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56A -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656A
KR20200118656A KR1020190040872A KR20190040872A KR20200118656A KR 20200118656 A KR20200118656 A KR 20200118656A KR 1020190040872 A KR1020190040872 A KR 1020190040872A KR 20190040872 A KR20190040872 A KR 20190040872A KR 20200118656 A KR20200118656 A KR 2020011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ylinder
piston
sealing part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to KR1020190040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656A/ko
Publication of KR2020011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56A/ko
Priority to KR1020210078268A priority patent/KR10239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방향에 단턱부가 형성된 실린더 및 실린더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벽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로서, 단턱부 및 벽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 단턱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단턱부와의 접촉을 통해 제1 실링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커버부 및 제1 실링부와 커버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커버부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제1 실링부를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내부의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유출되는 유체에 따른 피스톤의 파손, 실린더의 폭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커버부 및 단턱부의 체결에 따른 커버부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 만으로도 실린더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실린더의 내주면에 별도의 실링수단을 내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SEALING MEMBER OF HYDRAULIC CYLINDER AND METHOD FOR COMBINE THEM}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압실린더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과정에서 보다 견고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는 액체 또는 기체로 이루어진 유체가 갖는 유압을 이용하여 왕복운동을 행하여 동력을 전달하거나 밸브 등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통해 동력이 필요한 설비에 직접적으로 동력을 공급할 수 있고 단순하게 왕복운동만을 수행함으로써 동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는 각종 산업 전반에서 밀접하게 채택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유압실린더는 장시간 동안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체가 유실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인용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2497호)와 같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기밀유지수단을 구비하여 실린더 내부의 기밀을 유지한다. 하지만, 인용문헌 1의 경우 피스톤의 장시간 동안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기밀유지수단이 마모되어 기밀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술한 기밀유지수단은 피스톤이 큰 속도로 왕복 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피스톤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견고한 기밀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인용문헌 1의 경우 기밀유지수단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실린더 자체를 해부하여 피스톤을 실린더의 외부로 빼낸 후 교체 등의 수리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는 수리 작업의 고도화를 야기하여 실린더가 정지하는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마모를 최소화하고, 실린더의 고속 왕복운동 상태에서도 견고한 기밀 유지를 가능케하며, 교체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2497호 (2013.10.21.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린더의 내부에서 견고한 기밀 유지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높은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 방향에 단턱부가 형성된 실린더 및 실린더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벽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로서, 단턱부 및 벽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 단턱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단턱부와의 접촉을 통해 제1 실링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커버부 및 제1 실링부와 커버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커버부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제1 실링부를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내부의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유출되는 유체에 따른 피스톤의 파손, 실린더의 폭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 및 단턱부의 체결에 따른 커버부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 만으로도 실린더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실린더의 내주면에 별도의 실링수단을 내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 제2 실링부 및 제3 실링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링부 및 제2 오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링부 및 제2 오링부가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 내에 위치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 제2 실링부, 제3 실링부 및 커버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오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실링부 및 제4 오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상측 방향”, “하측 방향”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서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을 각각 지칭한다. 또한, “실린더(c)의 외측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c)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는 방향을 뜻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양측 방향”은 단면도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사이에 위치한 실링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피스톤(p) 및 실린더(c)를 절단하여 도시한다.
피스톤(p)은 상하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통해 동력을 공급하거나 실린더(c)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피스톤(p)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별도의 연결봉과 연결되어 별도의 동력공급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또한, 피스톤(p)의 상측 방향에는 단턱부(s)가 형성된다. 단턱부(s)는 후술할 실링부재를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단턱부(s)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경이 실린더(c)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비되고, 피스톤(p)의 상단과 연결되어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에 따라, 단턱부(s) 및 실린더(c)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후술할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피스톤(p) 및 실린더(c)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피스톤(p)은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실린더(c)는 피스톤(p)이 용이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및 하면이 밀폐된 실린더(c)의 내부에는 피스톤(p)이 삽입되고, 피스톤(p)은 실린더(c)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실시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은 유압 실린더(c)의 내부에는 유체가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유체는 피스톤(p)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실린더(c)는 상면 및 하면이 밀폐되어야 함과 동시에 피스톤(p)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세하게, 실린더(c) 내부의 유체가 피스톤(p)을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실린더(c)의 내주면이 피스톤(p)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켜 크랙 등의 파손을 일으키지 않음과 동시에, 실린더(c) 내부의 유체가 유실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배치해야 하고, 이는 실린더(c) 내부의 유체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실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도 1을 일례로, 피스톤(p)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유체가 피스톤(p)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유체가 피스톤(p)의 상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경우, 피스톤(p)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c) 내부의 유체가 기름 등의 가연성 액체인 경우 화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스톤(p) 및 실린더(c) 사이의 이격되는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는 단턱부(s)가 형성된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및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및 제3 실링부(3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실링부(100)는 기밀 유지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실링부(100)는 단턱부(s) 및 실린더(c)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제1 실링부(100)는 단턱부(s) 및 실린더(c)의 사이에 개재되고, 후술할 한 쌍의 접촉부(102)를 통해 단턱부(s) 및 실린더(c)와 각각 면접촉을 이룸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제1 실링부(100)의 하면은 피스톤(p)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실링부(100)는 선술한 이격 공간 내에서 위치하면서 피스톤(p) 및 실린더(c)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100)는 MC나일론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링부(100)는 기계적 강도, 자기 윤활성 및 내열성이 큰 MC 나일론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피스톤(p)이 실린더(c)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제1 실링부(100)의 재질은 후술할 제2 실링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견고한 기밀 유지를 위해, 제1 실링부(100)는 제1 개구부(101) 및 한 쌍의 접촉부(102)를 포함한다.
제1 개구부(101)는 후술할 제2 실링부(200)가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제1 실링부(100)를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제1 개구부(101)에는 제2 실링부(200)에 구비된 제2 돌출 가압부(203)가 삽입되고, 제2 실링부(200)가 후술할 커버부(40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 돌출 가압부(203)가 양측 방향(도 2 및 도 3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 한 쌍의 접촉부(102)를 밀어내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접촉부(102)는 단턱부(s)의 외주면 및 실린더(c)의 내주면과 각각 면접촉을 이루어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1 개구부(101)는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되 하측 방향으로 음각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101)의 양측 방향에는 한 쌍의 접촉부(102)가 각각 형성되고, 제1 실링부(100)는 “
Figure pat00001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
Figure pat00002
” 단면 형상을 갖고 단턱부(s)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실링부(100)는 후술할 제2 실링부(200)가 상측 방향에서 제1 개구부(101)로 삽입되고, 상측 방향에는 한 쌍의 접촉부(102)가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실링부(100)의 기밀 유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 쌍의 접촉부(102)는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어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직접적인 기밀 유지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한 쌍의 접촉부(102)는 각각 단턱부(s)의 외주면 및 실린더(c)의 내주면과 각각 접촉하여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접촉부(102)는 제1 개구부(101)의 양측 방향에 위치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한 쌍의 접촉부(102)가 지면으로부터 70 내지 80도로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각도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이격 공간이 큰 경우 한 쌍의 접촉부(102)가 지면과 이루는 소정의 각도는 선술한 70 내지 80도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피스톤(p) 및 단턱부(s)의 직경이 실린더(c)의 내경보다 현저하게 작은 경우, 한 쌍의 접촉부(102)는 좌상측 방향 및 우상측 방향(도 3의 좌상측 방향 및 우상측 방향을 뜻함)을 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실린더(c) 및 단턱부(s)와 보다 큰 면접촉을 수행할 수 있어 견고한 기밀 유지가 가능하다.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피스톤(p) 및 실린더(c)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세하게,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를 가압하여 한 쌍의 접촉부(102)가 각각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면접촉을 보다 크게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되, 제1 실링부(100) 및 후술할 커버부(4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실링부(20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턱부(s) 및 실린더(c)의 사이에 위치하되 선술한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실링부(200)는 “
Figure pat00003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세하게,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에는 후술할 제2 돌출 가압부(203)가 형성됨으로써 “T”자 단면 형상을 갖고, 제1 개구부(101)는 제2 돌출 가압부(20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를 향해 보다 많은 면접촉을 이룰 수 있어 작은 힘으로도 한 쌍의 접촉부(102)가 각각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실링부(200)의 단면은 “T”자 형상뿐만 아니라, “I”자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되어 보다 견고한 기밀 유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I”자 단면 형상을 갖는 제2 실링부(200)의 경우 하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제2 돌출 가압부(203)는 “ㅗ”단면 형상을 갖고, 제1 개구부(101)는 제2 돌출 가압부(20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에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피스톤(p)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링부(200)의 상면은 후술할 커버부(400)의 하면과 접하고,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 과정에서 한 쌍의 접촉부(102)는 보다 견고한 기밀을 유지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돌출 가압부(203)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작도록 경사져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크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되는 제2 돌출 가압부(203)의 양측 방향으로(도 2 및 도 3의 좌우방향을 뜻함)의 폭 및 한 쌍의 접촉부(102)의 폭의 합은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 가압부(203)가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될 시, 한 쌍의 접촉부(102) 및 제2 돌출 가압부(203)의 폭의 합이 실린더 및 단턱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구비됨에 따라, 한 쌍의 접촉부(102)는 각각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을 향하도록 가압된다.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기밀 유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커버부(400)는 제2 실링부(200)를 가압하여 제1 실링부(100) 및 제2 실링부(200)가 견고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커버부(40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턱부(s)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커버부(400)의 직경은 실린더(c)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피스톤(p) 및 실린더(c)에 대한 보다 견고한 기밀 유지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커버부(400)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단턱부(s)와 연결된다. 여기서, 커버부(400)의 하면은 제2 실링부(200)의 상면과 접함과 동시에, 커버부(400)는 제2 실링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세하게, 커버부(400)가 단턱부(s)의 상측 방향에 위치할 경우 커버부(400)의 하면은 제2 실링부(200)의 상면과 면접촉을 이룬다. 이후, 커버부(400)는 나사 등의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단턱부(s)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커버부(400)는 제2 실링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2 실링부(200)는 커버부(400)의 가압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양측 방향(도 3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 퍼지도록 형태가 가변하여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각각 면접촉을 이루게 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양측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가하는 형태 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양측 방향에 위치한 한 쌍의 접촉부(102)를 각각 실린더 방향 및 단턱부 방향을 향하도록 벌린다. 따라서, 한 쌍의 접촉부(102)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보다 큰 면접촉을 수행하게 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제1 개구부(101), 한 쌍의 접촉부(102), 제2 돌출 가압부(203) 및 커버부(400) 구성을 통해,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실린더(c) 내부의 유체 유실에 따른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링부(100)에 구비된 한 쌍의 접촉부(102)는 단턱부(s)와 체결되는 커버부(400)가 제2 실링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에 구비된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도 3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각각 뜻함)으로의 부피가 커지도록 형태 변화함에 따라, 제2 돌출 가압부(203)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실린더(c)의 내주면 및 피스톤(p)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각각 벌어진다. 이와 동시에, 커버부(400) 및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커버부(40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실링부(200)는 양측 방향(도 3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한 쌍의 접촉부(102)와 동일한 면접촉을 갖는다. 따라서,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에서 다중 기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부(100)의 접촉부(102), 제2 실링부(200) 및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실린더(c) 내부의 압력이 클수록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가하는 부피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고압 환경에서도 기밀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잇다. 따라서, 고출력을 내기 위해 보다 큰 유압을 요구하는 유압실린더(c)에도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가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 내에 위치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하게,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각각 제1 실링부(100) 및 실린더(c)의 사이와 제1 실링부(100) 및 단턱부(s)의 사이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실링부(100)는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고무 등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의 기밀 유지 과정에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가 과도하게 찌그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는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각각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한 제1 실링부(100)의 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형태가 가변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는 제1 실링부(100)의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에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1 공간부(110)는 “
Figure pat00004
”단면 형상을 갖는 제1 실링부(100)의 좌측 방향에 형성되고, 제2 공간부(120)는 제1 실링부(100)의 우측 방향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공간부(110)는 제1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에 형성되고, 제2 공간부(120)는 제1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에 형성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는 제1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에 형성되되 대칭이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실링부(100) 및 실린더(c)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110)에는 제1 오링부(r1)가 삽입되고, 제1 실링부(100) 및 단턱부(s)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120)에는 제2 오링부(r2)가 삽입됨으로써,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피스톤(p)의 상하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가 실린더(c) 및 단턱부(s)와의 마찰 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의 기밀 유지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가 각각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부(400)는 단턱부(s)와 나사 체결되고, 제2 실링부(200)는 커버부(40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며,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을 각각 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102)를 양측 방향(도 5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 벌려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접촉부(102)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제1 실링부(100)가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양측 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찌그러지도록 형태가 가변한다. 상세하게,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한 쌍의 접촉부(102)가 각각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를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으로 각각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 유지 효과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추가적으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를 통해 한 쌍의 접촉부(102)는 기밀 유지 과정에서 과도하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한 쌍의 접촉부(102)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각각 면접촉하는 과정에서 고압의 유체 및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p)에 의해 과도하게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형태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접촉부(102)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는 한 쌍의 접촉부(102)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원력을 갖는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를 통해, 한 쌍의 접촉부(102)는 과도하게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을 향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를 통한 한 쌍의 접촉부(102)의 내구성 증가를 실현시킬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파손 및 교체 시기를 방지 및 지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제3 실링부(300) 및 커버부(4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돌출 가압부(103), 제3 실링부(300) 및 제3 오링부(r3)를 더 포함한다. 제3 오링부(r3)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돌출 가압부(103)는 후술할 제3 실링부(300)를 가압하여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돌출 가압부(103)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실링부(100)를 따라 형성되되 제1 실링부(100)의 하측 방향에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1 돌출 가압부(103)는 “T”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3 실링부(3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돌출 가압부(103)는 제3 실링부(300)의 상면과 면접촉을 이룬다. 상세하게, 제1 돌출 가압부(103) 및 제3 실링부(300)가 접한 상태에서 선술할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제3 실링부(3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3 실링부(300)는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가하는 부피 변화를 갖는다. 이로 인해,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을 각각 향하는 제3 실링부(300)의 양측면(도 7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각각 향하는 면을 뜻함)은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각각 면접촉을 이룬다. 따라서,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 유지를 보다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돌출 가압부(103)는 후술할 제3 실링부(300)의 상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2 개구부(301)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3 실링부(300)의 상면에는 제1 돌출 가압부(10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제2 개구부(301)가 구비되고, 제3 실링부(300)가 제2 개구부(301)에 삽입되어 위치되며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 시 제3 실링부(300)를 양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3 실링부(300)를 보다 용이하게 형태 변화시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3 실링부(300)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세하게,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각각 면접촉을 수행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3 실링부(300)는 제1 실링부(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제3 실링부(300)는 제1 실링부(100) 및 피스톤(p)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3 실링부(300)의 하면은 피스톤(p)의 상면과 접하고, 상면은 선술한 제1 돌출 가압부(103)와 접한다. 따라서, 제3 실링부(300)는 제1 실링부(100) 및 피스톤(p)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링부(300)는 제2 개구부(301)를 더 포함한다. 제2 개구부(301)는 제3 실링부(300)가 보다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개구부(301)는 제3 실링부(3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2 개구부(301)는 선술한 제1 돌출 가압부(10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돌출 가압부(103)는 제2 개구부(301)에 삽입된 이후,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대응하여 제3 실링부(300)를 양측 방향(도 7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으로의 부피가 커지도록 형태를 가변시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3 실링부(300)는 선술한 제1 실링부(100) 및 제2 실링부(200)와 동일하게 MC 나일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피스톤(p)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 변형 및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개구부(301)의 상면에서 제2 개구부(301)를 제외한 부분의 폭(도 6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를 뜻함) 및 제1 돌출 가압부(103)의 폭의 합은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선술한 제2 돌출 가압부(203) 및 한 쌍의 접촉부(102)와 동일한 원리로 제1 돌출 가압부(103)가 제2 개구부(301)에 삽입 시 제3 실링부(300)의 양측면이 각각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으로 형태 변화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제3 실링부(300)는 별도의 외력 없이도 제2 돌출 가압부(203)의 제2 개구부(301)로의 삽입 만으로도 용이하게 기밀 유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3 실링부(300)의 기밀 유지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개구부(301)에 제1 돌출 가압부(103)가 삽입된 상태에서 피스톤(p) 및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위치한 제3 실링부(300)는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형태가 가변한다. 상세하게, 제1 돌출 가압부(103)는 제2 개구부(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양측 방향(도 6에서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의 길이가 증가하는 부피 변화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제1 돌출 가압부(103)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제1 돌출 가압부(103)와 접하는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가하여 면 접촉을 이룬다. 따라서,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 및 피스톤(p) 간의 기밀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선술한 제1 실링부(100) 및 제3 실링부(300) 이외에도 제3 실링부(300)를 통해 실린더(c) 및 피스톤(p)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중 기밀 유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및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에 내설되지 않고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피스톤(p)의 왕복 운동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기밀 유지를 이룰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오링부(r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오링부(r3)는 선술한 제1 오링부(r1)와 동일한 목적을 갖는다. 상세하게, 제3 오링부(r3)는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3 오링부(r3)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 오링부(r3)는 제1 실링부(100)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공간부(130)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제3 공간부(130)는 제1 돌출 가압부(103)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되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에 형성된다. 즉, 제3 공간부(130)에 제3 오링부(r3)가 삽입됨으로써, 제3 오링부(r3)는 실린더(c)의 내주면과 접함과 동시에 제1 돌출 가압부(103)와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다. 이로써, 제3 오링부(r3)는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 시 제1 돌출 가압부(103) 및 제3 실링부(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양측 방향(도 7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을 향하도록 형태가 가변함으로써, 실린더(c)의 내주면과 면접촉을 이루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3 공간부(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돌출 가압부(103)를 중심으로 대칭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3 공간부(130)가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공간부(130)는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오링부(r3)는 한 쌍의 제3 공간부(130)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3 오링부(r3)를 통한 기밀 유지와 더불어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제3 오링부(r3) 및 제3 실링부(300) 구성 및 기밀 유지 작용을 통해, 선술한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를 통한 기밀 유지 이외에도 별도의 기밀 유지를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큰 속도 및 압력으로 움직이는 실린더(c) 내부의 유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피스톤(p)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피스톤(p) 및 실린더(c)가 서로 마찰되어 마찰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설령 마찰열이 발생하더라도 제3 실링부(300)는 선술한 제1 실링부(100) 및 제2 실링부(200)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변질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실링부(300) 및 제4 오링부(r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돌출 가압부(103), 제3 오링부(r3), 제3 실링부(300) 및 제4 오링부(r4)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제4 오링부(r4)를 더 포함한다.
제4 오링부(r4)는 유체가 피스톤(p)에서 커버부(40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4 오링부(r4)는 제1 오링부(r1), 제2 오링부(r2) 및 제3 오링부(r3)와 동일하게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 등으로 구비되어 복원력을 갖고, 원형 단면을 갖는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4 오링부(r4)는 제3 실링부(300)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제3 실링부(300)에는 제4 오링부(r4)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4 공간부(310)가 형성되고, 제4 오링부(r4)가 제4 공간부(310)에 삽입됨으로써 실린더(c)의 내주면, 제3 실링부(300) 및 피스톤(p)의 상면과 동시에 접한다. 이를 통해, 제4 오링부(r4)는 커버부(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 시 제3 실링부(300) 및 피스톤(p)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고 양측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실린터의 내주면과 면접촉을 이루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선술한 일련의 구성 및 과정을 통해,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에서 기밀 유지를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실린더(c) 내부의 유체 유실에 따른 피스톤(p)의 파손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c) 및 피스톤(p)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배치시킨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제3 실링부(300), 제1 오링부(r1), 제2 오링부(r2), 제3 오링부(r3) 및 제4 오링부(r4)는 실린더(c)의 내주면에 내설되지 않고, 커버부(400) 및 단턱부(s) 사이에서의 나사 체결 만으로도 피스톤(p)과 일체가 되어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구성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커버부(400) 및 단턱부(s) 간 나사 체결만을 해제하여 커버부(400)를 해제한 다음 교체가 필요한 구성을 바꿈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한 실링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다. 즉, 유압실린더(c)에 대한 정지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은 제1 배치 단계(s400), 제2 배치 단계(s500) 및 가압 밀폐 단계(s600)를 포함한다.
제1 배치 단계(s400)는 제1 실링부(100)를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제1 배치 단계(s400)에서는 제1 실링부(100)를 실린더(c)의 내벽 및 단턱부(s)의 외주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시킴으로써,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이격 공간을 밀폐한다. 이를 위해, 제1 실링부(100)는 하면이 피스톤(p)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는 선술한 한 쌍의 접촉부(102)가 형성되어 각각 실린더(c)의 내벽 및 단턱부(s)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제1 배치 단계(s400)가 구비됨으로써,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사이의 기밀을 1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피스톤(p)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배치 단계(s500)는 제2 실링부(200)를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제2 배치 단계(s500)에서는 제2 실링부(200)가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되 제1 실링부(100)와 계합되도록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는 제1 개구부(101)가 형성되고,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 가압부(203)가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됨에 따라, 제2 실링부(200)는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선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부(102)의 폭(도 3에서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를 뜻함) 및 제2 돌출 가압부(203)의 좌우방향으로의 폭(도 3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를 뜻함)의 합은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 돌출 가압부(203)가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접촉부(102)를 각각 실린더(c)의 내벽 방향(도 3의 좌측 방향을 뜻함) 및 단턱부(s) 방향(도 3의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접촉부(102)는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한다.
가압 밀폐 단계(s600)는 커버부를 제2 실링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 및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가압 밀폐 단계(s600)에서는 제1 실링부(100) 및 제2 실링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한 쌍의 접촉부(102)가 각각 실린더(c)의 내벽 및 단턱부(s)와 보다 많은 면접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기밀 유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압 밀폐 단계(s600)에서는 커버부가 제2 실링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커버부는 하면이 제2 실링부(200)의 상면과 접하도록 제2 실링부(200)의 상측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는 제2 실링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등의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단턱부(s)와 체결된다. 여기서, 단턱부(s) 및 커버부의 나사 체결 과정에서 커버부는 제2 실링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에 구비된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접촉부(102)를 양측 방향(도 3의 좌우방향을 뜻함)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한 쌍의 접촉부(102)는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압 밀폐 단계(s600)가 구비됨으로써, 선술한 제1 배치 단계(s400) 및 제2 배치 단계(s500)에서 수행되는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피스톤(p)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오일 등의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밀폐 단계(s6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피스톤(p)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실린더(c) 내벽에 크랙 등이 발생하더라도 기밀 유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고진동 환경에서 사용되는 설비에도 채택될 수 있어 범용성이 크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선술한 제1 배치 단계(s400), 제2 배치 단계(s500) 및 가압 밀폐 단계(s600) 이외에도 제2 개재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제2 개재 단계(s300)는 보다 견고한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2 개재 단계(s300)는 제1 배치 단계(s400)보다 선행되고, 제1 오링부(r1)가 배치된다. 상세하게, 제2 개재 단계(s300)에서 제1 오링부(r1)는 실린더(c)의 내벽 및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선술한 바와 같이 제1 실링부(100)에는 제1 공간부(110)가 구비되고, 제1 오링부(r1)는 제1 실링부(100)가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제1 공간부(11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오링부(r1)가 제1 공간부(11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1 실링부(100)는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에 배치되어 보다 견고한 기밀 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오링부(r2) 또한 제1 실링부(100)를 기준으로 제1 공간부(110)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제2 공간부(120)에 삽입되고, 제2 오링부(r2)가 제2 공간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실링부(100)가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실링부(100) 및 단턱부(s) 사이의 기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제3 배치 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제3 배치 단계(s100)는 제3 실링부(300)를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제1 배치 단계(s400) 이전에 수행된다. 상세하게,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의 내벽 및 단턱부(s)의 외주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여기서, 제3 실링부(300)의 상면에는 선술한 제2 개구부(301)가 구비되되 제1 실링부(100)의 하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돌출 가압부(10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음각 형성된다. 또한, 제1 돌출 가압부(103)의 폭(도 6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를 뜻함) 및 제3 실링부(300)의 폭(도 6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를 뜻함)의 합은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즉, 제1 돌출 가압부(103)가 제2 개구부(301)에 삽입됨에 따라, 제3 실링부(300)는 실린더(c)의 내벽 방향(도 6의 좌측 방향을 뜻함) 및 단턱부(s) 방향(도 6의 우측 방향을 뜻함)으로 가압 및 형태가 변형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제1 개재 단계(s200)를 더 포함한다. 제1 개재 단계(s200)는 제1 실링부(100) 및 제3 실링부(300)의 계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이격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개재 단계(s200)는 제3 배치 단계(s100) 및 제1 배치 단계(s400)의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선술한 제2 개재 단계(s300)가 구비되는 경우 제1 개재 단계(s200)는 제3 배치 단계(s100) 및 제2 개재 단계(s3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 개재 단계(s300)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제1 개재 단계(s200)는 제3 배치 단계(s100) 및 제1 배치 단계(s400)의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제1 개재 단계(s200)에서는 제3 오링부(r3)가 제1 실링부(100)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도 7에서 선술한 바와 같이, 제1 실링부(100)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는 제3 공간부(130)가 더 구비되고, 제3 오링부(r3)는 제3 공간부(130)에 위치한다. 즉, 제3 오링부(r3)는 제3 실링부(3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제3 공간부(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선술한 제1 배치 단계(s400)가 진행됨에 따라 제3 실링부(300) 및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오링부(r3)는 제1 실링부(100)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커버부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이 수행되는 가압 밀폐 단계(s600)를 통해 가압되어 실린더(c)의 내벽과 면접촉을 이룬다. 이에 따라,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고 보다 긴밀한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제3 개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재 단계는 제4 실링부를 실린더(c)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3 개재 단계는 제3 배치 단계(s100) 이전에 선행된다. 상세하게, 제3 개재 단계에서는 제4 오링부(r4)가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에 위치하되, 제3 개재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제3 배치 단계(s100)가 수행될 시 제3 실링부(300)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실링부(300)의 하측 방향에는 제4 공간부(310)가 형성되고 제4 실링부는 제4 공간부(310)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3 개재 단계를 통해 실린더(c) 및 단턱부(s)의 사이에 구비된 제4 실링부는 제3 배치 단계(s100)에서 실린더(c)의 내벽, 피스톤(p)의 상면 및 제3 실링부(300)에 의해 가압되어 실린더(c)의 내벽과의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과정을 통해, 피스톤(p) 및 실린더(c) 사이에 이격될 수 있는 공간을 다중으로 밀폐할 수 있어 유체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p)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에 따른 실린더(c) 및 피스톤(p)의 마모에 대응하여 제1 실링부(100), 제2 실링부(200), 제3 실링부(300), 제1 오링부(r1), 제2 오링부(r2), 제3 오링부(r3) 및 제4 오링부(r4)가 실린더(c) 및 피스톤(p)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때문에,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마모 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c) 내부 유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피스톤(p) 및 실린더(c)의 정비를 위해 수시로 유압실린더(c)를 정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편의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p: 피스톤 s: 단턱부
c: 실린더 100: 제1 실링부
101: 제1 개구부 102: 접촉부
103: 제1 돌출 가압부 110: 제1 공간부
120: 제2 공간부 130: 제3 공간부
200: 제2 실링부 203: 제2 돌출 가압부
300: 제3 실링부 301: 제2 개구부
310: 제4 공간부 r1: 제1 오링부
r2: 제2 오링부 r3: 제3 오링부
r4: 제4 오링부

Claims (13)

  1.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로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100); 및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실링부(1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100)는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 개구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단턱부(s)의 외주면 및 상기 실린더(c)의 내주면과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접촉부(10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c)의 내주면 및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오링부(r1) 및 상기 제1 실링부(100) 및 상기 단턱부(s)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오링부(r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상기 실린더(c)의 내주면 방향 및 상기 단턱부(s)의 외주면 방향에는 상기 제1 오링부(r1) 및 제2 오링부(r2)가 삽입 배치되는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에는,
    상기 제1 개구부(101)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실링부(2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접촉부(102)를 각각 실린더 방향 및 단턱부 방향을 향하도록 벌리는 제2 돌출 가압부(2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가압부(203)는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크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c) 및 단턱부(s)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한 쌍의 접촉부(102)의 폭 및 상기 제1 개구부(101)에 삽입 시 배치되는 상기 제2 돌출 가압부(203)의 폭의 합이 크도록 상기 제2 돌출 가압부(2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제3 실링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100)의 하측 방향에는 상기 제3 실링부(300)의 상면과의 면접촉을 통해 상기 제3 실링부(3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제1 돌출 가압부(10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 실링부(3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돌출 가압부(103)가 삽입되도록 제2 개구부(3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가압부(103) 및 제3 실링부(3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링부(10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에 대응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제3 오링부(r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오링부(r3)는 상기 제1 돌출 가압부(103) 및 상기 실린더(c)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공간부(13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링부(300) 및 피스톤(p)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p) 및 실린더(c) 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4 오링부(r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11.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으로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의 사이에 제1 실링부(100)를 개재시키는 제1 배치 단계(s400);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제2 실링부(200)를 위치시키되,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개구부(101)에 제2 돌출 가압부(203)가 접하도록 삽입하는 제2 배치 단계(s500); 및
    상기 제2 실링부(200)의 상면에 커버부(400)를 위치시키고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실링부(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접촉부(102)를 각각 실린더 및 피스톤 방향으로 벌리는 가압 밀폐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단계(s400) 이전에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의 사이에 제3 실링부(300)를 위치시키는 제3 배치 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치 단계(s100) 및 제1 배치 단계(s4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실링부(300) 및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제3 오링부(r3)를 위치시키는 제1 개재 단계(s200); 및
    상기 제1 개재 단계(s200) 및 제1 배치 단계(s4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102) 및 제1 실링부(10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공간부(110)에 제1 오링부(r1)를 위치시키는 제2 개재 단계(s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의 결합 방법.
KR1020190040872A 2019-04-08 2019-04-08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KR20200118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72A KR20200118656A (ko) 2019-04-08 2019-04-08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KR1020210078268A KR102390604B1 (ko) 2019-04-08 2021-06-16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72A KR20200118656A (ko) 2019-04-08 2019-04-08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268A Division KR102390604B1 (ko) 2019-04-08 2021-06-16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56A true KR20200118656A (ko) 2020-10-16

Family

ID=730352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872A KR20200118656A (ko) 2019-04-08 2019-04-08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KR1020210078268A KR102390604B1 (ko) 2019-04-08 2021-06-16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268A KR102390604B1 (ko) 2019-04-08 2021-06-16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186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97B1 (ko) 2011-07-29 2013-10-28 (주)에스더블유피 에어실린더의 이중 밀봉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501A (ja) * 1995-01-30 1996-08-06 Toyota Motor Corp ピストンのシール構造
JPH11351403A (ja) * 1998-06-08 1999-12-24 Kawasaki Heavy Ind Ltd 高圧シール
JP2005147317A (ja) * 2003-11-18 2005-06-09 Nok Corp 密封装置及び燃料噴射ポンプ
JP5045869B2 (ja) * 2005-12-08 2012-10-10 Nok株式会社 リップタイプシール
JP2008025649A (ja) 2006-07-19 2008-02-07 Kayaba Ind Co Ltd シール構造及び流体圧単動シリンダ
JP5318471B2 (ja) 2008-06-13 2013-10-1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シール構造体
DE102010013412B4 (de) * 2010-03-30 2014-05-22 Norma Germany Gmbh Abgaslei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Abgasanlage
DE102010051403A1 (de) * 2010-11-16 2012-05-16 Carl Freudenberg Kg D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chtrings
JP5858336B2 (ja) 2012-01-16 2016-02-10 株式会社ニフコ ピストンダンパーのシール構造
WO2013152807A1 (en) 2012-04-13 2013-10-17 Aktiebolaget Skf Bushing wear sensing device
KR20140097773A (ko) * 2013-01-30 2014-08-07 김동수 고압 펌프용 피스톤
DE102014225872A1 (de) 2014-12-15 2016-06-16 Robert Bosch Gmbh Hydrozylinder mit einer Messeinrichtung
JP6576321B2 (ja) * 2016-10-26 2019-09-18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97B1 (ko) 2011-07-29 2013-10-28 (주)에스더블유피 에어실린더의 이중 밀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56A (ko) 2021-06-23
KR102390604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021B1 (ko) 단일 밀봉 링 스터핑 박스
CN106051167B (zh) 密封件以及制造和/或使用密封件的方法
CA2922682A1 (en) A valve assembly
JP5041896B2 (ja) 高圧シール装置
JP2007139055A (ja) 密封装置および密封構造
JP2013194884A (ja) 密封装置
US10907736B2 (en) Split seal ring
KR20200118656A (ko)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US8210542B1 (en) Plunger seal ring
US10690213B2 (en) Seal arrangement with damping element
US3982765A (en) Piston pump
KR100915866B1 (ko) 유압식 너트
JP2010242874A (ja) 往復動用密封装置
JP5531386B2 (ja) シーリングシステム
KR20130139110A (ko) 유압 실린더용 로드 커버
JP2012215188A (ja) 密封構造
JPS5947560A (ja) 気体圧縮装置のピストンシ−ル構造
JP2008045658A (ja) 密封装置
US10443769B2 (en) Pivot joint
RU2191307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манжета
RU132151U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изких ступеней компрессора
JP2012047253A (ja) 超高圧の耐圧シール装置
KR20100070726A (ko) 유압식 너트
US10704635B2 (en) Spring deflection control assembly
JP2007040470A (ja) ピストンリング及びピスト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