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59Y1 - 조립식 신발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신발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59Y1
KR200490359Y1 KR2020180000878U KR20180000878U KR200490359Y1 KR 200490359 Y1 KR200490359 Y1 KR 200490359Y1 KR 2020180000878 U KR2020180000878 U KR 2020180000878U KR 20180000878 U KR20180000878 U KR 20180000878U KR 200490359 Y1 KR200490359 Y1 KR 200490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ide plate
coupled
vamp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233U (ko
Inventor
배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to KR2020180000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5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43B3/28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신발 완구에 관한 것으로 색상이 다른 복수의 밑창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앞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앞꿈치 부분을 형성하며 색상이 다른 복수의 뱀프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뒷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뒷꿈치 부분을 형성하는 색상이 다른 복수의 뒷축부재,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에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의 사이를 커버하고 색상이 다른 복수의 측판부재를 포함하여 아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디자인하고, 이를 직접 조립하여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아이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하는 새로운 완구 형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직접 신발을 디자인해서 만드는 경험과 본인이 원하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신발을 조립해서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패션에 대한 감각 및 관심을 향상시키고, 본인이 직접 패션에 연관된 상품을 디자인한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놀이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신발 완구{ASSEMBLY SHOES TOY}
본 고안은 조립식 신발 완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자유롭게 디자인하여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 완구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의 조립식완구는 레고와 같이 사각형상 등의 단조로운 구성 각 편을 조립하여 특정 형상으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형 및 공간 인지에 도움을 주어 교육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제한적 형태의 부품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는 사실적 표현이 불가한 형상적 한계로 인해, 놀이의 재미를 반감시키고 다양한 상황연출이 어려워, 감성발달 측면에서 어린이의 놀이감으로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또한, 여자아이용 완구는 인형 등의 완성형 완구로써 완제품으로 제조되어 외형상의 차이만 있을 뿐 제조된 형상 그대로 가지고 놀아야 한다.
즉, 종래의 인형완구는 디자인이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없도록 정형화된 제품으로 제조되므로 아이들에게 장기간 동안 흥미를 유발하기 어렵고, 아이들이 쉽게 식상함을 느끼게 되어 사용 기간이 짧고 다시 새로운 형태의 인형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형 완구에 입히는 의상, 악세사리, 신발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식상함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이미 제조되어 완성품이 의상과 악세사리, 신발로 아이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한계가 있으며, 원가가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 선행특허로 한국실용신안공개 제1998-0006302호 '유희용 조립신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실용신안공개 제1998-0006302호 '유희용 조립신발'은 마분지나 수지 재의 표면에 신발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와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가 절곡선을 경계로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시 정형화된 완성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놀이에 대한 흥미가 제한적이 되는 공지의 완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고안이다.
한국실용신안공개 제1998-0006302호 '유희용 조립신발'(1998년 04월 30일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디자인하고, 이를 직접 조립하여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아이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을 직접 디자인하고 조립할 수 있어 아이들의 패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색상이 다른 복수의 밑창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앞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앞꿈치 부분을 형성하며 색상이 다른 복수의 뱀프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뒷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뒷꿈치 부분을 형성하는 색상이 다른 복수의 뒷축부재,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에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의 사이를 커버하고 색상이 다른 복수의 측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일단부 측은 상기 뒷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 측은 상기 뱀프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색상과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복수의 뒷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후측에는 상기 뒷굽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1뒷굽결합부가 위치되고, 상기 뒷굽부재의 상면에는 제1뒷굽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뒷굽 결합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뒷굽결합부와 상기 제2뒷굽 결합부는 서로 암수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하부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기 뒷굽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뒷굽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가 돌출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뒷굽부대의 내부에서 상기 뒷굽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제2뒷굽 지지 스토퍼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상기 밑창부재, 복수의 상기 뱀프부재, 복수의 상기 뒷축부재, 복수의 상기 측판부재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고 제작한 신발을 진열할 수 있는 보관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일단 측이 하나의 상기 뒷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상기 뒷축부재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끈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뱀프부재, 상기 뒷축부재, 상기 측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신발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뱀프부재, 상기 뒷축부재, 상기 측판부재에는 각각 복수의 장식결합구멍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신발 장식부재는 후면에 상기 장식결합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장식결합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신발 장식부재는 메인 장식부재, 상기 메인 장식부재보다 작은 크기의 보조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단 측이 하나의 상기 뒷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상기 뒷축부재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끈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장식부재는 상기 장식 결합돌기가 상기 끈장식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뒷축부재의 장식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끈장식부재를 상기 뒷축부재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아이가 직접 디자인한 신발을 그릴 수 있는 복수의 도화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도화지에는 조립된 신발의 기본 형태만 프린트되어 색상을 선택해서 색칠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밑창부재에는 선단 측에 상기 뱀프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구멍이 위치되고, 앞측에서 양측에 각각 상기 뱀프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구멍과 제3결합구멍이 위치되고, 후단 측에 상기 뒷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구멍이 위치되고, 뒷측에서 양측에 각각 측에 상기 뒷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구멍과 제6결합구멍이 위치되고, 일측에 어느 한 상기 측판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7결합구멍과 제8결합구멍이 위치되고, 타측에 다른 한 상기 측판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9결합구멍과 제10결합구멍이 위치되며,
상기 뱀프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뱀프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멍과 상기 제3결합구멍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돌기와 제3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뒷축부재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4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뒷축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제5결합구멍과 상기 제6결합구멍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돌기와 제6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측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7결합구멍과 상기 제8결합구멍 또는 상기 제9결합구멍과 상기 제10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7결합돌기와 제8결합돌기가 위치되며, 상기 뱀프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제1측판 결합부, 제2측판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뒷축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제3측판 결합부, 제4측판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측판부재의 앞측과 뒷측에는 상기 제1측판 결합부와 제3측판 결합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2측판 결합부와 상기 제4측판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뱀프 결합부와 뒷축 결합부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뱀프부재의 후단부와 상기 측판부재의 선단부는 서로 맞붙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뒷축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측판부재의 후단부는 서로 맞붙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아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디자인하고, 이를 직접 조립하여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아이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하는 새로운 완구 형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아이들이 직접 신발을 디자인해서 만드는 경험과 본인이 원하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신발을 조립해서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패션에 대한 감각 및 관심을 향상시키고, 본인이 직접 패션에 연관된 상품을 디자인한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놀이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구성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에서 보관함부재에 구성물이 보관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에서 신발 장식부재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로 조립되어 제작된 신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구성물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구성물에 대한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조립해서 신발을 제작할 수 있는 구성물, 구성물을 보관할 수 있고 제작한 신발을 진열할 수 있는 보관함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신발을 제작하기 위한 구성물 즉, 색상이 다른 복수의 밑창부재(100), 밑창부재(100)의 앞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앞꿈치 부분을 형성하며 색상이 다른 복수의 뱀프부재(200), 뱀프부재(200)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밑창부재(100)의 뒷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뒷꿈치 부분을 형성하는 색상이 다른 복수의 뒷축부재(300), 밑창부재(100)의 양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뱀프부재(200)와 뒷축부재(300)의 사이를 커버하고 색상이 다른 복수의 측판부재(4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주로 여자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완구인 점을 감안하여 하이힐 형태의 완구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복수의 밑창부재(100)는 사람의 발모양으로 형성되어 신발의 밑창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늘색, 보라색, 노란색, 빨간색, 핑크색의 5가지 색상을 가지는 5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뱀프부재(200)는 발의 앞부분을 감싸고, 양 측단이 각각 측판부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신발의 측면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뒷쪽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뒷축부재(300)는 발의 뒷부분을 감싸고 양 측단이 각각 측판부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신발의 측면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앞쪽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복수의 뱀프부재(20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늘색, 보라색, 노란색, 빨간색, 핑크색의 5가지 색상을 가지는 5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복수의 뒷축부재(30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늘색, 보라색, 노란색, 빨간색, 핑크색의 5가지 색상을 가지는 5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복수의 측판부재(400)는 한쌍의 하늘색 측판부재(400), 한쌍의 보라색 측판부재, 한쌍의 노란색 측판부재, 한쌍의 빨간색 측판부재, 한쌍의 핑크색 측판부재로 5가지 색상을 가지는 10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복수의 밑창부재(100) 중 어느 하나, 복수의 뱀프부재(200) 중 어느 하나, 복수의 뒷축부재(300) 중 어느 하나, 복수의 측판부재(400) 중 2개가 조립되어 하나의 신발본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밑창부재의 뒷측에서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색상이 다른 복수의 뒷굽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뒷굽부재(50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늘색, 보라색, 노란색, 빨간색, 핑크색의 5가지 색상을 가지는 5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일단 측이 뒷축부재(30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뒷축부재(300)의 타측면에 연결되어 신발의 끈을 형성하는 끈장식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끈장식부재(600)는 다른 패턴과 색상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천재질의 원단 또는 종이재질로 띠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신발 장식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 장식부재(700)는 메인 장식부재(710), 메인 장식부재(710)보다 작은 크기의 보조 장식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장식부재(710)는 리본모양, 메달모양, 하트모양, 별모양, 보석모양, 꽃모양 등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기 다른 형상으로 제작된 복수의 메인 장식구를 포함하며, 뱀프부재(200)에 결합되어 제작된 신발의 앞면에 위치되는 크기가 큰 장식구로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보조 장식부재(720)는 리본모양, 메달모양, 하트모양, 별모양, 보석모양, 꽃모양 등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기 다른 형상으로 제작된 복수의 보조 장식구를 포함하고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신발을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보조 장식부재(720)는 양 측의 뒷축부재(30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끈장식부재(600)의 양단부를 뒷축부재(30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다른 조립식 신발 완구는 아이가 직접 디자인한 신발을 그릴 수 있는 복수의 도화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화지(800)에는 조립된 신발의 기본 형태만 프린트되어 색상을 선택해서 색칠함으로써 신발을 아이가 원하는 디자인을 그림으로 확인한 후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 뒷굽부재(500)를 선택해서 해당 디자인의 신발을 직접 조립해서 제작하면서 놀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에서 보관함부재(900)에 구성물이 보관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를 참고하면 보관함부재(900)는 내부에 복수의 밑창부재(100), 복수의 뱀프부재(200), 복수의 뒷축부재(300), 복수의 측판부재(400), 복수의 뒷굽부재(500), 복수의 끈장식부재(600), 복수의 메인 장식부재(710), 복수의 보조 장식부재(720)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위치되는 보관함 본체(910), 보관함 본체(9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보관함 본체(9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 본체(910)의 내부에는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910a)가 구비되어 복수의 밑창부재(100), 복수의 뱀프부재(200), 복수의 뒷축부재(300), 복수의 측판부재(400), 복수의 뒷굽부재(500), 복수의 끈장식부재(600), 복수의 메인 장식부재(710), 복수의 보조 장식부재(720)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관함 본체(910)의 내부는 복수의 칸막이(910a)에 의해 제일 큰 공간인 제1공간(911), 제1공간(911)보다 작은 공간인 제2공간(9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간(911)에는 복수의 밑창부재(100), 복수의 뱀프부재(200), 복수의 뒷축부재(300), 복수의 측판부재(400), 복수의 뒷굽부재(500)를 보관할 수 있고, 제2공간(912)에 복수의 메인 장식부재(710), 복수의 보조 장식부재(720), 복수의 끈장식부재(600)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보관함 본체(910)와 덮개(920)에는 덮개(9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잠금구조가 구비될 수 있고, 잠금구조는 보관함 본체(910)의 전면에서 상단 측에 위치되는 록킹 돌기(미도시), 덮개(920)의 전면에서 하단 측에 위치되어 록킹 돌기에 걸리는 록킹 걸림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920)를 닫으면 록킹 걸림구가 록킹 돌기에 걸려 위치됨으로써 덮개(920)가 쉽게 열리는 것이 방지되며, 록킹 걸림구가 록킹 돌기에서 이탈될 수 있는 힘으로 덮개(920)를 열 경우에만 열려지게 되는 구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잠금구조는 상부를 개방하는 덮개(920)를 구비한 합성수지 재질의 보관함 구조에서 공지된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을 참고하여 밑창부재(100),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 뒷굽부재(50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밑창부재(100)에는 선단 측에 뱀프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구멍(110)이 위치되고, 앞측에서 양측에 각각 뱀프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구멍(120)과 제3결합구멍(130), 후단 측에 뒷축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구멍(140)이 위치되고, 뒷측에서 양측에 각각 측에 뒷축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구멍(150)과 제6결합구멍(160)이 위치되고, 일측에 어느 한 측판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7결합구멍(170)과 제8결합구멍(180), 타측에 다른 한 측판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9결합구멍(190)과 제10결합구멍(191)이 위치된다.
뱀프부재(200)의 선단부에는 제1결합구멍(11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돌기(210)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뱀프부재(200)의 양 측면에는 제2결합구멍(120)과 제3결합구멍(13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돌기(220)와 제3결합돌기(230)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또한, 뒷축부재(300)의 후단부에는 제4결합구멍(13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돌기(310)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뒷축부재(300)의 양 측면에는 제5결합구멍(150)과 제6결합구멍(16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돌기(320)와 제6결합돌기(330)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또한, 측판부재(400)의 하부에는 제7결합구멍(170)과 제8결합구멍(180) 또는 제9결합구멍(190)과 제10결합구멍(19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7결합돌기(410)와 제8결합돌기(420)가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뱀프부재(200)의 양 측면에는 측판부재(400)에 결합되기 위한 제1측판 결합부(240), 제2측판 결합부(250)가 각각 위치되고, 뒷축부재(300)의 양 측면에는 측판부재(400)에 결합되기 위한 제3측판 결합부(340), 제4측판 결합부(350)가 각각 위치되고, 측판부재(400)의 앞측과 뒷측에는 제1측판 결합부(240)와 제3측판 결합부(340)에 결합되거나, 제2측판 결합부(250)와 제4측판 결합부(350)에 결합되기 위한 뱀프 결합부(430)와 뒷축 결합부(440)가 각각 위치된다.
뱀프부재(200)의 후단부와 측판부재(400)의 선단부는 서로 맞붙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뒷축부재(300)의 선단부와 측판부재(400)의 후단부는 서로 맞붙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 시 조립 순서에 관계없이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판부재(400)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하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ㅅ어되고, 뱀프부재(200)의 양 측면에서 각 후단부는 측판부재(400)의 선단부와 대응되게 경사지고, 뒷축부재(300)의 양 측면에서 각 선단부는 측판부재(400)의 후단부와 대응되게 경사지는 형태를 가진다.
제1측판 결합부(240) 또는 제2측판 결합부(250)는 뱀프 결합부(430)와 암수구조로 결합되고, 제3측판 결합부(340) 또는 제4측판 결합부(350)는 뒷축 결합부(440)와 암수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1측판 결합부(240)와 제2측판 결합부(250)는 양 측으로 개방된 제1측판 끼움홈, 제2측판 끼움홈으로 형성되고, 뱀프 결합부(430)는 제1측판 끼움홈과 제2측판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뱀프 끼움돌기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3측판 결합부(340)와 제4측판 결합부(350)는 양 측으로 개방된 제3측판 끼움홈, 제4측판 끼움홈으로 형성되고, 뒷축 결합부(440)는 제3측판 끼움홈과 제4측판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뒷축 끼움돌기로 돌출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210)는 제1결합구멍(110)과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결합돌기(220)와 제3결합돌기(230)은 제2결합구멍(120)과 제3결합구멍(130)에 각각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4결합돌기(310)는 제4결합구멍(140)에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5결합돌기(320)와 제6결합돌기(330)은 제5결합구멍(150)과 제6결합구멍(160)에 각각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7결합돌기(410)와 제8결합돌기(420)는 제7결합구멍(170)과 제8결합구멍(180) 또는 제9결합구멍(190)과 제10결합구멍(191)에 각각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뱀프 끼움돌기는 제1측판 끼움홈, 제2측판 끼움홈에 각각 억지 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뒷축 끼움돌기는 제3측판 끼움홈, 제4측판 끼움홈에 각각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뱀프부재(200)는 하부의 제1결합돌기(210), 제2결합돌기(220), 제3결합돌기(230)가 밑창부재(100)의 제1결합구멍(110), 제2결합구멍(120), 제3결합구멍(13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밑창부재(100)의 앞측에 결합된다.
또한, 뒷축부재(300)는 하부의 제4결합돌기(310)와 제5결합돌기(320), 제6결합돌기(330)가 밑창부재(100)의 제4결합구멍(140), 제5결합구멍(150), 제6결합구멍(16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밑창부재(100)의 뒷측에 결합된다.
또한, 어느 한 측판부재(400)는 밑창부재(100)의 일측에서 하부의 제7결합돌기(410)와 제8결합돌기(420)가 밑창부재(100)의 제7결합구멍(170)과 제8결합구멍(18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고, 뱀프 끼움돌기와 뒷축 끼움돌기가 제1측판 끼움홈과 제3측판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다른 한 측판부재(400)는 밑창부재(100)의 타측에서 하부의 제7결합돌기(410)와 제8결합돌기(420)가 밑창부재(100)의 제9결합구멍(190)과 제10결합구멍(19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고, 뱀프 끼움돌기와 뒷축 끼움돌기가 제2측판 끼움홈과 제4측판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밑창부재(100)의 후측에는 뒷굽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뒷굽결합부(192)가 위치되고, 뒷굽부재(500)의 상면에는 제1뒷굽결합부(19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뒷굽 결합부(510)가 위치된다.
제1뒷굽결합부(192)와 제2뒷굽 결합부(510)는 서로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제2뒷굽 결합부(510)는 뒷굽부재(5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뒷굽결합돌기, 제1뒷굽결합부(192)는 뒷굽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부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밑창부재(100)의 하부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뒷굽부재(5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뒷굽부재(500)의 위치를 지지하는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192)가 돌출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뒷굽부재(500)의 내측면에는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192)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제2뒷굽 지지 스토퍼부(520)가 돌출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뒷굽부재(500)는 뒷굽결합돌기가 돌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억지끼움으로 분리 밑창부재(100)의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뒷굽부재(500)는 제1뒷굽결합부(192)가 제2뒷굽 결합부(510)에 결합되어 밑창부재(100)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192)가 제2뒷굽 지지 스토퍼부(520)에 걸려 지지되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정위치로 조립된 상태로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다.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에는 각각 신발 장식부재(700)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장식결합구멍(1000)이 위치될 수 있다.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에는 각각 복수의 장식결합구멍(1000)이 이격되게 위치되어 신발 장식부재(700)를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에서 신발 장식부재(700)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신발 장식부재(700)는 후면에 장식결합구멍(10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식결합돌기(700a)가 돌출될 수 있다.
장식결합돌기(700a)는 장식결합구멍(1000)에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장식부재(700) 즉, 보조 장식부재(720)는 장식결합돌기(700a)를 끈장식부재(600)를 관통하여 뒷축부재(300)의 장식결합구멍(1000)에 결합됨으로써 끈장식부재(600)를 뒷축부재(300)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의 조립 순서는 원하는 색상의 밑창부재(100)를 선택하는 과정(S100), 선택된 밑창부재(100)에 원하는 색상의 뒷굽부재(500)를 조립하는 과정(S200), 선택된 밑창부재(100)에 원하는 색상의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를 골라 조립하는 과정(S300)을 포함하여 신발 본체를 조립할 수 있다.
뱀프부재(200)와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를 밑창부재(100)에 결합하는 순서는 아이가 만들기 편한 순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장식부재(710) 또는 보조 장식부재(720)를 뒷굽부재(500), 뱀프부재(200), 뒷축부재(300), 측판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시키는 과정(S400), 끈장식부재(600)를 양측의 뒷축부재(00)에 각각 연결하는 과정(S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 완구로 조립되어 제작된 신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밑창부재(100), 복수의 뱀프부재(200), 복수의 뒷축부재(300), 복수의 측판부재(400), 복수의 뒷굽부재(500)를 조립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신발본체를 복수로 디자인 할 수 있다.
제작된 신발본체에 복수의 끈장식부재(600), 복수의 메인 장식부재(710), 복수의 보조 장식부재(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조립함으로써 신발을 더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아이가 실제 조립하여 제작한 신발은 보관함부재(900)의 상부면에 올려놓고 진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아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디자인하고, 이를 직접 조립하여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아이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하는 새로운 완구 형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아이들이 직접 신발을 디자인해서 만드는 경험과 본인이 원하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신발을 조립해서 만들 수 있어 아이들의 패션에 대한 감각 및 관심을 향상시키고, 본인이 직접 패션에 연관된 상품을 디자인한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놀이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밑창부재 110 : 제1결합구멍
120 : 제2결합구멍 130 : 제3결합구멍
140 : 제4결합구멍 150 : 제5결합구멍
160 : 제6결합구멍 170 : 제7결합구멍
180 : 제8결합구멍 190 : 제9결합구멍
191 : 제10결합구멍 192 : 제1뒷굽결합부
200 : 뱀프부재 210 : 제1결합돌기
220 : 제2결합돌기 230 : 제3결합돌기
240 : 제1측판 결합부 250 : 제2측판 결합부
300: 뒷축부재 310 : 제4결합돌기
320 : 제5결합돌기 330 : 제6결합돌기
340 : 제3측판 결합부 350 : 제4측판 결합부
400 : 측판부재 410 : 제5결합돌기
420 : 제6결합돌기 430 : 뱀프 결합부
440 : 뒷축 결합부 500 : 뒷굽부재
510 : 제2뒷굽결합부 600 : 끈장식부재
700 : 신발 장식부재 700a : 장식결합돌기
710 : 메인 장식부재 720 : 보조 장식부재
800 : 도화지 900 : 보관함부재
910 : 보관함 본체 910a : 칸막이
911 : 제1공간 912 : 제2공간
920 : 덮개 1000 : 장식결합구멍

Claims (14)

  1. 색상이 다른 복수의 밑창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앞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앞꿈치 부분을 형성하며 색상이 다른 복수의 뱀프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뒷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신발의 뒷꿈치 부분을 형성하는 색상이 다른 복수의 뒷축부재;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에 상기 뱀프부재와 상기 뒷축부재의 사이를 커버하고 색상이 다른 복수의 측판부재;
    일단 측이 하나의 상기 뒷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상기 뒷축부재의 타측면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패턴과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끈장식부재;
    상기 뱀프부재, 상기 뒷축부재, 상기 측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신발 장식부재;
    복수의 상기 밑창부재, 복수의 상기 뱀프부재, 복수의 상기 뒷축부재, 복수의 상기 측판부재, 싱기 끈장식부재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고 제작한 신발을 진열할 수 있는 보관함부재; 및
    아이가 직접 디자인한 신발을 그릴 수 있는 복수의 도화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장식부재는,
    상기 뱀프부재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메인 장식부재; 및
    상기 메인 장식부재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뒷축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끈장식부재 중 어느 하나의 끈장식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뒷축부재의 양측면에 고정시키며,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보조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일단부 측은 상기 뒷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 측은 상기 뱀프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색상과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복수의 뒷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의 후측에는 상기 뒷굽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1뒷굽결합부가 위치되고, 상기 뒷굽부재의 상면에는 제1뒷굽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뒷굽 결합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뒷굽결합부와 상기 제2뒷굽 결합부는 서로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의 하부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기 뒷굽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뒷굽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가 돌출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뒷굽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뒷굽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뒷굽 지지 스토퍼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제2뒷굽 지지 스토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뱀프부재, 상기 뒷축부재, 상기 측판부재에는 각각 복수의 장식결합구멍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신발 장식부재는 후면에 상기 장식결합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장식결합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식부재는 상기 장식 결합돌기가 상기 끈장식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뒷축부재의 장식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끈장식부재를 상기 뒷축부재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화지에는 조립된 신발의 기본 형태만 프린트되어 색상을 선택해서 색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에는 선단 측에 상기 뱀프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구멍이 위치되고, 앞측에서 양측에 각각 상기 뱀프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구멍과 제3결합구멍이 위치되고, 후단 측에 상기 뒷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구멍이 위치되고, 뒷측에서 양측에 각각 측에 상기 뒷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구멍과 제6결합구멍이 위치되고, 일측에 어느 한 상기 측판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7결합구멍과 제8결합구멍이 위치되고, 타측에 다른 한 상기 측판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제9결합구멍과 제10결합구멍이 위치되며,
    상기 뱀프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뱀프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멍과 상기 제3결합구멍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돌기와 제3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뒷축부재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4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4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뒷축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제5결합구멍과 상기 제6결합구멍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돌기와 제6결합돌기가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측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7결합구멍과 상기 제8결합구멍 또는 상기 제9결합구멍과 상기 제10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제7결합돌기와 제8결합돌기가 위치되며,
    상기 뱀프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제1측판 결합부, 제2측판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뒷축부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판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제3측판 결합부, 제4측판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측판부재의 앞측과 뒷측에는 상기 제1측판 결합부와 제3측판 결합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2측판 결합부와 상기 제4측판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뱀프 결합부와 뒷축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뱀프부재의 후단부와 상기 측판부재의 선단부는 서로 맞붙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뒷축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측판부재의 후단부는 서로 맞붙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완구.
KR2020180000878U 2018-02-27 2018-02-27 조립식 신발 완구 KR200490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78U KR200490359Y1 (ko) 2018-02-27 2018-02-27 조립식 신발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78U KR200490359Y1 (ko) 2018-02-27 2018-02-27 조립식 신발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33U KR20190002233U (ko) 2019-09-04
KR200490359Y1 true KR200490359Y1 (ko) 2019-11-27

Family

ID=6790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78U KR200490359Y1 (ko) 2018-02-27 2018-02-27 조립식 신발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5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57B1 (ko) *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KR101419178B1 (ko) * 2013-06-19 2014-07-14 창 연 손 이미지 구두 본
KR101703945B1 (ko) * 2015-12-01 2017-02-22 주무르는 수 요리방 협동조합 조립형 교구 블럭
CN206964124U (zh) * 2017-07-06 2018-02-06 陈少祝 Diy组装式玩具女高跟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302U (ko) 1996-07-29 1998-04-30 김병오 유희용 조립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57B1 (ko) *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KR101419178B1 (ko) * 2013-06-19 2014-07-14 창 연 손 이미지 구두 본
KR101703945B1 (ko) * 2015-12-01 2017-02-22 주무르는 수 요리방 협동조합 조립형 교구 블럭
CN206964124U (zh) * 2017-07-06 2018-02-06 陈少祝 Diy组装式玩具女高跟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33U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696B2 (en) Decorative slipper with changeable animal faces
US20090031757A1 (en) Modular toy bracelet
CN209677578U (zh) 可变形的珠宝和装饰结构
US4579537A (en) Take-apart toy
JP5154294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MacDougall Transnational commodities as local cultural icons: Barbie dolls in Mexico
US20140013622A1 (en) Footwear with exchangeable shells and shells for said footwear
KR200490359Y1 (ko) 조립식 신발 완구
US20160081431A1 (en) Rain Boot With Interchangeable Design Accessories
WO2005089896A1 (en) Facial feature assembly
US20050022288A1 (en) Decorative socks with three-dimensional ornaments and related indicia
KR200489777Y1 (ko) 조립식 가방 완구
CN206964124U (zh) Diy组装式玩具女高跟鞋
US11291924B2 (en) Reversible to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413263A (en) Doll
US6165569A (en) Decoration
US8257132B2 (en) Doll kit
US20130180135A1 (en) Puppet/slipper combination
JP2005342124A (ja) 組立玩具
JP5492678B2 (ja) 組み立て玩具
US20070137066A1 (en) Construction of vamp for patterned shoes
US5810357A (en) Stackable three-dimension toy assembly
JP3029368U (ja) 形象物入りのコレクションケース
KR200387712Y1 (ko) 표정 변경이 가능한 인형
CN205627107U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