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713Y1 -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 Google Patents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713Y1
KR200313713Y1 KR20-2002-0037674U KR20020037674U KR200313713Y1 KR 200313713 Y1 KR200313713 Y1 KR 200313713Y1 KR 20020037674 U KR20020037674 U KR 20020037674U KR 200313713 Y1 KR200313713 Y1 KR 200313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shoe
dimensional
length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김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민 filed Critical 김동민
Priority to KR20-2002-0037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내부에 부착되어 신발의 치수를 조절하는 치수보정물(12)과 그 치수보정물(12)이 부착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에 코싸개(1)에서부터 좌우 측면갑피(4)를 거쳐 후면갑피(3) 까지 깔창(5)을 갖추고 신발등(2)이 없는, 부분적으로 신발의 내부와 일치하고 신발과의 분리가 가능한 치수보정물(12)을 부착함으로써 신발의 치수를 줄였다가, 필요에 따라 이 치수보정물(12)을 제거하여 신발의 치수를 넓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여 영아기때부터 청소년때 까지 발이 계속해서 성장하는 시기에, 멀정한 신발을 작아서 버리고 새것을 구입해야 하는 일 없이 한 켤레를 계속해서 사용함으로써 가정의 경제적인 손실과 국가의 자원의 낭비를 막고자 하는 데 이 고안의 의미가 있다.

Description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Footwear}
사람의 신체가 성장하는 시기 동안 발도 계속해서 성장하며, 중, 고등학교때 까지는 그 신체적 성장의 속도가 상당히 빨라서 그 시기까지의 자녀에게는 그 자녀에게 필요한 옷이나 신발 등을 구입하여 입히기가 상당히 망설여 진다.
특히나 영아기 때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 까지는 신체의 성장은 다른 시기보다 빠르나 심한 움직임이 적어, 대부분의 경우 옷이나 신발이 헤어지거나 더러워져서 못 입거나 못 신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성장 속도가 빨라 옷이나 신발이 작게 되어 멀쩡한 옷이나 신발을 버리고 새로 구입해야 하는 형편이다.
그나마 옷은 조금 큰 것을 구입하여 한 두해는 더 입힐 수가 있지만 신발은 발보다 커게 되면 발을 다치기 때문에 발에 맞추어 구입할 수 밖에 없어, 연령에 따라 몇 개월에서 매년마다 신발을 새로 구입하여야 되기 때문에 가정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생기고 국가적으로는 자원의 낭비가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하여 신발의 내부에, 신발의 길이를 결정하는 코싸개(1) 부분과 뒷꿈치의 후면갑피(3)부분, 신발의 넓이를 결정하는 좌우의 측면갑피(4) 부분, 그리고 높이를 결정하는 바닥의 깔창(5) 부분에 신발과의 분리가 가능한, 하나의 치수보정물(12) 또는 각 구성 부분의 분리가 가능한 한겹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된 치수보정물(12)을 부착하여, 발이 커지면 치수보정물(12)을 한겹씩 제거하여 신발 내부를 확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신발의 치수를 크게 만들어서 발이 커가는 데 상관없이 신발 한 켤레를 계속해서 착용 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도 1은 신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고안에 의한 치수보정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매직테이프가 형성된 내패딩과 갑피상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신발과 치수보정물의 똑닥이단추에 의한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각 구성물이 분리되어 있는 치수보정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두겹 이상으로 형성되는 치수보정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싸개 2. 신발등
3. 후면갑피 4. 측면갑피
5. 깔창 6. 매직테이프
7. 내패딩 8. 앞길이보정
9. 뒤길이보정 10. 넓이보정
11. 높이보정 12. 치수보정물
13. 똑닥이단추 14. 갑피상단
보통 사이즈라고 하는, 착용하는 신발의 치수는 신발 외부의 길이가 아니라 신발 내부의 길이이며, 대개의 경우 신발의 길이에 의해 신발의 넓이나 높이는 자동으로 결정된다.
즉, 신발의 치수가 커지면 신발의 길이와 넓이, 그리고 높이는 일정 비율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신발 치수의 변화에 따른 길이와 넓이, 그리고 높이의 변화는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신발 내부의 코싸개(1) 부분과 뒤꿈치 부분에 길이 치수를 보정할수 있는 길이보정(8,9)물을 부착한다면 신발의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발의 좌우측 측면갑피(4)에 널이 치수를 보정할 수 있는 넓이보정(10)물을 부착한다면 신발의 폭을 보정할 수 있고 바닥의 깔창(5)에 높이 치수를 보정할 수 있는 높이보정(11)물을 부착한다면 신발의 높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보정(8,9,10,11)물을 한꺼번에 설치한다면 신발의 치수를 줄일 수 있고, 반대로 신발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 보정(8,9,10,11)물을 제거할 수 있다면 신발의 치수를 늘릴 수 있다.
본 고안은 미리 내부에 치수보정물(12)이 부착되어 치수가 작아져있는 신발을, 발이 커감에 따라 그 치수보정물(12)을 제거하여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신체의 성장이 빠르고 따라서 발의 크기 또한 급속도로 커지는 어린이들이 멀쩡한 신발을 발보다 치수가 작게 되어 착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신발의 내부를 표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내부에 부착되어 치수 조절이 가능한 치수보정물(12)을 표현한 것으로, 치수보정물(12)의 구성은, 도1의 신발의 코싸개(1)에 대응하여 코싸개(1)에 밀착 형성되는 앞길이보정(8)과 뒤꿈치의 후면갑피(3)에 대응하여 거기에 밀착 형성되는 뒤길이보정(9)으로 이루어지는 길이보정(8,9);,
신발의 좌우 측면갑피(4)에 대응하여 밀착 형성되는 넓이보정(10);,
그리고, 신발의 깔창(5)에 대응하여 밀착 형성되는 높이보정(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길이보정(8)은 길이 치수 조절을 담당하기 때문에 신발등(2)부분으로 올라올 필요가 없고, 오히려 그럴 경우에는 신발을 착용할 때 발가락에 걸려 불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신발의 앞 쪽에서 깔창(5)과 신발등(2) 사이, 즉 발가락 앞 부분이 닿는 코싸개(1)에 밀착되는 구조로 된다.
뒤길이보정(9)은 신발의 후면갑피(3)에 대응하여 앞길이보정(8)과 같이 신발의 길이 치수 보정을 담당하는 것으로 넓고 높게 후면갑피(3)에 부착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넓이보정(10)은 신발의 깔창(5)과 신발등(2)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갑피(4)에 밀착되어 앞길이보정(8)과 같이 신발의 앞 부분에서는 신발등(2)으로 올라오지 않고 신발의 뒤쪽 측면에서 위로 비스듬히 뒤길이보정(9)의 상단과 연결되는 구조로 된다.
높이보정(11)은 신발 바닥의 깔창(5)에 포개어져 있는 또 다른 깔창(5)과 같은 구조로 된다.
도 3은 매직테이프(6)가 형성된 내패딩(7)과 갑피상단(14)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신발과 치수보정물(12)이 똑닥이단추(13)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치수보정물(12)을 그냥 신발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앞길이보정(8)과 넓이보정(10)은 신발을 착용하여 신발끈 등으로 신발등(2)을 조일때 자동으로 상단을 조여 신발에 밀착되나, 뒤길이보정(9)의 상단과 넓이보정(10)의 상단에서는 갑피상단(14)과의 사이가 벌어질 수가 있어 신발을 착용할 때 뒤길이보정(9)과 넓이 보정(10)이 구겨질 경우가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으며 신발의 내부에서 뒤길이보정(9)이 신발과 따로 움직일 수도 있다.
이것은 도 3이나 도 4에서와 같이, 내패딩(7)과 갑퍼상단(14), 그리고 뒤길이보정(9)의 상단의 양면과 넓이보정(10) 상단의 양면에 매직테이프(6)를 형성하거나, 또는 매직테이프(6) 대신에 똑닥이단추(13)를 형성하여 내패딩(7)으로 뒤길이보정(9) 상단과 넓이보정(10) 상단을 감싸는 구조로 하면 견고하면서도 깔끔한 연결이 될 수 있다.
똑닥이단추(13)를 사용할 때 주의 할 것은 발이 커서 치수보정물(12)을 제거해야 할 경우에 대비하여 똑닥이단추(13)의 볼록한 부분이 뒤길이보정(9)에 형성되고 오목한 부분이 후면갑피(3)에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도 5는 도 2의 치수보정물(12)을 각각의 구성물, 즉 앞길이보정(8)과 뒤길이보정(9), 넓이보정(10) 그리고 높이보정(11)으로 분리해 놓은 것이다.
사람마다 신체부위의 길고 짧고 굵고 가늘기가 다르 듯이 발 또한, 넓이가 넓은 사람, 발등이 높은 사람, 또는 발의 길이만 긴 사람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획일적으로 각 부분별 치수가 정해져있는 유형의 신발을 계속 신게하는 것은 대단히 불편할뿐더러 발의 올바른 성장에도 좋지 않고 건강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치수보정물(12)을 각 부분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여 원하는 부분의 치수를 더 넓히거나 좁혀서 발에 알맞은 신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의한 분리된 각각의 보정물(8,9,10,11)은 그 각각의 연결되는 부분에 도 3에 의한 매직테이프(6)나 도 4에 의한 똑닥이단추(13)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치수보정물(12)이 두겹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신발의 치수는 대개 5mm 단위로 결정되는 데, 길이보정(8,9)과 넓이보정(10)은 신발의 앞뒤와 좌우의 양측에서 조절을 하므로 치수보정물(12)의 두께가 약간만 두꺼워 져도 신발의 치수는 많은 차이가 날 수가 있다.
또한 치수보정물(12)의 재료는 신발의 깔창(5)이나 내피의 재료로 흔히 사용되는 수지나 우레탄 등의 가벼운 물질을 사용하면 되므로 무게에 대한 부담이 없고, 신발의 높이 치수는 신발 끈 등의 조임에 따라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치수보정물(12)의 길이보정(8,9)과 넓이보정(10) 부분에 분리가 가능한 또 하나의 길이보정(8,9)과 넓이보정(10)을 겹쳐준다면 신발의 치수를 더 다양하고 크게 늘릴 수 있어 신발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 또한 늘어나게 된다.
치수보정물(12)에 또 하나의 치수보정물(12)을 겹칠 때 주의할 것은 신발의 코싸개(1)부분의 앞길이보정(8)과 측면갑피(4)부분의 넓이보정(10)은 그 형성되는 폭이 좁기 때문에, 서로 분리가 가능하되 연결하여 착용시에는 서로 분리되어 구겨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도 6에서와 같이 겹쳐지는 치수보정물(12)의 폭이 기존의 치수보정물(12)의 폭보다 작고 높이를 보정하는 깔창(5)부분이 없게하여 기존의 치수보정물(12)과 신발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로 하면, 서로 겹쳐져 있을 때에는 겹쳐지는 치수보정물(12)은 신발과 기존의 치수보정물(12) 사이에 완전 밀착되고, 분리할 때에는 겹쳐진 치수보정물(12)을 먼저 제거하면 신발을 착용했을 때 기존의 치수보정물(12)이 신발쪽으로 벌어져 내부를 커지게 한다.
이러한 치수보정물(12)과 치수보정물(12)을 부착한 신발은 신체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발도 급속히 성장하여 신발이 작아져 몇 개월마다 멀쩡한 신발을 버리고 새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과 자원의 낭비를 없애고, 특히, 신발의 외관을 바꾸지 않고 무게또한 거의 변동이 없어, 운동화나 실내화, 등산화, 그리고 구두등에도 적용 가능한 치수보정물(12)과 치수보정물(12)이 부착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8)

  1. 앞부분을 형성하는 코싸개(1), 뒤부분을 형성하는 후면갑피(3), 좌우를 형성하는 측면갑피(4), 바닥을 형성하는 깔창(5), 그리고 발등을 형성하는 신발등(2)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구조를 가지는 신발;,
    상기 신발의 치수를 조절하는 치수보정물(12)에 있어, 상기 치수보정물(12)은 상기 신발의 내부에서 내부 표면을 따라 길이보정(8,9), 넓이보정(10), 높이보정(11)으로 신발등(2) 부분이 없는 신발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신발의 내부에 부착과 탈착이 가능하게 하여, 부착시에는 상기 신발의 내부에서 상기 코싸개(1)와 상기 후면갑피(3)와 상기 측면갑피(4)와 상기 깔창(5)에 밀착되어 상기 치수보정물(12)의 두께만큼 상기 신발의 내부 용적을 줄였다가, 탈착시에는 원래의 내부 용적을 회복하게 함으로써 상기 치수보정물(12)의 부착과 탈착을 통하여 상기 신발의 치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2. 청구항 1에서, 상기 치수보정물(12)은 상기 신발의 코싸개(1)에는 상기 코싸개(1)에 대응하여 띠가 밀착 형성되어 앞길이보정(8)을 형성하고;,
    후면갑피(3)에는 상기 후면갑피(3)에 대응하여 넓은 판이 밀착 형성되어 뒤길이보정(9)을 형성하고;,
    상기 신발의 좌우측 측면갑피(4)에는 상기 측면갑피(4)에 대응하여 앞길이보정(8)에서 뒤길이보정(9)에 까지 넓은 띠와 판이 밀착 형성되어 넓이보정(10)을 형성하고;
    상기 신발의 깔창(5)에는 상기 깔창(5)에 대응하여 널은 판이 밀착 형성되어 높이보정(11) 을 형성하여:
    상기 길이보정(8,9)과, 상기 넓이보정(10)과, 상기 높이보정(11)이 일체로 되어 치수보정물(12)을 형성하여, 분리가 가능한 연결 수단에 의해 신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3. 청구항 2에서, 상기 치수보정물(12)은, 앞길이보정(8)과, 뒤길이보정(9)과, 넓이보정(10)과, 높이보정(11)이 각각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특정한 보정물(8,9,10,11)을 제거하여, 제거된 보정물(8,9,10,11) 치수만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4. 청구항 2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신발의 내패딩(7)과 상기 내패딩(7)에 대응하는 갑피상단(14)에 매직 테이프(6)가 형성되고, 치수보정물(12)의 뒤길이보정(9) 상단의 양면과 넓이보정(10) 상단의 양면에도 매직테이프(6)가 형성되어, 뒤길이보정(9) 상단과 넓이보정(10) 상단이 내패딩(7)과 갑피상단(14) 사이에 삽입 연결되어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5. 청구항 2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신발이 내패딩(7)과 상기 내패딩(7)에 대응하는 갑피상단(14)과 치수보정물(12)의 뒤길이보정(9)의 양면과 넓이보정(10)의 양면에 똑닥이단추(13)가 형성되어 뒤길이보정(9) 상단과 넓이보정(10) 상단이 내패딩(7)과 갑피상단(14) 사이에 삽입 연결되어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6. 청구항 2에서, 상기 치수보정물(12)은 두 겹 이상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한 겹씩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7. 청구항 6에서, 두겹 이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치수보정물(12)은 최초의 치수보정물(12)과 신발과의 사이에 길이보정(8,9)과 넓이보정(10)만으로 형성되는 다른치수보정물(12)이 한겹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
  8. 신발에 있어, 상기 신발은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치수보정물(12) 중에서 하나의 치수보정물(12)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보정물(12)이 부착된 신발.
KR20-2002-0037674U 2002-12-14 2002-12-14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KR200313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74U KR200313713Y1 (ko) 2002-12-14 2002-12-14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74U KR200313713Y1 (ko) 2002-12-14 2002-12-14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713Y1 true KR200313713Y1 (ko) 2003-05-22

Family

ID=4940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674U KR200313713Y1 (ko) 2002-12-14 2002-12-14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7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775B2 (en) Energy return member for footwear
US5408761A (en) Sport shoe and support system
US6298582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clip
US1025144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mproved arch support
US5465509A (en) Athletic shoe with lateral stabilizer system
US4124946A (en) Built-in insole and article of footwear containing same
US940243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heel member
US8056149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CN105768359B (zh) 用于鞋类的鞋垫
US4053995A (en) Orthopedic shoe
US5452527A (en) Shoe for a foot cast
JPH0815442B2 (ja) 改良された周囲長の調整可能な靴構造
US20230389654A1 (en) Orthopedic insoles for use in open footwear
KR20160147227A (ko) 크기 조절 가능한 맞춤 신발
AU2003205324B2 (en) Sock with an ankle-located support
US20120137540A1 (en) Composite sole assembly
EP3439498B1 (en) Post-operative shoe
US2780013A (en) Footwear
AU2003205324A1 (en) Sock with an ankle-located support
CA2957924C (en) Shoe with flexible upper
KR200313713Y1 (ko) 치수보정물과, 치수보정물이 부착된 신발
WO2020205631A1 (en) Non-slip footwear for prolonged use
KR200180616Y1 (ko) 크기가 조절되는 어린이용 운동화
KR20200000658A (ko) 자가조립식 신발
WO2001067906A1 (en) Sports shoe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