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804A - 미세먼지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804A
KR20200117804A KR1020190040484A KR20190040484A KR20200117804A KR 20200117804 A KR20200117804 A KR 20200117804A KR 1020190040484 A KR1020190040484 A KR 1020190040484A KR 20190040484 A KR20190040484 A KR 20190040484A KR 20200117804 A KR20200117804 A KR 2020011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filter
fan motor
reduction devic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동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규 김 filed Critical 동 규 김
Priority to KR102019004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804A/ko
Publication of KR2020011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air, e.g. by mixing exhaust with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temperature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원동기 배기 파이프(100)를 닥트(103)에 연결하고, 바깥의 차가운 공기를 주입하는 팬 모터(101)도 닥트(103)에 함께 연결하여, 뜨거운 공기와 차가운 공기를 혼합하여, 고성능 필터(104)가 타거나 녹지 않게 정화하는 미세먼지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저감장치{Fine dust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매연과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화물자동차는 화물적재함 밑에 장착하여 자동차 엔진에서 배출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면 되고, 승합차의 경우는 스피아 타이어를 떼어내고 그자리에 설치하여 엔진에서 배출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면 된다. 공장굴뚝, 불고기집 옥상 배기닥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 약칭: 미세먼지법 )
[시행 2019. 3. 26.] [법률 제16303호, 2019. 3. 26., 일부개정] 공포법령보기
환경부(푸른하늘기획과 - 총괄, 법령개정사항), 044-201-6865, 6866
환경부(교통환경과 - 자동차 운행 제한), 044-201-6929, 6931
환경부(대기관리과 - 대기오염배출시설 관리), 044-201-6905, 6906
환경부(대기관리과 - 건설공사장 관리), 044-201-6911, 6914
환경부(대기환경과 -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044-201-6884, 6891
환경부(푸른하늘기획과 - 비상저감조치), 044-201-6875, 6872
조문체계도버튼
제1조(목적) 이 법은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생성물질의 배출을 저감하고 그 발생을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미세먼지가 국민건강에 미치는 위해를 예방하고 대기환경을 적정하게 관리ㆍ보전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미세먼지는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해가 갈수록 오염이 심각해지는 동시에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어 근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세먼지는 대략 30~50%가 중국발 황사 및 스모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는 국내 자체의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그 중 매연을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도 상당량의 미세먼지가 배출되고 있어,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예보되는 경우 심각하게는 차량 2부제와 같은 자구책을 강구하기도한다.
이에 따라, 등록실용신안 제20-0134974호와 같이 배기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0004] 매연소가스를 포집하여 배출매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배기파이프와 배기파이프에 형성된 소음기와, 소음기 통과 직후의 배기파이프에 형성된 매연포집케이스와, 조밀한 메쉬를 갖는 금속망으로 되어 매연포집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매연포 집필터와, 매연포집필터를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도록 매연포집케이스에 부착된 커버와, 매연포집케이스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매연포집필터에 외기를 공급하는 급기공으로 구성된 디젤차량의 매연저감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66934호와 같이 내면에 다수개의 안내날개를 부착하여 된 삽입관을 일체로 한 몸체의 전면판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뚫고 몸체 내부에는 필터를 삽입하며 저면에는 개폐문을 만들었으며 상단에는 고정용 브라켓트를 일체로 결합하여서 된 차량용 매연 배출방지용 필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49378호와 같이 자동차 머플러의 후미를 매연 방지기로 직접 구성하거나 상기 머플러의 후미에 별도로 부착되는 매연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 머플러의 후미를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매연 필터통이 내장된 매연방지 케이스로 직접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머플러의 후미에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매연 필터통이 내장된 매연방지 케이스를 별도로 부착하되, 부직포로 구성되는 상기 매연 필터통 내에는 일측이 서로 엇갈려서 개방되는 매연 필터를 구리스 오일에 담아서 젖어있는 상태로 된 부직포로 구성하여 일정한간격을 두고 여러 개 배치하고, 상기 매연 필터통의 배출구에는 부직포로 덮여진 스크린 철망을 설치함으로써, 자동차 배기가스의 매연이 상기 매연 필터통을 통과할 때 부직포에적셔져 있는 구리스 오일에 매연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 등이 부착되고 배출구로는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배기가스의 열기만 배출되도록 한 자동차 머플러용 매연 방지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14097호와 같이 배기가스가 지나는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는 둘 이상의 필터; 상기 필터들의 배열구조가 유지되도록 상기 필터들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안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매연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싱 전체를 분해하지 아니하고서도 필터의 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필터 중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필터가 쉽게 파손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는 디젤용 매연여과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매연여과장치는 자동차의 배기라인 중 엔드 머플러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되거나 배기라인 중간부에 장착 또는 엔드 머플러 끝단에 결합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구조에 따라 배기라인 전체에 대한 교체 혹은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실제 운행되고 있는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가 운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매연을 포함하고 있는 배기가스 이외에도 자동차의 타이어가 노면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형태의 미세먼지 및 노면에 가라앉아 있던 미세먼지의 비산 등 자동차로 인해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상태인 것이다.
또한 특허 등록번호 10-1919440 등록일자 2018년11월12일
발명의 명칭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자동차의 후미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슬릿공이 형성된 유입관체와 상기 유입관체 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수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자동차의 배기라인으로부터 발생하는 매연 및 미세먼지와 함께 자동차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주변의 미세먼지와 분진 등을 동시에 흡입하여 이를 정화시킨 후 대기로 배출되게 하므로, 자동차로부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다양한 형태의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대기중으로 미세먼지가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자동차로 인한 미세먼지의 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도 6)
상기 이러한 것들은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미세먼지가 100% 공기청정기 닥트 배관속으로 주입되는 것이 아니고 거리가 떨어져있기 때문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더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도 7)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미세먼지가 100% 공기청정기 닥트 배관속으로 주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미세먼지가 100% 공기청정기
닥트 배관 속으로 주입되는 것이다. 필터가 뜨거워지면 온도 스위치를 사용하여
팬 모터에서 외기를 주입하여 필터가 녹거나 불타지 못하게 하면서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도 필터로 정화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에서 배출되는 매연과 미세먼지를 100% 공기청정기 필터로 정화하는 효과와, 도로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도 일부 팬모터로 흠입하여 공기청정기 필터로 정화하는 효과와, 간격이 촘촘한 고성능 부직포필터가 불타거나 녹지 않는 효과가 있다. 공장굴뚝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불고기집 배기닥트로 배출되는 미세먼지 대기중에있는 미세먼지도 저감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닥트 배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닥트 배관에 필터와 팬 모터를 부착한 것을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 이다.
도 3은 닥트 배관에 필터 케이스를 부착하는 방법과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어 보인 분해도 이다.
도 4는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장치 사시도 이다.
도 5는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장치 단면도 이다, 온도 스위치가
가열되면 팬모터가 가동되는 것을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특허 제 10-1919440 발명의 명칭:차량 후미용 공기정화장치
사시도 이다. 미세먼지가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나타내어 보인것이다.
도 8과 도 9는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매면과 미세먼지가 100% 닥트 배관
속으로 주입되고, 바깥의 공기도 팬 모터에 의하여 함께 주입되어
필터로 정화되는 것을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0은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화물자동차 적재함 밑에 부착한것을
나타내어보인 단면도 이다.
도 11은 불고기집 배기 닥트에 연결하는 팬 모터, 공장굴뚝에 연결되는
팬 모터, 소각장 굴뚝에 연결되는 팬 모터, 굴뚝에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로 단면도이다.
도 1은 닥트 배관 사시도이다. 제일 처음 만들어야하는 것은 닥트배관이다(103)
스텐레스 철판 혹은 함석 철판을 접어서 만들면 된다.
도 2는 닥트 배관에 필터(104)와 팬 모터(101)를 부착한 것을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 이다. 필터는 공기청정기 용 간격이 촘촘한 고성능 필터를 사용해야 미세먼지를 정화할 수 있다. 자동차용 팬 모터(101)는 12인승 승합차 에어컨 바람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면 되고, 공장 굴뚝이나 불고기집 옥상에 설치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AC 용 팬 모터를 사용하면 된다.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매연과 미세먼지를 100% 닥트 배관(103)속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소켓(100)은 뜨거운 공기가 팬 모터에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와 혼합되게 하기위하여 필터(104)가까이 팬 모터(101)를 부착하여야 한다.
도 4는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장치 사시도 이다.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하여 구멍(150)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여서 자동차 적재함 바닥에 필터(104)와 필터 덮게(107)가 아래로 내려오게 부착하여야 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도 10).
도 5는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장치 단면도 이다 온도스위치(109)가 가열되면
팬 모터((101)가 가동되는 것을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부직포 필터는 온도가 150도 정도되면 녹기 때문에 약 70도만 온도가 올라가면 온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작동 된다. 팬 모터(101)와 병열로 네온램프를 부착하여 자동차 운전석에서 볼수 있는 곳에 네온램프를 설치해 놓으면 팬 모터가 가동될 때에 네온램프가 켜지고 시동을 끄면 조금 있다가 네온램프가 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특허 제 10-1919440 발명의 명칭:차량 후미용 공기정화장치 사시도 이다. 미세먼지가 밖으로 배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비교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매면과 미세먼지가 100% 닥트 배관 속으로 주입되고, 바깥의 공기도 팬 모터(101)에 의하여 함께 주입되어 필터(104)로 정화되는 것을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0은 화물자동차 적재함 밑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옥상으로 배출되는 공장굴뚝, 불고기집 배기닥트 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미세먼지정화장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원동기에서 배출되는 뜨거온 매연과 미세먼지를 정화할수있다.
외기를 팬 모터의 힘으로 주입하여 닥트 배관 속에서 뜨거운 매연과 혼합되면 온도가 떨어져 고성능 필터가 불타거나 녹지않고 보존되면서 자동차 매연과 미세먼지를 정화하여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타이어와 부레이크에서 발생되는 먼지도 팬 모타가 흡입하여 정화 할 수 있다. 수많은 자동차가 이와같이 미세먼지를 저감하면 대기는 많이 개선될 것이다.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하여 고등어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도 저감할 수 있다. 불고기집 닥트 배관에서 토출되는 미세먼지도 이와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대부분 불고기집 배기 닥트는 옥상으로 배출되는데 옥상에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다(도 11). 공장굴뚝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도 저감할 수 있다.
100 : 자동차 엔진 매연과 미세먼지가 배출되는 배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소켓.
100-1 : 굴뚝에 연결되는 연결소켓, 불고기집 배기닥트에 연결하는 소겟.
101 : 외기 주입용 팬 모터 102 : 철망 103 :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
104 : 필터 106 : 설치대, 107 : 필터 뚜껑 109 : 온도 스위치
120 : 전기 배선 130 : 구멍 131: 필터 받침대, 134 : 필터 하부 뚜껑
150 : 볼트 삽입 구멍 161 : 공장굴뚝 혹은 불고기집 배기닥트에 연결하는 팬. 162 : 공장굴뚝 혹은 불고기집 배기닥트에 연결하는 팬 흡입구. 164 : 옥상스라브.

Claims (5)

  1.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103)에 연결소켓(100)을 부착하고,
    자동차 엔진 배기 파이프를 미세먼지 저감장치 연결 소켓(100)에 연결하고,
    외기 주입용 팬 모터(101) 배출구를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103)에 연결하고,
    온도 스위치(109)도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에 부착하고,
    필터 받침대(131)도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에 부착하고,
    필터(104)를 필터 받침대(131)에 삽입하고 필터 뚜껑(107)을 덮고
    필터 받침대(131)와 필터뚜껑(107)을 매미고리로 고정하여
    자동차 원동기(엔진)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매연과 미세먼지가
    외기 주입용 팬 모터(101)에서 주입되는 차가운 공기와 혼합되어
    필터(104)가 녹거나 타지않게하는 특징이 있는 미세먼지 저감장치(도면 5)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 스위치(109)는 연결소켓(100) 가까이 필터(104)방향에
    부착하여 뜨거워지면 온도 스위치(109)가 달라붙어 외기 주입용 팬 모터(101)가
    가동하면서 외기주입용 팬 모터(101)와 병렬로 네온램프를 연결하여 외기 주입용 팬 모터(101)가 가동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네온램프가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세먼지 제거용 닥트(103)에 구멍(130)을 사각형으로 뚫고,
    필터 받침대(131)도 사각형 모양으로 만들고, 필터(104)와 철망도 사각형 모양으로
    똑같은 크기로 절단하여, 얄팍한 필터(104) 양쪽에 철망을 대어 필터 받침대(131)안에 넣고, 필터 뚜껑(107)도 사각형모양으로 절단하여 얄팍한 필터(104)를 덮고, 필터뚜껑(107)과 필터 받침대(131) 테두리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 볼트와 너트로 조여 필터(104)를 고정하여 두께가 높지 않고 얄팍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4.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103)에 연결 소켓(100-1)을 연결하고
    팬 모터(161)토출구를 연결 소켓(100-1)에 연결하고(도 11),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103)에 외기 주입용 팬 모터(101)를 연결하고,
    외기주입용 팬 모터(101) 흡입구에 역지변(체크벨브 160)을 연결하고, 그 역지변(16)에 엘보를 연결하고, 엘보 끝에 철망을 연결하고,
    굴뚝(공장 굴뚝 혹은 소각장 굴뚝)을 팬 모터(161) 흡입구(162)에 연결하여
    굴뚝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매연과 미세먼지를 팬 모터(161)로 흡입하여
    미세먼지 저감장치 닥트(103) 속에서 차가운 외기와 뜨거운 매연과 미세먼지가
    혼합되어 온도를 떨어트린 후 필터(104)로 정화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외기 주입용 팬 모터(101)가 가동하지 않을 때에는 역지변[체크벨브](160)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0190040484A 2019-04-06 2019-04-06 미세먼지저감장치 KR20200117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84A KR20200117804A (ko) 2019-04-06 2019-04-06 미세먼지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84A KR20200117804A (ko) 2019-04-06 2019-04-06 미세먼지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04A true KR20200117804A (ko) 2020-10-14

Family

ID=7284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484A KR20200117804A (ko) 2019-04-06 2019-04-06 미세먼지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8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6372C (zh) 废气净化装置
CN104847497A (zh) 用于工作车辆的控制单元的引擎罩下安装结构
KR20200117804A (ko) 미세먼지저감장치
CN112253295A (zh) 一种大功率柴油发动机尾气后处理装置
CN108716429B (zh) 一种可移动式且易再生的颗粒捕集装置
WO2019198930A1 (ko)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EP1331118B1 (en) Air pollution trap and automatic filter regeneration system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WM524389U (zh) 車輛排放黑煙及廢氣淨化處理裝置
KR102218524B1 (ko) 이동식 매연 저감 장치
KR20170003780A (ko) 자동차의 흡배기관 및 연소실 클리닝용 집진장치
CN205779143U (zh) 有害气体净化器
KR970007644B1 (ko) 자동차에 설치된 도로공기 정화장치
CN2426920Y (zh) 汽油、柴油车尾气处理装置
CN2490002Y (zh) 内燃机废气降温消音净化装置
KR20120074411A (ko) 배기가스 온도저감 시스템
CN218542362U (zh) 一种便于尾气净化的环保型汽车排气管
KR940000469Y1 (ko) 배기가스 살수장치
CN216361028U (zh) 一种具有回收热能并且可净化汽车废气的排气管
CN220742863U (zh) 一种智能化弱电系统安全警示灯
CN214366330U (zh) 一种易于清理的汽车排气管
KR102099867B1 (ko) 흡기부채용 엔진 매연저감 조성물 투입기
CN215804775U (zh) 一种冬季用汽车尾气净化装置
CN2267855Y (zh) 烟尘净化器
KR200296543Y1 (ko) 차량용 연속재생식 매연 포집기
JPH088298Y2 (ja) ディーゼル機関の排気スモーク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