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56B1 - 양방향 슬리퍼 - Google Patents

양방향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56B1
KR102084356B1 KR1020190086173A KR20190086173A KR102084356B1 KR 102084356 B1 KR102084356 B1 KR 102084356B1 KR 1020190086173 A KR1020190086173 A KR 1020190086173A KR 20190086173 A KR20190086173 A KR 20190086173A KR 102084356 B1 KR102084356 B1 KR 102084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ole member
rotating
wear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배
Original Assignee
노동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동배 filed Critical 노동배
Priority to KR102019008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가 착용하면 자동으로 슬리퍼의 앞과 뒤가 결정될 수 있는 양방향 슬리퍼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는,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형상을 가지는 밑창 부재; 상기 밑창 부재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회전 스트랩; 및 상기 밑창 부재에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그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 스트랩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키는 스트랩 자동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슬리퍼{Slipper using both sides}
본 발명은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일반 실내, 화장실, 발코니, 현관 등에서 위생 또는 편리성 등의 목적으로 단시간 자주 착용하는 신발의 하나이다. 이러한 슬리퍼는, 신고 벗기 쉽게 하기 위해, 착용자의 발바닥이 놓여지는 바닥판과 이에 부착되며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등받이로 이루어진다.
슬리퍼는, 한 방향으로만 착용할 수 있는 일반 슬리퍼와, 앞뒤 구분없이 양 방향 모두에서 착용할 수 있는 양방향 슬리퍼로 구분된다.
도 1은 기존의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슬리퍼의 등받이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831호에 개시된 양방향 슬리퍼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과 발을 끼우는 등받이(12)로 구성되는데, 바닥판의 중간부위에 공간이 형성되어 등받이의 양쪽 끝단이 고정쇠(13)에 연결되며 고정쇠가 바닥판의 옆면을 따라 형성된 이동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이동공간은 중앙에서 양쪽 끝단으로 갈수록 오르막이 형성된 경사부(21)와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중심쪽을 향하여 꺾어진 걸림부(2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기존의 양방향 슬리퍼는, 앞쪽 또는 뒤쪽 스트랩이 없어 이동 시 부 자연스럽고 착용감이 떨어지며, 신을 때마다 등받이(12)를 손이나 발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가 착용하면 자동으로 슬리퍼의 앞과 뒤가 결정될 수 있는 양방향 슬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가 걷는 동안 일반 슬리퍼를 착용한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슬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는,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형상을 가지는 밑창 부재; 상기 밑창 부재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회전 스트랩; 및 상기 밑창 부재에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그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 스트랩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키는 스트랩 자동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 자동 회전부는,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를 상기 밑창 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밑창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튜브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튜브부가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밀어 상기 회전 스트랩에 정방향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튜브부가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당겨 상기 회전 스트랩에 역방향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튜브부는, 상기 밑창 부재의 바닥 중심부에 구비되며 기체를 수용하는 신축 주머니;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신축 튜브; 및 상기 신축 주머니와 상기 신축 튜브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 튜브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주름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부는, 상기 연결 호스를 상기 밑창 부재에 고정하는 호스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주머니, 상기 연결 호스, 그리고 상기 신축 튜브는, 폐회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를 상기 밑창 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힌지부;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타부가 상기 신축 튜브에 구비되는 레버; 및 상기 밑창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신축 튜브가 팽창 또는 수축되는 동안 상기 레버의 회전을 안내하는 레버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레버는 상기 신축 튜브의 말단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레버는 걸림부를 통해 상기 신축 튜브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밑창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스트랩 안내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버 안내홈은, 상기 스트랩 안내홈의 범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스트랩 안내홈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축; 및 상기 밑창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와 상기 힌지축에 하나의 몸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회전 스트랩은, 상기 밑창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는, 상기 밑창 부재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중심 스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심 스트랩부는, 상기 밑창 부재의 양측면의 각 중심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하나의 중심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심 스트랩부는, 상기 밑창 부재의 중심부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중심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트랩 자동 회전부는, 상기 밑창 부재에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그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 스트랩과 상기 각각의 중심 스트랩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 및 중심 스트랩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밑창 부재와, 각각의 회전 스트랩과, 그리고 스트랩 자동 회전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밑창 부재에 착용자의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스트랩 자동 회전부를 통해 발의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각각의 회전 스트랩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착용자가 착용하면 자동으로 양방향 슬리퍼의 앞과 뒤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랩 자동 회전부는 연결부와 튜브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즉,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를 신으면) 튜브부가 팽창되면서 연결부를 밀어 회전 스트랩에 정방향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발의 하중이 제거되면(즉,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를 벗으면) 튜브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연결부를 당겨 회전 스트랩에 역방향 회전력을 가하는 등 착용자의 발의 하중 만으로 스트랩을 회전시킬 수 있어, 별도의 전자 장치나 동력원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튜브부는 신축 주머니, 신축 튜브, 그리고 연결 호스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발의 하중이 제거될 경우, 신축 주머니는 자체 탄성에 의해 팽창되는 방향으로 부피가 자연적으로 복원될 수 있고, 신축 튜브는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되는 방향으로 부피가 자연적으로 복원될 수 있어, 부피를 복원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 제거 등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축 튜브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주름진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신축 튜브의 길이 방향 수축을 통해 충분한 회전 거리를 회전 스트랩에 줄 수 있어, 회전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 기어비를 갖는 별도의 기어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는 힌지부, 레버, 그리고 레버 안내홈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튜브부(특히, 신축 튜브)의 팽창력을 전달받은 레버가 레버 안내홈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회전 스트랩의 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는 스트랩 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레버 안내홈은 스트랩 안내홈의 범위 내에 위치되고 스트랩 안내홈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회전 스트랩이 힌지부에 의해 1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스트랩 안내홈에 의해 2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어, 회전 스트랩이 회전되는 동안 좌우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레버가 레버 안내홈의 내벽에 부딪힘 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는 회전 스트랩의 단부와 힌지축에 하나의 몸체로 고정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레버가 회전 스트랩의 단부와 힌지축 이렇게 2군데에 일체로 지지되어 레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튜브부에 의해 레버가 지속적으로 밀리거나 당겨지는 반복 하중을 받더라도 레버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는 밑창 부재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중심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회전 스트랩과 함께 중심 스트랩이 착용자의 발등에 걸리면서, 착용자가 걷는 동안 일반 슬리퍼를 착용한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가 쉽게 벗겨지지 않아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혹은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있어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는 안전하고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슬리퍼의 등받이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양방향 슬리퍼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양방향 슬리퍼 중 스트랩 자동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트랩 자동 회전부 중 힌지축을 향해 회전 스트랩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스트랩 자동 회전부 중 힌지홈을 향해 밑창 부재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힌지축이 힌지홈에 삽입되고 레버가 레버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신축 튜브가 레버를 밀거나 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신축 튜브의 말단에 레버를 착탈 가능하게 걸기 위한 걸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양방향 슬리퍼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양방향 슬리퍼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양방향 슬리퍼 중 스트랩 자동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트랩 자동 회전부 중 힌지축을 향해 회전 스트랩을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스트랩 자동 회전부 중 힌지홈을 향해 밑창 부재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힌지축이 힌지홈에 삽입되고 레버가 레버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신축 튜브가 레버를 밀거나 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신축 튜브의 말단에 레버를 착탈 가능하게 걸기 위한 걸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100)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부재(110)와,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과, 그리고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밑창 부재(110)는,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의 밑창(바닥판)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밑창 부재(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밑창 부재(110)를 앞 방향으로 신든 뒤 방향으로 신든 발이 놓이는 면적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은, 회전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부재(110)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앞 방향 또는 뒤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착용할 경우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120)이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를 통해 회전되면서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부재(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는, 밑창 부재(110)에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그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120)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부재(110)와 회전 스트랩(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밑창 부재(110)에 착용자의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를 통해 발의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착용자가 착용하면 자동으로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의 앞과 뒤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계속 참조하여,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C30)와 튜브부(T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C30)는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를 밑창 부재(1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튜브부(T30)는 밑창 부재(110)의 바닥과 연결부(C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즉,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신으면] 튜브부(T30)가 팽창되면서 연결부(C30)를 밀어 회전 스트랩(120)에 정방향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발의 하중이 제거되면[즉,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벗으면] 튜브부(T30)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연결부(C30)를 당겨 회전 스트랩(120)에 역방향 회전력을 가하는 등 착용자의 발의 하중 만으로 회전 스트랩(12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전자 장치나 동력원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먼저, 튜브부(T30)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주머니(T31), 신축 튜브(T32), 그리고 연결 호스(T33)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 주머니(T31)는 공기 등의 기체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밑창 부재(110)의 바닥 중심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신축 튜브(T32)는 연결부(C30)[특히, 레버(C32)]에 구비될 수 있고, 연결 호스(T33)는 신축 주머니(T31)와 신축 튜브(T32)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의 하중이 제거될 경우, 신축 주머니(T31)는 자체 탄성에 의해 팽창되는 방향으로 부피가 자연적으로 복원될 수 있고, 신축 튜브(T32)는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되는 방향으로 부피가 자연적으로 복원될 수 있어, 부피를 복원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 제거 등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신축 주머니(T31)와 신축 튜브(T32) 각각은, 실리콘 혹은 합성비닐계의 내마모성 신축재질로서, 원상회복 기능을 가지며 신속압착 지연복귀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신축 튜브(T32)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주름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신축 튜브(T32)의 길이 방향 수축을 통해 충분한 회전 거리를 회전 스트랩(120)에 줄 수 있어, 회전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 기어비를 갖는 별도의 기어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튜브부(T30)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호스(T33)를 밑창 부재(110)에 고정하는 호스 홀더(T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축 주머니(T31), 연결 호스(T33), 그리고 신축 튜브(T32)는, 폐회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C3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C31), 레버(C32), 그리고 레버 안내홈(C33)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C31)는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를 밑창 부재(1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레버(C32)는 그 일부가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에 구비되고 그 타부가 신축 튜브(T32)에 구비될 수 있고, 레버 안내홈(C33)은 밑창 부재(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신축 튜브(T32)가 팽창 또는 수축되는 동안 레버(C32)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부(T30)[특히, 신축 튜브(T32)]의 팽창력을 전달받은 레버(C32)가 레버 안내홈(C33)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레버(C32)는,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튜브(T32)의 말단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E10)를 통해 신축 튜브(T32)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걸릴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C30)는,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안내홈(C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안내홈(C34)은 밑창 부재(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레버 안내홈(C33)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안내홈(C34)의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트랩 안내홈(C34)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스트랩(120)이 힌지부(C31)에 의해 1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스트랩 안내홈(C34)에 의해 2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어, 회전 스트랩(120)이 회전되는 동안 좌우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레버(C32)가 레버 안내홈(C33)의 내벽에 부딪힘 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C31)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C31a)과 힌지홈(C31b)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C31a)은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힌지홈(C31b)은 밑창 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힌지축(C31a)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레버(C32)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와 힌지축(C31a)에 하나의 몸체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C32)가 회전 스트랩(120)의 단부와 힌지축(C31a) 이렇게 2군데에 일체로 지지되어 레버(C3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튜브부(T30)에 의해 레버(C32)가 지속적으로 밀리거나 당겨지는 반복 하중을 받더라도 레버(C32)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중심 스트랩(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스트랩(140)은 밑창 부재(110)의 양측면의 각 중심부에 그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스트랩(120)과 함께 중심 스트랩(140)이 착용자의 발등에 걸리면서, 착용자가 걷는 동안 일반 슬리퍼를 착용한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가 쉽게 벗겨지지 않아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혹은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있어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는 안전하고 편리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스트랩(140)은 밑창 부재(110)의 앞뒤 중간에 수직으로 서고, 앞뒤의 회전 스트랩(120)은 둘 다 밑창 부재(110)에 밀착되어 있으며 돌출되지 않으므로 앞뒤 어느 방향에 서나 신을 수 있다.
착용자가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신으면, 착용자의 발의 하중으로 밑창 부재(110)의 중앙에 돌출된 신축 주머니(T31)가 눌려지면서 그 내부의 공기가 양쪽에 있는 연결 호스(T33)를 통해 신축 튜브(T32)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앞쪽의 회전 스트랩(120)에 대응한 신축 튜브(T32)가 팽창되면서 레버(C32)를 밀면, 앞쪽의 회전 스트랩(120)이 힌지축(C3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직으로 솟는다(도 6의 (b) 참조).
이 때, 뒤쪽의 회전 스트랩(120)은 밟혀 있는 상태로 움직이지 못하며, 따라서 신축 주머니(T31)의 기체가 뒤쪽의 회전 스트랩(120)에 대응한 신축 튜브(T32)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착용자가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신고 앞으로 움직이면 발등에 의해 중심 스트랩(140)이 앞 쪽으로 휘어지며(도 6의 (c) 참조), 그러므로 방향이 있는 일반 슬리퍼와 같이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신축 주머니(T31)는 신속압착 지연복구의 성질을 가지므로 착용자가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신고 이동 시 신축 주머니(T31)에서 발바닥이 잠시 이탈되어도 원상복구가 신속히 되지 않고, 따라서 앞쪽의 회전 스트랩(120)은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착용자가 본 발명의 양방향 슬리퍼(100)를 벗으면, 신축 주머니(T31)가 서서히 원상복구(팽창)되므로 기체가 신축 주머니(T31)로 다시 모이며, 신축 튜브(T32)도 원상복구(압축)되므로 신축 튜브(T32)의 기체가 빠져 나가며 서서히 원위치로 줄어들기 시작하여, 일정시간(대략 10~20초 정도) 경과 후 완전 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앞쪽의 회전 스트랩(120)이 원 위치되며, 중심 스트랩(140)도 원래의 모양으로 복구된다(도 6 (d) 참조).
위와 같은 방식으로, 앞뒤 구분없이 아무 방향에서나 다시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200)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양방향 슬리퍼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2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스트랩(240)의 숫자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두 개의 중심 스트랩(240)은, 밑창 부재(110)의 중심부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중심 스트랩(240)은 상술한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는, 밑창 부재(110)에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그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각각의 회전 스트랩(120)과 각각의 중심 스트랩(240)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120) 및 중심 스트랩(240)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스트랩 자동 회전부(130)에 대한 구성이나 동작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양방향 슬리퍼 110: 밑창 부재
120: 회전 스트랩 130: 스트랩 자동 회전부
C30: 연결부 C31: 힌지부
C31a: 힌지축 C31b: 힌지공
C32: 레버 C33: 레버 안내홈
C34: 스트랩 안내홈 T30: 튜브부
T31: 신축 주머니 T32: 신축 튜브
T33: 연결 호스 T34: 호스 홀더
140, 240: 중심 스트랩 E10: 걸림부

Claims (3)

  1. 삭제
  2.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형상을 가지는 밑창 부재;
    상기 밑창 부재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회전 스트랩; 및
    상기 밑창 부재에 발의 하중이 가해지면 그 하중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 스트랩 중 착용자의 발의 앞부분에 있는 회전 스트랩을 착용자의 발등으로 회전시키는 스트랩 자동 회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자동 회전부는,
    상기 회전 스트랩의 단부를 상기 밑창 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밑창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튜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튜브부가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밀어 상기 회전 스트랩에 정방향 회전력을 가하고, 상기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튜브부가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당겨 상기 회전 스트랩에 역방향 회전력을 가하는
    양방향 슬리퍼.
  3. 제2항에서,
    상기 양방향 슬리퍼는,
    상기 밑창 부재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중심 스트랩부
    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슬리퍼.
KR1020190086173A 2019-07-17 2019-07-17 양방향 슬리퍼 KR10208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73A KR102084356B1 (ko) 2019-07-17 2019-07-17 양방향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73A KR102084356B1 (ko) 2019-07-17 2019-07-17 양방향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56B1 true KR102084356B1 (ko) 2020-03-03

Family

ID=6993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73A KR102084356B1 (ko) 2019-07-17 2019-07-17 양방향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995B1 (ko) 2023-04-26 2023-07-04 주식회사 동신씨앤티 근육운동이 가능한 양방향 슬리퍼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539Y1 (ko) * 1999-11-23 2000-05-01 이태범 양방향 착용이 가능한 슬리퍼
JP2001186901A (ja) * 1999-12-28 2001-07-10 Kyoichi Kaneda 履 物
KR200378046Y1 (ko) * 2004-12-15 2005-03-16 김세웅 양방향 슬리퍼
KR200378045Y1 (ko) * 2004-12-15 2005-03-16 김세웅 양방향 슬리퍼
KR200437531Y1 (ko) * 2007-03-30 2007-12-07 (주)아모레퍼시픽 절취수단을 갖는 화장품 파우치 보관함
KR100879557B1 (ko) *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KR20140013463A (ko) * 2012-07-24 2014-02-05 김덕수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발등걸이가 구비된 양방향 신발
JP2015526188A (ja) * 2012-08-20 2015-09-10 チェ,ユ−ダル 縁部圧着バンドが外嵌(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可能な履物の底
KR200487099Y1 (ko) * 2017-08-29 2018-09-10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양방향 신발
WO2019043667A1 (en) * 2017-09-04 2019-03-07 Tavakoli Shahrooz BIDIRECTIONAL CHAIR OR SANDAL THAT CAN CHANGE DIRECTION USING THE LEVER EFFECT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539Y1 (ko) * 1999-11-23 2000-05-01 이태범 양방향 착용이 가능한 슬리퍼
JP2001186901A (ja) * 1999-12-28 2001-07-10 Kyoichi Kaneda 履 物
KR200378046Y1 (ko) * 2004-12-15 2005-03-16 김세웅 양방향 슬리퍼
KR200378045Y1 (ko) * 2004-12-15 2005-03-16 김세웅 양방향 슬리퍼
KR200437531Y1 (ko) * 2007-03-30 2007-12-07 (주)아모레퍼시픽 절취수단을 갖는 화장품 파우치 보관함
KR100879557B1 (ko) *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KR20140013463A (ko) * 2012-07-24 2014-02-05 김덕수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발등걸이가 구비된 양방향 신발
JP2015526188A (ja) * 2012-08-20 2015-09-10 チェ,ユ−ダル 縁部圧着バンドが外嵌(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可能な履物の底
KR200487099Y1 (ko) * 2017-08-29 2018-09-10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양방향 신발
WO2019043667A1 (en) * 2017-09-04 2019-03-07 Tavakoli Shahrooz BIDIRECTIONAL CHAIR OR SANDAL THAT CAN CHANGE DIRECTION USING THE LEVER EFF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995B1 (ko) 2023-04-26 2023-07-04 주식회사 동신씨앤티 근육운동이 가능한 양방향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3235A1 (en) Leg belt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US2949111A (en) Drop-foot brace
KR102084356B1 (ko) 양방향 슬리퍼
US10179080B2 (en) Guide device for ambulatory assist device and method
US20190008715A1 (en) Crutch
US11872182B2 (en) Crutch
US20230210708A1 (en) Mechanical foot
US11864619B2 (en) System for automatically putting on/taking off a footwear
WO2021032114A1 (zh) 一种脚控方便快速调节高低的可组合的增高鞋
JP6836691B2 (ja)
KR102130443B1 (ko) 발등길이 조절이 가능한 슬리퍼
KR101730627B1 (ko) 기능성 슬리퍼
JPS5832767A (ja) 下肢装具
KR101574006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WO2012157490A1 (ja) 椅子として兼用できる靴
KR102055057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496198B1 (ko)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CN213250118U (zh) 一种踝足矫形器
JP6853517B2 (ja) 靴を履いた足に装着して歩けて何時でも座れる椅子の靴底受止機構
CN219230382U (zh) 一种骨科固定弹性护具
CN210476943U (zh) 一种助力装置
KR102448757B1 (ko) 뒤꿈치 개방이 가능한 신발
CN212090163U (zh) 一种心胸外科用的助行器
EP2674136B1 (en) Ankle protecting device
KR200330512Y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