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165A -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165A
KR20200117165A KR1020190038893A KR20190038893A KR20200117165A KR 20200117165 A KR20200117165 A KR 20200117165A KR 1020190038893 A KR1020190038893 A KR 1020190038893A KR 20190038893 A KR20190038893 A KR 20190038893A KR 20200117165 A KR20200117165 A KR 2020011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ug
flexible cable
receptacl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9003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165A/ko
Priority to US17/601,115 priority patent/US20220181049A1/en
Priority to PCT/KR2020/004504 priority patent/WO2020204623A1/ko
Priority to CN202080034912.4A priority patent/CN113811959A/zh
Publication of KR2020011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8Applying discontinuous insulation, e.g. discs, b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3/38 or H01B3/302
    • H01B3/306Polyimides or polyesteri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01B7/0018Strip or f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2Completing of printed circuits by adding non-printed jump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Fluoropolymer, e.g.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63Jumpers, i.e. non-printed cross-over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층, 상기 커버층 상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적층되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1 유전체층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2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적층되는 내열층 및 상기 내열층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한 RF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로서,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는 내열성 재료와 저유전율 재료를 하이브리드 구조로 사용하여 내열성 및 저손실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Flexible Cable Jumper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연결이 가능하고, 내열성, 낮은 유전율 및 저손실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동축 케이블은 두께가 두껍고, 전자 제품(예컨대, 휴대 단말)을 조립 시에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어, 동축 케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부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대체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점퍼(Flexible Jumper)의 도입이 필요해지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플렉서블 점퍼는 제조 시에 고온의 공정을 견뎌야 하는 내열성이 요구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olyimide ; PI) 수지를 커버층으로 활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졌었다.
폴리이미드는 240℃ 내지 260℃의 공정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고는 있으나, 폴리이미드는 유전율이 높기 때문에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유전율 재료로 제시되는 다양한 재료군이 존재하고, 이러한 재료군의 특징을 플렉서블 점퍼에 적용하여 내열성과 저유전율 특성을 보이는 새로운 방식의 플렉서블 점퍼 구조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플렉서블 점퍼에는 기판 내지 다른 장치와 전기적 결합을 위해 플러그가 구비되어 이에 대응되는 리셉터클과 결합되게 되는데, 기존 결합 방식에 의하면 탈부착에 불리하고, 기판의 손실계수가 나빠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US6,581,276 B2(2003.06.24) 미국공개특허 US2010/0186995 A1(2010.07.29) 한국등록특허 제10-1664241호(2016.10.04)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03호(2009.10.01.) 한국등록공보 10-191268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12278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열성 재료와 저유전율 재료를 하이브리드 구조로 사용하여 내열성 및 저손실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여 연결시키고자 하는 RF 모듈 기판에 LTCC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는, 커버층; 상기 커버층의 상부에 형성된 내열층; 상기 내열층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단자층; 및 상기 단자층 상부에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는 전자기판에 부착된 리셉터클과 자기(magnetic)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홀을 구비하며, 상기 홀 내부에 자기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두께의 50% 이상의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홀은 각각 2개 이상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홀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의 홀과 상기 리셉터클의 홀은 자기 부재가 삽입되거나, 또는 자기 부재 및 금속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서로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되거나, 또는 자기 부재와 금속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일 측면에는 각각 라인 형태의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평평한 기판이거나, 또는 각각 커브 형상인 기판이다.
그리고,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는,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내열층 사이에는, 상기 커버층 상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적층되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1 유전체층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2 금속층;을 더욱 포함한다.
또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는,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적층되는 제2 유전체층; 상기 제2 유전체층 상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내열층은 상기 제2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3 금속층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내열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이다.
또한, 상기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유전체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요철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커버층의 상부에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열층의 일측 상부에 단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자층 상부에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를 전자기판에 부착된 리셉터클과 접촉되도록 자기(magnetic) 부재의 자력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층 및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커버층 상에 금속을 적층하고, 적층된 금속을 에칭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1 유전체층에 금속을 적층하고, 적층된 금속을 에칭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전체층 상에 금속을 적층하고, 금속을 에칭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3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제2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유전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유전체층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유전체층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인쇄방식으로 코팅하여 상기 내열층을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 내부에 자기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두께의 50% 이상의 깊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는 내열성 재료와 저유전성 재료를 하이브리드로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하고 저손실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플러그 및 리셉터클이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고, RF 모듈 기판에 LTCC를 장착할 수 있어 소형화, 공정 단순화가 가능하고, 손실계수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플러그가 조립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적층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금속층과 제3 금속층 사이에 제2 유전체층의 상부면에 구비된 요철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 흐름도이다.
도 6은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부착되는 RF 커넥터용 리셉터클 및 RF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부착되는 RF 커넥터가 실장된 PCB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부착되는 RF 커넥터용 리셉터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부착되는 RF 커넥터용 리셉터클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플러그가 조립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단면 형상,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와, 플러그(300) 및 리셉터클(200)을 포함하는 RF 커넥터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는 양 측 또는 일 측에 플러그(300)가 조립 체결되고, 플러그(300)와 후술할 리셉터클(200) (도 8 참조)로 구성되는 RF 커넥터를 매개로 다른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는 내열성 재료와 저유전율 재료를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적층함으로써 내열성과 저손실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의 적층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는 단자층에 SMT(Surface Mount Technology) 방식으로 설치되는 플러그(300)를 포함하여, 플러그(300) 및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의해 기판과 기판, 기판과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여기서, 플러그는 전자기판에 부착된 리셉터클과 자기(magnetic)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되어 탈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는 내열성과 저손실 특성을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핵심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열성과 저손실 특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내열성 소재와 저손실성 소재의 적층 순서 및 방식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의 적층구조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A영역 부분을 확대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는 베이스층이 되는 하부 커버층에서 순차적으로 금속층, 유전체층, 접착층 등으로 구성되는 멀티레이어(Multi-Layer)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는 멀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의 두께, 표면 가공 방식, 각 레이어의 소재 및 레이어의 적층 순서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핵심 구성인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의 각 레이어의 소재, 두께, 적층 순서, 표면 가공 방식 등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의 최하부층에는 커버층(110-1)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커버층(110-1)은 베이스층이 될 수 있다. 커버층(110-1)은 내열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커버층(110-1)의 두께는 25㎛ ~ 4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 35㎛의 두께를 사용할 수 있다. 커버층(110-1)은 내열 특성이 좋은 소재이므로, 240℃ 내지 260℃ 공정 온도에서도 물리·화학적 변화가 없이 기본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층(110-1)의 상부에는 기 결정된 회로 패턴을 갖는 제1 금속층(130-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금속층(130-1)은 추후 설명하는 플러그(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금속층(130-1)은 전기적 전도 특성이 우수한 구리, 금, 백금 및 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금속층(130-1)과 플러그(300)의 전기적 연결 구조 및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아홀 방식으로 제1 금속층(130-1)과 단자층 사이의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플러그(300)와의 인터페이스 단자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것과는 다소 관련성이 낮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플러그와 멀티 레이어 금속층과의 전기적 연결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제1 금속층(130-1)의 상부에는 유전율이 낮은 소재로 제1 유전체층(150-1)을 적층할 수 있다. 제1 유전체층(150-1)은 저유전율 재료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및 이와 물성이 비슷한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많은 작은 분자(단위체)들을 사슬이나 그물 형태로 화학 결합시켜 만드는 커다란 분자로 이루어진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유기 중합체 계열에 속하는 비가연성 불소수지이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극히 적은 유전 손실, 높은 절연성 및 파괴 전압 등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유전율과 유전손실율 측면에서 모두 최소값을 보여주고, 체적 저항성이 극도로 높아서 광범위한 온도와 주파수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므로 절연재로 사용할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1MHz에서 2.1의 유전율을 갖는다. 제1 유전체층(150-1)의 두께는 100㎛~1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140㎛이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 또는 하부의 표면에 화학적 에칭공정을 통하여, 표면에 조도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제1 유전체층(150-1)의 상부에는 제1 접착층(170-1)이 도포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70-1)은 30㎛ ~ 70㎛의 두께로 도포되며,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70-1)이 도포된 표면 상에는 제2 금속층(130-2)이 적층될 수 있다. 제2 금속층(130-2)은 기 결정된 회로 패턴으로 가공되고,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양측의 전기적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금속층(130-2)은 전기적 전도 특성이 우수한 구리, 금, 백금 및 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금속층(130-2)의 상부에는 제2 유전체층(150-2)이 적층될 수 있다. 제2 유전체층(15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층(150-1)과 동일한 물질과 두께를 갖는 저유전율을 갖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전체층(150-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어느 한면 또는 양면에는 요철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접촉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2 금속층(130-2)와 제3 금속층(130-3) 사이의 접촉력을 높여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를 참고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금속층과 제3 금속층 사이에 제2 유전체층의 상부면에 구비된 요철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유전체층(150-2)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요철(151)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의 형태, 크기, 치수는 제2 유전체층(150-2)의 두께, 너비,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유전체층(150-2)의 상부면 이외에도 하부면에도 요철을 구비할 수 있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유전체층(150-2)의 상부 및 하부에 요철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제2 금속층(130-2) 및 제3 금속층(130-3)과 제2 유전체층(150-2) 사이의 접촉력을 높여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제2 유전체층(150-2)의 상부에는 제3 금속층(130-3)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금속층(130-3)은 기 결정된 형태의 회로 패턴이 형성되고,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양측의 전기적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금속층(130-3)의 상부에는 제2 접착층(170-2)이 도포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70-2)의 두께는 30㎛ ~ 70㎛의 두께로 도포되며,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제3 금속층(130-3)은 전기적 전도 특성이 우수한 구리, 금, 백금 및 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70-2)의 상부에는 내열성 소재인 내열층(110-2)을 적층할 수 있다. 여기서 내열층(110-2)은 내열 특징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내열층(110-2)의 두께는 25㎛ ~ 4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 35㎛의 두께를 사용할 수 있다. 내열층(110-2)은 내열 특성이 우수한 소재이므로, 240℃ 내지 260℃ 공정 온도에서도 물리·화학적 변화가 없이 기본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내열층(110-2)으로 상부면을 마감함으로써 SMT를 적용하여 플러그(300)를 구성하는 공정 중에도 열변형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내열성 재료인 커버층(110-1) 및 내열층(110-2)을 내열 재료인 폴리이미드를 사용함으로써 SMT 공정 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줄여주고 리플로우(reflow) 공정 후에도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속층(130-1)과 제2 금속층(130-2) 사이에 저유전율 소재인 제1 유전체층(150-1)을 구비하고, 제2 금속층(130-2)과 제3 금속층(130-3) 사이에 제2 유전체층(150-2)을 구비함으로써 저손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내열층(110-2)과 플러그(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단자층(130-4)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층(130-4)은 플렉서블 점퍼 구조체 최상부면의 양측 또는 일측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층(130-4)은 전기적 전도 특성이 우수한 구리, 금, 백금 및 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열층을 적층하는 단계는, 폴리이미드 필픔을 접착층의 개재 하에 핫 프레스(Hot press) 방식으로 가열 가압하여 상기 제2 급속층 상에 상기 내열층을 적층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케이블 구조체를 완성한 뒤에 플러그를 단자부에 SMT 방식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에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SMT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커버층을 준비하는 단계(S510)를 실행할 수 있다. 커버층은 베이스 기판에 25㎛ ~ 40㎛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형성하여 준비할 수 있다. 커버층은 스프레이 방식보다는 인쇄방식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층 상에는 1㎛~10㎛ 두께로 금속을 적층할 수 있고, 금속을 에칭하여 기 결정된 회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1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S520).
제1 금속층 상에는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하고, 그 적층 두께는 100㎛ ~ 150㎛ 이고, 바람직하게는 110㎛ ~ 140㎛의 두께로 적층할 수 있다(S530). 제1 유전체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캐스팅 또는 커팅으로 생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유전체층은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 또는 하부의 표면에 화학적 에칭공정을 통하여, 표면에 조도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하기 전에 에칭해도 되고,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한 후에 에칭해도 된다. 유전체층을 적층 한 후에 에칭을 행하게 되면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제1 유전체 상부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접착층을 도포할 수 있다(S540). 여기서 접착제의 두께는 30㎛ ~ 70㎛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제1 접착층이 도포된 표면 상에 금속을 적층하고, 금속을 에칭하여 기 결정된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2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S550). 이때, 제2 금속층은 1㎛~10㎛ 두께의 구리, 금, 은 및 백금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과 같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속층을 형성한 뒤에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S56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금속층을 형성한 뒤에 A단계를 이행할 수 있다.
A 공정 단계에 대해서 도 6을 참고하면, 제2 금속층 상에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50-1). 그 적층 두께는 100㎛ ~ 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10㎛ ~ 140㎛의 두께로 적층할 수 있다. 제2 유전체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캐스팅 또는 커팅으로 생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전체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기 전에 에칭해도 되고,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한 후에 에칭해도 된다. 유전체층을 적층 한 후에 에칭을 행하게 되면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제2 유전체층 상에 금속을 적층하고, 금속을 에칭하여 기 결정된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3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S550-2). 이때, 제3 금속층은 1㎛ ~ 10㎛ 두께의 구리, 금, 은 및 백금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과 같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제3 금속층 상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접착층을 도포할 수 있다(S550-3). 여기서 접착제의 두께는 30㎛ ~ 70㎛이고,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제2 접착층이 도포된 이후에는 내열층 형성단계(S560)를 이행할 수 있다.
제2 접착층이 도포된 제3 금속층 상에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S560). 만약 A단계를 실행하지 않는 실시예에서는 제2 금속층을 형성한 뒤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S560)를 실행하기 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내열층은 내열 특징을 위한 것으로, 내열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25㎛ ~ 40㎛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코팅할 수 있다.
내열층 상에는 금속을 적층하고,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S570). 이때, 단자층은 1㎛ ~ 10㎛ 두께의 구리, 금, 은 및 백금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과 같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서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는 제조되며, 여기에 자기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300)가 결합됨으로써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를 제조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RF 커넥터는 도 7(a)에 도시된 리셉터클(200) 및 도 7(b)에 도시된 플러그(30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200)의 상부 일 측면에는 전극(215)을 구비하고, 플러그(300)의 상부 일 측면에는 전극(315)을 구비한다. 그리고, 플러그(300)의 전극(315)이 리셉터클(200)의 전극(215)과 접촉하기 위해서, 리셉터클(200)의 자기 부재(411,412,413,414)는 플러그(300)의 자기 부재(511,512,513,514)와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리셉터클(200)의 전극(215)을 가진 면과 플러그(300)의 전극(315)을 가진 면을 대향하게 하여, 리셉터클(200)의 자기 부재(411)는 플러그(300)의 자기 부재(513)와 연결되며, 리셉터클(200)의 자기 부재(412)는 플러그(300)의 자기 부재(514)와 연결되고, 리셉터클(200)의 자기 부재(413)는 플러그(300)의 자기 부재(512)와 연결되며, 리셉터클(200)의 자기 부재(414)는 플러그(300)의 자기 부재(51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라는 것은 N극과 S극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자석과 금속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의 홀과 리셉터클의 홀은 자기 부재 또는 금속 부재가 삽입되어, 자기 부재끼리 접촉되거나 또는 자기 부재와 금속 부재가 접촉될 수 있다.
리셉터클(200)의 전극(215) 및 플러그(300)의 전극(315)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의 재료로써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주석(Sn), 몰리브덴(Mo)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합금 또는 다른 금속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iCu, NiTi, TiCu, NiNb, CuMo, TiAg 등과 같은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세라믹 재질인 리셉터클(200)과 플러그(300)를 서로 부착할 때 깨지기 쉽기 때문에 리셉터클(200)의 전극(215) 및 플러그(300)의 전극(315)은 다층의 금속층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g 전극층, Ni 전극층, Au 전극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멀티레이어층을 사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200)의 전극(215) 및 플러그(300)의 전극(315)이 멀티레이어층을 형성하는 경우, Ag 전극층은 5~15㎛가 바람직하고, Ni 전극층은 3~10㎛가 바람직하고, Au 전극층은 0.01~0.5㎛가 바람직하다. 또한, Ag 전극층, Ni 전극층, Au 전극층의 멀티레이어층의 두께를 10~20㎛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도전성을 얻고, 또한 버퍼층으로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리셉터클(200)의 내부에는 EMI/ESD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EMI/ESD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공정이 단순화되고, 기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러그(300)의 하부에는 플렉스 케이블 점퍼 구조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200) 및 플러그(300)는 LTCC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5G 의 주파수 영역인 3.5G ~ 28G 에서 RF 모듈에서의 손실계수가 적어지는 RF 커넥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PCB에 RF 커넥터가 실장된 그림을 나타낸다.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의 리셉터클(200)은 PCB(10)의 상부의 플러그(300)와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되어,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가 PCB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해 진다.
리셉터클(200)을 PCB(10)의 상부에 실장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접착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솔더링과 같은 금속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셉터클(200)의 하부에 자기 부재를 구비하고, PCB(10)의 상부에 자기 부재를 구비하여,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리셉터클(200)과 PCB(10)를 탈부착하는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리셉터클이나 플러그에 자기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홀의 수 및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 부재가 삽입되는 홀은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각각에 2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a)는 4개의 홀을 갖는 리셉터클(200)을 나타내고, 도 9 (b)는 2개의 홀을 갖는 리셉터클(200A)을 나타낸다.
도 9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은 4개의 홀(211, 212, 213, 214)를 구비할 수 있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부착하기 위해서, 홀은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일 수 있으나, 자기 부재가 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9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A)은 2개의 홀(211A, 212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200A)과 대응되는 플러그(미도시)는 2개의 홀을 구비하여, 플러그의 일측에 구비된 전극과 리셉터클(200A)의 일측에 구비된 전극은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천공되는 홀의 깊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자기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일정 깊이를 갖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홀의 깊이는 자기 부재가 안정적으로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고정될 수 있으면 되고,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각각의 두께의 25%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각각의 두께의 50%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각각의 두께의 75%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은 자기 부재(411, 412, 413, 414)를 삽입하기 위한 홀(211, 212, 213, 214)을 구비하며, 홀(211, 212, 213, 214)은 리셉터클(200) 두께의 50%로 천공될 수 있다.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B)은 자기 부재(411B, 412B, 413B, 414B)를 삽입하기 위한 홀(211B, 212B, 213B, 214B)을 구비하며, 홀(211B, 212B, 213B, 214B)은 리셉터클(200B) 두께의 100%로 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200B) 두께의 전부가 천공된 경우, 자기 부재의 고정성이 좋고 리셉터클의 후면 또는 전면에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에 자기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부착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즉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의 직경이 삽입되는 자기 부재의 직경보다 같거나 약간 크게 설계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의 직경이 삽입되는 자기 부재의 직경보다 0.1% 내지 3% 크게 설계하여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에 자기 부재를 삽입하면, 홀과 자기 부재의 마찰력에 의하여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에 자기 부재는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리셉터클 및 플러그는 세라믹이기 때문에,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에 자기 부재를 끼워놓을 때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스트레스가 많이 가해져서 깨지기 쉬운 경우,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의 직경이 삽입되는 자기 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의 직경이 삽입되는 자기 부재의 직경보다 3% 내지 20% 크게 하고, 에폭시, 실리콘 고무 등의 유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리셉터클 및 플러그의 홀에 자기 부재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탈부착시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점에서 실리콘 고무가 에폭시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천공되는 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은 원형의 자기 부재(411, 412, 413, 4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일측에 구비된 전극과 리셉터클의 일측에 구비된 전극을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로서, 리셉터클(200C)은 라인 형태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라인 형태의 자기 부재(411C,412C)를 고정할 수 있다. 리셉터클(200C)에 대응되는 플러그(미도시)에도 라인 형태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라인 형태의 자기 부재를 고정하여, 리셉터클(200C)의 자기 부재(411C,412C)와 플러그의 자기 부재를 자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라인 형태의 자기 부재(411C,412C)를 사용하면 원형의 자기 부재(411, 412, 413, 414)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자기 부재끼리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기판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0)과 플러그(300)는 평평한 형상의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는 커브 형상의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300D)의 전극을 구비한 면의 단면이 오목한 형상이고 리셉터클(200D)의 전극을 구비한 면의 단면이 볼록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300F)의 전극을 구비한 면의 단면이 볼록한 형상이고 리셉터클(200F)의 전극을 구비한 면의 단면이 오목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커브 형상의 기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얼라인 미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구조체
110-1, 110-2 : 커버층, 내열층
130-1, 130-2, 130-3 : 제1 금속층, 제2 금속층, 제3 금속층
150-1, 150-2 : 제1 유전체층, 제2 유전체층
170-1, 170-2 : 제1 접착층, 제2 접착층
200 : 리셉터클
300 : 플러그

Claims (20)

  1. 커버층;
    상기 커버층의 상부에 형성된 내열층;
    상기 내열층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단자층; 및
    상기 단자층 상부에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는 전자기판에 부착된 리셉터클과 자기(magnetic)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홀을 구비하며,
    상기 홀 내부에 자기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두께의 50% 이상의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홀은 각각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홀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의 홀과 상기 리셉터클의 홀은 자기 부재가 삽입되거나, 또는 자기 부재 및 금속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서로 자기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되거나, 또는 자기 부재와 금속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일 측면에는 각각 라인 형태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라인 형태의 홈 내부에 자기 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평평한 기판이거나, 또는 각각 커브 형상인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내열층 사이에는,
    상기 커버층 상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적층되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1 유전체층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2 금속층;을 더욱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적층되는 제2 유전체층;
    상기 제2 유전체층 상에 적층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내열층은 상기 제2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3 금속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내열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유전체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13. 커버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커버층의 상부에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열층의 일측 상부에 단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자층 상부에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를 전자기판에 부착된 리셉터클과 접촉되도록 자기(magnetic) 부재의 자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및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커버층 상에 금속을 적층하고, 적층된 금속을 에칭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제1 유전체층에 금속을 적층하고, 적층된 금속을 에칭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전체층 상에 금속을 적층하고, 금속을 에칭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3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제2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유전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유전체층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유전체층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내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인쇄방식으로 코팅하여 상기 내열층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은 각각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 내부에 자기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의 두께의 50% 이상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038893A 2019-04-03 2019-04-03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00117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93A KR20200117165A (ko) 2019-04-03 2019-04-03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7/601,115 US20220181049A1 (en) 2019-04-03 2020-04-02 Flexible cable jump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0/004504 WO2020204623A1 (ko) 2019-04-03 2020-04-02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2080034912.4A CN113811959A (zh) 2019-04-03 2020-04-02 软电缆跨接装置及制造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93A KR20200117165A (ko) 2019-04-03 2019-04-03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65A true KR20200117165A (ko) 2020-10-14

Family

ID=7266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893A KR20200117165A (ko) 2019-04-03 2019-04-03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81049A1 (ko)
KR (1) KR20200117165A (ko)
CN (1) CN113811959A (ko)
WO (1) WO20202046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43A1 (ko) * 2021-01-05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결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276B2 (en) 2000-04-04 2003-06-24 Amerasia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Fine-pitch flexib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90001003U (ko) 2007-07-26 2009-02-02 김선경 지퍼달린 고무장갑
US20100186995A1 (en) 2008-05-06 2010-07-29 Shih-Kun Yeh Connecting device for cables and jumper wires
KR101664241B1 (ko) 2009-09-18 2016-10-10 어드밴스드플렉서블써키츠컴패니리미티드 집속형 플렉서블 플랫 회로 케이블
KR20160122783A (ko) 2014-03-24 2016-10-24 애플 인크. 연결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자기 연결 및 정렬
KR101912683B1 (ko) 2017-09-15 2018-10-29 주식회사 에스알비 내열성이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25B1 (ko) * 2006-07-10 2007-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DE112008003858B4 (de) * 2008-05-09 2019-11-2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und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r optischen Verbindung
JP5775753B2 (ja) * 2011-06-27 2015-09-0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調整シート及びシールド付き配線部材
KR101641405B1 (ko) * 2013-12-27 2016-07-20 주식회사 두산 연성 인쇄회로기판 형성용 절연 수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KR20170077604A (ko) * 2015-12-28 2017-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케이블 커넥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9716872B (zh) * 2016-08-31 2021-11-02 阿莫善斯有限公司 制造柔性印刷电路板的方法及由其制造的柔性印刷电路板
KR102458201B1 (ko) * 2016-08-31 2022-10-24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회로기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276B2 (en) 2000-04-04 2003-06-24 Amerasia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Fine-pitch flexib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90001003U (ko) 2007-07-26 2009-02-02 김선경 지퍼달린 고무장갑
US20100186995A1 (en) 2008-05-06 2010-07-29 Shih-Kun Yeh Connecting device for cables and jumper wires
KR101664241B1 (ko) 2009-09-18 2016-10-10 어드밴스드플렉서블써키츠컴패니리미티드 집속형 플렉서블 플랫 회로 케이블
KR20160122783A (ko) 2014-03-24 2016-10-24 애플 인크. 연결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자기 연결 및 정렬
KR101912683B1 (ko) 2017-09-15 2018-10-29 주식회사 에스알비 내열성이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43A1 (ko) * 2021-01-05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1049A1 (en) 2022-06-09
CN113811959A (zh) 2021-12-17
WO2020204623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48330B (en) High frequency and wide band impedance matching via
US9814145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 having a removable end portion
KR20150132089A (ko) 집적된 열 확산기를 구비한 파워 저항기
JP2013051387A (ja) 電子回路板
KR20200117165A (ko) 플렉서블 케이블 점퍼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350062B2 (en) Stress relieved high power RF circuit
CN202121860U (zh) 一种用于精密电子设备的柔性电路板
TW200830967A (en) A novel via structure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JP2012222124A (ja) 絶縁被膜付き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51103A (ja) 電子部品相互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101383783B1 (ko) 인쇄전자소자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24967A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회로기판
US10587074B2 (en) Hybrid electrical connector
US11785713B2 (en) Flexible cable jump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009954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a sacrificial constraining material
US7342804B2 (en) Ball grid array resistor capacitor network
KR20200116415A (ko) 다층구조의 인터포저 및 그 제조방법
US10636549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2465243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회로기판
WO2017214370A1 (en) Electronic component
CN108430150A (zh) 具有弹性线路的电路板及其制作方法
FI127478B (fi) Taskuliitin
US20150064971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63422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회로기판
JP2004179381A (ja)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