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384A -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7384A KR20200117384A KR1020190039408A KR20190039408A KR20200117384A KR 20200117384 A KR20200117384 A KR 20200117384A KR 1020190039408 A KR1020190039408 A KR 1020190039408A KR 20190039408 A KR20190039408 A KR 20190039408A KR 20200117384 A KR20200117384 A KR 202001173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mast
- support
- mobile crane
- cran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3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 B66C23/348—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the erection being operated by j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3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 B66C23/34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adapted f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장치는: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실린더부;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상승되도록 실린더부에 연결되는 마스트부; 마스트부에 탑재되고, 인양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크레인부; 인양 케이블에 연결되고, 크레인부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부와 마스트부를 둘러싸도록 조립되고,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분할모듈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관부; 분할관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분할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부의 구동시 실린더부가 분할모듈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바; 및 마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마스트부에 설치되고, 마스트부의 이동시 상기 마스트부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서포트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송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배전용 송전탑 등에 사용되고 있는 가장 간단한 지지물은 기둥 형태의 관형 지지물이 적용된다. 관형 지지물은 운반 및 설치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모듈 형태로 분할하여 여러 개의 원통형 관재나 각형 관재를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송배전용 관형 지지물은 사용되는 관재가 지지하는 하중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중량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형 지지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 형태의 관재(管材)를 설치장소로 운반한 뒤 장비를 이용하여 연결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송배전용 철탑의 설치 지역은 작업 조건이 어려운 경사지 산악지형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송배전용 철탑의 재질은 고강도의 파이프나 형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송배전용 철탑의 설치 시 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송배전용 철탑은 일반적으로 평탄지에만 설치하며, 조립공법으로는 100TON 정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부재를 들어 올려 조립하는 시공 방식이 적용된다. 송배전용 철탑은 평탄지에서 시공하는 방식이므로, 헬기를 사용하여 산악지에 설치하거나, 케이블카를 사용하여 산악지에 설치하는 방식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헬기와 케이블카 운반 구간은 관형 지지물 송전탑을 설치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모듈 형태의 관재는 관형 지지물 설치 시 관재가 받는 하중을 고려하여 분할된 형태로 제작된다. 설치장소로 모듈 형태의 관재를 운반할 때는 설계에 맞춰 분할한 관재를 화물트럭에 적재하여 운반한다. 이때, 관재의 길이가 커서 수송 중 터널과 같은 상하 제한 장소를 만나는 경우에 관재를 눕히는 방법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나, 관재의 지름이 클 경우 트럭이 진입하지 못해 운반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는 관재를 횡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할하여 더 짧은 관재로 만든 후 세워서 운반해야 한다. 그러나, 관재의 횡방향 분할이 많아지는 경우 상하 관재의 체결을 위해 볼트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관재 끝부분에 플랜지 용접이 필요하고, 용접부위의 보강을 위해서 보강 리브 플레이트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은 중량 증가는 물론, 제작 어려움 및 제작비 상승을 유발시키며, 결합부가 관재에서 튀어 나와 보이기 때문에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가지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13970호(1995. 06. 15 공개, 발명의 명칭: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송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는: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에 탑재되고, 인양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크레인부; 상기 인양 케이블에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마스트부를 둘러싸도록 조립되고,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분할모듈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관부; 상기 분할관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분할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구동시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분할모듈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바; 및 상기 마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마스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부의 이동시 상기 마스트부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상기 서포트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관부는 상기 분할모듈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관부의 내측면에는 서포트 블록부가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바는 서포트 볼트부에 의해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는 상기 서포트바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스토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서 상기 서포트바의 상측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상측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회전 허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허용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하측면에 상기 실린더부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바의 자유단부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마스트부에 연결되는 실린더 하우징부;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서 인출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실린더 로드부; 및 상기 실린더 로드부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 인입되면서 상승된 경우, 상기 서포트바에 의해 지지되는 실린더 지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로드부의 단부에는 구름볼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지지판부에는 상기 구름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름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의 상측에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되는 복수의 단위 마스트; 및 상기 단위 마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와 상기 단위 마스트에 각각 조립되도록 마스트 볼트홀부가 형성되는 마스트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층 상기 단위 마스트에는 상기 인양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마스트 고정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가이드부의 둘레부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자유단부를 리프팅 볼트부에 의해 체결하도록 리프팅 고정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가이드부의 상측에는 상기 인양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리프팅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는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 및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에 연결되는 작업 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는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 지지대와 상기 분할모듈의 외측면에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는 외부 보강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에는 상기 인양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외부 고정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 모터부; 상기 회전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인양 케이블이 지지되는 크레인붐; 상기 크레인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크레인붐에 연결되는 각도조절 실린더부; 및 상기 인양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에 설치되는 크레인 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은 실린더부를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크레인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둘레부에 분할관부를 조립함에 따라 복수 층의 분할모듈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마스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마스트부 측으로 상승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서포트바가 상기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마스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리프팅 가이드부를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팅 가이드부를 상층의 상기 서포트바에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린더부의 실린더 하우징부를 실린더 로드부의 인출에 의해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마스트부 측으로 상승하는 단계는, 상기 실린더 로드부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 인입시키면서 상승시키는 단계; 및 하층의 상기 서포트바가 상기 실린더 로드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은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에 복수의 외부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에 작업 발판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부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실린더부가 서포트바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서포트바의 상측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와 크레인부가 일정 높이씩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크레인부가 일정 높이씩 상승되면서 분할관부를 조립하여 관형 지지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지지물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실린더부와 크레인부의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관부가 종방향으로 분할되므로, 분할관부를 차량에 적재하더라도 분할관부가 적재된 차량이 터널과 같은 상하 제한 장소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분할관부의 무게가 현저히 감소되므로, 분할관부가 평탄지나 산악지에 용이하게 운반되고, 헬기나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운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크레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에 서포트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서포트바와 실린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 마스트부 및 크레인부가 조립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서포트바에 지지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관부를 적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의 상승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크레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에 서포트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서포트바와 실린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 마스트부 및 크레인부가 조립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서포트바에 지지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관부를 적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의 상승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실린더부에서 구름볼부와 실린더 지지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는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크레인부(140), 복수의 분할관부(150), 복수의 서포트바(160) 및 리프팅 가이드부(170)를 포함한다.
실린더부(110)는 베이스부(10)에 지지된다. 베이스부(10)에는 복수의 베이스 볼트부(미도시)가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부(10)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0)에 고정되고,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삽입되도록 삽입홀부(122)가 형성되는 실린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한다. 실린더 고정부(120)는 중심부에 삽입홀부(122)가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실린더 고정부(120)의 상측와 하측에는 고정 볼트부가 체결되도록 고정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고정홀부는 실린더 고정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실린더부(110)는 실린더 하우징부(111), 실린더 로드부(113) 및 실린더 지지판부(115)를 포함한다.
실린더 하우징부(111)는 마스트부(130)에 연결된다. 실린더 로드부(113)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 하우징부(111)에서 인출됨에 따라 실린더 하우징부(111)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실린더 로드부(113)가 실린더 하우징부(111)에서 인출됨에 따라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 상승된다. 또한,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일정 높이 상승된 상태에서 실린더 로드부(113)가 상승하여 실린더 하우징부(111)에 인입되었다가 약간 하강되면,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에 안정되게 지지된다. 따라서, 실린더부(110)가 일정 높이씩 상승하면서 분할관부(150)를 인양함에 따라 원통형의 분할모듈(150a)을 적층할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측에는 서포트바(160)에 지지되도록 실린더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실린더 플랜지부(112)에는 실린더홀부(112a)가 형성되며, 실린더홀부(112a)에는 실린더 볼트부(112b)가 체결된다. 따라서,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서포트바(160)에 안정되고 움직이지 않고 구속된다.
실린더 로드부(113)의 단부에는 구름볼부(114)가 형성되고, 실린더 지지판부(115)에는 구름볼부(1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름홈부(116)가 형성된다. 구름볼부(114)가 구름홈부(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실린더 하우징부(111),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가 약간 기울어지면서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포트바(160)가 조립 공차 등에 의해 수평방향과 약간 기울어지거나 수평이 맞지 않더라도,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서포트바(160: 도 15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마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트부(130)는 실린더부(110)가 신장됨에 따라 상승되도록 실린더부(110)에 연결된다. 마스트부(130)는 실린더부(110)의 상측에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마스트부(130)는 복수의 단위 마스트(131)와 마스트 플랜지부(133)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마스트(131)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상측에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된다. 마스트 플랜지부(133)는 단위 마스트(1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고, 마스트 플랜지부(133)에는 실린더 하우징부(111)와 단위 마스트(131)에 각각 조립되도록 마스트 볼트홀부(134)가 형성된다. 마스트 볼트홀부(134)는 마스트 플랜지부(133)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된다. 이웃한 마스트 플랜지부(133)가 서로 대향되고, 마스트 볼트홀부(134)에 마스트 볼트부(135)가 체결됨에 따라 복수의 단위 마스트(1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될 수 있다. 단위 마스트(131)의 길이는 분할관부(15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최상층 단위 마스트(131)에는 인양 케이블(147)에 연결되도록 마스트 고정홀부(136)가 형성된다.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된 후 크레인부(140)를 구동시킴으로써, 단위 마스트(13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10), 단위 마스트(131) 및 크레인부(140)를 조립한 후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지상의 서포팅 와이어(30: 도 16 참조)를 연결하고, 리프팅 윈치(20)를 구동하여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다.
마스트부(130)에는 착탈 가능하도록 발판 볼트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마스트부(130)에는 발판 볼트부가 체결되도록 발판 볼트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발판 볼트부를 발판 볼트홀부에 체결하면서 마스트부(130)를 타고 올라갈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크레인장치(100)가 완전히 설치되기 이전에는 발판 볼트부를 발판 볼트홀부에 체결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리프팅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크레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외부 지지대와 작업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크레인부(140)는 마스트부(130)에 탑재되고,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도록 설치된다. 크레인부(140)는 회전 모터부(141), 회전 테이블(142), 크레인붐(143), 각도조절 실린더부(145) 및 크레인 윈치부(146)를 포함한다.
회전 모터부(141)는 마스트부(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회전 테이블(142)은 회전 모터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레인붐(143)은 회전 테이블(14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양 케이블(147)이 지지된다. 각도조절 실린더부(145)는 크레인붐(143)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크레인붐(143)에 연결된다. 크레인 윈치부(146)는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도록 회전 테이블(142)에 설치된다.
크레인붐(143)에는 인양 케이블(147)이 지지되도록 복수의 풀리부(미도시)가 설치된다. 크레인 윈치부(146)가 구동됨에 따라 인양 케이블(147)이 권취되거나 풀어진다. 이때, 복수의 풀리부가 인양 케이블(147)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 모터부(141)가 구동됨에 따라 인양 케이블(147)의 방향이 마스트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된다. 각도조절 실린더부(145)가 신축됨에 따라 크레인붐(143)의 상하방향 각도가 변경된다. 크레인 윈치부(147)가 구동됨에 따라 인양 케이블(147)이 아래로 내려오거나 위로 상승될 수 있다.
분할관부(150)와 서포트바(16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팅 가이드부(170)는 마스트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마스트부(130)에 설치되고, 마스트부(130)의 이동시 마스트부(13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서포트바(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리프팅 가이드부(170)는 마스트부(130)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리프팅 가이드부(170)를 마스트부(13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복수의 서포트바(160)에 결합하여 위치 고정시킨다. 그리고, 실린더 하우징과 함께 마스트부(130)가 상승될 때에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마스트부(130)를 지지하므로, 마스트부(130)가 원활하고 안정되게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마스트부(130)를 상층의 분할모듈(150a)로 이동시킬 때에는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포트바(160)에서 분리되므로,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위치를 높이면서 마스트부(1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트부(130)의 외측면은 다각 형태로 형성되고,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내측면은 마스트부(13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다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마스트부(130)의 외측면과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내측면이 다가 형태로 형성되므로,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포트바(160)에 구속된 후 마스트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마스트부(130)가 리프팅 가이드부(17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트부(130)의 이동시 마스트부(13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리프팅 고정홀부(171)와 서포트바(160)가 어긋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외측면에는 서포트바(160)의 상하 회전시 서포트바(160)를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리브(177)가 복수 개가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77)는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77)가 서포트바(160)를 가이드하므로, 서포트바(160)가 리프팅 고정홀부(171)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177)가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둘레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므로,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둘레부에는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를 리프팅 볼트부(173)에 의해 체결하도록 리프팅 고정홀부(171)가 형성된다. 리프팅 고정홀부(171)를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에 대응시킨 후 리프팅 볼트부(173)를 리프팅 고정홀부(171)에 체결하면, 서포트바(160)와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로 구속되어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는다.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상측에는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되도록 리프팅 고리부(175)가 형성된다. 인양 케이블(147)이 리프팅 고리부(175)에 연결된 후 크레인 윈치부(146)가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하면,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부(170)와 서포트바(160)가 리프팅 볼트부(173)에 의해 구속된 후 인양 케이블(147)을 리프팅 고리부(175)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와 작업 발판대(183)를 포함한다.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는 분할모듈(150a)의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분할모듈(150a)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된다. 작업 발판대(183)는 분할모듈(150a)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에 연결된다. 작업 발판대(183)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 발판대(183)는 작업자가 밟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이동식 크레인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를 지지하도록 외부 지지대(181)와 분할모듈(150a)의 외측면에 힌지부(186)에 의해 결합되는 외부 보강바(185)를 더 포함한다. 외부 보강바(185)는 외부 지지대(181)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한다. 외부 보강바(185)가 외부 지지대(181)를 지지하므로, 외부 지지대(181)와 작업 발판대(183)의 강성을 보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에는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되도록 외부 고정홀부(182)가 형성된다. 외부 고정홀부(182)에 인양 케이블(147)이 연결된 후 외부 지지대(181)와 외부 보강바(185)를 분할모듈(150a)에서 분리시키고, 크레인 윈치부(146)가 인양 케이블(147)을 권취함에 따라 외부 지지대(181), 작업 발판대(183) 및 외부 보강바(185)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분할모듈(150a)의 적층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외부 지지대(181), 작업 발판대 및 외부 보강바(185)의 설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에 서포트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모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서포트바와 실린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분할관부(150)는 인양 케이블(147)에 연결되고, 크레인부(140)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를 둘러싸도록 조립되고,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분할모듈(150a)을 형성한다. 분할관부(150)는 분할모듈(150a)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관부(150)가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의 둘레를 따라 조립되어 다각 기둥 형태의 분할모듈(150a)을 형성한다. 이때, 하나의 분할모듈(150a)은 다각 분할관부(15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거나 3개 이상의 분할관부(150)가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원호 형태의 복수의 분할관부(150)가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의 둘레를 따라 조립되어 원기둥 형태의 분할모듈(15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분할모듈(150a)은 실린더부(110)와 마스트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층이 적층된다. 분할관부(150)는 종방향으로 분할되고 다각 형태의 분할패널이다. 분할관부(150)가 종방향으로 분할되므로, 분할관부(150)를 차량에 적재하더라도 분할관부(150)가 적재된 차량이 터널과 같은 상하 제한 장소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분할관부(150)의 무게가 현저히 감소되므로, 분할관부(150)가 평탄지나 산악지에 용이하게 운반되고, 헬기나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운반될 수 있다.
분할관부(150)의 둘레부에는 복수의 조립홀부(157)가 형성되고, 조립홀부(157)에는 조립 볼트부(미도시)가 체결된다. 분할관부(150)의 조립홀부(157)가 조립 볼트부에 체결됨에 따라 복수의 분할관부(150)가 다각형 또는 환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트바(160)는 분할관부(15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분할관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부(110)의 구동시 실린더부(110)가 분할모듈(150a)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부(110)를 지지한다.
이때, 분할관부(150)의 내측면에는 분할관부(150)의 길이방향(종방향)과 나란하도록 레일부(156)가 형성되고, 레일부(156)의 내부에는 서포트 블록부(151)가 배치된다. 레일부(156)는 분할관부(150)의 내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레일부(156)는 서포트 블록부(151)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서포트 블록부(151)마다 한 쌍씩 설치된다. 레일부(156)에는 레일홀부(156a)가 형성되고, 레일 볼트부(156b)는 레일홀부(156a)를 관통하여 서포트 블록부(151)에 체결된다. 레일 볼트부(156b)가 레일볼부(156a)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서포트 블록부(151)가 레일부(156)에서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분할관부(150)가 이동식 크레인장치(100)가 조립될 때에는 서포트 블록부(151)가 레일부(156)에 결합되고, 이동식 크레인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서포트 블록부(151)가 레일부(156)에서 분해된 후 다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에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분할관부(150)의 내측면에는 서포트 블록부(151)가 고정된다. 이때, 서포트 블록부(151)에는 복수의 서포트 홀부(153)가 형성되고, 서포트 홀부(153)에는 서포트 볼트부(152)가 체결된다. 서포트바(160)가 서포트 블록부(151)에 대응된 후 서포트 볼트부(152)가 서포트바(160)를 관통함에 따라 서포트바(160)가 서포트 블록부(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바(160)는 서포트 볼트부(152)에 의해 서포트 블록부(151)에 결합되고, 서포트 블록부(151)에는 서포트바(160)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스토퍼부(15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서포트 블록부(151)에서 서포트바(160)의 상측에는 서포트바(160)의 상측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회전 허용부(155)가 형성된다.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부(11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를 벗어나면 서포트바(16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수평하게 복귀된다. 또한, 서포트바(16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복귀되면,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가 실린더 지지판부(115)를 지지한다. 따라서,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154)는 서포트 블록부(151)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회전 허용부(155)는 스토퍼부(154)의 하측면에 실린더부(110)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스토퍼부(154)는 서포트바(160)를 수평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 블록부(151)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회전 허용부(155)는 분할관부(150)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이다. 스토퍼부(154)가 서포트바(160)를 하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서포트바(160)의 상측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승되면서 분할관부(150)를 조립하여 관형 지지물(분할모듈(150a)의 적층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지지물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 마스트부 및 크레인부가 조립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상승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서포트바에 지지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분할관부를 적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에서 실린더부가 서포트바에 지지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가 조립된다(S11). 이때,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가 일렬로 배열된다. 또한, 실린더 고정부(120)가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부에 조립된다.
마스트부(130)의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서포팅 와이어(30)를 연결한다(S12). 이때, 3개 이상의 서포팅 와이어(30)가 마스트 고정홀부(136)에 연결된다.
리프팅 윈치부(20)가 서포팅 와이어(30)를 권취한다(S13: 도 16 참조). 서포팅 와이어(30)가 리프팅 윈치부(20)에 권취됨에 따라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가 수직하게 세워진다.
리프팅 와이어(30)를 지상에 고정하여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의 조립체를 세운다(S14) 이때. 조립체는 수직하게 세워진다.
인양 케이블(147)에 분할관부(150)를 연결하고, 크레인 윈치부(146)를 구동하여 분할관부(150)를 실린더부(110)의 둘레부에 위치시킨다(S15,S16). 이때, 분할관부(150)는 크레인 윈치부(146)에 실린더부(110)의 둘레부에 위치되고, 작업자가 분할관부(150)의 조립홀부(157)에 조립볼트부(미도시)를 조립한다. 크레인부(140)가 분할관부(150)를 들어 올릴 때에 인양 케이블(147)의 일측이 외부 지지대(181)에 고정된다. 따라서, 크레인부(140)가 크레인부(140)가 분할관부(150)를 들어 올릴 때 실린더부(110), 마스트부(130) 및 크레인부(140)가 분할관부(150)의 무게에 의해 일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할관부(150)의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분할관부(150)를 안정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실린더부(110)가 신장되면,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상측으로 약간 이동된다(도 17 참조). 이때, 서포트바(160)가 실린더 플랜지부(112)에 걸려 상측으로 회전되다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하측으로 약간 하강되면, 실린더 하우징부(111)의 하측에 배치된 실린더 플랜지부(112)가 서포트바(160)가 다단으로 지지된다. 실린더 플랜지부(112)가 실린더 볼트부(112b)에 의해 서포트바(112)에 구속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관부(150)를 조립하여 분할모듈(150a)을 적층한다(S17). 복수의 분할관부(150)를 조립하여 1층의 분할모듈(150a)을 형성하고, 다시 복수의 분할관부(150)를 조립하여 2층의 분할모듈(150a)을 형성한다. 분할모듈(150a)이 복수 층 조립됨에 따라 관형 지지물이 형성된다.
분할모듈(150a)이 실린더부(110)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 적층되면, 실린더부(110)가 신장됨에 따라 마스트부(130)와 크레인부(140)를 상승시킨(S18). 이때,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마스트부(13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상층의 서포트바(160)에 체결되며,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실린더 로드부(113)의 인출에 의해 상승된다. 이때, 리프팅 가이드부(170)의 리프팅 고정홀부(171)에 서포트바(160)의 자유단부가 대응된 후 리프팅 볼트부(173)가 리프팅 고정홀부(171)에 체결되어 리프팅 가이드부(170)가 서포트바(160)에 구속된다.
이어, 실린더 볼트부(112b)가 실린더 플랜지부(112)에서 분리되고, 실린더부(110)가 수축되면서 마스트부(130) 측으로 상승시킨다(S19: 도 18 참조). 실린더부(110)가 약간 수축되면, 실린더 하우징부(111)가 상측으로 약간 이동된다. 이때, 상측의 서포트바(160)가 실린더 플랜지부(112)에 걸려 상측으로 회전되다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하측의 서포트바(160)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실린더 로드부(113)가 약간 하강됨에 따라 하측의 서포트바(160)에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지지된다(S20). 이때, 서포트바(160)가 복귀된 후 실린더 로드부(113)가 약간 하강되면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상측에 안정되게 안착된다. 따라서, 실린더 지지판부(115)가 서포트바(160)의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부(11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분할모듈(150a)의 둘레부에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S21). 복수의 외부 지지대(181)에 작업 발판을 연결한다(S22). 작업 발판대는(183) 작업자가 밟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물이므로, 작업자의 사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실린더부(110)의 둘레부에 일정 높이의 분할모듈(150a)이 조립되면, 실린더부(110)는 상기와 같이 일정 높이 더 상승된 후 분할관부(150)를 다시 조립한다(도 20 참조). 따라서,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크레인부(140)가 일정 높이씩 상승되면서 분할관부(150)를 조립하여 관형 지지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지지물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실린더부(110)와 크레인부(14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부
20: 리프팅 윈치부
100: 이동식 크레인장치 110: 실린더부
111: 실린더 하우징부 112: 실린더 플랜지부
112a: 실린더홀부 112b: 실린더 볼트부
113: 실린더 로드부 114: 구름볼부
115: 실린더 지지판부 116: 구름홀부
120: 실린더 고정부 122: 삽입홀부
130: 마스트부 131: 단위 마스트
133: 마스트 플랜지부 134: 마스트 볼트홀부
135: 마스트 볼트부 136: 마스트 고정홀부
137: 발판 볼트부 137a: 발판 볼트홀부
140: 크레인부 141: 회전 모터부
142: 회전 테이블 143: 크레인붐
145: 각도조절 실린더부 146: 크레인 윈치부
147: 인양 케이블 150: 분할관부
150a: 분할모듈 151: 서포트 블록부
152: 서포트 볼트부 153: 서포트 홀부
154: 스토퍼부 155: 회전 허용부
156: 레일부 156a: 레일홀부
156b: 레일 볼트부 157: 조립홀부
160: 서포트바 170: 리프팅 가이드부
171: 리프팅 고정홀부 173: 리프팅 볼트부
175: 리프팅 고리부 177: 가이드 리브
181: 외부 지지대 182: 외부 고정홀부
183: 작업 발판부 185: 외부 보강바
186: 힌지부
100: 이동식 크레인장치 110: 실린더부
111: 실린더 하우징부 112: 실린더 플랜지부
112a: 실린더홀부 112b: 실린더 볼트부
113: 실린더 로드부 114: 구름볼부
115: 실린더 지지판부 116: 구름홀부
120: 실린더 고정부 122: 삽입홀부
130: 마스트부 131: 단위 마스트
133: 마스트 플랜지부 134: 마스트 볼트홀부
135: 마스트 볼트부 136: 마스트 고정홀부
137: 발판 볼트부 137a: 발판 볼트홀부
140: 크레인부 141: 회전 모터부
142: 회전 테이블 143: 크레인붐
145: 각도조절 실린더부 146: 크레인 윈치부
147: 인양 케이블 150: 분할관부
150a: 분할모듈 151: 서포트 블록부
152: 서포트 볼트부 153: 서포트 홀부
154: 스토퍼부 155: 회전 허용부
156: 레일부 156a: 레일홀부
156b: 레일 볼트부 157: 조립홀부
160: 서포트바 170: 리프팅 가이드부
171: 리프팅 고정홀부 173: 리프팅 볼트부
175: 리프팅 고리부 177: 가이드 리브
181: 외부 지지대 182: 외부 고정홀부
183: 작업 발판부 185: 외부 보강바
186: 힌지부
Claims (19)
-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에 탑재되고, 인양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크레인부;
상기 인양 케이블에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마스트부를 둘러싸도록 조립되고,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분할모듈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관부;
상기 분할관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분할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구동시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분할모듈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바; 및
상기 마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마스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부의 이동시 상기 마스트부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상기 서포트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관부는 상기 분할모듈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관부의 내측면에는 서포트 블록부가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바는 서포트 볼트부에 의해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는 상기 서포트바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스토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서 상기 서포트바의 상측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상측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회전 허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서포트 블록부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허용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하측면에 상기 실린더부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의 자유단부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마스트부에 연결되는 실린더 하우징부;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서 인출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실린더 로드부; 및
상기 실린더 로드부가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 인입되면서 상승된 경우, 상기 서포트바에 의해 지지되는 실린더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부의 단부에는 구름볼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지지판부에는 상기 구름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름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의 상측에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되는 복수의 단위 마스트; 및
상기 단위 마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와 상기 단위 마스트에 각각 조립되도록 마스트 볼트홀부가 형성되는 마스트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최상층 상기 단위 마스트에는 상기 인양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마스트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부의 둘레부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자유단부를 리프팅 볼트부에 의해 체결하도록 리프팅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부의 상측에는 상기 인양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리프팅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지지대; 및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에 연결되는 작업 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 지지대와 상기 분할모듈의 외측면에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는 외부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에는 상기 인양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외부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 모터부;
상기 회전 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인양 케이블이 지지되는 크레인붐;
상기 크레인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크레인붐에 연결되는 각도조절 실린더부; 및
상기 인양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에 설치되는 크레인 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
- 실린더부를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크레인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둘레부에 분할관부를 조립함에 따라 복수 층의 분할모듈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마스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마스트부 측으로 상승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서포트바가 상기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마스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리프팅 가이드부를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팅 가이드부를 상층의 상기 서포트바에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린더부의 실린더 하우징부를 실린더 로드부의 인출에 의해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마스트부 측으로 상승하는 단계는,
상기 실린더 로드부를 상기 실린더 하우징부에 인입시키면서 상승시키는 단계; 및
하층의 상기 서포트바가 상기 실린더 로드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모듈의 둘레부에 복수의 외부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상기 외부 지지대에 작업 발판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장치의 조립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9408A KR102207793B1 (ko) | 2019-04-04 | 2019-04-04 |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9408A KR102207793B1 (ko) | 2019-04-04 | 2019-04-04 |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384A true KR20200117384A (ko) | 2020-10-14 |
KR102207793B1 KR102207793B1 (ko) | 2021-01-26 |
Family
ID=7284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9408A KR102207793B1 (ko) | 2019-04-04 | 2019-04-04 |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77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77674A (zh) * | 2020-10-28 | 2021-02-19 | 宁波市鄞州世纪耀达市政建设有限公司 | 一种管道转运起吊装置及地下污水管道施工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8683A (ja) * | 1992-07-27 | 1994-02-22 | Taisei Corp | タワークレーン |
JPH0618547U (ja) * | 1992-08-17 | 1994-03-11 | 清水建設株式会社 | タワークレーンの水平ステー組立解体用足場 |
KR101958661B1 (ko) * | 2018-09-11 | 2019-03-18 | (유)아하산업 | 리프팅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타워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
-
2019
- 2019-04-04 KR KR1020190039408A patent/KR1022077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8683A (ja) * | 1992-07-27 | 1994-02-22 | Taisei Corp | タワークレーン |
JPH0618547U (ja) * | 1992-08-17 | 1994-03-11 | 清水建設株式会社 | タワークレーンの水平ステー組立解体用足場 |
KR101958661B1 (ko) * | 2018-09-11 | 2019-03-18 | (유)아하산업 | 리프팅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타워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77674A (zh) * | 2020-10-28 | 2021-02-19 | 宁波市鄞州世纪耀达市政建设有限公司 | 一种管道转运起吊装置及地下污水管道施工方法 |
CN112377674B (zh) * | 2020-10-28 | 2022-05-20 | 宁波市鄞州世纪耀达市政建设有限公司 | 一种管道转运起吊装置及地下污水管道施工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7793B1 (ko) | 2021-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42198B2 (ja) | 塔及び柱の自動化された建設 | |
US11274465B2 (en) | Tower erection and climbing systems | |
US8959870B2 (en) | Fluid-actuated telescoping tower for supporting heavy loads | |
JP4701047B2 (ja) | 風力発電タワーの構築方法 | |
US10815687B2 (en) | Wind turbine assembl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 |
JP3285840B2 (ja) | 安全帯取付け装置 | |
KR102207793B1 (ko) |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EP3786393B1 (en) | Movable module for hoisting telescopic towers and method for hoisting telescopic towers | |
KR101136067B1 (ko) | 그라운드 앵커케이블의 팩킹장치 | |
WO2010061048A1 (e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erecting tower of wind power plant | |
CN216921424U (zh) | 一种超高锥形钢塔分段提升安装装置 | |
JP3905103B2 (ja) | 塔状建造物の架設方法および架設装置 | |
EP3326959B1 (en) | Lifting arrangement for a mast, a mast divided into elements, and methods for assembling, dismantling and servicing of a mast | |
KR20190037847A (ko) | 유로폼 리프팅 장치 | |
US20200347634A1 (en) | Self-Erecting Tow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
JP3242775B2 (ja) | 竪型容器の据付方法 | |
JP3220397B2 (ja) | 昇降式足場 | |
JP2018091098A (ja) | 仮設支柱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 |
KR20220165039A (ko) | 관형지지물의 설치방법 | |
JP7281936B2 (ja) | 鉄塔の組立工事用デリック装置のせり上げ方法 | |
CN113250473B (zh) | 一种超高锥形钢塔分段提升安装装置及安装方法 | |
JP3532161B2 (ja) | 鉄塔構築機および鉄塔構築方法 | |
CN218406795U (zh) | 一种硫磺回收装置的烟囱钢内筒施工系统 | |
JP5902513B2 (ja) | 構築装置 | |
KR102071625B1 (ko) | 송전탑 시공을 위한 클라이밍 크레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