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149A - 차량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149A
KR20200120149A KR1020190042657A KR20190042657A KR20200120149A KR 20200120149 A KR20200120149 A KR 20200120149A KR 1020190042657 A KR1020190042657 A KR 1020190042657A KR 20190042657 A KR20190042657 A KR 20190042657A KR 20200120149 A KR20200120149 A KR 2020012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tension frame
extension
vehic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560B1 (ko
Inventor
고인영
Original Assignee
고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영 filed Critical 고인영
Priority to KR102019004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5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짐을 받치는 연장 프레임이 차량 입구 밖까지 슬라이딩식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짐을 차량 밖 또는 안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짐의 무게로 인해 연장 프레임이 휘어지는 경우, 연장 프레임의 앞단 및 뒷단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그 휘어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연장 프레임을 상부로 올려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 프레임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작업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인력을 줄이고 혼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인력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장치{LOADING APPARATUS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적재장치에 짐을 올리거나, 차량용 적재장치에서 짐을 내리기 위해서는, 한 사람이 차량의 적재장치에 들어가서 짐을 밖으로 내어주거나, 짐을 차량 내부로 올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짐을 차량에 싣거나 차량 밖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특히, 많은 짐을 옮기거나 무거운 짐을 옮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998-082750호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66026호 "픽업차량 적재함용 슬라이딩 선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3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짐이 올려지는 적재 프레임(14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짐을 받치는 연장 프레임이 차량 입구 밖까지 슬라이딩식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짐을 차량 밖 또는 안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짐의 무게로 인해 연장 프레임이 휘어지는 경우, 연장 프레임의 앞단 및 뒷단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그 휘어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연장 프레임을 상부로 올려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 프레임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작업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인력을 줄이고 혼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짐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짐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특히, 도 3의 (a)는 짐이 차량의 외부로 빠져 나오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차량의 외부로 빠져 나온 짐을 나타내고, 도 4의 (a)는 차량용 적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차량용 적재장치의 끝단을 나타낸다. 즉,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우측에서 차량용 적재장치를 바라본 옛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0)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3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짐이 올려지는 적재 프레임(14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첫째,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차량(300)의 오픈된 배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차량(300)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차량(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차량(300)의 오픈된 배면이 배면 도어에 의해 닫혀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는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이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속이 빈 육면체일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양쪽 끝단들, 특히, 상기 메인 프레임(110) 중 상기 차량(300)의 외부와 인접되어 있는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차량(30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을 가이드하는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연장 프레임(130)은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300)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는 보조 프레임 지지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연장 프레임(13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은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에 인접한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가이드핀(131)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회전축(122)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과 인접할 때,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기 차량(300)의 외부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차량(300) 내부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축(122)을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 가이핀(131)과 이격되어 있는 제2 가이드핀(134)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이드핀(134)과 상기 제1 가이드핀(131) 사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한다.
즉,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기 차량(300)의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축(122)을 상기 차량(300)의 외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넷째, 상기 적재 프레임(14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함께 왕복 이동한다.
상기 적재 프레임(140)의 상단면에는 짐이 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적재 프레임(140)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의 상기 연장 프레임(130)들을 가로지르는 막대(bar) 형태의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90)는 유압 펌프, 유압 실린더,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들에 따라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한다.
여섯째,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을 가이드하는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를 포함하는 지지부(16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의 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150a)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 중 상기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센서(150a) 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150b)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 센서(150a) 및 상기 제2 센서(150b)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들에 따라, 상기 지지부(160)를 회전시켜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160)의 타측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17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축(162)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지지부축(162)에 의해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지지부축(16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상승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감소되면, 상기 지지부축(16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하강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하강할 수 있다.
여덟째,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프레임(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8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일(13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132)는 상기 레일(133)을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롤러(132)는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 뿐만 아니라, 상기 레일(133)에 의해서도 가이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일(133)은 상기 롤러(132)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ㄷ'자 형태의 개방된 면을 통해 삽입된 상기 롤러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ㄷ'자 형태의 개방된 면에는 일정한 높이의 차단벽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132)는 상기 개방된 면을 통해 상기 레일(133)에 삽입되며, 상기 차단벽에 의해 상기 롤러(132)로부터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가 동작되는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장치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90)로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연장을 요청하면, 도 5의 (a),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지속적으로 연장되면,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이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한다.
다음,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더 연장되면, 도 5의 (b)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이 상기 회전축(122)을 밀면서 전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 있던 상기 보조 프레임(120)이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을 따라,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의 (b)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연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최대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다음, 짐이 놓여져 있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연장되면,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은 상기 짐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기 끝단과 반대되는 끝단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 센서(150a) 및 상기 제2 센서(150b)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들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유압 실린더(170)를 구동시켜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도 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60)가 상기 지지부축(162)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C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12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높이가 상승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적재 프레임(140)의 높이가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적재 프레임(140)이 지면에 대해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간격이 A에서 B로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적재 프레임(140)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짐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차량 내부로 복귀하면,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핀(131) 및 상기 제2 가이드핀(134)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함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하던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회전축(122)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축(122)을 밀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프레임(120) 역시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장 프레임(130) 및 상기 보조 프레임(120)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면, 어느 순간, 도 5의 (d) 및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이 완전히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삽입된다.
상기 연장 프레임(130), 상기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연장된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 센서(150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120)이 도 5의 (d) 및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연장 프레임(130)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연장된 길이는 최소가 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연장된 길이가 최소가 되었음을 상기 길이 감지 센서(150c)를 통해 확인한 후, 상기 유압 펌프, 상기 유압 실린더, 상기 모터 등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메인 프레임 120: 보조 프레임
130: 연장 프레임 140: 적재 프레임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보조 프레임(120);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30);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짐이 올려지는 적재 프레임(140); 및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0)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을 가이드하는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에 인접한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가이핀(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회전축(122)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핀(131)은,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120)의 끝단과 인접할 때,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과 접촉하는 차량용 적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 가이핀(131)과 이격되어 있는 제2 가이드핀(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핀(134)과 상기 제1 가이드핀(131) 사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 가이드 롤러(121)의 상기 회전축(122)이 구비되는 차량용 적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20)을 가이드하는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를 포함하는 지지부(160)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적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150a)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 중 상기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센서(150a) 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연장 프레임(130)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150b)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 센서(150a) 및 상기 제2 센서(150b)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들에 따라, 상기 지지부(160)를 회전시켜 상기 연장 프레임(1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차량용 적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160)의 타측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17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60)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축(162)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차량용 적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170)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지지부축(16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가이드 롤러(161)가 상승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130)이 상승하는 차량용 적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프레임(180)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적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8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일(13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외부면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32)는 상기 레일(133)을 따라 이동하는 차량용 적재장치.



KR1020190042657A 2019-04-11 2019-04-11 차량용 적재장치 KR10218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57A KR102182560B1 (ko) 2019-04-11 2019-04-11 차량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57A KR102182560B1 (ko) 2019-04-11 2019-04-11 차량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49A true KR20200120149A (ko) 2020-10-21
KR102182560B1 KR102182560B1 (ko) 2020-11-24

Family

ID=7303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57A KR102182560B1 (ko) 2019-04-11 2019-04-11 차량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689B1 (ko) * 2021-07-15 2022-03-08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자율주행 스마트 도서관 장치
KR20220087642A (ko) * 2020-12-17 2022-06-27 (주)우신특장 차량용 충전식 적재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772B1 (ko) * 2022-07-18 2022-11-07 주식회사 세건산업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29U (ko) * 1995-12-01 1997-07-26 작업차의 장비 인출 및 보관장치
KR19980082750A (ko) 1997-05-09 1998-12-05 김영귀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
US20070210599A1 (en) * 2006-03-07 2007-09-13 Arnold Ronald S Retractable sliding cargo bed
KR101266026B1 (ko) 2012-10-31 2013-05-21 조현 픽업차량 적재함용 슬라이딩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29U (ko) * 1995-12-01 1997-07-26 작업차의 장비 인출 및 보관장치
KR19980082750A (ko) 1997-05-09 1998-12-05 김영귀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
US20070210599A1 (en) * 2006-03-07 2007-09-13 Arnold Ronald S Retractable sliding cargo bed
KR101266026B1 (ko) 2012-10-31 2013-05-21 조현 픽업차량 적재함용 슬라이딩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42A (ko) * 2020-12-17 2022-06-27 (주)우신특장 차량용 충전식 적재카트
KR102370689B1 (ko) * 2021-07-15 2022-03-08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자율주행 스마트 도서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560B1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560B1 (ko) 차량용 적재장치
KR101049211B1 (ko) 인출식 승강 단
US9776801B2 (en) System with telescopic conveyor and method therefor
JP477777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CN111170217A (zh) 无人叉车
KR0145430B1 (ko) 입체 주차장
KR100905484B1 (ko) 화물차용 적재함
US20140008156A1 (en) Lift door with a door panel guide
KR20110113891A (ko) 화물 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ITPN20130052A1 (it) Serramento a tenuta avente almeno un¿anta scorrevole
CN111115515A (zh) 无人叉车
JP5311783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ガイドレール
CN108120412B (zh) 间隙检测装置和机械设备
JP5869849B2 (ja) エレベータ昇降装置
KR20160076199A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JP2005145610A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KR102655592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JP2018162165A (ja) エレベータ用のかご横揺れ抑制装置
CN210191108U (zh) 运钞车的传递窗位置保持装置
EP1808401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EP3354834B1 (en) Lifting system for an emergency glass of a vehicle
JP6416670B2 (ja) 駐車装置
EP3553013A3 (en) Lifting system
JP7049099B2 (ja) ピットの床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車両用リフト装置
CN210340220U (zh) 一种返板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