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019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019A
KR20200118019A KR1020207022054A KR20207022054A KR20200118019A KR 20200118019 A KR20200118019 A KR 20200118019A KR 1020207022054 A KR1020207022054 A KR 1020207022054A KR 20207022054 A KR20207022054 A KR 20207022054A KR 20200118019 A KR20200118019 A KR 2020011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cur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이와모토
유키 이시카와
신지 가와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9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being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being photo-polymeri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적어도 15℃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고, 상기 중간막은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경화물이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습기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며,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 0℃ 이하이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가 2.5 이상이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104Pa 이상 5.0×106Pa 이하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 비산량이 적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수지 (a1)을 포함하는 조성물 (A)에 의해 형성된 차음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을 두께 0.8mm로 성형한 시트의 동적 점탄성을 주파수 0.3Hz 및 인장 모드에서 측정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tanδ는 온도 TA(℃)에 극댓값을 갖는다. 상기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 있어서 TA(℃)는 -50 내지 50℃의 범위 내이며, TA(℃)에 있어서의 tanδ는 2.5 이상이다.
특허문헌 1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복실산비닐, 올레핀-카르복실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염소화 폴리올레핀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멜라민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차음성이 높아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서는 0℃, 5℃, 10℃, 15℃, 20℃, 25℃, 30℃, 35℃ 및 40℃의 온도에서의 음향 투과 손실의 측정 결과로서, 음향 투과 손실의 평균값이 가장 큰 온도와, 음향 투과 손실의 평균값이 가장 큰 온도에 있어서의 음향 투과 손실(복수의 주파수에서의 평균값)이 기재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PVB/PET/아크릴레이트/PET/PVB의 구조를 갖는 필름(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WO2017/170259A1 일본 특허 공개 평10-177390호 공보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는 각종 온도 환경에서 사용된다. 종래의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정한 하나의 온도에 있어서의 차음성이 높은 접합 유리라도, 그 온도와는 다른 온도에서 접합 유리가 사용되면 차음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차음성이 높아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0℃, 5℃, 10℃, 15℃, 20℃, 25℃, 30℃, 35℃ 및 40℃의 온도에서의 음향 투과 손실이 평가되어 있는 한편, 복수의 각 온도 모두에 있어서의 음향 투과 손실의 결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이 높아지는 것은 실시예에 의해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적어도 15℃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중간막은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 0℃ 이하이고,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가 2.5 이상이고, 상기 수지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104Pa 이상 5.0×106Pa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수지층이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고, 상기 경화물이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습기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다. 상기 수지층이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고, 상기 경화물이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경화물이 광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아닌 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중의 상기 경화물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보다도 적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수지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 0℃ 이하이고,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가 2.5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104Pa 이상 5.0×106Pa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적어도 15℃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수지층을 구비한다. 해당 수지층 중의 수지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수지층 중의 수지로서 바람직한 수지는 나중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 0℃ 이하이고,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가 2.5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상기 수지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104Pa 이상 5.0×106Pa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적어도 15℃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 내지 25℃의 온도 영역 중이나 15℃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전체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도 있다. 따라서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가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 사용되어도, 높은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는 바람직하게는 2.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tanδ는 6.0 이하여도 된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는 바람직하게는 5.0×104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5Pa 이상이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는 바람직하게는 3.0×10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5Pa 이하이다.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이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이어도 되고,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경화물이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습기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경화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경화성 화합물이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습기 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되고,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은 광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되고, 습기 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되고, 광경화성 화합물 및 습기 경화성 화합물의 양쪽과는 다른 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가지므로,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된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상기 tanδ 및 상기 저장 탄성률 G'는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점탄성 측정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시험편을 실온 23±2℃, 습도 25±5%의 환경 하에 12시간 보관한다. 이어서, TA 인스트루먼트사제의 점탄성 측정 장치 「ARES-G2」를 사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한다. 지그로서 직경 8mm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전단 모드, 3℃/분의 강온 속도로 100℃에서 -2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그리고 주파수 1Hz 및 변형 1%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중간막 자체를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 측정 결과로부터, 상기 수지층에서 유래하는 tanδ의 피크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서 유래하는 tanδ의 피크 등을 읽어들여도 된다.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에 대하여는, 각 층간을 박리하여 측정 대상인 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접합 유리의 경우에는 액체 질소 등으로 접합 유리를 냉각한 후에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박리하고, 박리한 중간막을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의 두께가 0.5mm 이상 2mm 이하이면, 상기 수지층을 직접 시험편으로서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수지층을 복수 겹치거나 두께만을 조정한 수지층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하여, 두께가 0.5mm 이상 2mm 이하인 시험편을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가 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층을 슬라이스하거나, 두께만을 조정한 수지층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하여, 두께가 0.5mm 이상 2mm 이하인 시험편을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해도 된다.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의 경화 균일성을 높이고,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광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의 경화 균일성을 높이고,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경화물은 (메트)아크릴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포함되는 수지는 열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 또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가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인 경우에,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열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간막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사용에 의해 가소제의 이행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결과, 높은 차음성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의 제작 시에 탈기가 불충분한 경우에 발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발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를 한층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사용에 의해 공기의 확산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결과, 높은 발포 억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4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4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5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5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층이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 및 각 층간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제1층의 상기 제1 표면측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된 제3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층이 상기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 및 각 층간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상기 제2층의 상기 제1층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4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제3층의 상기 제1층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5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또는 상기 제3층이 상기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이 상기 수지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음성 및 중간막과 유리판 사이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막에 있어서의 중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수지층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이어도 된다. 차음성 및 중간막과 유리판 사이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막에 있어서의 중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이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투명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파장 380 내지 780nm에서 측정된다.
상기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2매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중간막을 배치하여 측정되어도 된다. 상기 클리어 유리의 두께는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중간막(1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막(11)은 3층의 구조를 갖는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제1층(1)과 제2층(2)과 제3층(3)을 구비한다. 제1층(1)의 제1 표면(1a)측에 제2층(2)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층(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b)측에 제3층(3)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층(1)은 중간층이다. 제2층(2) 및 제3층(3)은 각각 보호층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층(1)은 제2층(2)과 제3층(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1)은 제2층(2)과 제1층(1)과 제3층(3)이 이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2층(2)/제1층(1)/제3층(3))를 갖는다.
중간막(11)에서는, 제1층(1)이 상기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2)이 상기 수지층이어도 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제3층(3)이 상기 수지층이어도 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또한, 제2층(2)과 제1층(1) 사이 및 제1층(1)과 제3층(3)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층(2)과 제1층(1) 및 제1층(1)과 제3층(3)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접착층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중간막(11A)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막(11A)은 5층의 구조를 갖는다. 중간막(11A)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11A)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A)은 제1층(1A)과 제2층(2A)과 제3층(3A)과 제4층(4A)과 제5층(5A)을 구비한다. 제1층(1A)의 제1 표면(1a)측에 제2층(2A)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층(1A)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b)측에 제3층(3A)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2층(2A)의 제1층(1A)측과는 반대측에 제4층(4A)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3층(3A)의 제1층(1A)측과는 반대측에 제5층(5A)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층(1A), 제2층(2A) 및 제3층(3A)은 각각 중간층이다. 제4층(4A) 및 제5층(5A)은 각각 보호층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층(1A)은 제2층(2A)와 제3층(3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제1층(1A)과 제2층(2A)과 제3층(3A)의 적층체는 제4층(4A)과 제5층(5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1A)은 제4층(4A)과 제2층(2A)과 제1층(1A)과 제3층(3A)과 제5층(5A)이, 이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4층(4A)/제2층(2A)/제1층(1A)/제3층(3A)/제5층(5A))를 갖는다.
중간막(11A)에서는 제1층(1A), 제2층(2A) 또는 제3층(3A)이 상기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층(1A)이 상기 수지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4층(4A)이 상기 수지층이어도 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제5층(5A)이 상기 수지층이어도 되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또한, 제4층(4A)과 제2층(2A) 사이, 제2층(2A)과 제1층(1A) 사이, 제1층(1A)과 제3층(3A) 사이 및 제3층(3A)과 제5층(5A)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4층(4A)과 제2층(2A), 제2층(2A)과 제1층(1A), 제1층(1A)과 제3층(3A) 및 제3층(3A)과 제5층(5A)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접착층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 상기 수지층,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상기 제3층, 상기 제4층 및 상기 제5층의 상세, 그리고 중간막에 사용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수지층 및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중간막은 수지층을 구비한다.
상기 수지층은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경화 수지(경화물), 폴리올레핀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이들 수지를 변성한 변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 수지는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다. 상기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광경화성 화합물, 습기 경화성 화합물 및 열경화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는 광경화성 화합물 혹은 습기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어도 된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혹은 습기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 열가소성 수지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로서는, 열경화성 화합물의 경화물 및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폴리옥시메틸렌(또는 폴리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된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여도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란, 가열하면 연화되어 가소성을 나타내고, 실온까지 냉각시키면 고화되는 수지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란,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특히, 가열하면 연화되어 가소성을 나타내고, 실온(25℃)까지 냉각시키면 고화되어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에 예시한 열가소성 수지는, 수지의 분자 구조나 중합도 등의 조정에 의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제1층/제3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층/제2층/제1층/제3층/제5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제4층 및 제5층은 각각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층/제2층/제1층/제3층/제5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화합물 혹은 습기 경화성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중합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에 있어서의 상기 경화물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광반응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광반응 개시제와 함께,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의 대표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 상기 중합 성분은 환상 에테르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방향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극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측쇄의 탄소수가 6 이하인 비환식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사용에 의해, 차음성과 발포 억제 성능의 양쪽을 양호한 밸런스로 높일 수 있다.
상기 환상 에테르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3-메틸옥세탄-3-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프로필옥세탄-3-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틸옥세탄-3-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2-디메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이소부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시클로헥실-1,3-디옥솔란-4-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아크릴산 다량체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트)아크릴레이트, 2-{1-[(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2-메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벤질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극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극성기로서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여도 된다. 해당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서는,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측쇄의 탄소수가 6 이하인 비환식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 상기 중합 성분 100중량% 중, 측쇄의 탄소수가 8 이상인 비환식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은 20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상기한 화합물 이외에도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2-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광반응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모르폴리노(4-티오메틸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올리고머,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벤젠메탄아미늄브로마이드, (4-벤조일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2-(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3,4-디메틸-9H-티오크산톤-9-온 메소클로라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트리페닐메틸륨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반응 개시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보조제로서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미힐러 케톤),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산,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n-부톡시)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보조제는 벤질디메틸케탈,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일이소프로필에테르,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또는 트리페닐메틸륨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100중량% 중, 상기 광반응 개시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상기 광반응 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광경화성 및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에 있어서의 상기 경화물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화합물이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광경화성 화합물 등의 광경화성 화합물일 때, 해당 광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키기 위해서 자외선 조사 장치 등의 광경화성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조사 장치로서는 박스 타입이나 벨트 컨베이어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 장치에 설치시키는 자외선 램프로서는, 초고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 케미컬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엑시머 램프, UV-LED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케미컬 램프 또는 UV-LED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물을 얻기 위해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량(적산 조사량)은 바람직하게는 500mJ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mJ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mJ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mJ 이상이다. 상기 자외선 조사량(적산 조사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0mJ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mJ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mJ 이하이다. 상기 자외선 조사량(적산 조사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미반응 모노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량(적산 조사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의 보존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의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1mW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W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mW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mW 이상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은 아세트산비닐과, 상기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3-메틸-3-부텐-1-올, 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및 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5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만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만 이상이다. 층간 접착력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20만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만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폴리스티렌 환산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을 합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합성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및 UV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의 투명성을 높이고, 또한 투명성이 높여진 중간막에 있어서 차음성 및 층간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의 합성 방법은 용액 중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통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통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한다. 우선,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구한다. 얻어진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몰 분율을 구한다. 이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 아세탈화도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100중량% 중, 상기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상기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이외의 첨가제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첨가제가 중간막의 표면으로 블리드 아웃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
상기 중간막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스티렌 수지, 테르펜 수지 및 로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헤이즈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스티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 수지는 스티렌의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의 올리고머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야스하라 케미컬사제 「YS 레진 SX100」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있어서, 해당 층에 포함되는 해당 점착 부여 수지를 제외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헤이즈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가소제)
상기 중간막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각 층간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파라핀 오일, 벤조산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핀 오일로서는, 나프텐계의 프로세스 오일, 백색 광유, 미네랄 오일, 파라핀 왁스 및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오일의 시판품으로서는, 이데미쯔 고산사제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90」, 이데미쯔 고산사제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100」 및 이데미쯔 고산사제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3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말레산디부틸, 아디프산비스(2-부톡시에틸), 아디프산디부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2,2-부톡시에톡시에틸, 벤조산글리콜에스테르, 아디프산1,3-부틸렌글리콜폴리에스테르,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탄산디에틸,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구조식으로 나타낸 경우에,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을 함유량 (1)이라 한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있어서,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을 함유량 (2)라 한다. 상기 함유량 (2)는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해당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을 함유량 (2')라 한다.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열성 물질)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차열성 물질은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상기 성분 X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물질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물질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 입자로서 금속 산화물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로서,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가시광보다 긴 파장 780nm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 불린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핑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핑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핑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핑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핑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핑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및 마그네슘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유리판 등의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으로서,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마그네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되기 한층 더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 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8」)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 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 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언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언트사제 「Sanduvor 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 120」)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틸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 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 상기 수지층,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서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금속염 이외의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기타 상세)
상기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굴곡 강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굴곡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중간막의 두께를 T라 한다. 상기 수지층(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등)의 두께(1층당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T 이상,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3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T 이하이다. 상기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1층당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T 이상, 바람직하게는 0.1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T 이하이다. 상기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지층(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등)의 두께(1층당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상기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1층당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상기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중간막은 두께가 균일한 중간막이어도 되고, 두께가 변화되어 있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웨지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그리고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2개의 표면층이 있는 경우에, 2개의 표면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표면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2개의 표면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립 엠보스법, 엠보스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스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엠보스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을 구비한다. 중간막(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2층(2)의 외측의 표면(2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3층(3)의 외측의 표면(3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A)을 구비한다. 중간막(11A)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A)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A)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4층(4A)의 외측의 표면(4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5층(5A)의 외측의 표면(5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제1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제2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며, 또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이 유리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 판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를 대신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예를 들어 얻어진 적층체를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백에 넣어서 감압 흡인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과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MPa의 압력에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층과 제2층과 제3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물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하여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아세탈의 종류가 아세토아세탈 등인 경우에는, 아세탈화도는 마찬가지로, 아세틸화도, 수산기의 함유율을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몰 분율을 산출하고, 이어서 100몰%로부터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을 뺌으로써 산출된다.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4몰%, 아세틸화도 0.9몰%, 아세탈화도 68.7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중합도 3000, 수산기의 함유율 24.3몰%, 아세틸화도 12.5몰%, 아세탈화도 63.2몰%)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층))
PET 필름 (1)(도요보사제 「도요보에스테르 필름 E5100」, 두께 50㎛)
PET 필름 (2)(도레이사제 「루미러 T60」, 두께 50㎛)
(경화물 및 폴리올레핀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미쓰이 가가꾸사제 「압소토머 EP-100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 중합체 (1) 내지 (5):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을 갖는 중합성 조성물을 2매의 편면 이형 처리된 PET 시트(니퍼사제, 두께 50㎛)에 끼워 넣도록 하고, 두께 100㎛가 되도록 중합성 조성물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2매의 PET 시트의 주위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였다. 케미컬 램프(FL20SBL, 도시바사제)를 사용하여, 조사량 3000mJ/cm2로 자외선을 중합성 조성물층에 조사함으로써, 중합성 조성물을 반응에 의해 경화시켜 (메트)아크릴 중합체 (1) 내지 (5)를 얻었다.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파라핀 오일(이데미쯔 고산사제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32」)
(금속염 M)
Mg 혼합물(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과 아세트산마그네슘의 50:50(중량비) 혼합물)
(자외선 차폐제)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산화 방지제)
BHT(2,6-디-t-부틸-p-크레졸)
(실시예 1)
제1층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 중합체 (1)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25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층(경화물을 포함하는 층, 두께 100㎛)을 준비하였다.
제2, 제3층의 제작:
제2, 제3층으로서, PET 필름 (1)을 준비하였다.
제4, 제5층의 제작: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4, 제5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
가소제(3GO) 35중량부
얻어지는 제4, 제5층 중에서 70ppm이 되는 양의 금속염 M(Mg 혼합물)
얻어지는 제4, 제5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Tinuvin 326)
얻어지는 제4, 제5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BHT)
얻어진 제4, 제5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여, 제4, 제5층(각 두께 380㎛)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의 제작:
제1층을 제2층과 제3층 사이에 끼워 넣어 3층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의 외측에 제4층 및 제5층을 배치하고, 롤 라미네이터(아코·브랜즈·재팬사제 「GDRB316 A3」)를 사용하여, 100℃ 및 속도 설정 3으로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제4층/제2층/제1층/제3층/제5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폭 25mm 및 길이 300m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 2개의 유리판(클리어 플로트 유리, 폭 25mm, 길이 300mm 및 두께 2mm)을 준비하였다.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에 옮기고, 추가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중간막의 제작: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과 마찬가지로 하여 3층 적층체를 얻었다. 이어서, 3층 적층체와 제4층과 제5층을 세로 30cm×가로 15c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제4층 및 제5층에 있어서, 제4층 및 제5층의 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각각 내측을 향하여 8cm의 위치와, 제4층 및 제5층의 단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각각 내측을 향하여 5cm의 위치의 교점 4군데에 직경 6mm의 관통 구멍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4층 및 제5층의 양면에는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고, 그 엠보스의 10점 평균 조도는 30㎛였다. 얻어진 중간막은 온도 23℃의 환경 하에서, 10시간 보관하였다.
발포 시험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과 마찬가지로 하여 3층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3층 적층체의 외측에 제4층 및 제5층을 적층하여, 제4층/제2층/제1층/제3층/제5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이 중간막을 투명한 플로트 유리(세로 30cm×가로 15cm×두께 2.5mm) 2매 사이에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의 외주연을 열 융착에 의해 단부로부터 폭 2cm를 시일제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엠보스에 잔류한 공기 및 관통 구멍에 잔류한 공기를 봉입하였다. 이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20분간 압착시킴으로써, 잔류한 공기를 중간막 중에 녹여 넣어 발포 시험에 사용하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3)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또한 두께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4, 제5층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종류 및 배합량으로, 금속염 M,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를 배합하였다(표 2에서는 생략).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4)
제1층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 중합체 (2)(경화물을 포함하는 층, 두께 100㎛)를 준비하였다.
제2, 제3층의 제작: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
가소제(3GO) 35중량부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70ppm이 되는 양의 금속염 M(Mg 혼합물)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Tinuvin 326)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BHT)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의 제작:
제1층의 외측에 제2층 및 제3층을 배치하고, 롤 라미네이터(아코·브랜즈·재팬사제 「GDRB316 A3」)를 사용하여, 100℃ 및 속도 설정 3으로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제2층/제1층/제3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중간막의 제작:
실시예 1의 3층 적층체 대신에 얻어진 제1층을 사용하고, 제4층 및 제5층 대신에 얻어진 제2층 및 제3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실시예 1의 3층 적층체 대신에 얻어진 제1층을 사용하고, 제4층 및 제5층 대신에 얻어진 제2층 및 제3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5)
제2층/제1층/제3층의 3층 적층체의 제작:
제2, 제3층으로서, PET 필름 (2)를 준비하였다.
지방족 폴리올레핀(미쓰이 가가꾸사제 「압소토머 EP-100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을 톨루엔에 용해시켜, 지방족 폴리올레핀 25중량%의 톨루엔 용액을 얻었다. 톨루엔 용액에 파라핀 오일(이데미쯔 고산사제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32」)을 지방족 폴리올레핀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고, 균일해지도록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을 코터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00㎛가 되도록 PET 필름 (2)(제2층) 상에 도포하고, 120℃에서 1시간 건조시켜 제1층을 형성하였다. 이 제1층 상에 PET 필름(제3층)을 적층하여 제2층/제1층/제3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제4, 제5층의 제작: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제4, 제5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의 제작: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4층/제2층/제1층/제3층/제5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중간막 및 발포 시험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3층 적층체와 준비한 제4층과 제5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제작하고,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6)
제1층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 중합체 (4)(경화물을 포함하는 층, 두께 100㎛)를 준비하였다. 이하의 배합 성분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켜 혼합한 후, 건조 후에 두께 100㎛가 되도록 도공하고, 100℃ 오븐에서 30분 건조시켜 아세트산에틸을 날려,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 (4) 100중량부
가소제(3GO) 50중량부
제2, 제3층의 제작: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
가소제(3GO) 30중량부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70ppm이 되는 양의 금속염 M(Mg 혼합물)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Tinuvin 326)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BHT)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의 제작: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2층/제1층/제3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중간막의 제작: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7)
제1층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 중합체 (5)(경화물을 포함하는 층, 두께 100㎛)를 준비하였다.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 (5) 100중량부
가소제(3GO) 45중량부
제2, 제3층의 제작: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
가소제(3GO) 32중량부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70ppm이 되는 양의 금속염 M(Mg 혼합물)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Tinuvin 326)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BHT)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의 제작: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2층/제1층/제3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중간막의 제작: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얻었다.
발포 시험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1)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그리고 두께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4, 제5층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종류 및 배합량으로, 금속염 M,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를 배합하였다(표 3에서는 생략).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2)
제1층의 제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75중량부와, 얻어지는 제1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Tinuvin 326)와, 얻어지는 제1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BHT)를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제2, 제3층의 제작: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100중량부
가소제(3GO) 37.5중량부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70ppm이 되는 양의 금속염 M(Mg 혼합물)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Tinuvin 326)
얻어지는 제2,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BHT)
중간막의 제작:
얻어진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얻어진 제2,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여, 제2층/제1층/제3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을 얻었다.
차음성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평가)
(1) 동적 점탄성 측정
차음성 평가용의 중간막을 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1층을 제작하였다. 이 제1층을 임의로 절단하고 중첩함으로써, 두께가 0.5mm인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1층이 열가소성 수지층인 경우에는, 얻어진 조성물을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가 0.5mm인 시험편을 제작해도 된다. 얻어진 시험편을 25℃ 및 상대 습도 30%의 조건에서 12시간 방치하였다. 12시간 방치한 후에, TA 인스트루먼트사제 「ARES-G2」를 사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지그로서 직경 8mm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3℃/분의 강온 속도로 100℃에서 -2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그리고 주파수 1Hz 및 변형 1%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Tg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 tanδ의 값과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의 값을 읽어들였다.
(2) 1차 손실 계수(차음성)
얻어진 접합 유리는 실온 23±2℃, 습도 25±5%의 환경 하에서 보관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완료로부터 1개월 후에, 얻어진 접합 유리를 20℃의 항온조 내에서 댐핑 시험용의 진동 발생기(신켄사제 「가진기 G21-005D」)에 의해 가진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진동 특성을 기계 임피던스 측정 장치(리온사제 「XG-81」)에서 증폭하였다. 진동 스펙트럼을 FFT 스펙트럼 애널라이저(리온사제 「FFT 애널라이저 SA-01A2」)에 의해 해석하고, 공진 주파수와 손실 계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1차 손실 계수로부터 차음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차음성의 판정 기준]
○○: 1차 손실 계수가 0.25 이상인 온도 범위가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20℃인 온도 범위
○: 1차 손실 계수가 0.25 이상인 온도 범위가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15℃ 이상 20℃ 미만인 온도 범위
×: 1차 손실 계수가 0.25 이상인 온도 범위가 10℃ 내지 30℃의 온도 영역 중 15℃ 미만인 온도 범위
(3) 발포 시험
발포 시험에 사용하는 접합 유리 10매를 50℃의 오븐 내에 100시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 발포의 유무를 하기 판정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발포 시험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발포 시험의 판정 기준]
○: 눈으로 봐서 발포가 관찰된 접합 유리가 10매 중 0매이다
△: 눈으로 봐서 발포가 관찰된 접합 유리가 10매 중 1매 이상 9매 이하이다
×: 눈으로 봐서 발포가 관찰된 접합 유리가 10매 중 10매이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 표 2, 3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2, 3에서는 금속염 M,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또한, 표 2, 3 중 「E+04」는 「×104」를 의미하고, 「E+05」는 「×105」를 의미하고, 「E+06」은 「×106」을 의미한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메트)아크릴 중합체 (1) 내지 (5)의 합성에 사용한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EA: 에틸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제)
BzA: 아크릴산벤질(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비스코트 #160)
THF-A: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비스코트 #150)
HPA: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CTFA(#200):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비스코트 #200)
IBOA: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제)
4HBA: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IRGACURE 184: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BASF사제)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1A…제1층
1a…제1 표면
1b…제2 표면
2, 2A…제2층
2a…외측의 표면
3, 3A…제3층
3a…외측의 표면
4A…제4층
4a…외측의 표면
5A…제5층
5a…외측의 표면
11, 11A…중간막
11a…제1 표면
11b…제2 표면
21…제1 접합 유리 부재
22…제2 접합 유리 부재
31, 31A…접합 유리

Claims (12)

  1.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중간막은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 0℃ 이하이고,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가 2.5 이상이고,
    상기 수지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104Pa 이상 5.0×106Pa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며,
    상기 경화물이,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습기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이, 광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중간막은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이,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고,
    상기 경화물이,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이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상 0℃ 이하이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의 tanδ가 2.5 이상이고,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3.0×104Pa 이상 2.0×106Pa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아닌 층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과는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층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중의 상기 경화물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보다도 적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2.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207022054A 2018-02-02 2019-01-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118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7725 2018-02-02
JPJP-P-2018-017725 2018-02-02
PCT/JP2019/003182 WO2019151329A1 (ja) 2018-02-02 2019-01-30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019A true KR20200118019A (ko) 2020-10-14

Family

ID=6747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054A KR20200118019A (ko) 2018-02-02 2019-01-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046740A1 (ko)
EP (1) EP3747843A4 (ko)
JP (1) JPWO2019151329A1 (ko)
KR (1) KR20200118019A (ko)
CN (1) CN111655648B (ko)
BR (1) BR112020014898A2 (ko)
MX (1) MX2020007936A (ko)
TW (1) TWI798350B (ko)
WO (1) WO2019151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3477A2 (en) 2018-01-23 2020-12-02 Eastman Chemical Company Novel polyesteramides,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olyesteramide compositions
EP3835278A4 (en) * 2018-08-09 2022-05-0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FACE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BR112021024526A2 (pt) 2019-07-02 2022-04-26 Sekisui Chemical Co Ltd Filme de camada intermediári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WO2021200964A1 (ko) * 2020-03-30 2021-10-07
WO2021246506A1 (ja) * 2020-06-04 2021-12-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WO2022145426A1 (ko) * 2020-12-28 2022-07-07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390A (ja) 1996-11-26 1998-06-30 Saint Gobain Vitrage 車両用の防音効果を有する積層グレイジングアッセンブリー
WO2017170259A1 (ja)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6612B2 (ja) * 2000-10-18 2012-07-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膜及び合わせガラス
FR2901174B1 (fr) * 2006-05-19 2013-01-11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acoustique, intercalaire acoustique et procede de selection de l'intercalaire pour un amortissement acoustique optimal
JP5410346B2 (ja) * 2009-04-14 2014-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N107108348B (zh) * 2014-11-10 2021-01-05 株式会社可乐丽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US20180104931A1 (en) * 2015-03-27 2018-04-19 Kuraray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CA2981859A1 (en) * 2015-03-31 2016-10-06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3279160A4 (en) * 2015-03-31 2018-12-1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10350861B2 (en) * 2015-07-31 2019-07-16 Corning Incorporated Laminate structures with enhanced damping properties
JPWO2017200052A1 (ja) * 2016-05-18 2019-04-11 株式会社クラレ 樹脂組成物、フィルム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390A (ja) 1996-11-26 1998-06-30 Saint Gobain Vitrage 車両用の防音効果を有する積層グレイジングアッセンブリー
WO2017170259A1 (ja)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51329A1 (ja) 2020-12-03
TWI798350B (zh) 2023-04-11
CN111655648A (zh) 2020-09-11
EP3747843A1 (en) 2020-12-09
MX2020007936A (es) 2020-09-03
EP3747843A4 (en) 2021-11-03
CN111655648B (zh) 2023-06-02
US20210046740A1 (en) 2021-02-18
BR112020014898A2 (pt) 2020-12-08
WO2019151329A1 (ja) 2019-08-08
TW201934336A (zh) 201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1305A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20200118019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A2967559A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TWI817983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WO2019021999A1 (ja) 樹脂膜及びガラス板含有積層体
JP731621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316226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9151326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ロール体及び合わせガラス
JP737284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1731399B2 (en)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