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990B1 - 조립 슬리퍼 - Google Patents

조립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990B1
KR101233990B1 KR1020110024318A KR20110024318A KR101233990B1 KR 101233990 B1 KR101233990 B1 KR 101233990B1 KR 1020110024318 A KR1020110024318 A KR 1020110024318A KR 20110024318 A KR20110024318 A KR 20110024318A KR 101233990 B1 KR101233990 B1 KR 10123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lipper
coupling protrusion
slipper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504A (ko
Inventor
조성극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윤종호
조성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0/0081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067286A1/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호, 조성극 filed Critical 윤종호
Priority to KR102011002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990B1/ko
Priority to CN2011800012978A priority patent/CN102711537A/zh
Priority to PCT/KR2011/002695 priority patent/WO2012067319A1/ko
Publication of KR2012005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퍼의 다양한 패턴변형을 유도하며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을 이루는 조립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밑창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갑피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 일측으로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밑창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립 슬리퍼는,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갑피결합돌기와 이격되며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된 밑창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이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갑피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그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여용 슬릿이 형성되어 양측의 삽입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밑창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 슬리퍼{Sliper assembly}
본 발명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퍼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갑피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슬리퍼의 변형을 유도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갑피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을 이룰 수 있는 조립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패션화(구두), 운동화, 실내화 및 슬리퍼(또는 샌들)등으로 구분되어 사용자들이 용도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들은 주로 외출할 때 신는 것이 보편적이며, 또한 계절에 변화에 맞게 다양한 신발 등이 제공되고 있었다.
이중, 슬리퍼는 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편안함을 위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절기에 시원하게 신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피서지나 여행지에서 가볍게 신을 수 있는 용도로 많은 사람이 선호한다.
슬리퍼는, 발이 안착되는 밑창과 발 등을 덮음으로써 슬리퍼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밑창에 고정되는 갑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갑피는 발에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슬리퍼의 다양한 디자인은 갑피의 배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갑피는 슬리퍼의 밑창에 고정됨에 따라 결국 슬리퍼의 디자인적 형상을 한정시키고, 착용자가 슬리퍼의 다양한 디자인을 원하는 경우 갑피의 고정위치에 따른 다른 디자인의 형상을 갖는 슬리퍼를 각각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슬리퍼의 사이즈는 신발 밑창사이즈만 고려하기 때문에 갑피가 다양한 형태의 발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슬리퍼의 장기간 착용에 따른 갑피의 헐거움 또는 부주의로 인한 갑피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슬리퍼가 자주 벗겨지게 되어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발에 갑피가 안정적으로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리퍼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갑피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슬리퍼의 변형을 유도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갑피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을 이룰 수 있는 조립 슬리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 슬리퍼는,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밑창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갑피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 일측으로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밑창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갑피결합돌기는, 상기 밑창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기편과, 상기 돌기편의 단부와 일체를 이루는 이탈방지용 확장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립 슬리퍼는,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갑피결합돌기와 이격되며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된 밑창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이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갑피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그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여용 슬릿이 형성되어 양측의 삽입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밑창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갑피결합돌기는, 상기 밑창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기편과, 상기 돌기편의 단부와 일체를 이루는 이탈방지용 확장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갑피의 양측면에는 상기 갑피가 상기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면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구멍 및 상기 탄성부여용 슬릿의 주변부에는 상기 갑피의 두께보다 두꺼운 보강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갑피는 양분되되, 양분된 선단에는 양 선단이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미세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미세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세조절수단은, 양분된 상기 갑피 중 어느 선단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1후크부가 형성되고, 다른 선단의 표면에는 상기 제1후크부와 대칭되게 맞물리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며, 양분된 상기 어느 갑피에는 상부 중심부에 절개슬릿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2후크부의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ㄷ"형상의 압착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조립 슬리퍼에 의하면, 슬리퍼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갑피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슬리퍼의 변형을 유도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갑피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갑피에 미세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갑피의 세밀한 미세조절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갑피의 헐거움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그 대상이 되는 갑피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교체를 함으로써 슬리퍼의 구매에 따른 금전적 비용부담을 줄여주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슬리퍼를 통해 다양한 패션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퍼의 구매에 따르는 비용절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갑피의 양단이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갑피의 단부가 마감처리되어 슬리퍼의 디자인적 미감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의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1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형성된 갑피결합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4는 1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갑피가 다른 패턴으로 변형된 예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의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의 2 실시예의 갑피 결합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9는 2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형성된 갑피결합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10은 2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갑피가 다른 패턴으로 변형된 예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11은 2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미세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미세조절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의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1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형성된 갑피결합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4는 1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갑피가 다른 패턴으로 변형된 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슬리퍼는, 다수개의 갑피에 의해 다양한 패턴 변형을 갖는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조립 슬리퍼(100)는,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12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밑창(110)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갑피결합돌기(12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구멍(1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131) 일측으로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133)이 형성되어 상기 밑창(110)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130);로 구성되어 있다.
밑창(110)은, 지면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는 것으로서 인체의 발바닥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고, 그 하면에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갑피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밑창(110)의 재질은 보행시 충격흡수가 가능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바닥이 직접 닿는 밑창(110)의 상부면에는 발바닥에 직접적인 쿠션감을 부여하는 쿠션부재(1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갑피결합돌기(120)는, 후술할 다수개의 갑피(13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밑창(110)의 둘레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다수개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갑피결합돌기(120)는, 밑창(110)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형의 돌기편(121)과, 돌기편(121)의 단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돌기편(121) 보다 확장된 면적을 갖는 반구형상의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편(121)은 후술할 갑피(130)에 형성된 연결구멍(131)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은 연결구멍(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돌기편(121)에 연결구멍(131)이 끼워짐으로써 갑피(130)의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에 의해 갑피(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에는 갑피결합돌기(120)의 다양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반구형상의 갑피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b)에는 원뿔형상의 갑피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고, (c)에는 사각형상의 갑피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d)에는 육각형상의 갑피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갑피결합돌기(120)가 반구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갑피결합돌기(120)의 형상은 반구형, 원뿔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갑피결합돌기(12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갑피(130)는, 밴드와 같은 길다란 형상으로 밑창(110)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지지함으로써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하고, 더불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슬리퍼가 다양한 패턴 변형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갑피(130)는, 갑피결합돌기(120)에 의해 밑창(110)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등 및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형상과 길이 및 결합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갑피(1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 각각 갑피결합돌기(12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구멍(131)이 형성되고, 연결구멍(131) 일측으로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13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갑피(130)는 밑창(110)의 재질과 같은 폴리우레탄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밑창(110)보다는 더욱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구멍(131)은 갑피결합돌기(120)의 돌기편(121)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이때, 연결구멍(131)의 일측으로는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133)이 형성된다.
탄성부여용 슬릿(133)은 연결구멍(131)의 일측으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갑피결합돌기(120)의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이 연결구멍(131)에 결합될 때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이후 탄성부여용 슬릿(133)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갑피결합돌기(120)의 돌기편(121)이 연결구멍(131)에 밀착되도록 한다.
더불어, 탄성부여용 슬릿(133)의 복원에 따라 연결구멍(131)이 갑피결합돌기(120)의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탄성부여용 슬릿(133)은 이탈방지용 확장편(123)이 끼움결합 될 수 있을 정도로 소정 폭으로만 절개되면 족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조립 슬리퍼(100)는, 밑창(110)에 결합되는 갑피(130)들의 결합위치에 따라 슬리퍼의 다양한 패턴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30)의 길이가 길게 연장된 경우에는 슬리퍼 형태에서 벗어나 샌들과 같은 신발 형태로 패턴의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 조립 슬리퍼의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의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의 2 실시예의 갑피 결합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9는 2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형성된 갑피결합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10은 2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갑피가 다른 패턴으로 변형된 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슬리퍼(200)는, 다수개의 갑피(240)에 의해 다양한 패턴 변형을 갖는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조립 슬리퍼(200)는,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22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갑피결합돌기(220)와 이격되며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삽입홈(230)이 형성된 밑창(210)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이 상기 삽입홈(230)에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갑피결합돌기(22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그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구멍(24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241)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여용 슬릿(243)이 형성되어 양측의 삽입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밑창(210)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240);로 구성되어 있다.
밑창(210)은, 지면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는 것으로서 인체의 발바닥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고, 그 하면에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갑피결합돌기(220)와 삽입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밑창(210)의 재질은 보행시 충격흡수가 가능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바닥이 직접 닿는 밑창(210)의 상부면에는 발바닥에 직접적인 쿠션감을 부여하는 쿠션부재(1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갑피결합돌기(220)는, 후술할 다수개의 갑피(24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밑창(210)의 둘레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다수개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갑피결합돌기(220)는, 밑창(210)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형의 돌기편(221)과, 돌기편(221)의 단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돌기편(221) 보다 확장된 면적을 갖는 반구형상의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편(221)은 후술할 갑피(240)에 형성된 연결구멍(241)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은 연결구멍(2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돌기편(221)에 연결구멍(241)이 끼워짐으로써 갑피(240)의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에 의해 갑피(2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밑창(210)에 결합되는 갑피(240)의 길이조절을 이루고자 할 때 길이가 조절된 갑피(240)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9에는 갑피결합돌기(220)의 다양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에는 반구형상의 갑피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b)에는 원뿔형상의 갑피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있고, (c)에는 사각형상의 갑피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d)에는 육각형상의 갑피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갑피결합돌기(220)가 반구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갑피결합돌기(220)의 형상은 반구형, 원뿔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갑피결합돌기(22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삽입홈(230)은, 후술할 갑피(240)의 양측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각 갑피결합돌기(220)의 하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며 밑창(21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갑피(240)의 양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밑창(210)의 폭 방향으로 충분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홈(230)은 갑피(240)의 양측이 삽입됨으로써 갑피(240)가 밑창(2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이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창(21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230)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갑피(240)의 양측이 상호 마주하는 삽입홈(230)에 각각 삽입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루지만, 만일 슬리퍼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주고자 갑피(240)의 양측이 서로 어긋나게 삽입홈(230)에 결합되는 경우 갑피(240)의 뒤틀림이 발생 됨에 따라 상기의 뒤틀림이 바로잡아지도록 삽입홈(230)에 삽입된 갑피(240) 양측이 소정각도 회동되게 하기 위함이다(화살표 참조).
다음으로 갑피(240)는, 밴드와 같은 길다란 형상으로 밑창(210)의 삽입홈(230)에 삽입되는 갑피(240) 양측의 삽입 정도에 따라 갑피(240)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다양한 발 형태에 맞춰 발등을 지지함으로써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하고, 더불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슬리퍼가 다양한 패턴 변형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갑피(240)는, 갑피결합돌기(220)에 의해 밑창(210)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등 및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형상과 길이 및 결합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갑피(2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이 삽입홈(230)에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갑피결합돌기(220)의 돌기편(22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그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구멍(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구멍(241)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여용 슬릿(24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갑피(240)는 밑창(210)의 재질과 같은 폴리우레탄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밑창(210)보다는 더욱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구멍(241)은 갑피결합돌기(220)의 돌기편(221)에 끼워져 갑피(24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돌기편(221)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갑피(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멍(241)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은, 갑피(240)의 길이조절시 돌기편(221)에 연결구멍(241)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갑피(240)의 조절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연결구멍(241) 간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갑피(240)의 길이조절이 세분화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연결구멍(241)의 사이에는 탄성부여용 슬릿(243)이 형성된다.
탄성부여용 슬릿(243)은 연결구멍(241) 사이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갑피결합돌기(220)의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이 연결구멍(241)에 끼워질 때 탄성력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구멍(241)과 함께 벌어지도록 하여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탄성부여용 슬릿(243)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됨과 동시에 벌어졌던 연결구멍(241)도 함께 복원되면서 갑피결합돌기(220)의 돌기편(221)과 연결구멍(241)의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더불어 연결구멍(241)이 갑피결합돌기(220)의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부여용 슬릿(243)은 연결구멍(241) 사이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갑피(240)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착용자에 의해 갑피(240)가 당겨지거나 혹은 밀어질 때 돌기편(221)에 끼워진 최초의 연결구멍(241)이 이탈되어 전.후에 형성된 연결구멍(241)이 돌기편(221)에 끼워지도록 연결구멍(241)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연결구멍(241) 및 탄성부여용 슬릿(243)의 주변부에는 갑피(240)의 두께보다 두꺼운 보강부(24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갑피(240)의 길이조절에 따라 돌기편(221)과 마찰을 일으키는 연결구멍(241) 및 탄성부여용 슬릿(243)이 마모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갑피(240)의 양측면에는 갑피(240)가 삽입홈(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면(247)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슬리퍼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질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요철면(247)과 삽입홈(230)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체중 압력에 의해 갑피(240)의 양측이 밀리면서 삽입홈(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조립 슬리퍼(200)는, 밑창(210)에 결합되는 갑피(240)들의 결합위치에 따라 슬리퍼의 다양한 패턴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40)의 길이가 길게 연장된 경우에는 슬리퍼 형태에서 벗어나 샌들과 같은 신발 형태로 패턴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슬리퍼(200)에 결합된 갑피(240)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갑피(240)들을 준비하여 갑피(240)을 결합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하여 밑창(210)에 결합한다.
이때, 갑피(240)의 양측 중 어느 한쪽을 밑창(2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230)에 밀어넣고, 이 상태에서 갑피(240)를 파지한 상태로 밑창(210)의 상부측으로 절곡시킨다.
이때, 착용자는 갑피(240)가 절곡되는 과정에서 갑피(240)에 형성된 연결구멍(241)으로 갑피결합돌기(220)가 끼워지도록 연결구멍(241)과 갑피결합돌기(220)의 위치를 확인하여 갑피(240)를 가압하면서 연결구멍(241)을 갑피결합돌기(220)의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에 끼워넣는다.
이렇게 되면, 갑피(240)의 양측 중 어느 한쪽이 밑창(210)에 결합된다.
이후, 착용자는 갑피(240)의 양측 중 다른 한쪽을 앞서 서술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밑창(210)의 타측에 형성된 갑피결합돌기(220)의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에 끼워넣는다.
이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다수개의 갑피(240)를 밑창(210)에 결합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슬리퍼를 조립한다.
이후, 착용자는 조립된 슬리퍼를 신은 상태에서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을 위하여 자신의 발 형태에 맞도록 갑피(240)를 당기거나 혹은 밀면서 갑피(240)의 길이를 가변시킨다.
먼저 갑피(240)가 착용자의 발 형태보다 크게 결합된 경우, 착용자는 밑창(210)의 어느 일측 갑피결합돌기(220)에 끼워진 갑피(240)의 연결구멍(241)을 갑피결합돌기(220)로부터 해제한 후 갑피(24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갑피(240)를 삽입홈(230)으로 더 밀어 넣는다.
이후, 착용자는 갑피(240)를 다시 밑창(210)의 상부측으로 절곡시켜 갑피(240)의 삽입에 따라 갑피결합돌기(220)에 위치하는, 즉 최초 갑피결합돌기(220)로부터 해제된 연결구멍(241)의 다음 연결구멍(241)에 갑피결합돌기(220)를 끼워넣는다.
이후, 착용자는 밑창(210) 타측의 갑피결합돌기(220)에 끼워진 갑피(240)를 앞서 서술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초 갑피결합돌기(220)로부터 해제된 연결구멍(241)의 다음 연결구멍(241)에 갑피결합돌기(220)를 끼워넣음으로써 갑피(24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다수개의 갑피(240)들을 착용자의 발 형태에 맞도록 길이 조절을 한다.
반면, 갑피(240)가 착용자의 발 형태보다 작게 결합된 경우는 앞서 서술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이행하되, 갑피(240)를 삽입홈(230)으로부터 당겨 갑피(240)의 길이를 늘리면 된다.
한편, 본 발명 조립 슬리퍼(200)에는 갑피(240)에 미세조절수단(A)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은 2 실시예의 조립 슬리퍼에 미세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미세조절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조절수단(A)은, 갑피(24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갑피(240)의 미세 길이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이때 갑피(240)는 밴드와 같은 길다란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태로 양분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분된 선단에는 양 선단이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미세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미세조절수단(A)이 더 구비되어 있다.
미세조절수단(A)은, 양분된 상기 갑피(240) 중 어느 선단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1후크부(240a)가 형성되고, 다른 선단의 표면에는 제1후크부(240a)와 대칭되게 맞물리는 제2후크부(240b)가 형성되며, 양분된 어느 갑피(240)에는 상부 중심부에 절개슬릿(249a)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2후크부(240a,240b)의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ㄷ"형상의 압착부(249)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양분된 갑피(240)의 선단은 상호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어느 선단(도면상 상측위치)의 하부표면에는 갑피(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후크로 구성된 제1후크부(24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선단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선단(도면상 하측위치)의 상부표면에는 제1후크부(240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후크부(240a)와 맞물리는 제2후크부(2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후크부(240a)와 제2후크부(240b)에 형성된 후크의 간격은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갑피(240)의 미세조절이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압착부(249)는 양분된 갑피(240) 중 어느 선단의 상부에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압착부(249)의 상부 중심부에는 갑피(24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슬릿(24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압착부(249)가 "ㄷ"형상을 이룸에 따라 그 내부에 관통홈(249b)이 형성되기 때문에 양분된 갑피(240)의 양선단은 제1후크부(240a)와 제2후크부(240b)가 맞물리면서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절개슬릿(249a)은 상호 포개어진 갑피(24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갑피(240)의 어느 선단을 압착부(249)의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김과 동시에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갑피(24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양분된 갑피(240)의 미세조절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착용자는 상호 포개어진 갑피(240)의 어느 선단을 파지한 후 밑창(210)의 내측방향으로 당긴다.
이렇게 되면, 갑피(240)의 어느 선단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상호 맞물린 제1후크부(240a)와 제2후크부(240b)는 순차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착용자는 이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미세조절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당김을 멈춰 미세조절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조절수단(A)이 발등에 위치하는 갑피(240)에 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고 밑창(210)에 결합되는 모든 갑피(240)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세조절수단(A)은 양분된 갑피(240)의 선단 표면에 구비된 벨크로(미 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벨크로는 일명 찍찍이로 불리는 접착수단으로서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벨크로를 통해 미세조절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착용자가 갑피(240)의 어느 선단을 잡아당기면서 원하는 미세조절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그 상태에서 벨크로를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미세조절을 완료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슬리퍼는, 슬리퍼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갑피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슬리퍼의 변형을 유도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갑피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리퍼의 안정적인 착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갑피에 미세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갑피의 세밀한 미세조절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갑피의 헐거움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그 대상이 되는 갑피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교체를 함으로써 슬리퍼의 구매에 따른 금전적 비용부담을 줄여주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슬리퍼를 통해 다양한 패션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퍼의 구매에 따르는 비용절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갑피의 양단이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갑피의 단부가 마감처리되어 슬리퍼의 디자인적 미감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의 개수 및 형상, 갑피의 개수 및 결합위치, 갑피의 길이, 갑피의 요철면 형상, 연결구멍의 개수 및 형상, 삽입홈의 형상 및 개수, 미세조절수단의 구조 및 종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조립 슬리퍼 110,210 : 밑창
120,220 : 갑피결합돌기 121,221 : 돌기편
123,223 : 이탈방지용 확장편 130,240 : 갑피
131,241 : 연결구멍 133,243 : 탄성부여용 슬릿
240a : 제1후크부 240b : 제2후크부
245 : 보강부 247 : 요철면
249 : 압착부 249a : 절개슬릿
249b : 관통홈 A : 미세조절수단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발바닥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갑피결합돌기(22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갑피결합돌기(220)와 이격되며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삽입홈(230)이 형성된 밑창(210)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이 상기 삽입홈(230)에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갑피결합돌기(22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그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구멍(24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241)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여용 슬릿(243)이 형성되어 양측의 삽입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밑창(210)에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결합돌기(220)는,
    상기 밑창(210)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기편(221)과,
    상기 돌기편(221)의 단부와 일체를 이루는 이탈방지용 확장편(2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2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갑피(240)가 상기 삽입홈(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면(247)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241) 및 상기 탄성부여용 슬릿(243)의 주변부에는 상기 갑피(240)의 두께보다 두꺼운 보강부(24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30)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240)는 양분되되,
    양분된 선단에는 양 선단이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미세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미세조절수단(A)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수단(A)은,
    양분된 상기 갑피(240) 중 어느 선단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1후크부(240a)가 형성되고, 다른 선단의 표면에는 상기 제1후크부(240a)와 대칭되게 맞물리는 제2후크부(240b)가 형성되며, 양분된 상기 갑피(240) 중 어느 하나에는 상부 중심부에 절개슬릿(249a)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2후크부(240a,240b)의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ㄷ"형상의 압착부(24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슬리퍼(200).
KR1020110024318A 2010-11-18 2011-03-18 조립 슬리퍼 KR10123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18A KR101233990B1 (ko) 2010-11-19 2011-03-18 조립 슬리퍼
CN2011800012978A CN102711537A (zh) 2010-11-18 2011-04-15 组装拖鞋
PCT/KR2011/002695 WO2012067319A1 (ko) 2010-11-18 2011-04-15 조립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KR2010-008171 2010-11-19
PCT/KR2010/008171 WO2012067286A1 (ko) 2010-11-18 2010-11-19 조립 슬리퍼
KR1020110024318A KR101233990B1 (ko) 2010-11-19 2011-03-18 조립 슬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04A KR20120054504A (ko) 2012-05-30
KR101233990B1 true KR101233990B1 (ko) 2013-02-18

Family

ID=4627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318A KR101233990B1 (ko) 2010-11-18 2011-03-18 조립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55Y1 (ko) * 2021-12-03 2023-04-18 김완수 변기커버 젖힘 기능을 갖는 슬리퍼
KR102523164B1 (ko) * 2021-12-22 2023-04-17 서민성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KR102562194B1 (ko) * 2022-01-06 2023-08-01 장현욱 폭 가변형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09Y1 (ko) * 1999-12-28 2000-11-01 김천식 슬리퍼
KR200390374Y1 (ko) 2005-04-30 2005-07-21 김의곤 갑피가 착탈되는 신발
KR100879557B1 (ko) *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09Y1 (ko) * 1999-12-28 2000-11-01 김천식 슬리퍼
KR200390374Y1 (ko) 2005-04-30 2005-07-21 김의곤 갑피가 착탈되는 신발
KR100879557B1 (ko) *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04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39539B (zh) 具有可压缩格状结构的快速进入式鞋
US10285468B2 (en) Upper with sensory feedback
EP3419457B1 (en) Dual layer sole system with auxetic structure
CN104602559B (zh) 鞋类物品及其部分
TWI694783B (zh) 具有槽之鞋底結構
ES2715856T3 (es) Calzado que incluye una construcción durable de combinación
US20240082681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durometer outsole and directional cleat pattern
US20150143722A1 (en) Flexible footwear
EP2446768A2 (en) Midsole for a shoe
US20130255106A1 (en) Assembled footwear
WO2008130839A1 (en) Article of footwear construction with binding portions
EP3110276B1 (en)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KR20110129328A (ko) 조립 슬리퍼
KR101233990B1 (ko) 조립 슬리퍼
KR100825435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WO2005115189A1 (en) Footwear
EP2453770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KR200467014Y1 (ko) 조립식 신발
US20150113835A1 (en) Shoe pad for attachment to the outer sole of a shoe
KR101357823B1 (ko)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KR101480093B1 (ko)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WO2003009715A1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upper
KR101329330B1 (ko) 디아이와이 방식을 적용한 신발
KR101989925B1 (ko) 신발 하부에 결합되는 야구화용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