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363A - 신발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신발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363A
KR20200120363A KR1020190043194A KR20190043194A KR20200120363A KR 20200120363 A KR20200120363 A KR 20200120363A KR 1020190043194 A KR1020190043194 A KR 1020190043194A KR 20190043194 A KR20190043194 A KR 20190043194A KR 20200120363 A KR20200120363 A KR 2020012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tongue
shoestring
hol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826B1 (ko
Inventor
남현수
Original Assignee
남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수 filed Critical 남현수
Priority to KR102019004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8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갑피의 내측면과 설포 외측면 사이에 신발끈 고정구를 밀착시켜 신발끈을 단속하도록 함으로서 신발끈을 결속하여 유지하는 신발끈 고정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신발의 디자인과 미감을 해치지 않고, 신발끈 고정구의 재질특성에 의하여 결속해제를 방지하면서 압박감을 배제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하방에 아웃솔과 미드솔을 가지고 그 상방에 결합되는 갑피와, 상기 갑피 선단에 형성되는 토캡의 후방에 발의 삽입과 이탈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연결하여 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포와, 상기 설포의 양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아이렛에 신발끈을 연결하는 구성의 신발에서;
상기 신발끈을 갑피 내측부와 설포 사이에 위치시켜 이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신발끈 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고정구는, 고탄성 실리콘재질로 판상형태의 고정구바디와; 상기 고정구바디의 상측과 중간부 및 하측에는 신발끈을 유지하여 단속하기 위한 신발끈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신발끈 고정구{FIXTURE DEVICE FOR SHOESTRING}
본 발명은 신발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운동화 또는 구두)에 사용되는 신발끈을 매듭으로 유지하지 않으면서도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매듭으로 사용되는 신발끈의 끝단부가 설포(Tongue)의 외면에 노출시키지 않도록하여 신발 착용시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신발끈 고정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100)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하방에 아웃솔(101)과 미드솔(102)을 가지고 그 상방에 갑피(103)가 결합되는 데, 갑피(103) 선단에 형성되는 토캡(104)의 후방에 발의 삽입과 이탈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구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5)에는 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포(Tongue, 106)가 연결되고, 상기 설포(106)의 양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아이렛(107)에 신발끈(108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발과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종래에도 신발끈을 고정하기 위한 신발끈 고정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체결공(1)이 뚫린 타단에 신발끈 걸이판(2)을 U 형상으로 절곡한 것에 있어서, 신발끈 걸이판(2)의 중간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간격의 신발끈 협삽용 절개부(3)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선단측 내벽이 점차 좁아지도록 되어 있는 통로(3)가 내부에 관통되어 그 좁아지는 내벽에 마찰벽(4)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6)이 형성되어 후방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통로(3)의 후방측 바닥면에 고정홈(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선단이 점차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으로 된 마찰턱(8)이 형성되어 있는 밀편(7)이 상기 케이스(1)의 통로(3)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마찰벽(4)과 마찰턱(8)이 접촉되도록 되며, 상기 밀편(7)의 후방으로 다단절곡된 탄성편(9)이 연장되고 이 탄성편(9)의 후방 단부의 하측에 걸림돌기(11)가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의 고정홈(5)에 끼워져서 밀편(7)을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하고, 밀편(7)의 상측으로는 케이스(1)의 홈(6)을 통해 케이스(1)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접지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홀더(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3은, 신발의 발등덮개의 상면에 설치되며 신발끈이 통과되는 신발끈 통과공이 양쪽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회전축에 의해서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따라 상기 신발끈 통과공으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압압할 수 있는 편심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164923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251089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16633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신발에 고정시켜 신발끈의 끝단부를 끼워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신발끈의 끝단부를 홀더에 수용하여 마찰벽과 마찰턱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면서 홀더를 신발끈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이 자유롭게 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3은 신발끈고정구를 구성하는 몸체를 통과하는 신발끈을 편심축레버를 이용하여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은 신발의 외피에 고정시켜 사용하거나 설포 외측에 위치시켜 신발끈을 수용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구성이기 때문에 신발끈 고정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신발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특히 신발끈을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면서 신발의 외면에 노출된 상태를 지속하여야하기 때문에 신발의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쉽지않기 때문에 신발의 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신발끈을 매듭으로 처리하는 것과 같이 설포의 외측에 신발끈 고정구가 더 돌출되는 형태가 되므로 부조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신발끈을 연결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신발끈 고정구가 함께 움직이는 현상에 의하여 덜렁거리게 되므로 설포나 외피와 부딪치면서 이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외피가 얇은 재질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뛰면서 신발끈 고정구와 부딪치는 충격에 의하여 이용자의 발을 아프게 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하방에 아웃솔(101)과 미드솔(102)을 가지고 그 상방에 결합되는 갑피(103)와, 상기 갑피(103) 선단에 형성되는 토캡(104)의 후방에 발의 삽입과 이탈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하는 개구부(105)와, 상기 개구부(105)에 연결하여 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포(106)와, 상기 설포(106)의 양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아이렛(107)에 신발끈(108)을 연결하는 구성의 신발(100)에서;
상기 신발끈(108)을 갑피(103) 내측부와 설포(106) 사이에 위치시켜 이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신발끈 고정구(1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고정구(110)는, 고탄성 실리콘재질로 판상형태의 고정구바디(111)와;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상측과 중간부 및 하측에는 신발끈(108)을 유지하여 단속하기 위한 신발끈홀(112)을 포함하여;
갑피의 내측면과 설포 외측면 사이에 신발끈 고정구를 밀착시켜 신발끈을 단속하도록 함으로서 신발끈을 결속하여 유지하는 신발끈 고정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신발의 디자인과 미감을 해치지 않고, 신발끈 고정구의 재질특성에 의하여 결속해제를 방지하면서 압박감을 배제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신발끈의 끝단부를 매듭으로 마무리하지 않으면서 설포와 갑피 내부 사이에 신발끈의 끝단부를 위치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외관을 수려하고 깜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신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신발끈을 설포와 갑피 내부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이용자의 발을 압박하지 않으면서 신발끈이 이완되거나 풀려지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신발을 착용하는 내내 조절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발과 신발의 이질감을 줄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를 신발의 갑피 내측과 설포 사이에 유지하는 상태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구를 신발의 갑피 내측과 설포 사이에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 (a,b,c,d)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에 신발끈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6 (a,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신발의 예시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를 신발의 갑피 내측과 설포 사이에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 (a,b,c,d)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에 신발끈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 (a,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신발(100)은, 하방에 아웃솔(101)과 미드솔(102)을 가지고 그 상방에 갑피(103)가 결합되는 데, 갑피(103) 선단에 형성되는 토캡(104)의 후방에 발의 삽입과 이탈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구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5)에는 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포(Tongue, 106)가 연결되고, 상기 설포(106)의 양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아이렛(107)에 신발끈(108)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발끈(108)을 신발(100)을 구성하는 갑피(103) 내측부와 설포(106) 사이에 위치시켜 이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신발끈 고정구(11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발끈 고정구(110)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완충성을 가지는 고탄성 실리콘재질로 판상형태의 고정구바디(11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상측과 중간부 및 하측에는 신발끈(108)을 유지하여 단속하기 위한 신발끈홀(11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바디(111)를 신축성이 우수하면서 완충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은 신발(100)을 구성하는 갑피(103) 내측면과 설포(106)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신축성에 의하여 신발끈을 결합한 상태에서 유지하여야 하고 완충성을 통하여 발과 신발의 압력에 의하여 신발끈(108)의 두께를 수용하면서 발에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구바디(111)를 고탄성 실리콘재질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유사하게 신축성과 완충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고무, 우레탄 등 어떠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형상을 본 발명에서는 이등분된 형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신발의 종류, 신발착용자의 년령 등을 고려하여 신발의 디자인에 맞게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다양한 캐릭터나 로고 및 심볼형태로도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신발끈홀(112)은 신발끈(108)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고정구바디(111)의 신축성에 의하여 신발끈홀(112)을 통과하는 신발끈(108)을 가압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신발끈홀(112)의 내경부에 신발끈(108)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산형상의 마찰돌기(113)를 더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신발끈홀(112)은 고정구바디(111)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여 최상측에 위치한 2개의 아이렛(107)을 통하여 신발끈(108)을 통과시켜 갑피(103)의 내측면과 설포(106) 사이에 고정구바디(111)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측고정홀(115)과 후측고정홀(116)을 구비한다.
상기 전측고정홀(115)과 후측고정홀(116)의 간격은 아이렛(107)과 아이렛(107)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렛(107) 사이의 간격보다 클 경우에는 밀착 후 고정구바디(111)가 주름이 발생하게 되므로 좋지 않으나 작은 경우에는 탄성에 의하여 아이렛(107)과의 간격이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중앙위치에는 센터결속홀(117)을 형성하고, 고정구바디(111)의 하부 양측에는 전측결속홀(118)과 후측결속홀(119)을 형성하여 전,후측고정홀(115,116)을 경유한 신발끈(108)을 통과시켜 이완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하여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신발끈 고정구(110)를 이용하여 신발끈(108)을 결속하여 유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발끈 고정구(110)를 구성하는 고정구바디(111)를 개구부(105)의 최상측 갑피(103) 내측과 설포(106) 사이 양측(좌,우측)에 위치시킨 후, 신발끈홀(112)을 구성하는 전측고정홀(115)과 후측고정홀(116)을 통하여 아이렛(107)의 양측으로 통과되어온 양측의 신발끈(108)을 통과시켜 고정구바디(111)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측에 위치한 고정구바디(111)의 전측고정홀(115)에는 좌측의 아이렛(107)을 통과하여 우측의 아이렛(107) 외측에서 다시 좌측으로 연결되는 신발끈(108)이 통과되도록 하고, 후측고정홀(116)에는 전측고정홀(115)을 통과하여 좌측의 아이렛(107)을 경유하여 온 신발끈(108)을 우측 최상측의 아이렛(107)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측고정홀(116)을 통과한 신발끈(108)은 고정구바디(111)의 전면(설포의 외면과 밀착되는 방향)을 통하여 중앙에 형성된 센터결속홀(117)을 통과하도록 하고, 센터결속홀(117)을 통과한 신발끈(108)은 고정구바디(111)의 배면(갑피 내면과 밀착되는 방향)을 통하여 후측결속홀(119)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후측결속홀(119)을 통과한 신발끈(108)은 고정구바디(111)의 전면을 통하여 전측결속홀(118)을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전측결속홀(118)을 통과한 신발끈(108)은 고정구바디(111)의 배면을 통하여 갑피(103) 내측면으로 내려 신발의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좌측에 위치하는 고정구바디(111)의 신발끈홀(112)에 신발끈(108)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우측과 반대로 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후측고정홀(115,116)으로 신발끈(108)을 통과시켜 고정구바디(111)가 갑피(103) 내측과 설포(106) 외면 사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센터결속홀(117)과 전,후측결속홀(118,119)로 신발끈(108)을 고정구바디(111)의 전면과 배면 방향으로 삼각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신발끈(108)이 쉽게 이탈되지 않은채로 결속될 수 있게 하고, 특히 고탄성 실리콘재질의 특성에 의하여 신발끈(108) 을 잡아주게 되므로 신발끈(108) 자체가 이완되거나 쉽게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바디(111)가 갑피(103) 내측면과 설포(106) 외면 사이에 판상형태로 밀착되면서 신발끈(108)을 연결하여 결속하고 있더라도 신발을 착용하면 발에 의하여 고탄성 실리콘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신발끈(108)의 두께만큼 압착되므로 실제 이용자의 발에 가하여지는 압박력은 거의 없기 때문에 신발끈 고정구(110)를 사용하지 않은 듯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갑피의 내측면과 설포 외측면 사이에 신발끈 고정구를 밀착시켜 신발끈을 단속하도록 함으로서 신발끈을 결속하여 유지하는 신발끈 고정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신발의 디자인과 미감을 해치지 않고, 신발끈 고정구의 재질특성에 의하여 결속해제를 방지하면서 압박감을 배제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신발
103; 갑피
106; 설포
107; 아이렛
108; 신발끈
110; 신발끈 고정구
111; 고정구바디
112; 신발끈홀
115; 전측고정홀
116; 후측고정홀
117; 센터결속홀
118; 전측결속홀
119; 후측결속홀

Claims (3)

  1. 하방에 아웃솔(101)과 미드솔(102)을 가지고 그 상방에 결합되는 갑피(103)와, 상기 갑피(103) 선단에 형성되는 토캡(104)의 후방에 발의 삽입과 이탈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하는 개구부(105)와, 상기 개구부(105)에 연결하여 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포(106)와, 상기 설포(106)의 양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아이렛(107)에 신발끈(108)을 연결하는 구성의 신발(100)에서;
    상기 신발끈(108)을 갑피(103) 내측부와 설포(106) 사이에 위치시켜 이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신발끈 고정구(1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 고정구(110)는, 고탄성 실리콘재질로 판상형태의 고정구바디(111)와;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상측과 중간부 및 하측에는 신발끈(108)을 유지하여 단속하기 위한 신발끈홀(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홀(112)은, 고정구바디(111)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여 최상측에 위치한 2개의 아이렛(107)을 통하여 신발끈(108)을 통과시켜 갑피(103)의 내측면과 설포(106) 사이에 고정구바디(111)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측고정홀(115) 및 후측고정홀(116)과;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중앙위치에 형성하는 센터결속홀(117)과;
    상기 고정구바디(111)의 하부 양측에 형성하여 전,후측고정홀(115,116)을 경유한 신발끈(108)을 통과시켜 이완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하여 단속하는 전측결속홀(118) 및 후측결속홀(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고정홀(115)과 후측고정홀(116)의 간격은 아이렛(107)과 아이렛(107)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작은 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신발끈홀(112)의 내경부에 형성하여 신발끈(108)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마찰돌기(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KR1020190043194A 2019-04-12 2019-04-12 신발끈 고정구 KR10221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94A KR102212826B1 (ko) 2019-04-12 2019-04-12 신발끈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94A KR102212826B1 (ko) 2019-04-12 2019-04-12 신발끈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363A true KR20200120363A (ko) 2020-10-21
KR102212826B1 KR102212826B1 (ko) 2021-02-08

Family

ID=7303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94A KR102212826B1 (ko) 2019-04-12 2019-04-12 신발끈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695B1 (ko) 2021-01-26 2021-05-24 이재훈 신발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고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신발끈 고정구를 포함하는 신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923Y1 (ko) 1999-07-31 2000-02-15 주식회사남광정밀 신발끈 고정쇠
KR200251089Y1 (ko) 2001-06-29 2001-11-16 백남일 신발끈 고정구
KR200316633Y1 (ko) 2003-03-15 2003-06-18 송용법 신발끈 고정구
KR100924301B1 (ko) * 2009-07-14 2009-11-02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토우캡 및 그 토우캡이 일체화된 아웃솔
US20130199006A1 (en) * 2011-11-16 2013-08-08 Charles Edward Harris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204599553U (zh) * 2015-03-05 2015-09-02 陈炫斌 供鞋带穿绕以防止鞋带松脱的止挡片
KR20150102882A (ko) * 2014-09-01 2015-09-09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KR20160091311A (ko) * 2016-07-25 2016-08-02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KR20170098831A (ko) * 2014-11-18 2017-08-30 프리핏 에스.에이. 매듭의 필요성을 없애주고 끈을 차단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장치
KR101895015B1 (ko) * 2016-05-19 2018-09-04 박영민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923Y1 (ko) 1999-07-31 2000-02-15 주식회사남광정밀 신발끈 고정쇠
KR200251089Y1 (ko) 2001-06-29 2001-11-16 백남일 신발끈 고정구
KR200316633Y1 (ko) 2003-03-15 2003-06-18 송용법 신발끈 고정구
KR100924301B1 (ko) * 2009-07-14 2009-11-02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토우캡 및 그 토우캡이 일체화된 아웃솔
US20130199006A1 (en) * 2011-11-16 2013-08-08 Charles Edward Harris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150102882A (ko) * 2014-09-01 2015-09-09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KR20170098831A (ko) * 2014-11-18 2017-08-30 프리핏 에스.에이. 매듭의 필요성을 없애주고 끈을 차단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장치
CN204599553U (zh) * 2015-03-05 2015-09-02 陈炫斌 供鞋带穿绕以防止鞋带松脱的止挡片
KR101895015B1 (ko) * 2016-05-19 2018-09-04 박영민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160091311A (ko) * 2016-07-25 2016-08-02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695B1 (ko) 2021-01-26 2021-05-24 이재훈 신발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고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신발끈 고정구를 포함하는 신발
KR20220107890A (ko) 2021-01-26 2022-08-02 이재훈 신발끈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고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신발끈 고정구를 포함하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826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292B2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of use
US20020095823A1 (en)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WO2006007782A1 (fr) Chaussure mise et enlevée automatiquement
BRPI0710391A2 (pt) dispositivo de amarrar cadarços para um calçado utilizado por um usuário
CN108778030A (zh) 鞋类闭合系统
JP2011512178A (ja) 靴紐固定具および靴
JP6569154B2 (ja) 履物
US8166675B2 (en) Shoe tongue centralizer
KR102212826B1 (ko) 신발끈 고정구
KR102010636B1 (ko) 길이조절 신발
KR200473385Y1 (ko) 토우 스페이서
US20200390190A1 (en) Shoe and shoe insert cover thereof
KR101357823B1 (ko)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JP5736442B1 (ja) ヒール交換ができる靴
KR101009423B1 (ko) 여성용 구두의 밴드 결속장치
KR101489735B1 (ko)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JP3166870U (ja) 履物
CN202085838U (zh) 设置在鞋面上无需穿孔的卡扣型鞋带定位装置
CN206413841U (zh) 一种鞋带
KR20160050588A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102065465B1 (ko) 신발끈의 조임이 가능한 신발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US20200359747A1 (en) Pull-on boot
JP3229122U (ja) 運動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