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011Y1 - 발가락 교정구 - Google Patents

발가락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011Y1
KR200390011Y1 KR20-2005-0011064U KR20050011064U KR200390011Y1 KR 200390011 Y1 KR200390011 Y1 KR 200390011Y1 KR 20050011064 U KR20050011064 U KR 20050011064U KR 200390011 Y1 KR200390011 Y1 KR 200390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pacer
spacers
to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Original Assignee
임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규 filed Critical 임재규
Priority to KR20-2005-0011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지외반증 등 발가락의 간격이 비정상적인 발가락을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발가락 사이에 게재되고 양측면에 발가락형상과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발가락 교정구는 착용자의 발가락의 굵기 및 크기에 따라 발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발가락이격부재의 표준화 제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대량생산 및 생산코스트를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목 등을 압박하지 않는 등 착용감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구{TH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TOE}
본 고안은 무지외반증 등 발가락의 간격이 비정상적인 발가락을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발가락 사이에 게재되고 양측면에 발가락형상과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엄지발가락의 뿌리 부분인 제1중족-족지 관절이 안으로 돌출되어 신발과 마찰을 일으켜 통증이 일어나는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평소에 끝이 뾰족한 하이힐 등의 신발을 신는 경우 엄지발가락이 신발 안에서 검지발가락쪽으로 밀려 변형이 일어난다.
이러한 무지외반증의 환자의 경우 걷는 동안 발에 가해지는 충격은 체중의 몇 배 이상의 중량으로 누르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러한 충격에 의하여 상처나 골막염이 일어나기 쉬우며 심한 경우에는 발, 무릎 및 허리 등에 통증이 올 수 도 있어, 이와 같은 무지외반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발가락 교정구가 공개특허공보 제1992-0017626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894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6333호, 등록특허공보 제0420504호,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469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6822호 등이 제안되었다.
그 중 공개특허공보 제1992-0017626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894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6333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0420504호의 발가락 교정기는 엄지발가락을 수용하는 엄지발가락 수용부와,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와 결합되는 발등덮개와, 상기 엄지발가락 수용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발목을 권회하여 상기 발등덮개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고정밴드를 소정의 장력으로 발목을 권회하여 발등덮개에 고정시킴으로서 그 장력에 의하여 엄지발가락이 외측으로 벌려지게 됨으로서 엄지발가락을 교정할 수 는 있으나 소정의 장력으로 발목주위로 고정밴드를 권회시키기 때문에 발목에 압박이 가해지고 심할 경우에는 멍이 들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4697호는 5개의 발가락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발가락 삽입부와, 삽입된 발가락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면서 끼워진 발가락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복수 개의 격리부와, 격리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면서 끼워진 발가락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발가락 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발가락의 교정 및 지압효과는 있으나 격리부에 의하여 발가락 삽입부의 크기가 고정되므로 사람마다 발가락의 굵기, 길이 및 간격이 상이하므로 표준화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6822호는 연질재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류를 이용하여 연결체 하단에 돌기부삽입홈과 발가락이격부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결속가능하게 하고 발가락이격부의 중간에 첨부제삽입공과 양측면에 타원형상의 측면돌출부가 마련되고 그 가운데 통풍구가 통공되어 첨부제삽입공과 연통되어 지고 하나의 연결체에 4개의 발가락이격부가 끼움부에 결속되어 각각 발가락이 삽입할 수 있는 발가락삽입공이 형성된 발가락 교정 통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무지외반증을 예방 내지 교정하여 건강하고 유연한 발을 만들고, 발의 혈행을 촉진하여 퇴화된 발가락의 기능을 부활시킬 수는 있으나 상기 발가락 교정통풍기를 착용할 경우 발가락의 피부에 의하여 상기 통풍구가 막혀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발냄새 제거 및 무좀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착용자의 발가락의 굵기 및 크기에 따라 발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을 조정할 수 있고 교정하고자 하는 정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표준화 제작이 가능하고 대량생산 및 생산코스트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목이 압박되지 않는 등 착용감이 우수하고 발가락을 지압할 뿐만 아니라 발가락사이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발냄새 제거 및 무좀 방지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가락 사이에 게재되고 양측면에 발가락형상과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의 요홈상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는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 중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는 좌측면에 요홈이 형성된 좌측발가락이격부재와 우측면에 요홈이 형성된 우측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좌측발가락이격부재와 우측발가락이격부재사이에 게재되어 발가락이격부재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는 도 2와 같이 복수의 발가락 이격부재(30)와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a는 발가락 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상기 발가락 이격부재(30)는 발가락 사이에 게재되어 발가락을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a와 같이 양측면에는 발가락형상과 대응되는 요홈(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서는 상기 관통공(312)을 상측에 형성시켰으나 하측에 형성시킬 수 도 있으며 또한 상측 및 하측의 양측에 형성시킬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12)의 단면형상을 도 3a에서는 원형으로 하였으나 상기 연결부재(50)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타원형 및 다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31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314)가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어 발가락을 지압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돌기(314)의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어 발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무좀을 방지 및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a에서는 상기 복수의 돌기(314)의 형상이 반구형으로 도시됐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로방향으로 길쭉한 장방형의 돌기로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의 두께(T) 및 폭(W)은 게재되는 발가락의 굵기, 간격 등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의 두께 및 폭은 약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의 두께 및 폭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도 3b는 두께조절부재가 구비된 발가락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 중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30)는 도 3b와 같이 우측발을 기준으로 좌측면에 엄지발가락의 형상과 대응되는 요홈을 갖는 좌측발가락이격부재와(30a), 우측면에 검지발가락의 형상과 대응되는 요홈을 갖는 우측발가락이격부재(30c)와, 상기 좌측발가락이격부재와 우측발가락이격부재사이에 게재되어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부재(30b)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두께조절부재(30b)를 더 구비할 경우 무지외반증의 증상정도 및 호전정도에 따라 상기 발가락이격부재(30)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엄지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두께조절부재(30b)를 도 3b에서는 판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구성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두께조절부재(30b)가 좌측발가락이격부재 및 우측발가락부재사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두께조절부재(30b), 좌측발가락이격부재(30a) 및 우측발가락이격부재(30c)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미도시)와 홈(32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시킬 수 도 있으나 보다 착용감이 우수한 연질의 플라스틱 및 고무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의 관통공(312)에 관통되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연결함으로서 발가락이격부재가 발가락사이에 소정의 결합력으로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상기 연결부재(50)를 단면 형상이 원형인 와이어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 면적이 넓은 테이프형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 금속재, 직물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재 와이어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를 연결함으로서 종래와 달리 발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의 크기를 착용자의 발가락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화 제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대량생산 및 생산코스트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 및 약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에 연결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70)를 더 구비하여 연결부재의 양끝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70)대신에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부재의 양끝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의 양끝을 서로 묶어 고정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는 도 5와 같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 연결부재(50) 및 고정부재(70)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는 제1실시예와 달리 연결부재(50)를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에 각각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각각 고정할 경우 교정하고자 하는 정도만큼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위치시킨 후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위치고정하여 사용자가 교정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6a는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발가락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에는 제1실시예인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와 달리 상기 관통공(312)과 연통되는 체결공(316)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체결공(316)에는 상기 고정부재(7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70)를 도 6a에서는 세트스크류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캡스크류, 볼트 등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70)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에 연결부재(50)를 고정할 경우 발가락이격부재가 연결부재를 따라 좌우로 유동하지 않음으로서 보다 발가락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발가락교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는 도 7과 같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와 연결부재(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8a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발가락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B-B선에 따른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는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제1실시예의 발가락이격부재와 달리 2개의 관통공(318)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18)으로는 상기 연결부재(50)가 관통된다.
상기 관통공(318)의 단면형상은 도 8a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고, 관통공의 수도 필요에 따라 한개 또는 세개 이상이 형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50)는 도 7과 같이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연한 테이프상의 직물재로 이루어진 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재(50)를 도 7과 같이 한 발가락이격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에서 아래로(↓) 관통시킨 후 반대로 인접한 발가락이격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아래에서 위로(↑) 관통시키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발가락이격부재에 연결부재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를 인접한 발가락이격부재간에 엇갈리도록 연결시킬 수 도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유연한 테이프상의 직물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30)를 연결할 경우 착용감도 향상되고 효과적으로 발가락이격부재(30)를 발가락사이에 고정할 수 있어 발가락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연결하여 발가락사이에 고정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짐으로서 착용자의 발가락의 굵기 및 크기에 따라 발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발가락이격부재의 표준화 제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대량생산 및 생산코스트를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목 등을 압박하지 않는 등 착용감이 크게 향상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서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가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사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의 요홈의 외주면상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발가락의 지압효과뿐만 아니라 복수의 돌기의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됨으로서 발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무좀을 방지 및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에 두께조절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서 무지외반증의 증상 및 호전정도에 따라 상기 발가락이격부재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서 엄지발가락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무지외반증의 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발가락 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두께조절부재가 구비된 발가락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발가락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발가락교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발가락이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도 8a의 B-B선에 따른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발가락이격부재 312, 318 : 관통공
314 : 돌기 316 : 체결공
50 : 연결부재 70 : 고정부재

Claims (4)

  1. 발가락 사이에 게재되고 양측면에 발가락형상과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의 요홈상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는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가락이격부재 중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 게재되는 발가락이격부재는 좌측면에 요홈이 형성된 좌측발가락이격부재와 우측면에 요홈이 형성된 우측발가락이격부재와, 상기 좌측발가락이격부재와 우측발가락이격부재사이에 게재되어 발가락이격부재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KR20-2005-0011064U 2005-04-21 2005-04-21 발가락 교정구 KR200390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64U KR200390011Y1 (ko) 2005-04-21 2005-04-21 발가락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64U KR200390011Y1 (ko) 2005-04-21 2005-04-21 발가락 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011Y1 true KR200390011Y1 (ko) 2005-07-18

Family

ID=4369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064U KR200390011Y1 (ko) 2005-04-21 2005-04-21 발가락 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01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44Y1 (ko) 2008-07-10 2010-11-11 이왕희 발가락 교정기
KR200473385Y1 (ko) 2012-08-07 2014-07-02 유영호 토우 스페이서
KR200477542Y1 (ko) * 2014-12-18 2015-06-22 장윤정 발가락 교정기
KR20150143038A (ko) *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네오메드 발가락 교정기
KR101590528B1 (ko) * 2015-04-22 2016-02-18 김미숙 소건막류용 발가락 교정기
CN108378456A (zh) * 2018-04-17 2018-08-10 李芝羚 足部舒压器及足部舒压辅助鞋
KR101933514B1 (ko) 2017-03-03 2018-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가락 사이 넓힘 보조기
KR102290904B1 (ko) * 2021-04-01 2021-08-17 이승웅 발가락 사이 마사지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44Y1 (ko) 2008-07-10 2010-11-11 이왕희 발가락 교정기
KR200473385Y1 (ko) 2012-08-07 2014-07-02 유영호 토우 스페이서
KR20150143038A (ko) *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네오메드 발가락 교정기
KR101582748B1 (ko) 2014-06-13 2016-01-08 주식회사 네오메드 발가락 교정기
KR200477542Y1 (ko) * 2014-12-18 2015-06-22 장윤정 발가락 교정기
WO2016099152A1 (ko) * 2014-12-18 2016-06-23 장윤정 발가락 교정기
US10653582B2 (en) 2014-12-18 2020-05-19 Youn Jung Jang Toe corrector
KR101590528B1 (ko) * 2015-04-22 2016-02-18 김미숙 소건막류용 발가락 교정기
KR101933514B1 (ko) 2017-03-03 2018-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가락 사이 넓힘 보조기
CN108378456A (zh) * 2018-04-17 2018-08-10 李芝羚 足部舒压器及足部舒压辅助鞋
KR102290904B1 (ko) * 2021-04-01 2021-08-17 이승웅 발가락 사이 마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011Y1 (ko) 발가락 교정구
JP4355364B1 (ja) 足の変形を伴う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サポーター構造体
US11116687B2 (en) Interchangeable foot therapy massager
US20060161090A1 (en) Hee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KR101709735B1 (ko) 발가락 교정기
JP3128227U (ja) 外反母趾及び/又は内反小趾の防止又は矯正をする矯正具とそれを有する履物
US20050251081A1 (en) Orthotic foot care and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JP2010148850A (ja) 足指のマッサージ具
KR101587899B1 (ko) 발가락 교정구
KR200271214Y1 (ko) 기능성 압박 양말
KR200427477Y1 (ko) 발가락 교정 및 무좀 치료 용구
KR200378623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180090548A (ko) 발가락 교정구
US20150245938A1 (en) Health orthosis for foot
KR20170101588A (ko) 발가락 교정구
KR200465942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JP3111466U (ja) 長靴
KR101660317B1 (ko) 발목 보호대
CN220025332U (zh) 一种脚趾骨折固定装置
KR200359622Y1 (ko) 지압 신발
CN212679356U (zh) 一种跟外翻矫正器
KR102618263B1 (ko) 다양한 자극의 마사지가 가능한 발가락 교정기
KR102209311B1 (ko) 지압 깔창
KR102618264B1 (ko) 발가락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