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164B1 -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164B1
KR102523164B1 KR1020210184513A KR20210184513A KR102523164B1 KR 102523164 B1 KR102523164 B1 KR 102523164B1 KR 1020210184513 A KR1020210184513 A KR 1020210184513A KR 20210184513 A KR20210184513 A KR 20210184513A KR 102523164 B1 KR102523164 B1 KR 10252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upling member
hole
body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성
Original Assignee
서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성 filed Critical 서민성
Priority to KR102021018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는, 족부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족부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의 양 말단부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통공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SLIPPERS WITH A DETACHABLE BAND}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체부, 밴드부 및 본체부와 밴드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결합 부재가 본체부 및 밴드부에 삽입됨으로써 밴드부를 본체부에 결합시키는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리퍼는 본체부와 밴드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슬리퍼에서 본체부와 밴드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리퍼를 사용 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리퍼를 신고 다닐 때, 밴드부와 본체부가 결합된 부분에 미세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밴드부와 본체부가 결합된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이 중첩됨에 따라, 밴드부 및 본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밴드부 및 본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크랙은 밴드부와 본체부를 분리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밴드부와 본체부가 분리되면, 사용자가 슬리퍼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슬리퍼는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슬리퍼의 손상 또는 파손에 따른 슬리퍼의 폐기는, 밴드를 교체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슬리퍼에 대해 슬리퍼 전체를 폐기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슬리퍼의 폐기에 따라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부와 본체부가 분리되더라도 재사용할 수 있는 슬리퍼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슬리퍼를 사용할 때, 밴드부에 의해 발등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지고, 발의 저면은 본체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밴드부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거나 클 경우, 슬리퍼에 대해 발이 꽉 끼이거나 헐겁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퍼와 발의 치수가 대응되지 않을 경우 또는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발이 붓거나 혹은 줄었을 경우, 발이 꽉 끼이거나 헐겁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슬리퍼에 편안하게 밀착될 필요가 있으며, 밴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리퍼에 대한 요구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KR 10-2018-0010914
본 개시는 일 실시예에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는 종래의 슬리퍼에 대한 요구들 또는 종래의 슬리퍼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들에 따른 슬리퍼는 밴드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는 밴드부를 교체할 수 있다. 밴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밴드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슬리퍼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슬리퍼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시간(사용자가 슬리퍼를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는 밴드부의 위치가 본체부에 대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부의 크기가 작거나 커서, 발이 슬리퍼에 대해 꽉 끼이거나 헐겁게 되었을 때, 밴드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슬리퍼에 편안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는, 기존의 밴드부에서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로 교체할 수 있다. 기존의 밴드부와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는 크기, 형상, 탄성, 재질 및 발의 조임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부의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의 밴드부를 본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게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는 족부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족부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의 양 말단부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통공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은 복수 개의 통공이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통공 중 서로 이웃하는 통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밴드부의 상기 통공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측 홈부; 및 상기 상측 홈부의 아래 측에 상기 상측 홈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하측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에 대응되는 상기 상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측 결합 부재; 및 상기 상측 결합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하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측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홈부의 깊이와 상기 상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상측 결합 부재의 폭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하측 홈부의 깊이와 상기 하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측 결합 부재의 폭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상측 결합 부재의 폭은 상기 하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측 결합 부재의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하측 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결합 부재는, 상기 하측 결합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브랜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 및 상기 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밴드부의 위치가 변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밴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밴드부가 접촉하여 감싸는 족부의 위치가 변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제 1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결합 부재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은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는, 밴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밴드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슬리퍼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슬리퍼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시간(사용자가 슬리퍼를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는, 밴드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슬리퍼에 편안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는, 기존의 밴드부에서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로 교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부의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의 밴드부를 본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편안하게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의 일 구성인 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의 일 구성인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의 일 구성인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의 결합 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에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에서 밴드부가 변위되어 A위치일 때와, B위치일 때의 모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상", "상측", "위", "위 측" 등은 도 3을 참조하여, 하측 홈부(117)에 대해서 상측 홈부(116)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 "하측", "아래" "아래 측" 등은 도 3에서 상측 홈부(116)에 대해서 하측 홈부(117)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는 족부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본체부(11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족부(발)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족부의 저면은 본체부(11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는 족부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본체부(1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20)는 사용자의 족부가 본체부(110)에 안착되었을 때, 족부의 상면(발등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밴드부(120)는 족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족부가 본체부(110)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밴드부(120)는 본체부(1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와 결합시키거나,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슬리퍼(100)를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부(120)의 위치를 본체부(110)에 대해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는 본체부(110)와 밴드부(12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 부재(130)는 밴드부(120)와 본체부(110) 모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가 밴드부(120)와 본체부(110)에 삽입됨에 따라, 밴드부(120)가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 부재(130)는 제1 결합 부재(130a) 및 제 2 결합 부재(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결합 부재(130a)는 제 1 프레임(13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결합 부재(130b)는 제 2 프레임(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35a)과 제 2 프레임(135b)은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프레임(135a)을 포함하는 제 1 결합 부재(130a)와, 제 2 프레임(135b)을 포함하는 제 2 결합 부재(130b)는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레임(135a)을 포함하는 제 1 결합 부재(130a)와, 제 2 프레임(135b)을 포함하는 제 2 결합 부재(130b)가 다른 형상이라 함은, 외형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제 1 결합 부재(130a)와 제 2 결합 부재(130b)의 기능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 부재(130a)의 제 1 프레임(135a)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가요성의 손잡이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프레임(135a)을 이용하여 제 1 결합 부재(130a)를 용이하게 밴드부(120)와 본체부(11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 부재(130b)의 제 2 프레임(135b)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프레임(135b)을 이용하여 밴드부(120)와 본체부(110)를 결합시키도록 삽입되어 있는 제 2 결합 부재(130b)를 용이하게 밴드부(120)와 본체부(110)로부터 견인할 수 있다. 가요성의 손잡이 형상 및/또는 고리 형상은 예를 들어 조형물, 캐릭터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 프레임(135a)과 제 2 프레임(135b)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 1 프레임(135a)과 제 2 프레임(135b)의 구조가 필요 및 미적인 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에 불과하다.
결합 부재(130)를 이용하여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와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일 구성인 밴드부(12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일 구성인 본체부(1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일 구성인 결합 부재(13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밴드부(120)의 양 말단부에는 결합 부재(130)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부(125)가 형성된다. 통공부(125)는 밴드부(120)의 양 말단부에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통공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밴드부(120)의 양 말단부에서 밴드부(120)의 양 말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밴드부(120)의 양 말단부를 관통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은 도 1을 참조하여, 본체부(110)가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발이 삽입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발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통공부(125)가 쌍으로 형성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이 2 개일 때, 밴드부(120)에 형성된 통공(126)의 총 개수는 총 4 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도 2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통공(126)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타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밴드부(120)의 말단까지 연장되는 연장홀(127)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홀(127)은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으로부터 밴드부(120)의 말단까지 연장되며, 밴드부(120)의 양 말단을 관통하는 소정의 구멍일 수 있다. 연장홀(127)은 통공(126)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홀(127)의 폭의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의 폭의 길이의 0.2 내지 0.8 배일 수 있다.
통공부(125)는 결합 부재(1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통공부(125)에 삽입됨으로써 밴드부(12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130)는 통공부(125) 및 연장홀(127)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통공부(125)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통공부(125)에 끼워 맞춤되며 삽입되어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본체부(110)의 양 측면에는 통공부(125)와 대응되는 홈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5)는 결합 부재(130)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홈부(115)와 통공부(125)가 대응된다는 것은 홈부(115)의 적어도 일부가 통공부(125)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홈부(115)와 통공부(125)가 대응된다는 것은 밴드부(120)가 본체부(110)에 부착되었을 때, 홈부(115)의 위치와 통공부(125)의 위치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밴드부(120)가 본체부(110)에 부착되었을 때, 결합 부재(130)가 통공부(125)와 홈부(115)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홈부(115)와 통공부(125)가 대응된다는 것은 밴드부(120)가 본체부(110)에 부착되었을 때, 홈부(115)의 크기와 통공부(125)의 크기가 각각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홈부(115)와 통공부(125)가 대응된다는 것은 밴드부(120)가 본체부(110)에 부착되었을 때, 홈부(115)의 형상과 통공부(125)의 형상이 각각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홈부(115)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측 홈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115)는 상측 홈부(116)의 아래 측에 상측 홈부(116)와 이격되어 형성된 하측 홈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홈부(115)는 복수 개의 체결홈(11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홈부(116)는 복수 개의 체결홈(1161)을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측 홈부(116)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측 홈부(116)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홈(1161)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은 본체부(110)가 가장 긴 길이를 갖는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체결홈(1161)은 통공부(125)보다 더 많은 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부(12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은 2 개일 수 있고, 체결홈(1161)은 5 개일 수 있다. 통공(126)은 5 개의 홈부(115) 중 서로 이웃한 2 개의 체결홈(1161)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홈부(117)는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본체의 측면에 연장 형성된 단일한 구멍일 수 있다 하측 홈부(117)는 본체의 측면에서 본체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홈부(117)는 상측 홈부(116)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 길이보다 더 길게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결합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홈부(115)에 삽입됨으로써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홈부(115)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즉, 결합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홈부(115)에 끼워 맞춤되며,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에 대응되는 상측 홈부(11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측 결합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 부재(131)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상측 홈부(116)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상측 결합 부재(131)와 연결되며 하측 홈부(117)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측 결합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결합 부재(132)는 단일한 구조로서,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바(bar) 형상일 수 있다. 하측 결합 부재(132)는 본체부(110)의 하측 홈부(117)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 부재는 밴드부(120)와 접촉하지 않고 하측 홈부(117)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상측 결합 부재(131)와 하측 결합 부재(132)를 연결시키도록 하측 결합 부재(13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브랜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 부재(131)가 복수 개일 경우, 브랜치(133)의 개수 또한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브랜치(133)는 상측 결합 부재(13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브랜치(13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결합 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횡방향 단면도에서 "횡방향"은 슬리퍼(10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횡방향 단면도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 및 홈부(115)를 가로지르는 단면을 표시하는 단면도일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결합 부재(130)는 통공부(125)와 홈부(115)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부재(130)의 상측 결합 부재(131)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본체부(110)의 홈부(115) 중 상측 홈부(116)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의 하측 결합 부재(132)는 본체부(110)의 홈부(115) 중 하측 홈부(117)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측 결합 부재(131)는 밴드부(120)와 본체부(110) 모두와 접촉하며 통공부(125)와 홈부(115)에 삽입될 수 있고, 하측 결합 부재(132)는 본체부(110)와 접촉하며 홈부(11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측 홈부(116)의 깊이와 상측 홈부(116)에 삽입되는 상측 결합 부재(131)의 폭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하측 홈부(117)의 깊이와 하측 홈부(117)에 삽입되는 하측 결합 부재(132)의 폭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측 홈부(116)에 삽입되는 상측 결합 부재(131)의 폭(D1)은 하측 홈부(117)에 삽입되는 하측 결합 부재(132)의 폭(D2) 보다 짧다. 즉, 하측 결합 부재(132)의 폭(D2)이 상측 결합 부재(131)의 폭(D1) 보다 더 큼에 따라, 하측 결합 부재(132)는 본체의 중심으로 보다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결합 부재(131)가 삽입되는 본체의 상측 홈부(116) 부분은 사용자의 족부와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상측 결합 부재(131)가 삽입되는 상측 홈부(116) 부분은 사용자의 족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측 결합 부재(131)가 삽입되는 상측 홈부(116) 부분이 하측 결합 부재(132)가 삽입되는 하측 홈부(117) 부분보다 더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하측 결합 부재(132)는 본체부(110)의 중심으로 더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하측 결합 부재(132)가 본체부(110)의 중심으로 더 깊숙이 삽입됨에 따라, 밴드부(120)와 본체부(110)의 결합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보다 기밀한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종합하면, 상측 홈부(116)에 삽입되는 상측 결합 부재(131)의 폭이 하측 홈부(117)에 삽입되는 하측 결합 부재(132)의 폭 보다 짧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슬리퍼(100)의 사용 시, 걸림과 같은 간섭을 느끼지 않을 수 있으며, 밴드부(120)와 본체부(110)의 결합은 더 기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에서 밴드부(120)가 변위되어 A 위치일 때와, B 위치일 때의 모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에서 밴드부(120)는 본체부(110)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130)는 통공부(125)와 홈부(115)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에는 홈부(115)의 상측 홈부(116)는 복수 개의 체결홈(1161)을 포함한다. 결합 부재(130)의 상측 결합 부재(131)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복수 개의 체결홈(1161) 중 소정의 체결홈(1161)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의 하측 결합 부재(132)는 하측 홈부(117)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의 상측 결합 부재(131)가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 및 소정의 체결홈(1161)에 삽입되고, 결합 부재(130)의 하측 결합 부재(132)가 하측 홈부(117)에 삽입됨에 따라 밴드부(120)가 본체부(110)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 및 홈부(115)의 위치에 기초하여 본체부(110)에 대한 밴드부(120)가 변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결합 부재(130)의 상측 결합 부재(131)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상측 홈부(116)의 복수 개의 체결홈(1161) 중 전방 체결홈(116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측 결합 부재(132)는 하측 홈부(117)의 전방에 삽입될 수 있다. 상측 결합 부재(131)가 전방 체결홈(1161a)에 삽입되고, 하측 결합 부재(132)가 하측 홈부(117)의 전방에 삽입될 때, 모두 결합 부재(130)와 홈부(115)는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사용자가 슬리퍼(100)를 사용할 때, 즉 슬리퍼(100)를 신었을 때 족부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이며, 후방은 족부의 뒷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결합 부재(130)가 상기 일 예시에서와 같이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때, 밴드부(120)는 A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결합 부재(130)의 상측 결합 부재(131)는, 밴드부(120)의 통공부(12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과, 상측 홈부(116)의 복수 개의 체결홈(1161) 중 후방 체결홈(116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측 결합 부재(132)는 하측 홈부(117)의 후방에 삽입될 수 있다. 상측 결합 부재(131)가 후방 체결홈(1161b)에 삽입되고, 하측 결합 부재(132)가 하측 홈부(117)의 후방에 삽입될 때, 모두 결합 부재(130)와 홈부(115)는 끼워 맞춤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가 상기 다른 예시에서와 같이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때, 밴드부(120)는 B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시와 다른 예시와 같이 밴드부(120)는 본체부(110)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밴드부(120)는 결합 부재(130)가 삽입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본체부(110)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부(120)를 결합 부재(130)가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결합 부재(130)가 삽입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본체부(110)에 대한 밴드부(120)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밴드부(120)의 위치를 본체부(110)에 대해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슬리퍼(100)의 사용 편의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퍼(100)와 발의 치수가 대응되지 않을 경우 또는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발이 붓거나 혹은 줄었을 경우, 발이 꽉 끼이거나 헐겁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에서 밴드부(120)는 본체부(110)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사용자는 슬리퍼(100)의 밴드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 대한 밴드부(120)의 위치가 변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슬리퍼(100)에 편안하게 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슬리퍼(100)는 밴드부(120)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100)는 밴드부(120)를 교체할 수 있다. 밴드부(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밴드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슬리퍼(100)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슬리퍼(10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시간(사용자가 슬리퍼(100)를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는 밴드부(120)의 위치가 본체부(110)에 대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부(120)의 크기가 작거나 커서, 발이 슬리퍼(100)에 대해 꽉 끼이거나 헐겁게 되었을 때, 밴드부(1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슬리퍼(100)에 편안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슬리퍼(100) 이용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120)를 포함하는 슬리퍼(100)는, 기존의 밴드부(120)에서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120)로 교체할 수 있다. 기존의 밴드부(120)와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120)는 크기, 형상, 탄성, 재질 및 발의 조임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형상을 갖는 밴드부(1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부(120)의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의 밴드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게 슬리퍼(100)를 착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슬리퍼
110: 본체부
115: 홈부
116: 상측 홈부
1161: 체결홈
1161a: 전방 체결홈
1161b: 후방 체결홈
117: 하측 홈부
120: 밴드부
125: 통공부
126: 통공
127: 연장홀
130: 결합 부재
131: 상측 결합 부재
132: 하측 결합 부재
133: 브랜치
135a: 제 1 프레임
135b: 제 2 프레임

Claims (10)

  1. 족부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족부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의 양 말단부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통공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밴드부의 상기 통공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측 홈부; 및
    상기 상측 홈부의 아래 측에 상기 상측 홈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하측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에 대응되는 상기 상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측 결합 부재; 및
    상기 상측 결합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하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측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은 복수 개의 통공이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통공 중 서로 이웃하는 통공과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시키는,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홈부의 깊이와 상기 상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상측 결합 부재의 폭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하측 홈부의 깊이와 상기 하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측 결합 부재의 폭은 서로 대응되는,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상측 결합 부재의 폭은 상기 하측 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하측 결합 부재의 폭 보다 짧은,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결합 부재는, 상기 하측 결합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브랜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 및 상기 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밴드부의 위치가 변위 가능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밴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밴드부가 접촉하여 감싸는 족부의 위치가 변위 가능한,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제 1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결합 부재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은 서로 다른 형상인,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KR1020210184513A 2021-12-22 2021-12-22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KR10252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13A KR102523164B1 (ko) 2021-12-22 2021-12-22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13A KR102523164B1 (ko) 2021-12-22 2021-12-22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164B1 true KR102523164B1 (ko) 2023-04-17

Family

ID=8612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13A KR102523164B1 (ko) 2021-12-22 2021-12-22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1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34U (ko) * 1998-10-14 2000-05-06 정정용 슬리퍼
KR20090122416A (ko) * 2009-01-16 2009-11-30 이종화 양방향 착용가능한 슬리퍼
KR20100011161U (ko) * 2009-05-07 2010-11-17 배동주 조립식 신발
KR20100012803U (ko) * 2009-06-17 2010-12-27 전춘병 양방향 슬리퍼.
KR20120054504A (ko) * 2010-11-19 2012-05-30 조성극 조립 슬리퍼
KR20180010914A (ko) 2016-07-23 2018-01-31 전홍찬 조립식 슬리퍼
KR20180063736A (ko) * 2016-12-02 2018-06-1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슬리퍼 밴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34U (ko) * 1998-10-14 2000-05-06 정정용 슬리퍼
KR20090122416A (ko) * 2009-01-16 2009-11-30 이종화 양방향 착용가능한 슬리퍼
KR20100011161U (ko) * 2009-05-07 2010-11-17 배동주 조립식 신발
KR20100012803U (ko) * 2009-06-17 2010-12-27 전춘병 양방향 슬리퍼.
KR20120054504A (ko) * 2010-11-19 2012-05-30 조성극 조립 슬리퍼
KR20180010914A (ko) 2016-07-23 2018-01-31 전홍찬 조립식 슬리퍼
KR20180063736A (ko) * 2016-12-02 2018-06-1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슬리퍼 밴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6489D1 (de) Schneidwerkzeug
USD431351S (en) Shoe
USD912840S1 (en) Massage stick
USD964590S1 (en) Fecal occult blood analyzer
ITTO20060050A1 (it) Cinturino per maschera facciale da immersione
KR102523164B1 (ko)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ES2193710T3 (es) Cinta para la fabricacion de papel que tiene pelos reforzantes.
USD925837S1 (en) Sports helmet pad
USD408732S (en) Package for batteries
ITGE940062A1 (it) Pinna da nuoto.
CA106074S (en) Mop
CA99261S (en) Earplug
USD462366S1 (en) Stabilizer pad
KR101208796B1 (ko) 마스크 팩
KR20100012020U (ko) 탄성와이어가 내장된 머리띠
USD976496S1 (en) Arch pad
USD969722S1 (en) Stabilizing wedge pad
USD984520S1 (en) Goggles
KR200205698Y1 (ko) 아이젠
USD1023329S1 (en) Massage pad
USD996925S1 (en) Silicone spatula
USD996929S1 (en) Slotted spatula
USD995931S1 (en) Pet pad
USD1006660S1 (en) Power quality analyzer
USD953768S1 (en) Compartmentalized hamm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