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015B1 -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015B1
KR101895015B1 KR1020160061616A KR20160061616A KR101895015B1 KR 101895015 B1 KR101895015 B1 KR 101895015B1 KR 1020160061616 A KR1020160061616 A KR 1020160061616A KR 20160061616 A KR20160061616 A KR 20160061616A KR 101895015 B1 KR101895015 B1 KR 10189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ulpo
fixing unit
fix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861A (ko
Inventor
박영민
Original Assignee
박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민 filed Critical 박영민
Priority to KR102016006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01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은, 판상(板狀)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으로서,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및 신발끈 지지홈을 갖는 신발끈 고정부; 및 상기 신발끈 고정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은 각각의 내주면이 독립적인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여 상기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의 측면인 외주면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이 배열된 방향인 제2 방향의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단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SHOELACE AND TONGUE FIXING UNIT AND FOOTW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2882호(2015.09.09.)(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을 개시한다. 도 4는 선행문헌 1의 설포 고정 유닛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 1의 설포 고정 유닛(40)은 다수의 고정홀(41a, 42a, 43a)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끈 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신발끈 처리와 함께 제2 지지 몸체(49)를 이용하여 설포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 착용시 외부에 잔여 신발끈이 드러나거나 설포의 뒤틀림이 없어, 사용자에게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의 설포 고정 유닛(40)의 고정홀(41a, 42a)은 직선 형상의 안내홀(41b, 42b)을 갖고, 안내홀(41b, 42b)을 통해 신발끈이 인입되도록 한다. 인입된 신발끈은 고정홀(41a, 42a)의 끈 고정 돌기(41c, 42c)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하지만 의도된 바와 달리, 선행문헌 1의 설포 고정 유닛(40)의 안내홀(41b, 42b)은 오히려 신발끈의 이탈을 유도하기도 하며, 이때 끈 고정 돌기(41c, 42c)는 신발끈의 이탈을 방지하지 못한다.
또한 선행문헌 1의 단락 [005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발끈이 제1 고정홀(41a)을 통과하여 제1 지지 몸체(48)의 상단(48us)을 통해 반대편으로 넘겨지는 경우, 제1 지지 몸체(48)의 상단(48us)의 밋밋한 구조 때문에 신발끈이 미끄러지는 경우가 생긴다.
제1 지지 몸체(48)의 상단(48us)에서 신발끈이 미끄러지는 경우, 이는 안내홀(41b, 42b)로부터 신발끈의 이탈을 더욱 유도하게 되므로, 결국 신발끈이 설포 고정 유닛(4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신발끈이 풀릴 뿐만 아니라, 설포의 고정 상태 또한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2882호(2015.09.09.)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신발끈 처리 과정 또는 사용자의 신발 착용 상태에서 신발끈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은, 판상(板狀)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으로서,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및 신발끈 지지홈을 갖는 신발끈 고정부; 및 상기 신발끈 고정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은 각각의 내주면이 독립적인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여 상기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의 측면인 외주면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이 배열된 방향인 제2 방향의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설포 고정부의 폭은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폭보다 좁고, 상기 설포 고정부는 상기 신발끈 지지홈이 위치한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제1 신발끈 삽입홀은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신발끈 고정홈을 갖고,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제2 신발끈 삽입홀은 상기 제3 방향과 다른 제4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발끈 고정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은 10~15 중량%의 고무 및 85~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은 10 중량%의 실리콘 고무 및 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신발끈 고정부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내주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돌기보다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신발끈 지지홈의 내주면은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제2 돌기 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깊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 지지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돌기가 연결되는 부분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그 내주면이 톱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하나인 신발끈 삽입홀로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제3 신발끈 삽입홀은 제3 신발끈 고정홈을 갖고, 상기 제3 신발끈 고정홈은 그 내주면의 일부가 톱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3 신발끈 고정홈은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의 내주면이 톱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하나인 신발끈 삽입홀로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제3 신발끈 삽입홀은 제3 신발끈 고정홈을 갖고, 상기 제3 신발끈 고정홈은 상기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의 평면 방향과 제1 각도를 이루는 톱니 형태의 복수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는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상기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로서, 상기 신발끈 고정부는 신발끈으로 고정되어 안감에 위치하고, 상기 설포 고정부는 설포의 일측 및 상기 안감과 중첩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신발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신발끈은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산입홀 중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 삽입홀을 통과한 후에 상기 신발끈 지지홈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신발의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은, 사용자의 신발끈 처리 과정 또는 사용자의 신발 착용 상태에서 신발끈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선행문헌 1의 설포 고정 유닛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도 5a와 반대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인 신발끈 지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 및 제3 신발끈 지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3 신발끈 지지홈이 복수 돌기를 갖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VII-V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은 신발끈 고정부(110) 및 설포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신발끈 고정부(110) 및 설포 고정부(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을 구성할 수 있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판상(板狀)일 수 있으나, 신발의 형태나 사용자의 발 모양에 따라서 굴곡지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은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적절히 구부러질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 조성물일 수 있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이 너무 쉽게 구부러지는 경우 설포 고정부(120)가 설포를 단단히 고정시키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이 너무 단단하여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이 설포 및 안감의 굴곡을 따라 구부러지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다.
20 개의 샘플을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자에게 주는 이물감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설포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조성물 구성 비율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은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 고무를 각각의 중량%로 포함한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리콘 고무 대신 다른 종류의 고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ES 고무 등 특정 고무 상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실험 결과,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은 10 중량%의 실리콘 고무 및 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때, 설포를 단단히 고정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주는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었다.
실리콘 고무 또는 다른 종류의 고무의 중량%을 10~15 중량%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85~90 중량%로 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착용느낌을 제공할 수 있었다.
설포 고정부(120)는 신발끈 고정부(110)로부터 대략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1 방향(d1)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을 신발(20)에 장착하는 경우 설포를 향하는 방향이며, 후술하는 제2 방향(d2)과의 관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설포 고정부(120)의 폭은 신발끈 고정부(110)의 폭보다 좁을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설포 고정부(120)의 폭은 제1 방향(d1)과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신발끈 고정부(110)의 폭도 같은 방향에서의 길이를 의미한다.
설포 고정부(120)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의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이 맞닿는 영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의 상측이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을 신발(20)에 장착하는 경우의 상측을 의미한다(도 2 참조). 후술하는 신발끈 지지홈(111)이 신발끈 고정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설포 고정부(120)는 신발끈 지지홈(111)이 위치한 신발끈 고정부(1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신발끈 고정부(110)는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 및 신발끈 지지홈(111)을 포함한다.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은 대략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신발끈 지지홈(111)은 이러한 제2 방향(d2)에 위치한 신발끈 고정부(11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신발끈 고정부(110)는 제1 돌기(131) 및 제2 돌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신발끈 지지홈(111)은 이러한 제1 돌기 및 제2 돌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내주면(inner surface)일 수 있다. 신발끈 지지홈(111)은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파여진 형태이며, 파여진 깊이와 폭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수용가능한 정도일 수 있다. 신발끈 지지홈(111)은 안쪽 모서리가 각진 형태이거나 안쪽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형태일 수 있으며, 톱니 바퀴 형태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은 각각의 내주면이 독립적인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여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의 측면인 외주면과 분리되어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선행문헌 1의 안내홀(41b, 42b)은 설포 고정 유닛(40)의 측면인 외주면과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고정홀(41a, 42a)은 그 내주면이 폐루프를 형성하지 못한다.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 중 제1 신발끈 삽입홀(112a)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제1 신발끈 고정홈(112b)을 갖고,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 중 제2 신발끈 삽입홀(113a)은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는 제2 신발끈 고정홈(113b)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방향(d3)과 제4 방향(d4)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d3) 또는 제4 방향(d4)은 제1 방향(d1)과 대략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 중 제3 신발끈 삽입홀(114a)은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는 제3 신발끈 고정홈(114b)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신발끈을 신발끈 삽입홀(112a, 113a, 114a)을 통과시킨 이후에 신발끈 고정홈(112b, 113b, 114b)으로 신발끈을 끌어당겨 신발끈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끈 고정홈(112b, 113b, 114b)은 신발끈의 인입 순서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신발끈을 고정시킴으로써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신발끈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3a 내지 3e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신발끈은 제2 신발끈 고정홈(113b), 제1 신발끈 고정홈(112b), 및 제3 신발끈 고정홈(114b) 순서로 고정되게 된다. 신발끈 삽입 방향에 따라 신발끈 고정홈(112b, 113b, 114b)의 방향이 지그재그 형태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선행문헌 1의 안내홀(41b, 42b)과 달리 본 발명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에는 안내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안내홀을 통한 신발끈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신발끈 지지홈(111)은, 선행문헌 1의 밋밋한 제1 지지 몸체(48)의 상단(48us)의 구조와 달리, 신발끈 지지홈(111)을 더 포함하므로, 신발끈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발(20)은 신발끈(210), 안감(220), 설포(230), 및 2 개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 11)을 포함한다.
신발끈 고정부(110)는 신발끈(210)으로 고정되어 안감(220)에 위치하고, 설포 고정부(120)는 설포(230)의 일측 및 안감(220)과 중첩하도록 위치한다. 신발끈(210)으로 신발끈 고정부(110)가 고정되면 신발끈 고정부(110)는 안감(220)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신발끈 고정부(110)로부터 연장된 설포 고정부(120)는 설포(230)의 일측을 안감(220)의 방향으로 밀착시키게 되므로, 설포(230) 또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신발끈 지지홈(111)은 신발(20)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신발끈(210)은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 삽입홀을 통과한 후에 신발끈 지지홈(111)에 걸어짐으로써 신발(20)의 하부를 향할 수 있다. 신발(20)의 하부를 향하는 여분의 신발끈(210)은 깔창(240) 아래에 보이지 않도록 처리되거나,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1)은 반대편 신발끈(210)으로 고정되고, 설포(230)의 타측을 안감에 고정시킨다.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1)의 구성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과 대칭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신발끈(210)을 신발(20)의 마지막 신발끈 구멍(250)을 통해서 안감(220) 방향으로 빼내고 제2 신발끈 삽입홀(113a)에 삽입한다. 이때,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은 설포 고정부(120)가 설포(230)를 향하고, 신발끈 지지홈(111)이 신발(20)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신발끈(210)을 제1 신발끈 삽입홀(112a)에 삽입하여 반대편으로 빼낸다. 이때 사용자는 신발끈(210)을 타이트(tight)하게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 고정부(110)를 안감(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신발끈(210)을 신발끈 지지홈(111)에 걸어서 제3 신발끈 삽입홀(114a)에 삽입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삽입된 신발끈(210)을 신발(20)의 하부로 타이트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신발끈(210)의 잔여 부분은 깔창(240) 아래에 보이지 않도록 처리하거나,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e를 참조하면, 고정된 설포 고정부(120)와 안감(220) 사이에 설포(230)의 일측을 끼움으로써, 설포(2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비대칭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511a)을 갖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50a)이 도시된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제2 돌기(532a)는 제1 돌기(531a)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제1 돌기(531a)보다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신발(20)의 설포(230)는 신발끈 구멍(250)에 대해 다양한 상대적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20)에 따라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50a)의 배치 형태를 달리해야 할 수 있다. 이때 설포 고정부(120)의 상대적 위치가 신발끈 고정부(110)에 비해 높은 경우, 신발끈(210)이 신발(20)의 후면 방향으로 미끄러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신발끈(210)에 작용하는 힘이 대략 제3 방향(d3)에 가깝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돌기(531a)에 비해 제2 돌기(532a)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단순히 제2 돌기(532a)를 제1 돌기(531a)에 비해 더 높게 형성하는 경우, 돌출된 제2 돌기(532a)가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끈 지지홈(511a)의 내주면은 제1 돌기(531a)로부터 제2 돌기(532a) 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더 깊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신발끈 지지홈(511a)을 비대칭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돌기(532a)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때, 신발끈 지지홈(511a)의 내주면과 제2 돌기(532a)가 연결되는 부분은 각진 형태로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형태인 경우보다 신발끈(210)이 더욱 잘 고정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도 5a와 반대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인 신발끈 지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비대칭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511b)을 갖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50b)이 도시된다.
도 5b의 실시예에서, 제1 돌기(531b)는 제2 돌기(532b)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 에 위치하고, 제2 돌기(532b)보다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신발(20)의 설포(230)는 신발끈 구멍(250)에 대해 다양한 상대적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20)에 따라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50b)의 배치 형태를 달리해야 할 수 있다. 이때 신발끈 고정부(110)의 상대적 위치가 설포 고정부(120)에 비해 높은 경우, 신발끈(210)이 신발(20)의 전면 방향으로 미끄러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신발끈(210)에 작용하는 힘이 대략 제1 방향(d1)에 가깝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돌기(532b)에 비해 제1 돌기(531b)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단순히 제1 돌기(531b)를 제2 돌기(532b)에 비해 더 높게 형성하는 경우, 돌출된 제2 돌기(532b)가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끈 지지홈(511b)의 내주면은 제2 돌기(532b)로부터 제1 돌기(531b) 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더 깊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신발끈 지지홈(511b)을 비대칭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돌기(531b)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때, 신발끈 지지홈(511b)의 내주면과 제1 돌기(531b)가 연결되는 부분은 각진 형태로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형태인 경우보다 신발끈(210)이 더욱 잘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 및 제3 신발끈 지지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톱니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611)을 갖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6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60)은 내주면이 톱니 형태인 신발끈 지지홈(61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신발끈 지지홈(611)을 기준으로 가정 멀리 이격된 제3 신발끈 삽입홀(614a)은 제3 신발끈 고정홈(614b)을 갖고, 제3 신발끈 고정홈(614b)은 그 내주면의 일부가 톱니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3 신발끈 고정홈(614b)은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의 내주면이 톱니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신발끈 고정홈(612b) 및 제2 신발끈 고정홈(613b)은 톱니 형태의 내주면을 갖지 않는다. 도 3a 내지 3e를 참조하면, 신발끈(210)은 제2 신발끈 삽입홀(613a), 제1 신발끈 삽입홀(612a), 신발끈 지지홈(611), 제3 신발끈 삽입홀(614a) 순서로 끼워진다.
도 3b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발끈(210)이 제2 신발끈 삽입홀(613a) 및 제1 신발끈 삽입홀(612a)을 통과한 이후에, 신발끈(210)을 타이트(tight)하게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 고정부를 안감(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발끈 삽입홀(612a) 및 제2 신발끈 삽입홀(613a)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60)이 안감(220)에 밀착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신발끈(210)을 자유롭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신발끈 고정홈(612b) 및 제2 신발끈 고정홈(613b)은 톱니 형태의 내주면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1 신발끈 삽입홀(612a)을 통과하고,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60)이 안감에 밀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 신발끈 지지홈(611) 및 제3 신발끈 고정홈(613b)은 여분의 신발끈(210)을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신발끈 지지홈(611) 및 제3 신발끈 고정홈(613b)의 내주면은 톱니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 신발끈 고정홈(613b)은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의 내주면이 톱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신발끈 고정홈(613b)을 통과한 신발끈(210)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하부를 향하므로, 톱니 형상이 신발끈(210)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10, 50a, 50b, 60)이 완전한 판상일 수 있으므로,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한번에 생산가능한 점에서 이점이 있다. 후술하는 도 7a 및 7b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70)은 복수 돌기(750)로 인해서, 추가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a는 제3 신발끈 지지홈이 복수 돌기를 갖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VII-VII'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70)은 톱니 형태의 신발끈 지지홈(711) 및 복수 돌기(750)를 갖는 제3 신발끈 고정홈(714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70)이 도 6에 도시된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60)과 다른 점은, 제3 신발끈 고정홈(714b)이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70)의 평면 방향과 제1 각도(
Figure 112016048255881-pat00001
)를 이루어 복수 돌기(750)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때 제1 각도(
Figure 112016048255881-pat00002
)는 예각일 수 있다. 제1 각도(
Figure 112016048255881-pat00003
)가 예각을 넘어서는 둔각이 되는 경우, 복수 돌기(750)가 돌출된 방향은 신발끈(210)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같은 결을 형성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7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70)은 안감(220) 방향으로 밀착되는 복수 돌기(750)를 갖게 되므로, 신발끈(210)을 안감(220)과 복수 돌기(750) 사이에서 더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110: 신발끈 고정부
120: 설포 고정부
111: 신발끈 지지홈
112a, 113a, 114a: 신발끈 삽입홀
112b, 113b, 114b: 신발끈 고정홈
20: 신발
210: 신발끈
220: 안감
230: 설포
240: 깔창

Claims (21)

  1. 판상(板狀)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으로서,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및 신발끈 지지홈을 갖는 신발끈 고정부; 및
    상기 신발끈 고정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은 각각의 내주면이 독립적인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여 상기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의 측면인 외주면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이 배열된 방향인 제2 방향의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그 내주면이 톱니 형태이고,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하나인 신발끈 삽입홀로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제3 신발끈 삽입홀은 제3 신발끈 고정홈을 갖고,
    상기 제3 신발끈 고정홈은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의 내주면이 톱니 형태이거나,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의 내주면에 상기 판상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의 평면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복수 돌기를 갖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고정부의 폭은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폭보다 좁고,
    상기 설포 고정부는 상기 신발끈 지지홈이 위치한 상기 신발끈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제1 신발끈 삽입홀은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신발끈 고정홈을 갖고,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삽입홀 중 제2 신발끈 삽입홀은 상기 제3 방향과 다른 제4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발끈 고정홈을 갖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10~15 중량%의 고무 및 85~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10 중량%의 실리콘 고무 및 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고정부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내주면(inner surface)인,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돌기보다 높이가 더 높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의 내주면은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제2 돌기 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깊어지도록 연장되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돌기가 연결되는 부분은 예각을 이루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기보다 높이가 더 높은,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의 내주면은 상기 제2 돌기로부터 제1 돌기 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깊어지도록 연장되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돌기가 연결되는 부분은 예각을 이루는,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로서,
    상기 신발끈 고정부는 신발끈으로 고정되어 안감에 위치하고,
    상기 설포 고정부는 설포의 일측 및 상기 안감과 중첩하도록 위치한,
    신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지지홈은 상기 신발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한,
    신발.
  21. 제20 항에 있어서,
    신발끈은 상기 복수의 신발끈 산입홀 중 적어도 하나의 신발끈 삽입홀을 통과한 후에 상기 신발끈 지지홈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신발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신발.
KR1020160061616A 2016-05-19 2016-05-19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89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16A KR101895015B1 (ko) 2016-05-19 2016-05-19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16A KR101895015B1 (ko) 2016-05-19 2016-05-19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61A KR20170130861A (ko) 2017-11-29
KR101895015B1 true KR101895015B1 (ko) 2018-09-04

Family

ID=6081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16A KR101895015B1 (ko) 2016-05-19 2016-05-19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363A (ko) * 2019-04-12 2020-10-21 남현수 신발끈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75155U (zh) * 2009-11-05 2010-12-22 台湾百和工业股份有限公司 带体扣具
US20130199006A1 (en) * 2011-11-16 2013-08-08 Charles Edward Harris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699B1 (ko) 2014-09-01 2017-05-29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75155U (zh) * 2009-11-05 2010-12-22 台湾百和工业股份有限公司 带体扣具
US20130199006A1 (en) * 2011-11-16 2013-08-08 Charles Edward Harris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363A (ko) * 2019-04-12 2020-10-21 남현수 신발끈 고정구
KR102212826B1 (ko) 2019-04-12 2021-02-08 남현수 신발끈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61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767B2 (en) Device for connecting up laces
WO2013187288A1 (ja) 簡易着脱履物
US20060179685A1 (en) Lacing device for sports footwear
US20070271819A1 (en) Anti-Slippery Footwear
CN105188453A (zh) 具有可收缩销的鞋楦
US8677655B2 (en) Shoe with anti-slip device
US20190191814A1 (en) System for retaining an upper on a sole structure
KR101895015B1 (ko) 신발끈 및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US20180295929A1 (en) Shoe with detachable upper
KR200473385Y1 (ko) 토우 스페이서
JP5655073B2 (ja) 溝が形成された鼻緒部を有する履物
JP2006247243A (ja) 履物
KR102212826B1 (ko) 신발끈 고정구
US10426217B1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sections
JP5736442B1 (ja) ヒール交換ができる靴
KR20170029763A (ko) 굽 교체형 구두
KR200482330Y1 (ko) 신발끈 조임구
JP7371875B2 (ja) フットカバー
JP3211115U (ja) 履物用ホルダー
JP6944668B1 (ja) 靴カバー
JP2009000142A (ja) 外反母趾対策具
KR200455284Y1 (ko) 신발용 장식구
JP5221801B1 (ja) 簡易着脱履物
KR20200000014A (ko) 신발끈의 조임이 가능한 신발
JP5166626B1 (ja) 簡易着脱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