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85Y1 - 토우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토우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85Y1
KR200473385Y1 KR2020120007032U KR20120007032U KR200473385Y1 KR 200473385 Y1 KR200473385 Y1 KR 200473385Y1 KR 2020120007032 U KR2020120007032 U KR 2020120007032U KR 20120007032 U KR20120007032 U KR 20120007032U KR 200473385 Y1 KR200473385 Y1 KR 200473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topper
concave
spacer
n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019U (ko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호 filed Critical 유영호
Priority to KR2020120007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8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우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이격 유지시키도록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유지부; 이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각각의 발가락 외주면이 걸려 상방이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되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전, 후단부의 협소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외출할 경우와 신발을 신지 않고 실내에 있을 경우 모두에 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지속적인 발가락의 간격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가락 교정 효과가 월등하게 되도록 하고, 바닥면지지부에 의한 토우 스페이서의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이 역시도 발가락 교정 기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토우 스페이서{Toe spacer}
본 고안은 토우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엄지와 검지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부가 마련되고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됨과 아울러 하부스토퍼의 저면에 신발의 바닥면 등 해당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토우 스페이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토우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힐 등과 같이 뒷굽이 폭이 신을 주로 신는 여성들의 경우 발의 앞볼부분을 잡아주는 상태에서 체중이 앞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대부분 엄지발가락이 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이렇게 엄지발가락이 휘는 것을 방지하거나 교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엄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에 삽입하는 기구가 토우 스페이서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토우 스페이서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두 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부이 마련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발가락 외주면이 걸려 상방이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상하부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고 기다란 타원기둥구조로 되어 있고, 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토우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하여 엄지발가락이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하이힐 등의 신발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토우 스페이서에 의해 신발을 신어도 어느 정도 엄지발가락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엄지발가락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6706호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선단과 후단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엄지발가락의 벌어짐 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만 할뿐 이 밖에 다양한 폭 넓이의 발가락 벌어짐을 원하는 사용자에겐 적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발가락의 휨 상태가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폭 넓이를 갖는 토우 스페이서를 제작하여야만 가능하게 되는 제작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토우 스페이서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도 그 움직임이 발생되면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이질감을 느끼고 심지어는 발가락으로부터 토우 스페이서가 이탈될 우려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을 열거한다.
첫째로, 엄지와 검지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는 간격유지부를 마련하되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부스토퍼를 마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전, 후단부의 협소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외출할 경우와 신발을 신지 않고 실내에 있을 경우 모두에 그 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지속적인 발가락의 간격 유지를 꾀할 수 있어 발가락 교정효과가 월등하도록 한 토우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로, 사용자의 엄지발가락이 휜 정도에 따라서 끼움방향을 달리하여 엄지발가락의 벌림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교정자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제품에 대한 적용 대상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한 토우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로, 바닥면지지부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패인 상향오목부에 의한 토우 스페이서의 움직임 없는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발가락 교정 기능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토우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이격 유지시키도록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유지부; 이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각각의 발가락 외주면이 걸려 상방이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되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스토퍼는 상단인 상부스토퍼가 넓고 그 상부스토퍼의 테두리 전체에서 하방인 간격유지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간격유지부의 외주면 전체에서 하부스토퍼로 갈수록 넓어져서 간격유지부의 넓어진 상하단부 테두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의 양측 벽면에는 해당 발가락이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측면오목부가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의 일단부인 협소 직경 벽면에는 상기 두 발가락 사이의 분기부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협소오목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의 타단부인 확장 직경 벽면에는 상기 두 발가락 사이의 분기부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확장오목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측면오목부, 협소오목부 및 확장오목부는 서로 곡면 연결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동일 곡률로 오목하게 패인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스토퍼는 상기 간격유지부의 오목 구조가 상단부인 상기 상부스토퍼에서 넓고 그 중앙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하단인 하부스토퍼에서 넓어지는 곡면 구조로 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넓어지는 상, 하단부가 각각 상기 상, 하부스토퍼가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의 저면에 신발의 바닥면 등 해당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토우 스페이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면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지지부는 하부스토퍼의 저면 외곽 테두리에 해당 바닥면과 밀착되는 접지평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스토퍼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상향오목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접지평면부는 상기 하부스토퍼의 저면 외곽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는 엄지와 검지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는 간격유지부를 마련하되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부스토퍼를 마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전, 후단부의 협소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외출할 경우와 신발을 신지 않고 실내에 있을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지속적인 발가락의 간격 유지를 꾀할 수 있어 발가락 교정효과가 월등하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둘째로, 사용자의 엄지발가락이 휜 정도에 따라서 끼움방향을 달리하여 엄지발가락의 벌림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교정자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제품에 대한 적용 대상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셋째로, 바닥면지지부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패인 상향오목부에 의한 토우 스페이서의 움직임 없는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발가락 교정 기능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토우 스페이서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우 스페이서는 엄지발가락(3)과 검지발가락(5) 사이에 삽입되어 엄지발가락을 이격시켜주는 간격유지부(10)와, 이 간격유지부(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발가락(3,5) 외주면이 걸려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스토퍼(20) 및 이 간격유지부(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발가락(3,5) 외주면이 걸려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스토퍼(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부(1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고 기다란 타원기둥구조로 마련되되, 특히 상기 간격유지부(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10)의 양측 벽면에는 해당 발가락(3,5)의 측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측면오목부(11)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부(10)의 일단부인 협소 직경 벽면에도 오목하게 패인 협소오목부(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유지부(10)의 타단부인 확장 벽면에도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분기부(7)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확장오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측면오목부(11), 협소오목부(12) 및 확장오목부(13)는 서로 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간격유지부(1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동일곡률로 오목하게 패인 구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스토퍼(20)와 하부스토퍼(30)는 상단부인 상부스토퍼(20)가 넓고 그 중앙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하단인 하부스토퍼(30)로 갈수록 넓어지는 곡면구조로 되어 상기 간격유지부(10)의 넓어진 상하단부 테두리가 각각 상부 및 하부스토퍼(20,30)로 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부스토퍼(30)의 저면에는 토우 스페이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신발의 바닥면에 대하여 바닥면지지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지지부(31)는 하부스토퍼(30)의 저면 외곽 테두리에 신발바닥면과 지지되는 접지평면부(31a)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스토퍼(31)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상향오목부(31b)가 마련되며, 특히 상기 접지평면부(31a)는 상기 하부스토퍼(31)의 저면 외곽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향오목부(31b)는 접지평면부(31a)가 신발 바닥면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 신발 바닥면과의 일종의 공간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그 접착력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상향오목부(31b)와 바닥면 간의 공간부는 발가락(3,5)의 하중 등에 의해 토우 스페이서가 하향 가압될 경우 상기 상향오목부(31b)도 같이 하향 가압되면서 그 내부의 공기 일부가 외부로 누출됨과 아울러 그 테두리의 접지평면부(31a)가 신발바닥면에 눌리면서 납작하게 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걸어가는 발가락의 움직임에도 이질감 없이 평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토우 스페이서는 그 사용 예에 대하여 사용자가 하이힐 등의 신발을 신는 경우와 신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힐과 같이 굽이 높은 신발을 신는 경우에는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간격이 많이 벌어지게 되면 신발을 신음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간격이 비교적 좁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유지부(10) 중 확장오목부(13)가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분기부(7)에 닿도록 하여 본 발명의 토우 스페이서를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간격유지부(10)의 확장오목부(13)가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분기부(7)에 닿은 상태에서 이들 발가락(3,5)의 외주부가 상기 간격유지부(10)의 양쪽측면인 측면오목부(11)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발을 신게 되면 사용자는 부담 없이 편안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고, 이렇게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저면의 바닥면지지부(31)가 신발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바닥면지지부(31)는 그 중간의 상향오목부(31b) 내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그 가장자리의 접지평면부(31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측면오목부(11), 협소오목부(12) 및 확장오목부(13)가 엄지발가락의 벌림 상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 폭이 넓은 신발을 신거나 신발을 신지 않는 경우에는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간격이 많이 벌어져도 상관이 없으므로 그 간격이 비교적 많이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유지부(10) 중 협소오목부(12)가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분기부(7)에 닿도록 하여 본 발명의 토우 스페이서를 엄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간격유지부(10)의 협소오목부(12)가 어지 및 검지발가락(3,5) 사이의 분기부(7)에 닿은 상태에서 엄지 및 검지발가락(3,5)의 측면이 간격유지부(10)의 양쪽측면인 측면오목부(11)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부담 없이 편안하게 활보할 수 있고, 이렇게 신발을 신거나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도 저면의 바닥면지지부(31)가 신발바닥면이나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바닥면지지부(31)는 그 중간의 상향오목부(31b) 내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그 가장자리의 접지평면부(31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확장오목부(13), 측면오목부(11) 및 협소오목부(12)가 엄지발가락의 벌림 상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우 스페이서는 기본적으로 전/후단부의 협소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외출할 경우와 신발을 신지 않고 실내에 있을 경우 모두에 그 사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지속적인 발가락의 간격 유지를 꾀할 수 있어 발가락 교정효과가 월등하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이 휜 정도에 따라서 끼움방향을 달리하여 엄지발가락의 벌림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교정자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제품에 대한 적용 대상 폭을 넓힐 수 있으며, 바닥면지지부에 의한 토우 스페이서의 움직임 없는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발가락 교정 기능 향상을 꾀할 수 있어 그 결과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3: 엄지발가락 5: 검지발가락
7: 분기부 10: 간격유지부
11: 측면오목부 12: 협소오목부
13: 확장오목부 20: 상부스토퍼
30: 하부스토퍼 31: 바닥면지지부
31a: 접지평면부 31b: 상향오목부

Claims (5)

  1.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의 간격을 이격 유지시키도록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유지부; 이 간격유지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각각의 발가락 외주면이 걸려 상방이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되 그 일단부가 협소하고 그 타단부가 확장된 불규칙 타원기둥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스토퍼는 상단인 상부스토퍼가 넓고 그 상부스토퍼의 테두리 전체에서 하방인 간격유지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간격유지부의 외주면 전체에서 하부스토퍼로 갈수록 넓어져서 간격유지부의 넓어진 상하단부 테두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의 외측벽면인 양측 벽면과 협소벽면 및 확장벽면에는 해당 발가락이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측면오목부, 협소오목부 및 확장오목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 스페이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오목부, 협소오목부 및 확장오목부는 서로 곡면 연결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외측주면 전체에 걸쳐 동일 곡률로 오목하게 패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 스페이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의 저면에 신발의 바닥면 등 해당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토우 스페이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면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 스페이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지지부는 하부스토퍼의 저면 외곽 테두리에 해당 바닥면과 밀착되는 접지평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스토퍼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상향오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 스페이서.
KR2020120007032U 2012-08-07 2012-08-07 토우 스페이서 KR200473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32U KR200473385Y1 (ko) 2012-08-07 2012-08-07 토우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32U KR200473385Y1 (ko) 2012-08-07 2012-08-07 토우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19U KR20140001019U (ko) 2014-02-17
KR200473385Y1 true KR200473385Y1 (ko) 2014-07-02

Family

ID=5199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32U KR200473385Y1 (ko) 2012-08-07 2012-08-07 토우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499B1 (ko) * 2019-05-10 2020-05-12 이성진 신체 균형 유지를 위한 보정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보정기의 사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50B1 (ko) * 2014-07-29 2016-01-26 손태석 발가락 교정구
CN107072803A (zh) * 2014-09-04 2017-08-18 Whbs有限公司 脚趾矫正器
CN108158082A (zh) * 2017-12-28 2018-06-15 四川大学 减少大脚趾与二脚趾相互挤压的工字形垫
CN108201185A (zh) * 2017-12-28 2018-06-26 四川大学 减少大脚趾与二脚趾相互挤压的棉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15U (ja) * 1992-07-21 1994-02-15 幸夫 持田 足指のむれ防止具
JP2005034488A (ja) 2003-07-17 2005-02-10 Toshio Ando 足指間の間隔保持具
KR200390011Y1 (ko) 2005-04-21 2005-07-18 임재규 발가락 교정구
JP2008093399A (ja) * 2006-10-16 2008-04-24 Kenji Ota 外反母趾矯正パ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15U (ja) * 1992-07-21 1994-02-15 幸夫 持田 足指のむれ防止具
JP2005034488A (ja) 2003-07-17 2005-02-10 Toshio Ando 足指間の間隔保持具
KR200390011Y1 (ko) 2005-04-21 2005-07-18 임재규 발가락 교정구
JP2008093399A (ja) * 2006-10-16 2008-04-24 Kenji Ota 外反母趾矯正パ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499B1 (ko) * 2019-05-10 2020-05-12 이성진 신체 균형 유지를 위한 보정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보정기의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19U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291B2 (en) Dual-density insole with a molded geometry
EP3009022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exible groove
KR200473385Y1 (ko) 토우 스페이서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US20150089842A1 (en) Athletic Shoe Device
RU2010138633A (ru) Обувь с подошвой в сборе с нестаби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JP2016504143A (ja) 履物
JP2016510681A (ja) フットウェア用ヒールスタビライザー
WO2013167856A3 (en) An insole for an item of footwear
US20120324760A1 (en) Footwear with heel based arcuate panel-shaped impact absorbing resilient concealed tongue
US20150359682A1 (en) Barefoot orthotic
US20130318826A1 (en) Foot sliding prevention product
US20120260525A1 (en) Cushion member and a shoe insole comprising the same
WO2008146376A1 (ja) 靴および靴の中敷
JP2010264141A (ja) 履き物用パッド
JP2018023691A (ja) 履物、インソール
JP5382550B2 (ja) 前すべり防止インソール
KR20180001749U (ko) 신발용 논-슬립 패치
KR200454328Y1 (ko) 과내전 및 외전 방지용 신발 깔창
KR200487099Y1 (ko) 양방향 신발
US20180103722A1 (en) Heel insert
US20160316854A1 (en) Footwear device
JP5820434B2 (ja) インソール
JP3206648U (ja) 履き物用前滑り防止具
KR102378309B1 (ko) 발가락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