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14Y1 - 조립식 신발 - Google Patents

조립식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14Y1
KR200467014Y1 KR2020090005487U KR20090005487U KR200467014Y1 KR 200467014 Y1 KR200467014 Y1 KR 200467014Y1 KR 2020090005487 U KR2020090005487 U KR 2020090005487U KR 20090005487 U KR20090005487 U KR 20090005487U KR 200467014 Y1 KR200467014 Y1 KR 200467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ase
fixing
prefabricated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161U (ko
Inventor
배동주
Original Assignee
배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주 filed Critical 배동주
Priority to KR2020090005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1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tra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베이스와 임의의 고정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밴드고정수단을 구비한 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에 고정되는 밴드를 착용자의 취향이나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발 형태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하지 않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 신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조립식 신발, 베이스, 밴드, 밴드고정수단

Description

조립식 신발{composite shoes}
본 고안은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바닥에 접하는 신발창과 발등에 접하여 발을 감싸는 형태의 갑피, 천을 포함하는 밴드 및 신발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신발은 운동화, 실내화, 구두 등이 있는데 각각 특유의 형태 및 기능을 갖고 밴드는 신발창의 양측 단에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결합 부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신발은 신발창 및 밴드의 구조가 일률적이고 획일화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취향이나 개성을 충분히 연출할 수 없고, 다양한 운동이나 기능에 따라 여러 디자인의 운동화, 패션화, 구두 등을 그 종류별로 각각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구입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발 형태에 최적화되지 않은 경우 밴드와 발등의 과도한 접촉 내지 마찰로 인한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어린이의 경우 키가 자라면서 발 크기도 점차 커지는데, 종래 신발은 그 치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린이가 성장하는 단계에 맞추어 신발을 재구매해야 하는 등 비용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신발창 베이스에 고정되는 밴드를 착용자가 자신의 취향이나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착용자의 발 형태에 맞추어 최적의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장시간 신발을 착용하더라도 불편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신발 사이즈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임의의 고정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밴드고정수단을 구비한 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밴드에 연결 가능하여 상기 밴드의 단부를 결속한 연결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삽입부는 외측 일면에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그 내부 양면에 상기 삽입부의 체결수단과 결합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부는 외측 일면에 홈이 있고 상기 고정부는 그 내부 양면에 상기 삽입부의 홈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축홀에 결속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밴드의 단부를 결속한 밴드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 면에 체결되는 외측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의 외주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베이스는 제 1외측베이스와 제 2외측베이스로 분절되어 각 외측베이스 내면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절된 외측베이스의 이음부에 결속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수단은 일측 외측베이스에 결속띠가 형성되고, 타측 외측베이스에 상기 결속띠가 삽입 고정되는 결속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측베이스 상면 또는 측면에 밴드고정수단이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 베이스의 둘레 및 내부에 위치한 고정부에 밴드를 연결한 밴드고정수단을 임의의 위치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밴드의 형태를 자유롭게 연출가능하게 되어 취향이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다양한 운동이나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 디자인을 갖고자 할 때 종류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베이스나 밴드 중 어느 한쪽이 못쓰게 되면 신발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신발구입비용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와 밴드가 분리 가능하므로 신발 세척이 용이하고 건조 및 청소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인 경우라도 발의 크기에 맞추어 베이스 외측에 별도의 외측베이스를 연결 고정함으로써, 신발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어 신발의 재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조립형 신발은 신발창과 신발의 외형을 이루며 발을 감싸는 밴드 또는 갑피 부분으로 구성된다. 신발창은 통상의 아웃솔(out sole, 50)과 상기 아웃솔에 접착되는 미드솔(mid sole, 10) 및 착용자의 발 바닥에 직접 닿는 소프트한 재질의 인솔(in sole, 40)의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미드솔만으로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신발의 외형을 이루는 밴드(30)와 상기 신발창과 상기 밴드를 연결하는 밴드연결소자(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밴드(30)는 갑피, 천, 고무나 신축성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조립식 신발은 상기 아웃솔(50), 미드솔(10) 및 인솔(40)로 구성된 결합 형태의 신발창과 별도의 신발굽(60)으로 조립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부품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필요하다. 체결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미드솔(10) 및 아웃솔(50)은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드솔(이하 '베이스'라 칭함)은 상기 인솔 및 아웃솔과 반드시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이하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식 신발의 제 1 실시예는 구두, 슬리퍼와 같이 베이스의 두께가 얇은 경우 밴드고정수단이 베이스내 측면삽입방식으로 고정되는 형태이다. 발바닥과 면접하는 발을 지지하는 베이스(10)와,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10)에 연결 고정되는 밴드(30) 및 상기 밴드(30)와 베이스(10)를 연결하는 밴드고정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면 또는 측면에 밴드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부(11)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그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부(11)는 착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면서 여러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게끔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밴드고정수단(20)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 가운데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밴드고정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위치한 고정부(11)내로 삽입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밀어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부(11)내로 삽입되는 경우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고정수단(20)은 밴드(30)의 선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고정부(11) 가운데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구조로서 그 형태의 제한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밴드고정수단(20)은 베이스의 고정부(11)내로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는 삽입부(21)와 밴드(30)와 연결되는 연결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베이스(10)의 어느 고정부(11)에 고정되더라도 밴드(30)는 밴드고정수단(20)에 의해 최적의 상태를 가질 뿐 아니라,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발등과 밴드(30)가 상호 접할 때, 발등의 형상에 맞도록 전환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신발의 제 2 실시예는 쪼리와 같이 베이스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밴드고정수단이 베이스 상면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형태이다. 베이스(10) 내 고정부(11)는 도 2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삽입되는 방식이 아닌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하는 방식에 따른다. 따라서, 모든 고정부(11)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베이스(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부(11)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1)의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상기 고정부(11)내로 삽입되는 삽입부(21)와 밴드(30)를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하는 밴드고정수단(20)을 포함한다.
밴드고정수단(20) 역시 고정부(11)와 대응하여 고정 가능한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고정수단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삽입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며, 체결시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삽입부 외면과 고정부 내에 각각 다른 형태의 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밴드고정수단의 제 1실시예는 삽입부(21a) 외측 일면에 위치한 체결수단(211a) 부분이 고정부(11a) 내면의 양측에 위치한 홈(111a) 중 어느 하나에 들어가면서 베이스와 밴드가 결합 되는데, 단순히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서는 결합이 분리되지 않고 체결수단의 반대방향으로 밀어 잡아당겨야 분리되는 삽입체결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21a)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하고, 상기 체결수단(211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형태로 하며, 상기 고정부(11a)는 양측에 홈(111a)이 있어 삽입부(21a)의 삽입방향에 제한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와 연결부(22)는 돌기-홈 체결방식으로 고정졀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22)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고정 돌기(221)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연결부와 만나는 위치에 홈이 있어 돌기-홈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른 변형 형태로는 상기 연결부에 복수개의 홈(221)이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면 상기 삽입부(21)의 연결부분은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돌기-홈 결합방식은 상기 삽입부(21)가 상기 고정부(11)내에서 결합하는 방식과 달리 고정결합으로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 및 고정 홈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밴드고정수단의 제 2실시형태는 삽입부(21b)의 외측 일면에 홈(211b)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11b)는 그 내부 양면에 체결수 단(111b)이 위치하면서 상기 삽입부(21b)가 상기 고정부(11b)내로 삽입할 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단순히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서는 상기 베이스와 밴드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고, 체결수단(111b)의 반대 방향으로 밴드고정수단 또는 밴드를 밀어당겨야 분리되는 삽입체결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21b)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하고, 상기 고정부(11b)는 양측에 체결수단(111b)이 있어 삽입부(21b)의 삽입방향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밴드고정수단(20)은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됨 없이 상기 기술사상과 그 작용효과가 동일하다면, 기타 다른 구조로의 변형 설계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는 고정부에 나사 형태로 체결될 수 있거나, 다른 형태의 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와 연결부는 다양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밴드와 베이스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수단임과 동시에 베이스에서 착탈 가능하여 복수 개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실시예 역시 발바닥과 면접하여 발을 지지하는 베이스(10)와, 인체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에 연결 고정된 밴드(30) 및 상기 밴드(30)와 베이스(10)를 연결하는 밴드고정수단(70)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고정부(11)는 상기 밴드고정수 단(70)의 삽입부(71)의 형태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11)는 상기 베이스(10)의 두께에 따라 상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거나 상면 및 측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와 밴드(30)를 연결하는 밴드고정수단(70)은 원형형태의 삽입부(71)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결부(72)와 상기 연결부와 밴드의 선단을 연결하는 밴드고리(74)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밴드고정수단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고정수단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밴드고정수단(70)은, 고정부(11)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71)와, 상기 삽입부(71)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7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72)에는 수평 방향으로 축홀(7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30)는 일측 선단이 대략 사각 형태의 밴드고리(74)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밴드고리(74)는 상기 축홀(73)에 끼워져서 상기 축홀(7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은 밴드고정수단(70)은 연결부(72)가 수평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밴드고리(74)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71)가 베이스(10)의 어느 고정부(11)에 고정되더라도 밴드(30)는 최적의 방향성을 가질 뿐 아니라, 슬리퍼를 착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발등과 밴드(30)가 상호 접할 때, 발등의 형상에 맞도록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 상태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식 신발은 사용자가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혹은 청소년인 경우 발의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베이스(1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0)의 외주 면에 별도의 외측베이스가 장착되며, 베이스(10)의 외주 면에는 상기 외측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구비된다.
상기 외측베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측베이스(80a)와 타측 외측베이스(80b)로 분절되고, 각 외측베이스(80a)(80b)의 내면에는 상기 홈(12)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돌기(84a)(84b)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밴드고정수단이 안착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8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 외측베이스(80a)(80b)가 각각 베이스(10)의 외주 면을 감싼 형태로 고정되었을 때,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외측베이스(80a)(80b)의 선단에는 결속수단(82)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수단(82)의 구조는 어떠한 형태이든지 각 외측베이스(80a)(80b)가 베이스(10)의 외주 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면 제한이 없고, 일 예로써 일측 외측베이스(80a)에 결속홀(83)이 구비되고, 타측 외측베이스(80b)에는 래칫(RACHET) 면이 형성된 결속띠(82)가 구비되어서, 상기 결속띠(82)가 결속홀(83)에 삽입되면 빠지지 않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한 버클이나 클립 등의 구조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외측베이스(80)를 베이스(10)에 설치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8과 같이 각 외측베이스(80a)(80b)는 내면 전 구간 에 형성된 돌기(84a)(84b)가 베이스(10)의 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속수단, 예컨대 결속띠(82) 및 결속홀(83)의 상호 체결을 통해 베이스(10)의 외주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며, 아울러 발다닥을 지지하는 베이스 면이 확장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베이스(10)와 외측베이스의 각 상면에 형성된 2줄의 고정부(11)(81)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밴드를 임의의 위치(고정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변형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밴드고정수단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고 착용자가 복수 갱의 고정부 가운데 임의로 어느 특정 고정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밴드의 위치를 착용자의 취향이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즉, 선단에 밴드고정수단이 설치된 밴드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이를 고정부가 설치된 베이스에 임의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밴드고정형태의 변형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의 종류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갑피, 천 또는 신축성 있는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형태에 따라 쪼리, 샌들, 운동화 등의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어울리는 장식부품도 별도로 탈부착할수 있다. 상기 베이스 역시 별도 구매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베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연출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 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고정수단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고정수단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변형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변형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12)

  1.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임의의 고정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밴드고정수단을 구비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개수는 상기 밴드고정수단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밴드에 연결 가능하여 상기 밴드의 단부를 결속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외측 일면에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그 내부 양면에 상기 삽입부의 체결수단과 결합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외측 일면에 홈이 있고 상기 고정부는 그 내부 양면에 상기 삽입부의 홈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축홀에 결속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밴드의 단부를 결속한 밴드고리를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 면에 체결되는 외측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베이스는 제 1외측베이스와 제 2외측베이스로 분절되어 각 외측베이스 내면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절된 외측베이스의 이음부에 결속수단이 구비되는 조립식 신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일측 외측베이스에 결속띠가 형성되고, 타측 외측베이스에 상기 결속띠가 삽입 고정되는 결속홀이 형성되는 조립식 신발.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베이스 상면에 밴드고정수단이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가 형성된 조립식 신발.
  12.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베이스 측면에 밴드고정수단이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조립식 신발.
KR2020090005487U 2009-05-07 2009-05-07 조립식 신발 KR200467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87U KR200467014Y1 (ko) 2009-05-07 2009-05-07 조립식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87U KR200467014Y1 (ko) 2009-05-07 2009-05-07 조립식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61U KR20100011161U (ko) 2010-11-17
KR200467014Y1 true KR200467014Y1 (ko) 2013-05-21

Family

ID=4420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487U KR200467014Y1 (ko) 2009-05-07 2009-05-07 조립식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663A (ko) 2015-07-03 2017-01-11 이창민 갑피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328A (ko) * 2010-11-18 2011-12-01 조성극 조립 슬리퍼
KR101327215B1 (ko) * 2012-07-19 2013-11-11 안상필 상부외피 교체가 가능한 샌들
DE202018100824U1 (de) * 2018-02-15 2018-02-21 Benno Reichard Sandale mit lösbarer Bandriemenbefestigung durch Klemmschnallen
KR102523164B1 (ko) * 2021-12-22 2023-04-17 서민성 탈부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슬리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52Y1 (ko) * 2001-04-21 2001-10-12 전경원 착탈식 실내화
KR100879557B1 (ko)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52Y1 (ko) * 2001-04-21 2001-10-12 전경원 착탈식 실내화
KR100879557B1 (ko) 2008-02-21 2009-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탈착 교체 가능한 고정체를 구비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663A (ko) 2015-07-03 2017-01-11 이창민 갑피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61U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014Y1 (ko) 조립식 신발
EP2792263A1 (en) Footwear
US20130255106A1 (en) Assembled footwear
US20240016259A1 (en) Shoe with detachable sock
US20140250725A1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CA2969779A1 (en) Sandal with self-anchoring sole structure
USD576398S1 (en) Footwear
KR20100050273A (ko) 교체가능한 인솔을 갖는 샌들
KR200440030Y1 (ko) 신발
JP6830747B2 (ja) 組立型インソール
KR101233990B1 (ko) 조립 슬리퍼
KR200437192Y1 (ko)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의 하이힐
KR100509657B1 (ko) 조립식 신발
WO2015127728A1 (zh) 可鞋足一体的袜鞋
KR101498683B1 (ko) 샌들
JP5736442B1 (ja) ヒール交換ができる靴
JP2006304865A (ja) 履物
KR20040103263A (ko) 기능성 구두 뒷굽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KR200271359Y1 (ko) 샌들
KR200320733Y1 (ko) 조립식 신발
KR100943661B1 (ko) 치수조절이 가능한 샌들
KR102068301B1 (ko) 자가조립식 신발
JP2010063642A (ja)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