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443A - 배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443A
KR20200121443A KR1020190043998A KR20190043998A KR20200121443A KR 20200121443 A KR20200121443 A KR 20200121443A KR 1020190043998 A KR1020190043998 A KR 1020190043998A KR 20190043998 A KR20190043998 A KR 20190043998A KR 20200121443 A KR20200121443 A KR 2020012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langes
groove
contac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영희
Original Assignee
편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영희 filed Critical 편영희
Priority to KR102019004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443A/ko
Publication of KR2020012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 각각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내주면 측이 직접 면접촉하도록 접합부가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상기 접합부에 의해 감싸여지는 수용홈이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플랜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부; 및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를 서로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도록 한 배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간에 직접 접촉하는 접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주면의 유로가 매끄럽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우더가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의 가동율 증가시켜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 조립체{Piping connection assembly}
본 발명은 배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간에 직접 접촉하는 접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주면의 유로가 매끄럽도록 할 수 있는 배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노광공정, 확산공정, 식각공정, 화학기상증착공정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단위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장비는 공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챔버, 프로세스 챔버에 진공을 공급하는 진공펌프, 진공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스크러버, 스크러버에 의해 처리된 배가스를 방출하는 덕트, 그리고, 이들 설비를 서로 연결시키는 각종 배관들이 설비된다.
한편, 배관들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56426호의 "가스누설 및 압력변화 감지가 가능한 배관연결조립체"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각각의 배관과 연결되는 한 쌍의 플랜지와,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오링과, 상기 한 쌍의 플랜지 및 오링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이 상기 오링을 향해 개구된 센서연결포트가 구비되는 센서링과, 상기 센서연결포트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체 이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가 내부에 구비된 벨로우즈센서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오링 및 센서링을 감싸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은 상기 센서링의 내주면 중심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오링은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 공간과 상기 센서연결포트 사이에 형성된 경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상기 센서링의 내면에는 상기 오링에 결합되는 아우터링이 안착되도록 오링홈이 요입되어 상기 아우터링 및 오링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누설된 가스가 오링홈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센서연결포트로 전달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제1플랜지의 내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가이드홈이 링가압부와 플랜지몸체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가이드리브가 안착되는데, 이러한 부재들간에 틈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에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특성상 다량으로 발생하는 파우더가 고착됨으로써, 배관의 흐름을 방해하여, 배관의 교체주기를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설비의 가동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킴으로써, 생산성 감소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랜지간에 직접 접촉하는 접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하고, 내주면의 유로가 매끄럽도록 하며, 이로 인해 파우더가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의 가동율 증가시켜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 각각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내주면 측이 직접 면접촉하도록 접합부가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상기 접합부에 의해 감싸여지는 수용홈이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플랜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부; 및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를 서로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패킹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외부로의 노출이 억제되도록 수용되고, 외주면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금속패킹; 및 상기 안착홈에 끼워져서 상기 금속패킹의 외주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끼워져서 복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은, 상기 접합부와 상기 수용홈의 경계에 상기 수용홈 보다 더 깊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패킹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삽입홈 각각에 끼워지기 위한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내주면 측에 서로 맞댄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각각의 타단이 연결볼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은,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연결플랜지가 적층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블록이 서로 적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 각각에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 각각이 서로 접하는 면에 서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에 결합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플랜지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에 의하면, 플랜지간에 직접 접촉하는 접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주면의 유로가 매끄럽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우더가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의 가동율을 증가시켜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100)는 연결플랜지(110), 패킹부(120) 및 클램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플랜지(110)는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 각각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내주면 측이 직접 면접촉하도록 접합부(111)가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접합부(111)에 의해 감싸여지는 수용홈(112)이 각각 링형태로 형성된다. 연결플랜지(110)는 배관의 끝단에 결합 및 연결에 유리하도록 연장관(114)이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합부(111)는 연결플랜지(110) 각각이 서로 접하는 면에서 내주면에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수용홈(112)는 접합부(1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합부(1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플랜지(110)는 본 실시례에서 후술하게 될 금속패킹(121)의 고정력을 높이면서, 내측의 유체에 대한 리크(leak) 경로를 증가시킴으로써, 리크의 염려를 줄이도록, 각각은 접합부(111)와 수용홈(112)의 경계에 수용홈(112) 보다 더 깊게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113)은 그 깊이가 수용홈(112) 깊이의 110~300%일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113)의 깊이가 수용홈(112)의 깊이보다 110% 미만일 경우, 상기한 금속패킹(121)의 고정력 및 리크 억제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300% 초과인 경우, 연결플랜지(110)에 형성을 위한 치수 확보가 어려운 문제를 가지게 된다.
패킹부(120)는 수용홈(112) 내에 수용됨으로써 연결플랜지(110) 사이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패킹부(120)는 예컨대 수용홈(112)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연결플랜지(110) 사이에 외부로의 노출이 억제되도록 수용되고, 외주면을 따라 안착홈(121b)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금속패킹(121)과, 안착홈(121b)에 끼워져서 금속패킹(121)의 외주면에 설치됨으로써, 수용홈(112)의 내측에 수용되고, 연결플랜지(110) 사이에 끼워져서 복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패킹(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패킹(121)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고정력 및 리크 억제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삽입홈(113) 각각에 끼워지기 위한 삽입돌기(121a)가 내주면을 따라 수직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탄성패킹(122)은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등을 비롯하여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클램프(130)는 연결플랜지(120) 각각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함으로써 연결플랜지(120)를 서로 고정시키고, 이로 인해 연결플랜지(120)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클램프(130)는 연결플랜지(120)를 서로 고정시키도록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각각의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몸체(131,13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및 제 2 몸체(131,132)의 내주면 측에 서로 맞댄 연결플랜지(11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131a,13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몸체(131,132) 각각의 타단이 연결볼트(134)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몸체(131,132) 각각은 반원의 호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힌지결합부(133)에 의해 일단끼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133)는 연결편의 양단이 제 1 및 제 2 몸체(131,132) 각각의 일단에 힌지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볼트(134)는 제 1 및 제 2 몸체(131,132) 각각의 타단이 겹쳐진 상태에서 관통하도록 나사 체결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몸체(131,132)가 연결플랜지(110) 각각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2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100; 도 1 내지 도 3 참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연결플랜지(210), 패킹부(220) 및 클램프(230)를 포함하되, 연결플랜지(210)가 서로 접하는 면에 내식성이나 내구성 증대를 위한 코팅 처리를 위하여, 이전 실시례와는 구조적인 차이점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플랜지(210)는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100)의 연결플랜지(110; 도 1 내지 도 3 참조)에서 형성된 삽입홈(113; 도 2 및 도 3 참조)이 생략된다. 이는 삽입홈(113) 내측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코팅층을 형성시 막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 연결플랜지(210)는 이전 실시례에서의 연결플랜지(110)와 마찬가지로 접합부(211) 및 수용홈(212)이 형성되고, 나아가서 연장관(214)이 마련되나, 삽입홈의 형성이 생략된다. 이로 인해 금속패킹(221)도 안착홈(221b)을 형성하는 반면, 삽입돌기의 형성이 생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3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100; 도 1 내지 도 3 참조)와 마찬가지로 연결플랜지(310), 패킹부(320) 및 클램프(330)를 포함하되, 연결플랜지(310)와 클램프(330)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플랜지(310)는 제 1 실시례에서의 연결플랜지(110; 도 1 내지 도 3 참조)와 마찬가지로 접합부(311), 수용홈(312) 및 삽입홈(313)을 가지되, 연장관이 생략됨으로써, 일측면에 배관이 직접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플랜지(310) 각각은 클램프(3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접합부(311)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걸림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315)은 연결플랜지(310)의 일면에 링 형태의 연속적인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킹부(320)는 제 1 실시례에서의 패킹부(120; 도 1 내지 도 3 참조)와 마찬가지로, 삽입돌기(321a) 및 안착홈(321b)이 형성되는 금속패킹(321)과, 탄성패킹(322)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30)는 연결플랜지(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은 연결플랜지(310)가 적층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블록(331,332)이 서로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블록(331,332) 각각에 연결플랜지(310) 각각의 걸림홈(315)에 걸리도록 걸림턱(331a,332a)이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블록(331,332) 각각이 서로 접하는 면에 서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31b) 및 결합홈(332b)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적층된 제 1 및 제 2 블록(331,332)에 결합볼트(333)가 체결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블록(331,332)의 결합에 의해 연결플랜지(310)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에 따르면, 플랜지간에 직접 접촉하는 접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하고, 내주면의 유로가 매끄럽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플랜지간의 틈 발생 최소화 및 유로의 매끄러움에 의하여, 파우더가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의 가동율 증가시켜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310 : 연결플랜지 111,211,311 : 접합부
112,212,312 : 수용홈 113,313 : 삽입홈
114,214 : 연장관 120,220,320 : 패킹부
121,221.321 : 금속패킹 121a,321a : 삽입돌기
121b,221b,321b : 안착홈 122,222.322 : 탄성패킹
130,230,330 : 클램프 131 : 제 1 몸체
131a : 고정홈 132 : 제 2 몸체
132b : 고정홈 133 : 힌지결합부
134 : 연결볼트 315 : 걸림홈
331 : 제 1 블록 331a : 걸림턱
331b : 결합돌기 332 : 제2 블록
332a : 걸림턱 332b : 결합홈
333 : 결합볼트

Claims (5)

  1.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 각각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내주면 측이 직접 면접촉하도록 접합부가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면 각각에 상기 접합부에 의해 감싸여지는 수용홈이 각각 링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플랜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부; 및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를 서로 고정시키는 클램프;
    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외부로의 노출이 억제되도록 수용되고, 외주면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금속패킹; 및
    상기 안착홈에 끼워져서 상기 금속패킹의 외주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플랜지 사이에 끼워져서 복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패킹;
    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은,
    상기 접합부와 상기 수용홈의 경계에 상기 수용홈 보다 더 깊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패킹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삽입홈 각각에 끼워지기 위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배관 연결 조립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내주면 측에 서로 맞댄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각각의 타단이 연결볼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배관 연결 조립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은,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연결플랜지가 적층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블록이 서로 적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 각각에 상기 연결플랜지 각각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 각각이 서로 접하는 면에 서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에 결합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플랜지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KR1020190043998A 2019-04-16 2019-04-16 배관 연결 조립체 KR20200121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98A KR20200121443A (ko) 2019-04-16 2019-04-16 배관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98A KR20200121443A (ko) 2019-04-16 2019-04-16 배관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43A true KR20200121443A (ko) 2020-10-26

Family

ID=7300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998A KR20200121443A (ko) 2019-04-16 2019-04-16 배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4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611B1 (ko) * 2021-08-05 2022-03-03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외부 체결형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611B1 (ko) * 2021-08-05 2022-03-03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외부 체결형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63540A1 (en) O-ringless seal couplings
KR20130014846A (ko) 배관 연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센터링 조립체
TWI558842B (zh) 用於對可撓基材密封腔室入口或腔室出口的裝置;基材處理設備及用於組裝此裝置的方法
KR20200121443A (ko) 배관 연결 조립체
KR20160034542A (ko) 진공배관용 센터링
KR20190001577U (ko) 배관 연결부에 사용되는 센터링 유닛
KR20130025696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353044B1 (ko) 배관 연결용 메탈링
US9500305B2 (en) 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KR20110056763A (ko) 유동성 파이프 연결장치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KR20180035600A (ko) 분기장치
TW201503276A (zh) 用於半導體製造裝置之運送模組及耦合裝置
KR101972968B1 (ko)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KR20180134031A (ko) 가스 분사 장치
KR102168798B1 (ko) 센터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유닛
KR101952809B1 (ko) 배관 연결용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조립체
JP7044303B2 (ja) 管路分岐システムおよび管路分岐方法
KR101555584B1 (ko) 리버스 배관 연결방법
KR101559005B1 (ko) 리버스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43578B1 (ko) 반도체 배관의 센터링 제조방법
KR102183232B1 (ko) 반도체 설비에 사용되는 가스라인 연결장치
KR101561872B1 (ko) 가스켓
KR101695199B1 (ko)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62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027

Effective date: 202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