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57B1 -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57B1
KR100879557B1 KR1020080015860A KR20080015860A KR100879557B1 KR 100879557 B1 KR100879557 B1 KR 100879557B1 KR 1020080015860 A KR1020080015860 A KR 1020080015860A KR 20080015860 A KR20080015860 A KR 20080015860A KR 100879557 B1 KR100879557 B1 KR 10087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oupling
coupling hole
s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08001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tra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밑창에 발등 및 발목과 발뒤꿈치를 고정하는 고정체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전, 후방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편을 구비한 밑창; 양단이 상기 밑창의 양측에 교체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양단과 밑창 양측을 상호 탈착 결합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의 양단은 밑창에 대하여 회동을 허용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정체를 교체 장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패션 및 유행 아이템으로서의 신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밑창, 고정체, 연결구, 연결편, 탈착, 교체, 신발

Description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Shoes with fixture bodies which are attachable, detachable and replaceable}
본 발명은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밑창에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연결구로 상호 결합하여 사용하고 다른 고정체로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패션 및 유행 아이템으로서의 신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행에 따른 옷차림과의 조화를 위하여도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효과를 유발하는 것인 바, 샌들과 같은 신발의 경우 발등과 발목을 고정하는 끈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출원번호 제10-2005-7022385호의 '신발 및 이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출원번호 제10-2005-7022386호의 '신발류 몰드'에 따른 신발(100)은 도 1과 같이 베이스 섹션(110)과 스트랩 섹션(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섹션(110)은 상부(150)와 밑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 섹션(120)은 외부구 역(122), 내부구역(121) 및 라운딩된 말단(13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9159호의 '슬리퍼 겸용 샌들'은 도 2와 같이 바닥창(1)의 발등 결속밴드(2)의 양측에 힌지(4)를 통해 뒤꿈치 결속밴드(3)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시키되, 상기 힌지(4)의 내측부에는 힌지(4)가 샌들 착화자의 발등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5)가 부가 설치되며, 상기 뒤꿈치 결속밴드(3)에는 암, 수 한 쌍을 갖는 벨크로 테이프(6)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공히 발목을 고정하는 부재가 밑창과 결합된 구조이므로, 교체하여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발목을 고정하는 부재가 파손될 경우 신발 전체를 버려야 하는 점에서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도 1의 신발(100)은 밑창(162)에 상부(150)가 포함된 투박한 구조이므로, 착용자가 쉽게 싫증을 내고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패션 및 유행 아이템으로서의 신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 후방의 양측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전방 결합공(11')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전방 연결편(12')과, 후방 결합공(11")이 각각 관통 형성된 후방연결편(12")으로 이루어진 연결편(12)을 구비한 밑창(10); 양단이 상기 전방 연결편(12')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밑창(10)에 대하여 회동을 허용하며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하는 전방 고정체(22)와, 양단이 상기 후방 연결편(12")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밑창(10)의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발목 또는 발뒤꿈치에 밀착하는 후방 고정체(24)로 이루어지고, 교체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체(20); 및 상기 고정체(20)의 양단과 밑창(10) 양측을 상호 탈착 결합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결합공(11")에는 상기 밑창(10)의 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목을 밀착 고정하는 상기 후방 고정체(24)에 대하여 상기 밑창(10)의 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밀착 고정하며,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양단이 대응하는 보조 후방 고정체(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연결편(12', 12")은, 상기 연결구(30)에 의하여 상기 전방 결합공(11') 및 후방 결합공(11")을 통해 고정체(20)의 양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방 고정체(22)가 상기 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로(30)로 고정되는 결합공(21)을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후방 고정체(24)가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3)을 양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대응하는 연결링(25)을 양단에 구비한 끈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대응하는 연결링(25)을 구비한 한 쌍의 연결 브라켓(26);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브라켓(26)과 양단이 결합되어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 밴드(28);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후방 고정체(24')는,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3')이 양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구(30)는 중심부에 결합 돌기(31)가 돌출 형성된 삽입체(32); 및 상기 결합 돌기(31)와 결합되는 결합 홈(33')을 구비한 결합관(33)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수용체(34);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관(33)이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체(32)는 상기 결합 돌기(31)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 편(3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34)의 결합 홈(33')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편(35)의 형상에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35')과 상기 걸림편(35)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체(34)는 하부면에 상기 결합관(33)이 형성되고,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37')을 구비한 끼움단턱(37)이 돌출 형성된 몸체(34'); 및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끼움홈(37')에 대응하는 끼움돌기(37")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돌기(31)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부(S)를 구비한 커버(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편을 구비한 밑창에 연결구로써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탈착 교체가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고정체를 교체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패션 및 유행 아이템으로서의 신발을 연출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착용자의 소장 욕구를 고취하는 특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호 탈착 결합이 가능한 연결구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상기 연결구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나 도형 및 각종 캐릭터를 새겨 넣는 등의 변형을 가함으로써 유행에 민감한 아동용의 신발로도 폭넓은 활용이 가능한 특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밑창(10)과, 상기 밑창(10)과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탈착 결합하는 고정체(20), 그리고 상기 밑창(10)과 고정체(20)의 양단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구(30)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20)의 양단은 밑창(10)에 대하여 회동을 허용하되, 특히 후방측의 고정체(20)는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목 전방 또는 후방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의 각 주요부에 대하여 도 4를 참고로 살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밀착 거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 후방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결편(12)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연결편(12)은 크게 전방 연결편(12') 및 후방 연결편(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연결편(12')은 상기 밑창(10) 전방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30)에 의하여 고정체(20)의 양단을 결합하는 전방 결합공(11')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연결편(12")은 상기 전방 연결편(12')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30)에 의하여 고정체(20)의 양단을 결합하는 후방 결합공(11")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방 연결편(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연결편(12') 후방에 1개씩 구비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개로 형성하여 후술할 후방 고정체(24) 및 보조 후방 고정체(24')를 각각 탈착 결합시켜 발뒤꿈치 및 발목 전방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20)는 양단이 상기 밑창(10)의 양측에 교체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 더욱 상세히는 발등과 발목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크게 전방 고정체(22) 및 후방 고정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고정체(22)는 일정 폭을 지니며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하고, 상기 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1)을 양단에 구비한 일정 길이의 띠 형상으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고정체(24)는 일정 폭을 지니며 상기 밑창(10)의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목 또는 발뒤꿈치에 밀착하고,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3)을 양단에 구비한 일정 길이의 띠 형상으로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30)는 상기 고정체(20)의 양단과 밑창(10) 양측을 상호 탈착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삽입체(32) 및 수용체(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체(34)에 삽입체(32)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은 도 5와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체(2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창(10)의 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목을 밀착 고정하는 후방 고정체(24)에 대하여 보조 후방 고정체(2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조 후방 고정체(24')는 상기 후방 고정체(24)에 대하여 상기 밑창(10)의 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후방 결합 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3')을 양단에 구비한 일정 길이의 띠 형상인 것으로, 상기 후방 고정체(24)와 함께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체(20)는 도 6(a)와 같이 일정 폭의 띠 형상인 전, 후방 고정체(22, 24)의 양단에 결합공(21, 23)을 관통 형성한 기본적인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도 6(b) 내지 도 6(f)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 상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될 것이며, 이하도 동일하다.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대응하는 연결링(25)을 구비한 한 쌍의 연결 브라켓(26)과 양단이 결합되어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 밴드(28)를 구비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0)는 도 6(d)와 같이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대응하는 연결링(25)을 양단에 구비한 끈 형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0)는 도 6(e)와 같이 연결링(25)을 양단에 구비하여 착용자의 발등 또는 발목에 밀착감의 구현을 위하여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편(28')을 구비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f)와 같이 양단에 복수개의 결합공(21)을 구비한 일체 고정체(22')의 형상을 지닌 고정체(20')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폭넓게 감싸는 응용 또한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체 고정체(2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이나 로고, 문자 또는 캐릭터와 같은 것을 부착하거나 새기는 등의 무늬판(22")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고정체(20, 20')는 띠 형상의 부분에 각종 무늬와 도형 또는 캐릭터를 형상화하거나, 내부에 잘 구부러지는 자석이나 자성을 띠는 물질을 첨가하고 상기 고정체(20, 20') 외측에 자성으로 부착하는 캐릭터나 무늬 등이 그려진 메달과 같은 것을 더 구비함으로써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구(30)는 도 7과 같이 중심부에 결합 돌기(31)가 돌출 형성된 삽입체(32)와, 상기 결합 돌기(31)와 결합되는 결합 홈(33')을 구비한 결합관(33)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수용체(34)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결합관(33)이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체(32)는 상기 결합 돌기(31)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3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34)의 결합 홈(33')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편(35)의 형상에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35')과 상기 걸림편(35)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체(34)는 하부면에 상기 결합관(33)이 형성되고,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37')을 구비한 끼움단턱(37)이 돌출 형성된 몸체(34')와,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끼움홈(37')에 대응하는 끼움돌기(37")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돌기(31)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부(S)를 구비한 커버(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용체(34)의 커버(34")를 벗겨 몸체(34')와 분리하고, 상기 몸체(34')의 결합관(33)을 고정체(20)의 결합공(21, 23)을 매개로 하여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삽입체(32)의 걸림편(35)을 상기 결합 홈(33') 및 걸림홈(35')에 맞춰 넣고 상기 결합 돌기(31) 단부의 걸림편(35)이 상기 몸체(34')에 돌출되면, 회전시킨 다음 커버(34")를 상기 몸체(34')와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은 도 8 및 도 9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은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전방 고정체(22)의 양단을 상기 밑창(10) 전방 양측의 전방 연결편(12')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호 평행을 이루거나, 도 8(c) 및 도 8(d)와 같이 상기 전방 연결편(12') 각각에 교차 결합하여 다양한 분위기의 신발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e) 내지 도 8(h)와 같이 상기 전방 고정체(22)의 양단을 상기 밑창(10) 전방 양측의 전방 연결편(12')에 엇갈리게 연결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i) 및 도 8(j)와 같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 고정체(22')의 양단과 전방 연결편(12') 상호간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a), 도 8(c), 도 8(e), 도 8(g) 및 도 8(i)와 같이 후 방 고정체(24)를 상기 밑창(10) 후방 양측에서 연결구(30)를 매개로 상기 밑창의 전, 후방으로 회동시켜 발목 전, 후방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도 8(b), 도 8(d), 도 8(f), 도 8(h) 및 도 8(j)와 같이 보조 후방 고정체(24')를 더 구비하여 발목 전, 후방을 동시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조 후방 고정체(24')는 탄성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직접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9(a)와 같은 버클 타입의 길이 조정구(29)나, 도 9(b)와 같은 암수 벨크로(29') 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호 자석에 의한 부착 등의 방법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조합의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패션 및 유행 아이템으로서의 신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신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밑창 12...연결편
20...고정체 30...연결구

Claims (9)

  1. 전, 후방의 양측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전방 결합공(11')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전방 연결편(12')과, 후방 결합공(11")이 각각 관통 형성된 후방연결편(12")으로 이루어진 연결편(12)을 구비한 밑창(10);
    양단이 상기 전방 연결편(12')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밑창(10)에 대하여 회동을 허용하며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하는 전방 고정체(22)와, 양단이 상기 후방 연결편(12")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밑창(10)의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발목 또는 발뒤꿈치에 밀착하는 후방 고정체(24)로 이루어지고, 교체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고정체(20); 및
    상기 고정체(20)의 양단과 밑창(10) 양측을 상호 탈착 결합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결합공(11")에는 상기 밑창(10)의 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목을 밀착 고정하는 상기 후방 고정체(24)에 대하여 상기 밑창(10)의 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밀착 고정하며,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양단이 대응하는 보조 후방 고정체(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편(12', 12")은,
    상기 연결구(30)에 의하여 상기 전방 결합공(11') 및 후방 결합공(11")을 통해 고정체(20)의 양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방 고정체(22)가 상기 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로(30)로 고정되는 결합공(21)을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후방 고정체(24)가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3)을 양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대응하는 연결링(25)을 양단에 구비한 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대응하는 연결링(25)을 구비한 한 쌍의 연결 브라켓(26);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브라켓(26)과 양단이 결합되어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 밴드(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방 고정체(24')는,
    상기 후방 결합공(11")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구(30)로 고정되는 결합공(23')이 양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중심부에 결합 돌기(31)가 돌출 형성된 삽입체(32); 및
    상기 결합 돌기(31)와 결합되는 결합 홈(33')을 구비한 결합관(33)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수용체(34);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관(33)이 상기 전, 후방 결합공(11', 1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32)는,
    상기 결합 돌기(31)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3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34)의 결합 홈(33')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편(35)의 형상에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35')과 상기 걸림편(35)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34)는,
    하부면에 상기 결합관(33)이 형성되고,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37')을 구비한 끼움단턱(37)이 돌출 형성된 몸체(34'); 및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끼움홈(37')에 대응하는 끼움돌기(37")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돌기(31)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부(S)를 구비한 커버(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KR1020080015860A 2008-02-21 2008-02-21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KR10087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60A KR100879557B1 (ko) 2008-02-21 2008-02-21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60A KR100879557B1 (ko) 2008-02-21 2008-02-21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557B1 true KR100879557B1 (ko) 2009-01-22

Family

ID=4048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60A KR100879557B1 (ko) 2008-02-21 2008-02-21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55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19A1 (ko) * 2010-11-18 2012-05-24 Cho Seong Guk 조립 슬리퍼
CN102711537A (zh) * 2010-11-18 2012-10-03 赵成克 组装拖鞋
KR101233990B1 (ko) * 2010-11-19 2013-02-18 윤종호 조립 슬리퍼
KR200467014Y1 (ko) 2009-05-07 2013-05-21 배동주 조립식 신발
EP2548463A3 (de) * 2011-07-21 2014-03-19 Fashy GmbH Produktion und Vertrieb Sandale
KR200477160Y1 (ko) * 2014-05-23 2015-05-18 박의수 욕실화
KR20190002233U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토이트론 조립식 신발 완구
KR102084356B1 (ko) * 2019-07-17 2020-03-03 노동배 양방향 슬리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5102U (ko) * 1979-02-27 1980-09-04
JPS5865901U (ja) * 1981-10-28 1983-05-04 合資会社堀池商店 バツクバンド付サンダル
JPH0856707A (ja) * 1994-08-18 1996-03-05 Aoi Sandaru:Kk 履物の製造方法
JP2002272503A (ja) * 2001-03-12 2002-09-24 Kung-Sheng Pan サンダ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5102U (ko) * 1979-02-27 1980-09-04
JPS5865901U (ja) * 1981-10-28 1983-05-04 合資会社堀池商店 バツクバンド付サンダル
JPH0856707A (ja) * 1994-08-18 1996-03-05 Aoi Sandaru:Kk 履物の製造方法
JP2002272503A (ja) * 2001-03-12 2002-09-24 Kung-Sheng Pan サンダ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14Y1 (ko) 2009-05-07 2013-05-21 배동주 조립식 신발
WO2012067319A1 (ko) * 2010-11-18 2012-05-24 Cho Seong Guk 조립 슬리퍼
CN102711537A (zh) * 2010-11-18 2012-10-03 赵成克 组装拖鞋
KR101233990B1 (ko) * 2010-11-19 2013-02-18 윤종호 조립 슬리퍼
EP2548463A3 (de) * 2011-07-21 2014-03-19 Fashy GmbH Produktion und Vertrieb Sandale
KR200477160Y1 (ko) * 2014-05-23 2015-05-18 박의수 욕실화
KR20190002233U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토이트론 조립식 신발 완구
KR200490359Y1 (ko) * 2018-02-27 2019-11-27 주식회사 토이트론 조립식 신발 완구
KR102084356B1 (ko) * 2019-07-17 2020-03-03 노동배 양방향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57B1 (ko)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US7954260B2 (en) Interchangeable sandal and related methods
USD582654S1 (en) Footwear
USD536166S1 (en) Shoe
USD572456S1 (en) Footwear
US20080276492A1 (en) Elastic footwear strap
JP4160055B2 (ja) 靴と着脱可能なセンサ構造体用ケース構造体
CN111163659A (zh) 模块化鞋系统
US20140250725A1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JP2014526327A (ja) スポーツブーツ
KR100947670B1 (ko) 스프링 신발
PT107000B (pt) Método para produção de sandálias com um sistema de fixação de tiras intercambiáveis e sandálias com um sistema de fixação de tiras intercambiá
JP2004242687A (ja) 履物
US10582738B2 (en) Shoe system
US6460274B1 (en) Footwear part of a boot or equipment involving a footwear component
US8661715B2 (en) Reconfigurable footwear
KR20090110968A (ko) 샌들 겸용 운동화
US20140305007A1 (en) Modular Footwear System
USD591495S1 (en) Footwear
JP3945657B2 (ja) スキー靴用カバー
KR100501923B1 (ko) 일반신발겸용 스노우보드용 부츠
KR100943661B1 (ko) 치수조절이 가능한 샌들
TWI743371B (zh) 康特腳跟杯套入式裝置
KR200281351Y1 (ko) 갑피 및 장식의 탈, 부착이 가능한 신발
JPH02579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