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캠(322)에는 결합부(31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323)은 결합부(316)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328)는 제2 코어부(210)와 캠(322)에 연결되고,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됨에 따라 결합부(316)가 캠(322)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탄성력으로 캠(322)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부(328)의 일부는 제2 코어부(210)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캠(322)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할 경우, 캠(322)과 캠 헤더(324)는 전술한 슬라이드부(310)의 언더컷부(31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될 경우, 캠(322)은 언더컷부(314)에 접촉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탄성부(328)는 캠(322)이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2 탄성부(328)는 용수철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되고, 결합부(316)가 캠(322)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제2 탄성부(328)의 탄성력에 의하여 캠(322)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캠(322)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캠(322)의 일면과 캠 헤더(324)의 일면의 형상에 의하여 캠 헤더(324)는 캠 바디(326) 방향으로 이동되어 캠 바디(325)의 일면은 제2 코어부(210) 방향으로 이동되고, 돌출부(327)는 출물의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캠 바디(325)의 타면은 제2 코어부에 접촉되거나, 캠 바디(325)의 타면과 제2 코어부(210) 간의 거리는 좁아질 수 있다.
결국,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이 분리됨에 따라 슬라이드부(310)가 이동되어, 언더컷부(300)가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되고, 슬라이드부(310) 이동에 따라 캠 이동부(320)의 캠(322)이 상승하고, 캠 헤더(324)과 캠 바디(326)가 이동됨에 따라 돌출부(327)가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될 수 있으므로, 사출물(1)을 금형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 내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 분리에 따라 슬라이드부(310)가 계속해서 이동된다면, 슬라이드부(310)의 레일부(312)가 레일 홈(322)에서 분리되어 슬라이드부(31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310)의 이동을 일정부분 제어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제1 금형(100)은 내부에 스토퍼(13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을 참고해보면, 슬라이드부(310)의 일면에는 제2 홈(31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홈(319)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130)는 슬라이드부(310)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로 걸림부(132)를 포함하고, 걸림부(13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홈(319)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제2 홈(319)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슬라이드부(310)가 제1 금형(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부(132)가 제2 홈(319)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접촉하게 될 경우, 슬라이드부(310)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32)는 슬라이드부(310)의 기울어진 일면의 형상에 의해 제2 홈(319)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금형(200)은 접촉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이 분리 또는 결합하여 슬라이드부(310)가 이동될 경우, 슬라이드부(31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면은 접촉판(140)에 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할 경우, 접촉판(140)은 슬라이드부(31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부(310)를 지지하고 제2 코어부(2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부(310)는 슬라이드부(310)의 하면이 접촉판(140)에 접촉 이동됨에 따라, 레일 홈(1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 코어부(21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이 분리될 경우, 제1 탄성부(318)에서 전달되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31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면은 접촉판(140)에 접촉되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완전히 분리될 경우에는 슬라이드부(410)의 하면은 접촉부(140)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의 분리 결합 이동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 및 캠 이동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은 사출물(1)이 형성될 경우, 분리될 수 있다.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됨에 따라 수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318)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드부(310)는 레일 홈(122)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드부(310)의 언더컷부(314)는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310)가 이동됨에 따라 캠(322)에 결합되어 있던 슬라이드부(310)의 결합부(316)는 캠(3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310)는 스토퍼(130)의 걸림부(132)가 슬라이드부(310)의 제2 홈(319)의 내주면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캠(322)에서 결합부(316)가 분리됨에 따라 제2 탄성부(328)는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캠(322)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캠(322)의 이동에 따라 캠 헤더(324)와 캠 바디(326)가 제2 코어부(110) 방향으로 이동되고, 캠 바디(326)의 타면과 제2 코어부(210) 간의 간격은 줄어들거나 접촉될 수 있다.
결국, 제1 홈(315)이 형성된 언더컷부(314)와 돌출부(327)가 형성된 캠 바디(326)가 사출물(1)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됨에 따라 사출물(1)을 금형 장치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반대로 또 다른 사출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다시 결합되도록 제1 금형(100) 및 제2 금형(200)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부(31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금형(200)에 포함된 접촉판(140)에 접촉 이동되어 슬라이드부(310)는 레일 홈(122) 형상을 따라 제2 코어부(210)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캠(322)은 슬라이드부(310)의 언더컷부(314)의 하면에 접촉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탄성부(328)는 수축되고, 캠 헤더(324)와 캠 바디(326)는 캠(322)의 이동에 의하여 슬라이드부(31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310)의 결합부(316)는 캠(322)에 결합되어 캠(322)의 이동을 제한하고, 캠 바디(326)의 타면은 제2 코어부(210)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어부(110), 제2 코어부(120), 언더컷부(314)의 제1 홈 및 캠 바디의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융용된 수지를 주입함에 따라 사출물을 다시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결합부와 결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는 슬라이드부(310)의 타면에서 캠 이동부(320) 방향으로 돌출되되, 캠 이동부(320)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홈(323)은 결합부(316)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23)은 결합부(316)의 돌출 방향(L1)과 엇갈린 방향(L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16)의 돌출 방향(L1)과 결합홈(323)의 형성 방향(L2)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부(316)의 돌출 방향(L1)의 기울기가 결합홈(323)의 형성 방향(L2)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캠(322)의 이동을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되어 캠(322)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장기간 머물 경우, 캠(322)의 주변 구성 및 금형 장치 내부에 침투된 기타 물질에 의하여 이동이 제약되어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되어도 캠(322)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부(316)의 돌출 방향(L1)과 결합홈(323)의 형성 방향(L2)을 엇갈리게 형성할 경우, 결합부(316)가 결합홈(323)에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캠(322)을 하측 및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2 탄성부(328)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캠(322)이 언더컷부(314)에 접촉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부(316)가 결합홈(323)에 삽입될 경우, 결합홈(323)의 형성 방향에 의해 결합부는 결합홈(323)의 내주면 중 하면에 접촉함에 따라 삽입되므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22)을 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탄성부(328)가 더 수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더컷부(314)의 하면과 캠(322)은 이격될 수 있다.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될 경우, 결합부(316)는 결합홈(323)에서 분리됨에 따라 결합홈(323)에 삽입되어 있던 결합부(316)는 결합홈(323)의 내주면 중 상면에 접촉하면서 분리되므로 제2 탄성부(328)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2 탄성부(328)의 탄성력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316)가 결합홈(323)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부(316)의 일측은 둥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출물 100: 제1 금형
110: 제1 코어부 120: 고정캠
122: 레일 홈 130: 스토퍼
132: 걸림부 140: 접촉판
200: 제2 금형 210: 제2 코어부
300: 언더컷 형성부 310: 슬라이드부
312: 레일부 314: 언더컷부
315: 제1 홈 316: 결합부
318: 제1 탄성부 319: 제2 홈
320: 캠 이동부 322: 캠
323: 결합홈 324: 캠 헤더
326: 캠 바디 328: 제2 탄성부

Claims (16)

  1. 사출물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코어부와 고정캠을 포함하는 제1 금형;
    상기 사출물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제2 금형 및,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을 형성하는 언더컷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 형성부는
    상기 고정캠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캠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코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 이동 시,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이동되는 캠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 이동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은 상기 제1 홈과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일면에는 레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되는 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레일부에 의해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금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일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코어부에서 이격되는거리가 증가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 중 적어도 상기 레일부가 형성된 면은 상기 고정캠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금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언더컷부; 및
    상기 캠 이동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캠 이동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금형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수축되는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분리 시, 상기 제1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이동되는 금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제1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될 경우,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캠 이동부로부터 분리되는 금형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는 제2 홈이 상하 방향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 홈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접촉하게 될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 이동이 제한되는 금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은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이 결합 시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드부를 상기 제2 코어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금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이동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캠;
    상기 캠의 일면에 연결되는 캠 헤더;
    상기 캠 해더에 연결되고, 일면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캠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캠 바디는 상기 제2 코어부에 수용되되, 상기 캠 바디의 타면은 상기 제2 코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금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과 캠 헤더는 상기 언더컷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금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이동부는
    상기 제2 코어부와 상기 캠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캠의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탄성력으로 상기 캠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금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캠이 상기 언더컷부에 접촉하여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수축하도록 형성되는 금형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캠 바디에 근접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캠의 일면에 연결되는 상기 캠 해더의 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캠 바디로부터 이격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금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상기 제2 탄성부의 탄성력으로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캠의 일면과 상기 캠 헤더의 일면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캠 헤더는 상기 캠 바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캠 바디의 타면은 상기 제2 코어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출물의 언더컷 부분에서 이격되는 금형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형성 방향과 상기 결합홈의 형성 방향은 엇갈리게 형성되는 금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 중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캠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캠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금형 장치.
KR1020190045227A 2019-04-18 2019-04-18 금형 장치 KR20200122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27A KR20200122491A (ko) 2019-04-18 2019-04-18 금형 장치
CN202020156796.0U CN212171136U (zh) 2019-04-18 2020-02-07 成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27A KR20200122491A (ko) 2019-04-18 2019-04-18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491A true KR20200122491A (ko) 2020-10-28

Family

ID=7301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227A KR20200122491A (ko) 2019-04-18 2019-04-18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22491A (ko)
CN (1) CN21217113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24A (ko) 2015-07-29 2017-02-08 에스엘 주식회사 금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24A (ko) 2015-07-29 2017-02-08 에스엘 주식회사 금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171136U (zh)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1690B2 (ja) 樹脂レンズの成形方法
KR101501812B1 (ko)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JP7461061B2 (ja) ゲート切断機構及び成形用金型
JP3218586B2 (ja) 金型装置
JP2020015211A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KR101889364B1 (ko) 유압식 캠 슬라이드 조립체를 가진 사출금형기
JP6101478B2 (ja) 樹脂成形品及び車輌用灯具部品
KR20200122491A (ko) 금형 장치
KR101602734B1 (ko) 회전방지용 고정돌기를 갖는 사출금형
KR20130001735U (ko)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용 이중 슬라이드 장치
JPH07223244A (ja) 樹脂成形用金型装置
JP2007111963A (ja) ヘッドランプレンズ製造用の金型
KR102248903B1 (ko) 사출 성형 금형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H08323823A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金型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1934359B1 (ko) 굴곡 튜브 사출 성형 금형
JP2000301578A (ja) 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20082598A (ja) 射出成形金型
WO2015049718A1 (ja) 成型製品の製造方法とその成型用金型及び成型製品
JP2004306295A (ja) 成形用金型
JP2000202840A (ja) レンズ用成形金型
JP2019059159A (ja) 射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