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99Y1 - 양방향 신발 - Google Patents

양방향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099Y1
KR200487099Y1 KR2020170004575U KR20170004575U KR200487099Y1 KR 200487099 Y1 KR200487099 Y1 KR 200487099Y1 KR 2020170004575 U KR2020170004575 U KR 2020170004575U KR 20170004575 U KR20170004575 U KR 20170004575U KR 200487099 Y1 KR200487099 Y1 KR 200487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latching
latching part
width direction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Priority to KR2020170004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가운데 방향으로 제2걸림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신발을 신는 방향에 따라 발을 감싸 지지하거나 발과 접하여 압축 변형될 수 있어 양방향으로 신을 수 있는 양방향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양방향 신발은, 발바닥과 접하는 밑판부(100); 상기 밑판부(100)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등을 감싸는 제1걸림부(200);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방향 가운데로 돌출 형성되고, 발을 감싸 지지하거나 발과 접하여 압축되는 제2걸림부(3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신발{Dual direction shoes}
본 고안은 양방향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이나 현관에서 슬리퍼를 벗은 후 다시 신을 때에 방향을 바꾸어 시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양방향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한 종류인 슬리퍼는 대개 밑창과 밑창에 부착되어 발을 고정하는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는데, 스트랩의 헝태에 따라 샌들형과, 플립플랍(flip-flop)형(속칭 쪼리)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샌들형은 스트랩이 밑창의 상방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스트랩의 아래로 단순히 발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착용하게 된다.
플립플랍형은 스트랩이 걸이형태로 구비되는 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스트랩을 끼우는 방식으로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리퍼형 신발은 착용하고 벗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실내화 용도로서는 물론 이고 근거리용의 실외화 용도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슬리퍼형 신발은 다른 종류의 신발에 비해서 착용하고 벗는 것이 편리하지만, 정방향으로 착용해야 하는 제약은 마찬가지이며, 벗은 다음에 다시 착용하기 위해서는 방향을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346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가운데 방향으로 제2걸림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신발을 신는 방향에 따라 발을 감싸 지지하거나 발과 접하여 압축 변형될 수 있어 양방향으로 신을 수 있는 양방향 신발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양방향 신발은, 발바닥과 접하는 밑판부(100); 상기 밑판부(100)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등을 감싸는 제1걸림부(200);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방향 가운데로 돌출 형성되고, 발을 감싸 지지하거나 발과 접하여 압축되는 제2걸림부(300); 를 포함한다.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밑판부(10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의 단부의 두께가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측부의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밑판부(100)에는 상기 제2걸림부(300)의 압축시 상기 제2걸림부(300)의 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양방향 신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걸림부(200)가 가운데에서 좌우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좌우 양 방향으로 신발을 신을 때에 쉽게 발을 넣고 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2걸림부(300)가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되, 측부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굴곡진 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발꿈치가 삽입될 때 양측으로 밀려나 가압되면서 좌우 양측으로 모두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2걸림부(300)가 상기 밑판부(100)와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짐으로써, 상기 제2걸림부(300)와 상기 밑판부(100)의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제2걸림부(300)의 탄성력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밑판부(100)에 상기 가이드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걸림부(300)의 압축시 상기 제2걸림부(300)읨 길이 방향 움직임을 감소시켜 신발의 착용을 편리하게 하고, 도보시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은 밑판부(100), 제1걸림부(200) 및 제2걸림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밑판부(100)는 발바닥 형상으로 형성된 납작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이고, 하부에는 울퉁불퉁하게 요철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발이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밑판부(100)의 가운데에는 발등을 감싸는 상기 제1걸림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200)는 상기 밑판부(100)의 길이 방향 가운데에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200)는 길이 방향 가운데에서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확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200)가 가운데에서 좌우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좌우 양 방향으로 신발을 신을 때에 쉽게 발을 넣고 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방향 가운데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부분이 배치된 곳에서는 발가락을 감싸 발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발목이 배치된 곳에서는 발목의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걸림부(300)의 폭 방향 간격은 발목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며, 발목이 상기 제2걸림부(300) 사이에 삽입될 때 폭 방향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목이 밀착되며, 이로 인해 발목 부분이 상기 걸림부(300) 사이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은,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 좌,우측에 상기 제2걸림부(300)가 형성됨으로써, 길이 방향 좌측 뿐만 아니라 우측으로 발을 넣어도 착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실내로 출입시 신발을 벗은 후 신발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다시 신을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의 단부의 두께가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측부의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걸림부(300)는 끝단에서 상기 밑판부(100)의 측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굵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300)가 상기 밑판부(100)와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짐으로써, 상기 제2걸림부(300)와 상기 밑판부(100)의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제2걸림부(300)의 탄성력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00)의 각각의 끝단에는 상기 밑판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10)는 곡선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면이 부드럽게 처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300)의 끝단에 상기 절곡부(310)가 형성됨으로써, 발과 접촉되는 부분이 매끄럽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상처가 나거나 불편감 없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로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신발은 밑판부(100), 제1걸림부(200) 및 제2걸림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밑판부(100)는 발바닥 형상으로 형성된 납작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이고, 하부에는 울퉁불퉁하게 요철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발이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밑판부(100)의 가운데에는 발등을 감싸는 상기 제1걸림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200)는 상기 밑판부(100)의 길이 방향 가운데에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200)는 길이 방향 가운데에서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확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200)가 가운데에서 좌우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좌우 양 방향으로 신발을 신을 때에 쉽게 발을 넣고 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방향 가운데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부분이 배치된 곳에서는 발가락을 감싸 발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발꿈치 부분이 배치된 곳에서는 폭 방향 측부로 압축된다.
특히, 발꿈치 부분이 배치된 곳은, 상기 제2걸림부(300) 사이로 발꿈치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2걸림부(300)의 끝단이 측방향으로 밀려나 가압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발가락과 발꿈치의 방향이 반대가 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걸림부(200)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2걸림부(300)에 발가락이 배치되면 발가락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발꿈치가 배치되면 발꿈치의 양측부로 가압되어 발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걸림부(300)에서 발이 빠져나가면 상기 제2걸림부(30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아치 형상으로 다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되, 측부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굴곡진 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발꿈치가 삽입될 때 양측으로 밀려나 가압되면서 좌우 양측으로 모두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의 단부의 두께가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측부의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걸림부(300)는 끝단에서 상기 밑판부(100)의 측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굵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300)가 상기 밑판부(100)와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짐으로써, 상기 제2걸림부(300)와 상기 밑판부(100)의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제2걸림부(300)의 탄성력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밑판부(100)에는 상기 제2걸림부(300)의 압축시 압축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110)은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상기 제2걸림부(300) 사이에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홈(110)에는 상기 제2걸림부(300)가 압축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300)의 끝단이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걸림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밑판부(100)에 상기 가이드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걸림부(300)의 압축시 상기 제2걸림부(300)읨 길이 방향 움직임을 감소시켜 신발의 착용을 편리하게 하고, 도보시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밑판부 110 : 가이드홈
200 : 제1걸림부 300 : 제2걸림부
310 : 절곡부

Claims (4)

  1. 발바닥과 접하는 밑판부(100);
    상기 밑판부(100)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등을 감싸는 제1걸림부(200);
    상기 제1걸림부(20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폭 방향 가운데로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300)의 각각의 끝단에는 상기 밑판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300)는,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가운데 방향의 단부의 두께가 상기 밑판부(100)의 폭 방향 측부의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밑판부(10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100)에는 상기 제2걸림부(300)의 압축시 상기 제2걸림부(300)의 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발.
KR2020170004575U 2017-08-29 2017-08-29 양방향 신발 KR200487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75U KR200487099Y1 (ko) 2017-08-29 2017-08-29 양방향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75U KR200487099Y1 (ko) 2017-08-29 2017-08-29 양방향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99Y1 true KR200487099Y1 (ko) 2018-09-10

Family

ID=6358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75U KR200487099Y1 (ko) 2017-08-29 2017-08-29 양방향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56B1 (ko) * 2019-07-17 2020-03-03 노동배 양방향 슬리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46Y1 (ko) * 2004-12-15 2005-03-16 김세웅 양방향 슬리퍼
KR200418033Y1 (ko) * 2006-03-15 2006-06-07 윤범수 슬리퍼
KR20100003579U (ko) * 2008-09-25 2010-04-02 양서진 양방향착용 슬리퍼
KR20140013463A (ko) 2012-07-24 2014-02-05 김덕수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발등걸이가 구비된 양방향 신발
KR20160004159U (ko) * 2015-05-28 2016-12-07 변고은 양방향 슬리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46Y1 (ko) * 2004-12-15 2005-03-16 김세웅 양방향 슬리퍼
KR200418033Y1 (ko) * 2006-03-15 2006-06-07 윤범수 슬리퍼
KR20100003579U (ko) * 2008-09-25 2010-04-02 양서진 양방향착용 슬리퍼
KR20140013463A (ko) 2012-07-24 2014-02-05 김덕수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발등걸이가 구비된 양방향 신발
KR20160004159U (ko) * 2015-05-28 2016-12-07 변고은 양방향 슬리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56B1 (ko) * 2019-07-17 2020-03-03 노동배 양방향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479B2 (en) Footwear with heel contact member
JP7317385B2 (ja) 履物
WO2017090195A1 (ja) 履物
US10721996B2 (en) Pad for preventing foot deformity and shoe including same
KR200487099Y1 (ko) 양방향 신발
US9380828B2 (en) Structure of athletic shoe
JP5441495B2 (ja) 履き物用パッド
KR200473385Y1 (ko) 토우 스페이서
KR20010105550A (ko) 착화가 간편한 신발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KR102065464B1 (ko) 양방향으로 신을 수 있는 신발
KR101874539B1 (ko) 신발 밑창
JP5764648B2 (ja) 運動靴
TW201804928A (zh) 前緩衝墊
JP5382550B2 (ja) 前すべり防止インソール
CN217565076U (zh) 减震防滑的运动鞋
KR102328350B1 (ko) 기능성 신발
JP3183950U (ja) 靴用滑り止め部材
CN220174599U (zh) 一种腿型矫正垫及其矫正鞋
JP5438932B2 (ja) 靴のつま革
JP6894117B2 (ja) インソール、当該インソールを用いた履物、及び履物
KR20110040653A (ko) 미끄럼방지부가 장착된 신발
EP2883468A1 (en) Structure of athletic shoe
KR200209090Y1 (ko) 신발 미끄럼 방지용 덧신
KR100947901B1 (ko)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힐링워킹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