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298A -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298A
KR20200118298A KR1020190039701A KR20190039701A KR20200118298A KR 20200118298 A KR20200118298 A KR 20200118298A KR 1020190039701 A KR1020190039701 A KR 1020190039701A KR 20190039701 A KR20190039701 A KR 20190039701A KR 20200118298 A KR20200118298 A KR 20200118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pressure
failure
negative pressure
form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298A/ko
Priority to US16/588,216 priority patent/US10859012B2/en
Priority to CN201911007131.1A priority patent/CN111779587A/zh
Priority to DE102019217408.6A priority patent/DE102019217408A1/de
Publication of KR2020011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35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to achieve a special effect, e.g. to warm up the catalyst
    • F02D41/0037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to achieve a special effect, e.g. to warm up the catalyst for diagnos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4Control of the valve or purge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42Controlling the combustible mixture as a function of the canister purging, e.g. control of injected fuel to compensate for deviation of air fuel ratio when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02M25/0827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by monitoring engine runn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41Control to generate negative pressure in the intake manifold, e.g. for fuel vapor purging or brake boo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압력을 검출하는 연료탱크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부압형성라인의 고장 상황을 진단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터보차저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을 검출하고;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며; 상기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FAULT OF DUAL PURGE SYSTEM}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압력을 검출하는 연료탱크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부압형성라인의 고장 상황을 진단 가능하도록 한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 내 연료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증발하거나, 또는 주유시에 증발가스(유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는 캐니스터에 포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는 퍼지 시스템을 통해 흡기매니폴드에서 공기와 혼합된 후 연소실에 연소된다.
한편, MPI 엔진의 경우 싱글퍼지 시스템을 통해 증발가스 관련 환경 법규의 대응체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터보 GDI 엔진의 경우에는, 터보 작동시 흡기 매니폴드 내에 정압 형성으로 인해 싱글퍼지 시스템의 사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즉, 터보차저가 작동됨에 따라 압축공기가 흡기 매니폴드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 내부에 정압이 형성되어 기존의 싱글퍼지 시스템으로는 퍼지 기능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터보 GDI 엔진에 듀얼 퍼지(Dual Purge)시스템을 적용하여 법규와 상품성을 만족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즉, 터보차저 작동시 강제적으로 부압을 형성하는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엔진 부압시에는 캐니스터에서 배출된 증발가스를 서지탱크 내에 퍼지시키고, 터보차저의 작동시에는 부압형성장치에 의해 부압을 형성하여 증발가스를 연소실 내에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부압형성장치에는 연료탱크에 설치된 연료탱크압력센서와 별개로 압력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부압형성장치의 고장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압력센서는 부압형성장치의 고장 진단을 위해 설치된 것으로, 압력센서 장착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바, 상기 압력센서 없이 부압형성장치의 고장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US 2015-0292421 A JP 1996-135524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탱크의 압력을 검출하는 연료탱크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부압형성라인의 고장 상황을 진단 가능하도록 한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퍼지밸브와 서지탱크 전단 사이에 엔진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고, 터보차저 전단과 스로틀밸브 전단 사이에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되, 상기 터보차저 전단과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는 부분과 퍼지밸브 사이에 강제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두 개의 부압형성라인 중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퍼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컨트롤러가, 터보차저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단계;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제1고장진단단계; 및 컨트롤러가, 상기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가 열린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은 터보차저의 부스팅 압력에 따라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기준범위 내에 포함시,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제2고장진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가 닫힌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과 재순환흐름라인과 터보차저의 전단 사이에 연결된 이젝터가 닫힌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기준범위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장 진단시스템의 구성은, 퍼지밸브와 서지탱크 전단 사이에 엔진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고, 터보차저 전단과 스로틀밸브 전단 사이에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되, 상기 터보차저 전단과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는 부분과 퍼지밸브 사이에 강제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두 개의 부압형성라인 중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퍼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터보차저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압력변화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에서는 상기 압력변화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기준범위 내에 포함시,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에서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터보차저의 부스팅 압력에 따라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레벨에 따라 기준범위를 결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연료탱크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변화값을 이용하여 터보차저의 작동시 부압형성라인의 고장 상황을 진단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부압형성라인에 추가적으로 장착된 압력센서의 제거가 가능하고, 이에 차량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듀얼 퍼지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의 고장상황 또는 정상상황에서 나타나는 연료탱크의 압력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차량용 듀얼 퍼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연료탱크압력센서(1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0)에서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도록 캐니스터(20)가 구비되고, 상기 캐니스터(20)는 퍼지밸브(30)와 연결되어 상기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징 작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퍼지밸브(30)와 서지탱크(50) 전단 사이에는 엔진부압형성라인(40)이 연결되어, 엔진 부압시 퍼지밸브(30)에서 유동되는 증발가스가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을 통해 서지탱크(50)에 유입되어 퍼징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터보차저(90) 전단에는 이젝터(81)가 마련되어, 상기 이젝터(81)와 스로틀밸브(60)의 전단 사이에 재순환흐름라인(80)이 연결되고, 상기 터보차저(90) 전단과 재순환흐름라인(80)이 연결되는 이젝터(81)와 퍼지밸브(30) 사이에 강제부압형성라인(70)이 연결되어, 엔진 정압시 퍼지밸브(30)에서 유동되는 증발가스가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70)을 통해 서지탱크(50)에 유입되어 퍼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과 강제부압형성라인(70) 상에는 증발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체크밸브(41)와 제2체크밸브(71)가 각각 설치된다.
즉, 엔진 부압시에는, 엔진 부압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캐니스터(20)에서 탈착된 증발가스가 퍼지밸브(30)에 유동되고, 컨트롤러(CLR)의 신호를 받아 퍼지밸브(30)가 작동되면 상기 증발가스가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을 따라 서지탱크(50) 내에 유입되어 증발가스가 퍼지될 수 있게 된다.
반면, 터보차저(90) 작동에 따른 엔진 정압시에는, 재순환흐름라인(80)과 이젝터(81)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켜 강제부압형성라인(70)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컨트롤러(CLR)의 신호를 받아 퍼지밸브(30)가 작동되면 증발가스가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70)을 따라 서지탱크(50) 내에 유입되어 증발가스가 퍼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듀얼 퍼지시스템에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과 강제부압형성라인(70) 상의 고장 상황을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를 기반으로 진단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트롤러(CLR)가, 터보차저(90)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30)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11)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단계; 컨트롤러(CLR)가,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제1고장진단단계; 및 컨트롤러(CLR)가, 상기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때에, 상기 제1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41)가 열린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즉, 터보차저(90)가 부스팅 작동 중에 퍼지밸브(30)가 작동되는 경우, 증발가스가 강제부압형성라인(70)을 통해 유동됨으로써, 엔진부압형성라인(40)은 닫혀져 있어야 한다.
그런데, 만일 제1체크밸브(41)의 고장 등으로 인해 엔진부압형성라인(40)이 닫혀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고착되는 경우, 터보차저(90)에서 부스팅된 과급공기가 연소실 내에 유입되면서 엔진부압형성라인(40)으로도 역유입되어 연료탱크(10)에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체크밸브(41)가 열림 상태로 고착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연료탱크(10) 내의 압력변화값이 기준값보다 높게 나타나게 되는바, 이를 통해 제1체크밸브(41)의 고장 상황을 진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클러스터에 표시).
아울러,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즉, 상기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은 현재 측정되는 연료탱크(10) 압력값이고,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은 초기 압력값으로서, 이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연료탱크 압력변화값 = (현재 연료탱크 압력값 - 초기압력값) / 단위시간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값과 비교하는 기준값은 터보차저(90)의 부스팅 압력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이는 테이블값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기준범위 내에 포함시,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70)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제2고장진단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때에, 상기 제2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70)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71)가 닫힌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하거나, 혹은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70)과 재순환흐름라인(80)과 터보차저(90)의 전단 사이에 연결된 이젝터(81)가 닫힌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즉, 터보차저(90)가 부스팅 작동 중에 퍼지밸브(30)가 작동되는 경우, 증발가스가 강제부압형성라인(70)을 통해 유동됨으로써, 강제부압형성라인(70)은 열려진 상태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만일 제2체크밸브(71) 또는 이젝터(81)의 고장 등으로 인해 강제부압형성라인(70)이 열려지지 않고 폐쇄된 상태로 고착되는 경우, 강제부압형성라인(70)에 부압이 형성되지 않아 캐니스터(20) 내의 증발가스를 흡입하지 못하게 되면서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제2체크밸브(71) 또는 이젝터(81)가 닫힘 상태로 고착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연료탱크(10) 내의 압력변화값이 0을 포함하는 기준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는바, 이를 통해 제2체크밸브(71) 또는 이젝터(81)의 고장 상황을 진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클러스터에 표시).
물론, 제2체크밸브(71) 또는 이젝터(81)가 정상인 경우에는, 강제부압형성라인(70)에 부압이 형성되어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값이 음의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즉, 상기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은 현재 측정되는 연료탱크(10) 압력값이고,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은 초기 압력값으로서, 이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연료탱크 압력변화값 = (현재 연료탱크 압력값 - 초기압력값) / 단위시간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값과 비교하는 기준범위는 연료탱크(10) 내의 연료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이는 테이블값일 수 있고, 0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퍼지시스템의 고장 진단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입력부(100)와, 산출부(110)와, 판단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고, 이들 구성은 컨트롤러(CLR)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부(100)에서는 터보차저(90)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30)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11)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입력된다.
산출부(110)에서는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압력변화값을 산출한다.
예컨대,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판단부(120)에서는 상기 산출부(110)에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40)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120)에서는 상기 압력변화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기준범위 내에 포함시,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70)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한다.
출력부(130)에서는 상기 판단부(120)의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도록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터보차저(90)의 부스팅 압력에 따라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연료탱크(10) 내의 연료레벨에 따라 기준범위를 결정하는 설정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퍼지밸브(30)의 작동전에 연료탱크압력센서(11)에 의해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측정 및 저장된다(S10).
이 후에, 터보차저(90)가 부스팅 작동되면(S20), 상기 터보차저(90)의 부스팅 작동과정에서 퍼지밸브(30)가 작동되는지 판단하고(S30), 퍼지밸브(30)가 작동되는 경우 A초가 경과되면 이때의 연료탱크(10)의 압력을 측정 및 저장한다(S40).
이에, S10단계에서 측정된 연료탱크(10)의 초기압력과 S40단계에서 측정된 현재 압력의 A초 동안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연료탱크(10)의 압력변화값을 산출한다(S50).
그리고, 터보차저(90)의 부스팅압력과, 연료레벨, 그리고 냉각수온과 대기압력 등의 인자들을 바탕으로 상기 압력변화값과 대비되는 기준값과 기준범위를 각각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인지 판단하고(S60), 판단 결과 기준값 초과인 경우 제1체크밸브(41)가 열림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고(S70), 해당 고장상황을 클러스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80).
반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1체크밸브(41)를 정상으로 진단한다(S90).
아울러, 상기 압력변화값이 기준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S100), 판단 결과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제2체크밸브(71) 또는 이젝터(81)가 닫힘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고(S110), 해당 고장상황을 클러스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120).
반면,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제2체크밸브(71) 및 이젝터(81)를 정상으로 진단한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10)의 내의 압력변화값이 기준값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우, 제1체크밸브(41)의 고장 상황으로 진단하고, 또한 연료탱크(10)의 내의 압력변화값이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2체크밸브(71) 또는 이젝터(81)의 고장 상황으로 진단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연료탱크압력센서(11)를 이용하여 터보차저(90)의 작동시 부압형성라인의 고장 상황을 진단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부압형성라인에 추가적으로 장착된 압력센서의 제거가 가능하고, 이에 차량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연료탱크
11 : 연료탱크압력센서
20 : 캐니스터
30 : 퍼지밸브
40 : 엔진부압형성라인
41 : 제1체크밸브
50 : 서지탱크
60 : 스로틀밸브
70 : 강제부압형성라인
71 : 제2체크밸브
80 : 재순환흐름라인
81 : 이젝터
90 : 터보차저
100 : 입력부
110 : 산출부
120 : 판단부
130 : 출력부
140 : 설정부
CLR : 컨트롤러

Claims (11)

  1. 퍼지밸브와 서지탱크 전단 사이에 엔진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고, 터보차저 전단과 스로틀밸브 전단 사이에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되, 상기 터보차저 전단과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는 부분과 퍼지밸브 사이에 강제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두 개의 부압형성라인 중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퍼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컨트롤러가, 터보차저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단계;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제1고장진단단계; 및
    컨트롤러가, 상기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가 열린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은 터보차저의 부스팅 압력에 따라 결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기준범위 내에 포함시,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제2고장진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가 닫힌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고장진단단계에서는,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과 재순환흐름라인과 터보차저의 전단 사이에 연결된 이젝터가 닫힌 상태로 고착된 고장 상황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기준범위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8. 퍼지밸브와 서지탱크 전단 사이에 엔진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고, 터보차저 전단과 스로틀밸브 전단 사이에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되, 상기 터보차저 전단과 재순환흐름라인이 연결되는 부분과 퍼지밸브 사이에 강제부압형성라인이 연결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두 개의 부압형성라인 중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퍼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터보차저가 부스팅 작동되고, 퍼지밸브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기반으로 압력변화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압력변화값이 기준값 초과시, 상기 엔진부압형성라인이 개방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고장 진단시, 고장 상황을 경고하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는 상기 압력변화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기준범위 내에 포함시, 상기 강제부압형성라인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고장상황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서 상기 압력변화값은 퍼징 작동과정에서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과 퍼징 작동전 측정된 연료탱크의 압력 차이의 단위 시간당 변화된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터보차저의 부스팅 압력에 따라 기준값을 결정하고,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레벨에 따라 기준범위를 결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시스템.
KR1020190039701A 2019-04-04 2019-04-04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8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01A KR20200118298A (ko) 2019-04-04 2019-04-04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US16/588,216 US10859012B2 (en) 2019-04-04 2019-09-30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fault of dual purge system
CN201911007131.1A CN111779587A (zh) 2019-04-04 2019-10-22 双净化系统的故障诊断方法和系统
DE102019217408.6A DE102019217408A1 (de) 2019-04-04 2019-11-12 Verfahren und System zur Fehlerdiagnose eines dualen Spül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01A KR20200118298A (ko) 2019-04-04 2019-04-04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298A true KR20200118298A (ko) 2020-10-15

Family

ID=7251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701A KR20200118298A (ko) 2019-04-04 2019-04-04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59012B2 (ko)
KR (1) KR20200118298A (ko)
CN (1) CN111779587A (ko)
DE (1) DE1020192174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296A (ko) * 2020-12-23 2022-06-30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듀얼 퍼지시스템 진단 방법
KR20220154405A (ko) 2021-05-13 202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진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108A (ko) * 2019-11-20 2021-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퍼지 시스템 진단 방법
JP7272325B2 (ja) * 2020-06-15 2023-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11181056B1 (en) * 2021-04-14 2021-1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dual path evaporative emissions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524A (ja) 1994-11-07 1996-05-28 Nissan Motor Co Ltd キャニスタ
US20150292421A1 (en) 2014-04-14 2015-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fuel vapo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350A (ja) * 1993-05-31 1994-12-13 Suzuki Motor Corp 蒸発燃料制御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3065163A (ja) * 2001-08-23 2003-03-05 Toyota Motor Corp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DE102011084403A1 (de) * 2011-10-13 2013-04-18 Robert Bosch Gmbh Tankentlüftungs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Diagnose
JP5776572B2 (ja) * 2012-02-03 2015-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
US9822718B2 (en) * 2015-04-20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nister purging
US9638144B2 (en) * 2015-06-26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vapor canister purging
US10197017B2 (en) * 2015-12-01 2019-02-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vapor system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JP6397440B2 (ja) * 2016-03-24 2018-09-26 株式会社Subaru エンジン制御装置
JP6634997B2 (ja) * 2016-10-07 2020-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
KR101905565B1 (ko) * 2016-11-14 2018-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및 리크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524A (ja) 1994-11-07 1996-05-28 Nissan Motor Co Ltd キャニスタ
US20150292421A1 (en) 2014-04-14 2015-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fuel vapor manag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296A (ko) * 2020-12-23 2022-06-30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듀얼 퍼지시스템 진단 방법
KR20220154405A (ko) 2021-05-13 202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진단 시스템
US11649788B2 (en) 2021-05-13 2023-05-16 Hyundai Motor Company Failure diagnosis method and system of dual pur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9012B2 (en) 2020-12-08
DE102019217408A1 (de) 2020-10-08
CN111779587A (zh) 2020-10-16
US20200318563A1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8298A (ko) 듀얼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JP460777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EP2975252B1 (en) Abnormality sensing device for evaporation fuel purge system
JP6354734B2 (ja) 内燃機関の異常検出装置
US11136943B2 (en) Evaporative fuel processing system
US20060229796A1 (en) Evaporative system leak detection upon refueling
JP200500296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KR20210062108A (ko) 엔진 퍼지 시스템 진단 방법
JP4892878B2 (ja) 燃料レベルゲージの故障診断装置
US11073112B2 (e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JP2001041116A (ja) 燃料蒸発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US11187193B1 (en) Active dual purge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active dual purge system using onboard diagnosis
JP2017075541A (ja) エンジン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
US20220205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Ventilation Lin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Tank
JP200234936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US10914271B1 (en) Leak diagnosis system using purge pump of active purge system and leak diagnosis method using purge pump of active purge system
KR100722666B1 (ko)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센서 고장 진단 방법
JP6233591B2 (ja) 燃料蒸発ガス排出抑制装置
US7373799B2 (en) Testing a fuel tank vacuum sensor
KR20210117736A (ko) 액티브 퍼지 시스템 및 obd를 이용한 액티브 퍼지 시스템의 진단 방법
JPH06159157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4467783B2 (ja) 燃料温度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
JP2002039021A (ja)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US10857873B2 (en) Evaporated fuel treatment device
KR102323409B1 (ko) 부스트 압력 센서의 진단 방법 및 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