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301B1 - 자가조립식 신발 - Google Patents

자가조립식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301B1
KR102068301B1 KR1020180072738A KR20180072738A KR102068301B1 KR 102068301 B1 KR102068301 B1 KR 102068301B1 KR 1020180072738 A KR1020180072738 A KR 1020180072738A KR 20180072738 A KR20180072738 A KR 20180072738A KR 102068301 B1 KR102068301 B1 KR 10206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iece
self
outsol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658A (ko
Inventor
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제이콥스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콥스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제이콥스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8007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3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8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made of paper or wir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착용시 발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된 표준사이즈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부착되되, 부착된 부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발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갑피연장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외피부; 및 상기 갑피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자가조립식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조립식 신발{self-assembly shoes}
본 발명은 자가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시 발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자가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의 보호를 위해 발에 착용하는 물건을 말한다.
상세히, 상기 신발은 구두, 운동화, 샌들, 슬리퍼 등으로 분류되며, 착용자에 따라 남녀노소할 것 없이 디자인 형태, 발 사이즈, 또는 기능적인 면에서 착용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과 다자인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스타일을 드러낼 수 있는 패션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신발은 일반적으로 아웃솔(outsole: 바닥창)과, 상기 아웃솔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착용자의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끈, 직물 또는 밴드로 형성되는 갑피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신발은 발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신발의 각 사이즈 간에 일정한 치수(일반적으로 약 5~10mm)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신발이 제작된다. 또한, 상기 신발은 발을 감싸 보호하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신발을 착용할 수 있는 상부의 일정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내부 공간이 밀폐된 형태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신발의 사이즈가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일정한 모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디자인 또한 획일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종래의 신발의 사이즈가 길이에 따라서 일정 치수씩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획일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개인의 발의 크기의 맞춤형 신발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신발 착용자에 따라 발볼 크기, 발등 모양 등이 제각기 다르므로 신발을 별도로 더 구입하여야 하거나 맞추어 착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신발 구매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며, 체형에 맞지 않는 신발의 경우 폐기되면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몸체의 외측 테두리부에 다수로 돌출되는 갑피결합돌기를 갖는 아웃솔과; 상기 갑피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다양한 패턴 변형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갑피를 포함하는 슬리퍼가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슬리퍼는 갑피의 조절범위가 미리 제공되기 때문에 신발의 형태를 변경할 수 없었다. 즉, 갑피를 이루는 끈 또는 밴드의 위치변경은 가능하지만 착용자가 원하는대로 실질적으로 가공 및 절단할 수 없는 구조이다.
더욱이, 종래의 신발은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제작 및 판매되었다. 따라서, 각 구매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여 구매욕구 및 구매 후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11-012932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시 발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자가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된 표준사이즈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부착되되, 부착된 부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발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갑피연장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외피부; 및 상기 갑피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외피부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갑피연장부는 절개라인을 따라 절개되되, 상기 부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외측단을 향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개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피스부는 발꿈치 상부를 감싸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후면 피스부와, 발가락, 발 측면, 그리고 상기 발의 상면을 감싸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의 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체되어 연장되는 전측면 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피스부는 상호 교차하여 발목을 감싸면서 끝단부가 상기 전측면 피스부 및 다른 후면 피스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길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립식 신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피스부의 단부에는 경유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각 상기 경유공을 통과하여 상기 절개피스부를 상기 발의 상부에 고정하는 연결끈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는,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절개피스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를 포함하는 벨크로 결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일체형 외피부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발의 외부 프로파일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며, 착용자가 상기 발의 측면에서 상기 일체형 외피부를 절단하여 가공하거나, 상기 일체형 외피부를 다양한 형태로 묶어 스스로 변형하여 조립 내지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개성을 표출하여 독창적이며, 하나의 제품으로 상기 착용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키시는 다양한 형태의 자가조립식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아웃솔과 상기 일체형 외피부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종래의 신발의 생산라인보다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각 상기 절개피스부의 단부를 손쉽게 견인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목에서 고정될 시 피팅된 상태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넷째, 착용자가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을 착용할 경우에 한해서 상기 발의 상부에서 상기 일체형 외피부가 결합되고,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을 착용하지 않을 때는 펼침상태로 유지되므로 보관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립식 신발(100)은 아웃솔(10), 일체형 외피부(20), 연결수단(30), 그리고 인솔(50)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웃솔(10)은 지면과 접촉되는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의 밑바닥 부재를 말하며, 보행시 지면과의 충격을 최소화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쿠션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천연고무 내지 라텍스, 부틸고무 등의 합성고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과 상기 발바닥의 굴곡진 프로파일에 대응할 수 있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반강체(semi-rigi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솔(10)은 기설정된 표준사이즈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아웃솔(10)의 양단부가 인체의 발바닥 모양과 유사하게 굴곡이 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표준사이즈는 자가조립식(Do it yourself, DIY) 방식으로 성인 남성 및 여성이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종래의 신발 사이즈에 호환될 수 있는 220~290mm 사이즈 범위로 설정된 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아웃솔(10)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평소 착용하는 사이즈보다 크더라도 상기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상기 일체형 외피부(20)를 조절하면서 발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자가조립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신발은 아웃솔이 각 사이즈 간에 5mm씩 일정한 치수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설정된다. 반면,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의 상기 아웃솔(10)은 하나의 고정된 사이즈를 가지거나 종래의 신발의 아웃솔보다 치수의 범위가 넓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이 향상되고 자원 낭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체형 외피부(20)는 상기 아웃솔(10)의 상면(11)에 부착되며, 상기 아웃솔(10)과 결합되는 부착부(21),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와 갑피연장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갑피연장부(22)는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의 가장자리인 외측단(22b), 절개라인(22a), 그리고 상기 절개라인(22a)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피스부(24)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의 기본적인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일체형 외피부(20)는 상기 착용자의 발의 전체적인 외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이라면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21)는 상기 아웃솔(10)과 실질적으로 밀착하므로 상기 아웃솔(10)의 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갑피연장부(22)는 상기 아웃솔(10)이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형성된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발목(fa), 발의 상부(fb), 발의 측면(fc), 그리고 발꿈치 상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갑피연장부(22)는 상기 착용자의 외력에 의해 조절시 상기 발 외면에 밀착되도록 유연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가죽, 인조가죽, 피혁 또는 합성섬유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개라인(22a)은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로부터 상기 갑피연장부(22)의 상기 외측단(22b)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갑피연장부(22)는 상기 절개라인(22a)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로부터 외측단(22b)을 향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절개피스부(24)로 분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에서는 상기 절개라인(22a)이 상기 아웃솔(10)과 부착되기 전에 상기 절개라인(22a)을 따라 절개된 상태로 표시되었지만, 상기 절개라인(22a)은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갑피연장부(22)가 부착된 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절개라인(22a)의 간격은 일정하게 설정되되, 제조 공정에서 그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솔(10)의 상면(11)은 인체의 굴곡진 상기 발바닥 및 상기 발의 측면(fc)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21a)는 상기 아웃솔(10)의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기설정된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일체형 외피부(20)가 상기 아웃솔(10)의 상면(11)에 부착된 후 상기 절개라인(22a)이 형성되면, 상기 테두리부(21a)가 상기 아웃솔(10)의 오목한 홈 깊이만큼 보정된 후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라인(22a)은 상기 테두리부(21a)를 따라서 절개되어 상기 절개피스부(24)로 분할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갑피연장부(22)를 상기 절개라인(22a)을 따라 선절개한 후 부착시 상기 여유공간이 없으면 상기 절개라인(22a)이 상기 아웃솔(10)의 오목한 홈 깊이만큼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에서의 절단 위치가 불분명해져 상기 착용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절개라인(22a)에 의해 절개된 상기 절개피스부(24)와 상기 아웃솔(10) 사이에서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부착부(21)가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절개라인(22a)이 상기 아웃솔(10)의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테두리부(21a)에는 여유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유공간은 상기 아웃솔(10)의 오목한 홈 깊이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와 상기 절개라인(22a)은 상기 착용자가 절단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절개피스부(24)를 용이하게 절단 할 수 있어 조립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은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일체형 외피부(20)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절개라인(22a)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신발의 생산라인보다 단순화된 과정이므로 공정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피스부(24)는 절단되었을 때,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와 상기 절개라인(22a), 그리고 상기 절개라인(22a) 사이의 피스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피스부(24)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 상기 절개피스부(24)가 상기 발을 감싸 보호하는 신발의 외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는 상기 절개피스부(24)가 상기 절개라인(22a)을 따라 절개된 상태로 표시되었지만, 상기 절개피스부(24)는 상기 아웃솔(10) 및 상기 일체형 외피부(20)가 부착되어 시판 된 후 상기 착용자에 의해 상기 절개라인(22a)을 따라 분할 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피스부(24)는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후면 피스부(24a)와, 상기 테두리부(21a)의 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체로 연장되는 전측면 피스부(24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후면 피스부(24a)는 상기 부착부(21)의 테두리부(21a)의 후면부에서 절곡되어 발꿈치 상측 외면을 상호 교차하여 상기 발의 전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발목(fa)을 감싸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발꿈치 상측 외면이라 함은 인체의 발꿈치와 상기 발목(fa) 사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오목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신발을 착용시 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 피스부(24a)의 단부(24c)는 인접한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의 단부(24c) 또는 다른 상기 후면 피스부(24a)의 단부(24c)와 상기 연결수단(30)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면 피스부(24a)는 상기 발꿈치 상측 외면 밑 상기 발목(fa)을 감싼 후, 상기 발목(fa)의 전면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솔(10)을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의 전면부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부착하여 상기 후면 피스부(24a)가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보다 길게 형성되되도록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아웃솔(10)을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의 중앙에 위치시켜 부착 후 상기 후면 피스부(24a)의 단부(24c)에 별도의 피스를 덧대어 연장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는 상기 후면 피스부(24a)가 감싸지 않는 상기 발의 나머지 부분인 상기 발가락, 상기 발의 상부(fb), 그리고 상기 발의 측면(fc)을 모두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발가락과 인접한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는 상기 발가락의 상면을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 상기 발가락 상면에서 상기 연결수단(30)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발가락과 인접한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는 상기 착용자의 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자가 상기 자가조립용 신발(100)을 샌들로 이용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 발가락의 통풍을 위해 필요없다고 판단할 시 절단 및 분리되어도 무관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의 측면(fc)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는 상기 발가락 및 상기 발꿈치 상측 외면을 제외한 발의 부분을 감싸며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의 측면(fc)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는 상기 발가락과 인접한 상기 절개피스부(24)와 동일하게 상기 착용자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측면 피스부(24b)가 상기 연결수단(30)에 의해 고정될 시 종래의 신발과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하므로 외부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발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은 하나의 형태의 신발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신발과 달리 종래의 신발의 갑피에 해당하는 상기 절개피스부(24)를 상기 착용자에 의해 절단되며 슬리퍼, 샌들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착용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을 슬리퍼로 활용하고 싶을때, 상기 착용자는 상기 발가락과 인접한 발의 측면에 일체된 상기 절개피스부(24)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절개피스부(24)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30)은 상기 발의 측면(fc)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에서만 결합하여 상기 발의 상부(fb)에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갑피연장부(22)가 상기 발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착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사이즈에 대응하는 별도의 신발을 추가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며, 상기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을 고정할 수 있는 상기 연결수단(30)은 연결끈(31) 및 경유공(32), 또는 벨크로 결합부(3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끈(31)은 종래의 신발끈과 마찬가지로 직물이 여러겹으로 겹쳐진 구조로 형성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끈(31)은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며 종래의 신발끈과 호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끈(31)은 종래의 신발끈과 교체가능하여 상기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유공(32)은 상기 연결끈(31)으로 복수개의 상기 절개피스부(24)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에서는 상기 경유공(32)이 상기 단부(24c)에 실질적으로 형성된 상태로 표시되었지만, 상기 착용자가 상기 절개피스부(24)의 길이를 조절한 후 직접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에 상기 경유공(3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각 상기 발의 측면(fc)의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가 상기 발의 상부(fb)에서 서로 대응하였거나 교차하였을 때, 상기 연결끈(31)은 각 상기 경유공(32)을 관통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착부(21)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연장된 각 상기 절개피스부(24)가 상기 발의 측면(fc) 및 상기 발의 상부(fb)를 감싸도록 배치되면, 각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에 형성된 상기 경유공(32)이 상기 발의 상부(fb)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끈(31)은 상기 각 경유공(32)을 지그재그로 관통하며 상기 발의 상부(fb)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는 상기 연결끈(31)에 의해 견인되며 상기 발의 측면(fc)을 감싸고 상기 발의 상부(fb)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끈(31)이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각 상기 절개피스부(24)를 상기 착용자의 발의 외면 프로파일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피스부(24a)가 상기 발꿈치 상측 외면을 교차로 감싼 후 발목의 전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연결끈(31)은 상기 마지막 전측면 피스부(24b)의 경유공(32)과 상기 후면 피스부(24a)의 경유공(32)을 통과하여 발목에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의 상부(fb)에서 상기 경유공(32)을 중첩시켜 상기 연결끈(31)이 하나의 상기 경유공(32)을 통과하여 상기 발목(fa)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은 상기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연결 방법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착용자의 발볼이 기설정된 표준화 사이즈보다 크거나 상기 착용자가 여유있게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을 신고자하면 상기 경유공(32)을 상호 중첩하지 않고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끈(31)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착용자의 발볼이 기설정된 표준화 사이즈보다 작거나 상기 착용자가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을 더 긴밀하게 발에 밀착됨을 요구할 때 상기 경유공(32)을 상호 중첩하여 상기 연결끈(31)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끈(31)을 느슨하게 조절할 경우,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절개피스부(24)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발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끈(31)을 조일 경우,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절개피스부(24)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어 상기 발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시간이 길어져 상기 발이 붓거나 컨디션에 따라 상기 발의 사이즈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연결끈(31)을 조이고 풀면서 항상 편안하고 밀착감있게 착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끈(31)은 상기 착용자의 발의 상태, 모양,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 모양에 따라 추가적인 신발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 결합부(33)는 상기 절개피스부(24)의 양단부(24c)의 하면과 상면에 각 각 구비된 암벨크로(33a)와 수벨크로(33b)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암벨크로(33a)와 상기 수벨크로(33b)는 상호 부착되거나 탈착되므로 상기 절개피스부(24)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암벨크로(33a)는 섬유 재질이 털처럼 엉켜있는 것처럼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되, 각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수벨크로(33a)는 합성수지 재질의 돌기가 형성되되, 각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의 상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암벨크로(33a)와 상기 수벨크로(33b)가 맞닿을때, 상기 수벨크로(33b)의 돌기 부분이 상기 암벨크로(33a)의 엉켜있는 표면과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벨크로 결합부(33)는 상기 착용자의 발에 밀착되도록 조이면서 손쉽게 분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개피스부(24)는 상기 연결끈(31)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상기 벨크로 결합부(33)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웃솔(10)은 성인의 발사이즈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지만, 아이의 발 크기(발 사이즈 220mm이하)에 맞는 상기 아웃솔(10)의 상면(11)에 상기 일체형 외피부(20)를 부착하여 아이용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아이가 쉽게 신고 벗을 수 있게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끈(31)보다는 상기 벨크로 결합부(33)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수단(30)을 이용하여 각 상기 절개피스부(24)의 단부(24c)를 손쉽게 견인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목(fa)에서 고정되면 피팅된 상태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한편, 종래의 신발은 착용할 수 있는 상부의 일정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각 신발의 부피만큼의 보관면적을 필요로 하며, 신발이 많을수록 보관면적이 넓어져 별도의 수납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은 상기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을 때는 상기 발에 긴밀하게 상기 일체형 외피부(20)가 밀착되지만,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을 착용하지 않을때는 상기 일체형 외피부(20)가 도 2와 같은 펼침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은 종래의 신발보다 보관면적을 최소화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솔(50)은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바닥을 지지하되, 상기 착용자의 하중에 의한 상기 아웃솔(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착용자의 하중에 의한 충격이 흡수되도록 강도를 가지며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솔(50)은 상기 아웃솔(10)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설정된 표준사이즈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솔(50)은 상기 갑피연장부(22)가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소재일 경우 생략 가능한 부속품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착용자의 용도에 따라 키높이 깔창, 발 모양 교정 깔창 등의 기능을 갖는 종래의 인솔으로 대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자가조립식 신발(100)의 상기 일체형 외피부(20)에 부착된 상기 아웃솔(10)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상기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종래의 신발 부재와 교체될 수 있으며, 개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심미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아웃솔 11: 상면
20: 일체형 외피부 21: 부착부
21a: 테두리부 22: 갑피연장부
22a: 절개라인 22b: 외측단
24: 절개피스부 24a: 후면 피스부
24b: 전측면 피스부 24c: 단부
30: 연결수단 31: 연결끈
32: 경유공 33: 벨크로 결합부
33a: 암벨크로 33b: 수벨크로
fa: 발목 fb: 발의 상부
fc: 발의 측면 50: 인솔
100: 자가조립식 신발

Claims (5)

  1. 기설정된 표준사이즈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부착되되, 부착된 부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발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갑피연장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외피부; 및
    상기 갑피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외피부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갑피연장부는 절개라인을 따라 절개되되, 상기 부착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외측단을 향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개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피스부는
    발꿈치 상부를 감싸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후면 피스부와,
    발가락, 발 측면, 그리고 상기 발의 상면을 감싸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의 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체되어 연장되는 전측면 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피스부는 상호 교차하여 발목을 감싸면서 끝단부가 상기 전측면 피스부 및 다른 후면 피스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길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립식 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피스부의 단부에는 경유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각 상기 경유공을 통과하여 상기 절개피스부를 상기 발의 상부에 고정하는 연결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립식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절개피스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를 포함하는 벨크로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립식 신발.
KR1020180072738A 2018-06-25 2018-06-25 자가조립식 신발 KR10206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738A KR102068301B1 (ko) 2018-06-25 2018-06-25 자가조립식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738A KR102068301B1 (ko) 2018-06-25 2018-06-25 자가조립식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58A KR20200000658A (ko) 2020-01-03
KR102068301B1 true KR102068301B1 (ko) 2020-01-20

Family

ID=6915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738A KR102068301B1 (ko) 2018-06-25 2018-06-25 자가조립식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3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328A (ko) 2010-11-18 2011-12-01 조성극 조립 슬리퍼
JP6288743B2 (ja) * 2013-09-13 2018-03-07 ナイキ イノヴェイト シーヴィーNike Innovate C.V. 一体化ニット輪郭部分を備えた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US9872537B2 (en) * 2014-04-08 2018-01-23 Nike, Inc.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lightweight, selectively supported textile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58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0635B1 (en) Tight-binding structure for footwear
US1025144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mproved arch support
JP5313371B2 (ja) 複数ピースのミッドソールを有する履物
US8516719B2 (en) Article of footwear construction with binding portions
US20200268103A1 (en) Modular shoe system
US7861438B2 (en) Footwear with free floating upper
US20080052960A1 (en) Footwear construction
US20130255106A1 (en) Assembled footwear
JP2006122718A (ja) 靴の組み立て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靴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120304493A1 (en)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US11160326B2 (en) Component shoe
JP4616340B2 (ja) 3点履物
US20210274881A1 (en) Toe Guider Device for Footwear
JP5655073B2 (ja) 溝が形成された鼻緒部を有する履物
KR102068301B1 (ko) 자가조립식 신발
CA2957924C (en) Shoe with flexible upper
US11452341B2 (en) One piece footwear
EP0748596A1 (en) Ankle supporting device,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JP4157815B2 (ja) 靴用装飾部品及びこれを使用する婦人靴
KR101179978B1 (ko) 신발
KR200313713Y1 (ko)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KR20190066717A (ko) 발뒤꿈치 보강단이 신축성을 갖는 신발
TWM574844U (zh) 鞋具結構
WO2008113077A1 (en) Shoe with reduced length innersole and smooth transition in flex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