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726A - 유압식 너트 - Google Patents

유압식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726A
KR20100070726A KR1020080129405A KR20080129405A KR20100070726A KR 20100070726 A KR20100070726 A KR 20100070726A KR 1020080129405 A KR1020080129405 A KR 1020080129405A KR 20080129405 A KR20080129405 A KR 20080129405A KR 20100070726 A KR20100070726 A KR 20100070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connection surface
hydraulic nut
outer body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식
조정봉
이계열
김병하
이창렬
황병규
Original Assignee
배정식
조정봉
이계열
김병하
이창렬
황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식, 조정봉, 이계열, 김병하, 이창렬, 황병규 filed Critical 배정식
Priority to KR102008012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726A/ko
Publication of KR2010007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4Seal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유압식 너트를 제공한다. 볼트 체결을 위한 중공부를 갖고, 외단에는 접속면을 가지며,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외향 단차진 실링부를 일체로 갖는 이너 바디(Inner body); 상기 이너 바디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단에는 상기 이너 바디 외단에 형성된 접속면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접속면을 갖고, 이 접속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내향 단차진 실링부를 일체로 갖는 아우터 바디(Outer body);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결합 시 이너 바디 선단과 아우터 바디 선단이 중첩되는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 및 실링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 및 실링부에 의해 실링부에 의해 규정되는 환형의 실린더(Cylinder); 상기 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이 이너 바디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에 이르는 유체도입경로를 형성하는 유로; 및 상기 이너 바디에 외부에 체결되어 상기 아우터 바디의 진출상태를 유지시키는 락 너트(Lock nut);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바디 및 아우터 바디에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는, V자형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로 도입된 압유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어 인접한 접속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탄성변위를 갖는 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유압 너트, 실린더, 일체형 실(seal)

Description

유압식 너트{Hydraulic nut assembly}
본 발명은 유압을 이용하여 보다 큰 체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식 너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린더 내부로 도입된 압력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실(Seal)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압식 너트에 관한 것이다.
체결이 요구되는 각종 설비의 경우 대부분 볼트/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볼트/너트 체결은 스패너와 같은 전용공구를 이용한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져, 체결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며 작업 시 상당한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체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체결력 또한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것에 비해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그 체결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유압식 너트가 제안된 바 있다. 유압식 너트는 일반적으로 큰 체결력이 요구되면서 그 체결력을 장시간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대형장비나 정밀한 체결이 요구되는 체결부위에 일반적으로 채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98106호에는 실린더를 형성한 너트 몸체에 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구성의 유압식 너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98106호에 개시된 유압식 너트는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발생된 유압으로 피스톤이 체결 대상물 방향으로 진출하면, 상대적으로 너트 몸체가 볼트를 당기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볼트에 축방향 인장력을 발생시키고,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볼트/너트 간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98106호를 비롯해 일반적으로 공지된 유압식 너트의 경우, 이너 바디(너트 몸체)에 대한 아우터 바디('피스톤'이라고도 함)의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의해 규정되는 밀폐된 실린더 형성을 위하여,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가 상호 접촉하는 틈새에 실(seal)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실은 실린더 공간으로 제공된 유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여 유압너트의 작동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채택된다.
종래 유압너트에 적용되는 실(seal)에는 일반적으로, 니트릴(nitrile)과 같은 천연고무 또는 폴리 우레탄(polyurethane)을 소재로 한 루버 실(rubber seal)과 터빈 발전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연결하는 것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도 사용가능 하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메탈 실(metal seal)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유압식 너트는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의해 규정되는 밀폐된 실린더 형성을 위해 별도의 루버 또는 메탈 소재의 실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실은 유압식 너트를 구성하는 부품수 증가 및 유압식 너트 분해/조립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밀폐된 실린더 형성을 위해 위와 같은 실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실 장착을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함에 따라, 종래 유압식 너트의 경우 부피가 클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유압식 너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실은 구조적으로 원형 또는 다각 단면을 갖는 단순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실린더 내부에 혀용압 이상의 고압이 걸려 실린더를 형성하는 벽면이 반경방향으로 확장하여 그 사이에 갭(gap)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한 능동적인 대체가 불가능 하다는 구조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디(이너바디 및 아우터 바디)에 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유압식 너트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실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 유압식 너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빈 설비와 같은 고온환경에도 무리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의해 규정되는 실린더에 허용압 이상의 내압이 걸려 실린더 벽면이 외확장되는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그 변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변형성을 갖는 유압식 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볼트 체결을 위한 중공부를 갖고, 외단에는 접속면을 가지며,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외향 단차진 실링부를 일체로 갖는 이너 바디(Inner body); 상기 이너 바디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단에는 상기 이너 바디 외단에 형성된 접속면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접속면을 갖고, 이 접속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내향 단차진 실링부를 일체로 갖는 아우터 바디(Outer body);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결합 시 이너 바디 선단과 아우터 바디 선단이 중첩되는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 및 실링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 및 실링부에 의해 실링부에 의해 정의되는 환형의 실린더(Cylinder); 상기 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이 이너 바디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에 이르는 유체도입경로를 형성하는 유로; 및 상기 이너 바디에 외부에 체결되어 상기 아우터 바디의 진출상태를 유지시키는 락 너트(Lock nut);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바디 및 아우터 바디에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는, V자형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로 도입된 압유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어 인접한 접속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탄성변위를 갖는 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 각각에 형성된 접속면은, 접속면에 접하는 해당 실링부의 립부에 비해 강한 강도를 갖는 내마모성 금속을 소재로 코팅처리함으로써, 립부와 접속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접속면의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소재로는, 하스텔로이(hastelloy), 인코넬(inconel), 코발트계 금속, 니켈계 금속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립부 확장 변위되어 해당 접속면에 강하게 밀착 접속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운동 시 해당 접속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립부의 선단 외측 모서리를 라운딩처리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립부 외벽면에는 노치를 형성하여, 상기 립부의 탄성변위가 무리 없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너트에 의하면, 바디(이너바디 및 아우터 바디)에 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유압식 너트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분해/조립이 용이하다는 구조적 장점을 가지며, 또한 실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유압식 너트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좁은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구조적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이 바디(이너 바디, 아우터 바디)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금속재질로 이루어 짐에 따라, 터빈 설비와 같은 고온환경에도 무리없이 적용이 가능하 적용환경에 구애됨이 없이 보다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의해 규정되는 실린더에 허용압 이상의 내압이 걸려 실린더 벽면이 외확장되는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실이 그 변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실린더 밀폐효과가 뛰어나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없으며, 보다 큰 유압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보다 큰 체결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너트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유압식 너트의 결합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유압식 너트의 실링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실린더 내에 압력 유체가 제공된 경우에 있어 실링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너트는 몸체를 구성하는 이너 바디(inner body; 1) 및 아우터 바디(outer body; 2)와, 이너 바디(1) 외부에 체결되는 락 너트(lock nut; 3)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바디(2)는 이너 바디(1) 하단에 위아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가 상호 결합되어 중첩되는 구간에는 압력 유체가 도입될 수 있는 밀폐된 공간 즉, 실린더(5)가 형성된다.
이너 바디(Inner body; 1)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10)를 갖고, 이러한 중공부(10)에 의한 이너 바디(1) 내경에는 볼트와의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중공부(10)는 삽입되는 나사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사산이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볼트 규격에 맞는 규격을 가진 너트를 이너 바디 상단에 추가로 체결시킴으로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와 조립 시 상호 중첩되는 구간의 상기 이너 바디(1)는 그 외단에 평평한 접속면(12)을 갖고, 상기 접속면(12) 상단에는 이 접속면(12)으로부터 수직으로 외향 단차진 실링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바디(2) 역시 상기 이너 바디(1)와 조립 시 이 이너 바디(1)와 중첩되는 구간의 내단에 상기 이너 바디(1) 외단에 형성된 접속면(12)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접속면(22)을 갖고, 이 접속면(22)으로부터 수직으로 내향 단차진 실링부(24)를 일체로 갖는다.
실린더(5)는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 조립 시 상기 이너 바디(1)에 형성된 접속면(12) 및 실링부(14)와 상기 아우터 바디(2)에 형성된 접속면(22) 및 실링부(24)에 의하여 규정된 대략 직사각 단면을 갖는 공간에 해당되며, 이 실린더(5)로의 압력 유체의 공급은 이너 바디(1) 벽면을 따라 상하로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로(16)를 통해 상기 실린더(5)에 압유가 제공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실린더(5)가 팽창하고 유압식 너트의 전체적인 길이는 상기 실린더의 수직 팽창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늘어난다.
상기 이너 바디(1) 및 아우터 바디(2)에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14)(24)는, V자형 요홈부(140)(240)와, 이 요홈부(140)(240) 형성으로 인하여 요홈부(140)(240) 측면에 형성되는 탄성변위 가능한 립부(142)(242)를 포함한다. 실린더(5)에 압력유체 도입 시 실링부(14)(24)를 구성하는 상기 요홈부(140)(240)로는 압력유체가 충전되며, 상기 립부(142)(242)는 상기 요홈부(140)(240)에 충전된 압력유체에 의한 압에 의해 측방향으로 벌어져 이와 인접하는 접속면(12)(22)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는 변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에 의해 규정되는 실린더(5)에 허용압 이상의 내압이 걸려 실린더(5)를 형성하는 접속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그 사이에 갭(g)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립부(44) 역시 압유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확장 변위되면서 상기 벽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하여 실린더(5)에 대한 밀폐성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 각각에 형성된 접속면(12)(22)은 이 접속면(12)(22)에 접하는 해당 실링부(14)(24)의 립부(142)(242)에 비해 강한 강도를 갖는 내마모성 금속을 소재로 코팅처리 후 연마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접속면(12)(22)에 립부(142)(242)가 접속한 상태로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가 이격되는 슬라이딩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그 변위에 따른 접속면(12)(22)의 마모는 현저히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면(12)(22)의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소재로는, 하스텔로이(hastelloy), 인코넬(inconel), 코발트계 금속, 니켈계 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상기한 코팅층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소재를 용융 또는 반 용융시킨 후 고속으로 분사시켜 피 도포면에 피막을 형성시키는 공지된 용사코팅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실링부(14)(24)를 구성하는 상기 립부(142)(242) 선단 외측 모서리(e)는 라운딩 처리된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처럼 상기 립부(142)(242)의 선단 외측 모서리(e)를 라운딩 처리하면, 상기 립부(142)(242)에 확장 변위가 일어나 해당 접속면(12)(22)과 강하게 밀착 접속된 채로 압유에 의해 이너 바디(1)에 대한 아우터 바디(2)의 상대운동이 진행되더라도, 립부(142)(242) 선단 외측 모서리(e)와 상기 접속면(12)(22)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마찰에 따른 스크레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립부(142)(242) 외벽면에 노치(144)(244)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요홈부(140)(240)에 유체가 도입되어 압력이 형성되고 그 압력으로 인해 상기 립부(142)(242)에 도 4에서와 같은 탄성변위가 발생함에 있어, 그러한 탄성변위 발 생방향의 안쪽부분에 발생하는 압축으로 인한 스프링 백(spring back)을 줄여 그 탄성변위가 무리없이 일어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6은 상기 유압식 너트가 죄어지는 표면이 평평하지 않거나 또는 유압식 너트만 사용하면 표면에 홈이 생기거나 또, 너트로 죄었을 때, 진동으로 인해 너트가 느슨해져서 빠져나오는 경우을 대비하기 위한 와셔이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유압식 너트를 통해 수행되는 체결 대상물에 대한 체결과정을 본 발명의 작동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너트를 통해 수행되는 체결 대상물에 대한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상 부호 7은 본 발명인 유압식 너트가 체결되는 볼트이며, 8은 상기 볼트와 유압식 너트를 통해 상호 체결될 체결 대상물이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은 볼트와 유압식 너트의 초기 조립상태에서 외부 유압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실린더(5)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면, 그 압력으로 인해 립부(142)(242)가 벌어지면서 해당 접속면(12)(22)에 강하게 밀착하여 실린더(5)는 완전히 밀폐된다. 실린더(5)에 제공된 압력유체에 의해 상기 실린더(5)는 팽창하고 상기 이너 바디(1)와 아우터 바디(2)를 포함하는 유압식 너트의 전체적인 축방향 길이는 도 5의 (b)와 같이 늘어난다.
유압식 너트에 위와 같은 축방향 신장변위가 발생하면, 아우터 바디(2)는 체결 대상물 측으로 강하게 밀착되고 상대적으로 이너 바디(1)는 볼트(7)를 당기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볼트(7) 역시 인장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c)와 같이 이너 바디(1) 외부에 체결된 락 너트(3)를 아우터 바디(2)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죄면, 아우터 바디(2)에 지지되는 상기 락 너트(3)에 의해 볼트(7)는 인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실린더(5)에 제공된 유압를 제거하면, 상기 볼트(7)에는 도 5의 (d)와 같이 인장에 반발하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고, 락 너트(3)와 아우터 바디(2)의 접촉 경계부에는 상기 탄성복원력에 반발하는 반력이 발생한다. 결국 볼트(7)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려 하지만 락 너트(3)에 의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볼트와 유압식 너트 간에는 보다 견고하면서도 강한 체결력이 발생한다.
한편, 체결력을 해제하여 볼트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너트를 다시 분리시키려면, 전술한 체결과정의 역순으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간단하게 체결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너트에 따르면, 바디(이너바디 및 아우터 바디)에 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유압식 너트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분해/조립이 용이하다는 구조적 장점을 가지며, 또한 실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유압식 너트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좁은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구조적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이 바디(이너 바디, 아우터 바디)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금속재질로 이루어 짐에 따라, 터빈 설비와 같은 고온환경에도 무리없이 적용이 가능하 적용환경에 구애됨이 없이 보다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의해 규정되는 실린더에 허용압 이상의 내압이 걸려 실린더 벽면이 외확장되는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실이 그 변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실린더 밀폐효과가 뛰어나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없으며, 보다 큰 유압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보다 큰 체결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너트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유압식 너트의 결합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유압식 너트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린더 내에 압력이 형성된 경우에 있어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너트를 통해 수행되는 체결 대상물에 대한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이너 바디 2...아우터 바디
3...락 너트 5...실린더
10...중공부 12, 22...접속면
14, 24...실링부 140, 240...요홈부
142, 242...립부 144, 244...노치

Claims (5)

  1. 볼트 체결을 위한 중공부를 갖고, 외단에는 접속면을 가지며,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외향 단차진 실링부를 일체로 갖는 이너 바디(Inner body);
    상기 이너 바디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단에는 상기 이너 바디 외단에 형성된 접속면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접속면을 갖고, 이 접속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내향 단차진 실링부를 일체로 갖는 아우터 바디(Outer body);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결합 시 이너 바디 선단과 아우터 바디 선단이 중첩되는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 및 실링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 및 실링부에 의해 실링부에 의해 규정되는 환형의 실린더(Cylinder);
    상기 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이 이너 바디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에 이르는 유체도입경로를 형성하는 유로; 및
    상기 이너 바디에 외부에 체결되어 상기 아우터 바디의 진출상태를 유지시키는 락 너트(Lock nut);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바디 및 아우터 바디에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는,
    V자형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로 도입된 압유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어 인접한 접속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탄성변위를 갖는 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형성된 접속면은,
    접속면에 접하는 해당 실링부의 립부에 비해 강한 강도를 갖는 내마모성 금속을 소재로 코팅처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면의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소재는,
    하스텔로이(hastelloy), 인코넬(inconel), 코발트계 금속, 니켈계 금속 중 선택 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 선단의 외측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너트.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 외벽면에는,
    상기 립부의 탄성변위가 무리 없이 일어날 수 있도록 노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너트.
KR1020080129405A 2008-12-18 2008-12-18 유압식 너트 KR20100070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05A KR20100070726A (ko) 2008-12-18 2008-12-18 유압식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05A KR20100070726A (ko) 2008-12-18 2008-12-18 유압식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26A true KR20100070726A (ko) 2010-06-28

Family

ID=4236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05A KR20100070726A (ko) 2008-12-18 2008-12-18 유압식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7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5140A (zh) * 2014-09-03 2016-04-06 天津市天锻压力机有限公司 大型超塑成形压机用的自预紧液压锁母
WO2017086527A1 (ko)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디티앤씨뉴밀 유압식 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5140A (zh) * 2014-09-03 2016-04-06 天津市天锻压力机有限公司 大型超塑成形压机用的自预紧液压锁母
WO2017086527A1 (ko)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디티앤씨뉴밀 유압식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8126B2 (ja) 加圧可能なシールを有するねじ接合部
CA2705351C (en) Coupling gaskets and associated methods
HUE026196T2 (en) Combined, double-sided, sealing ring flange connections for removable sealing
US20160169385A1 (en) Energized screw gland
KR100915866B1 (ko) 유압식 너트
US20040135322A1 (en) Flat sealing ring
KR20100070726A (ko) 유압식 너트
JP4352181B2 (ja) ピストンポンプの可動シール部液漏れ防止装置
CA2764389C (en) Pressurizable sealing element
US6539976B1 (en) Water hammer arrester
JP4755676B2 (ja) 流体圧ナット
CN211371562U (zh) 自带张紧功能的螺栓及海管法兰连接结构
RU176386U1 (ru) Механическое уплотнение плунжера и штоков
EP3426931B1 (en) Linear actuator and drive rod
CN207486280U (zh) 与管道内径齐平的高压自紧法兰
KR102390604B1 (ko) 유압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결합 방법
CN104930296A (zh) 液压双向管道密封装置
CA2496933A1 (en) Hydraulic nut and method of use thereof
CA2822136C (en) Coupling gasket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30017904A (ko) 게이트 밸브
JP2011252577A (ja) ユニオン継手およびユニオン継手のシール構造
KR20100137740A (ko) 냉각수 누수방지 밀폐장치
US10443769B2 (en) Pivot joint
KR200144201Y1 (ko) 유압 커플러 사용치구에 적용되는 클램프 풀림방지용 유압실린더
CA2457968A1 (en) Hydraulic nu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