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359A - 엣지형조명등 - Google Patents

엣지형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359A
KR20200116359A KR1020190038052A KR20190038052A KR20200116359A KR 20200116359 A KR20200116359 A KR 20200116359A KR 1020190038052 A KR1020190038052 A KR 1020190038052A KR 20190038052 A KR20190038052 A KR 20190038052A KR 20200116359 A KR20200116359 A KR 2020011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ighting
lighting frame
locking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521B1 (ko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102019003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엣지형조명등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도광판과 도광판의 판면을 따라 광을 조사하는 LED유니트와 도광판과 LED유니트를 지지하는 조명프레임을 갖는 조명유니트, 조명프레임의 일측 회동단과 브래킷을 연결하여 천장에 직교한 선회평면을 따라 조명프레임이 브래킷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조명프레임이 브래킷으로부터 개방된 해제위치 간을 회동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연결부, 조명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바아, 락킹바아에 연결되며 조명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 장착위치에서 락킹바아가 조명프레임과 브래킷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락킹바아가이드, 락킹위치에서 락킹바아가 걸리는 락킹걸림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엣지형조명등{Edge Type 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엣지형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엣지형조명등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하기 위한 조명등의 개폐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엣지형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엣지형조명등은 천장프레임에 걸려 설치되거나 스크류에 의해 설치되는 브래킷과, 개방 및 폐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프레임과, 조명프레임에 지지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명프레임이 브래킷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가 되기 위하여 조명프레임의 일측이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되어 개방되며 접근하여 락킹되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엣지형조명등의 락킹부는 조명프레임에 누름버튼 형태로 마련되어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있으므로 락킹 및 해제에 필요한 구성이 많아지므로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락킹부가 걸림결합을 하고 있으므로 조명프레임 외측의 누름버튼을 눌러서 걸림해제하는 것이 작업효율을 향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프레임의 락킹 메커니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엣지형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엣지형조명등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판면을 따라 광을 조사하는 LED유니트와, 상기 도광판과 상기 LED유니트를 지지하는 조명프레임을 갖는 조명유니트;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회동단과 상기 브래킷을 연결하여 상기 천장에 직교한 선회평면을 따라 상기 조명프레임이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상기 조명프레임이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개방된 해제위치 간을 회동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연결부; 상기 조명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바아, 상기 락킹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브래킷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락킹바아가이드,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걸리는 락킹걸림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명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쉽게 조명프레임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 각각은, 상기 락킹바아에 상기 락킹위치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락킹탄성부재; 및 상기 락킹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락킹바아를 저지하는 바아스토퍼를 더 포함하면 락킹바아가 락킹걸림부에 락킹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락킹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연부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조작연결부; 및 상기 조작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에 속하도록 하는 상기 조명프레임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라이딩노브를 가지고, 상기 락킹걸림부는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조작노브가 조명프레임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락킹바아가이드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어 상기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바아가이드; 및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연부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가이드를 포함하면 락킹바아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락킹바아는 삽입공을 갖고, 상기 조명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해제샤프트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슬롯과 두께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해제손잡이를 수용하는 손잡이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락킹바의 삽입공에 슬라이딩 및 가능하게 삽입되는 해제샤프트와, 상기 해제샤프트 타측의 자유단에 상기 해제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명프레임 외연부의 판면에 대하여 평행하며 돌출되지 않은 설치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에서 회동되어 상기 조명프레임 외연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딩가능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해제손잡이를 가지면 사용자가 해제손잡이를 회동시킨 후 잡아당기고 슬라이딩시켜 손쉽게 조명프레임을 브래킷에 대해 개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해제샤프트는 상기 락킹바아의 삽입공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샤프트스토퍼를 가지면 해제샤프트를 슬라이딩 위치까지만 이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쉽게 조명프레임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락킹탄성부재 및 바아스토퍼를 가지면 락킹바아가 락킹걸림부에 락킹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작연결부 및 슬라이딩노브를 가지고, 락킹걸림부가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조작노브가 조명프레임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어 조명프레임에 조작노브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되지 않아 조명프레임의 제작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바아가이드와 노브가이드에 의해 락킹바아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해제손잡이를 회동시킨 후 잡아당기고 슬라이딩시켜 손쉽게 조명프레임을 브래킷에 대해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샤프트스토퍼에 의해 해제샤프트를 슬라이딩 위치까지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천장에 설치된 엣지형조명등의 사시도.
도 2는 락킹부의 분해도.
도 3과 도 4는 엣지형조명등의 개폐 동작도.
도 5 내지 7은 변형 예의 락킹해제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엣지형조명등(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천장프레임(2)에 설치된 엣지형조명등(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락킹부(40)의 분해도이며, 도 3과 도 4는 엣지형조명등(1)의 개폐 동작도이고, 도 5 내지 7은 변형 예의 락킹해제동작도이다.
엣지형조명등(1)은 천장보드(3)의 상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천장프레임(2)에 설치된다. 엣지형조명등(1)은 브래킷(10), 조명유니트(20), 회동연결부(30), 락킹부(40)를 포함한다.
브래킷(10)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천장프레임(2)에 걸려 고정 설치된다. 브래킷(10)은 상부브래킷(미도시), 하부브래킷(미도시) 및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유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브래킷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천장프레임(2)에 걸린다. 상부브래킷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천장프레임(2)에 가로로 걸쳐 지지된다. 상부브래킷은 암나사산이 형성된 길이조절공이 형성된다. 길이조절공은 후술할 간격조절부 즉, 길이조절볼트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연결부를 상하 이동하게 한다. 하부브래킷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브래킷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후술할 조명프레임(23)을 지지하며 결합된다. 하부브래킷은 길이조절수용부와 측면지지부를 갖는다. 길이조절수용부는 연결부의 간격조절부가 삽입되며 관통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다. 측면지지부는 하부브래킷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측면지지부는 이격거리를 갖고 한 쌍이 형성되며 각각은 측면지지공이 형성된다.
조명유니트(20)는 도광판(21)과 도광판(11)의 판면을 따라 광을 조사하는 LED유니트(22), 도광판(21)과 LED유니트(22)를 지지하는 조명프레임(23)을 포함한다. 조명유니트(20)는 상호 적층된 도광판(21), 확산판(미도시) 및 LED유니트(22)로 이루어져 있다. 이 확산판은 경우에 따라서는 제거될 수도 있다. 도광판(11)의 상면에는 도광판(11)으로부터 상방으로 방사되는 빛을 확산판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광판(11) 혹은 반사판의 상면에 강도 보강을 위한 조명부지지판이 배치되기도 한다. 도광판(11)의 어느 일 측연 혹은 대향한 양 측연에는 다수의 LED를 갖는 LED 유니트(12)가 배치되어 도광판(11)의 측면을 통해 판면을 따라 광원을 제공한다. 조명프레임(23)은 도광판(21)과 LED유니트(22)를 지지한다. 조명프레임(23)은 사각틀의 형상을 이루는 4개의 프레임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부재 중 어느 하나는 LED 유니트(22)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4개의 프레임부재는 도광판(21)을 일부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슬롯이 형성된다. 조명프레임(23)의 상측연은 조명프레임(23)이 회동하는 경우 후술할 회동축(31)를 수용하는 회동힌지부와 고정힌지부로 이루어진 축수용부(32)의 외표면을 따라 접촉하며 회동되도록 원형고리형상을 갖는다.
회동연결부(30)는 조명프레임(23)의 일측 회동단과 브래킷(10)을 연결하여 천장보드(3)에 직교한 선회평면을 따라 조명프레임(23)이 브래킷(10)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조명프레임(23)이 브래킷(10)으로부터 개방된 해제위치 간을 회동 이동 가능하게 한다. 회동연결부(30)는 조명프레임(23)이 브래킷(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회동연결부(30)는 조명프레임(23)의 일측단의 회동지점 영역과 브래킷(10)을 연결한다. 회동연결부(40)는 회동축(41), 축수용부(32)를 갖는다.
회동축(41)은 프레임부재 중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회동힌지부는 회동축(41)의 일부 구간을 수용하며 측방 즉 조명유니트(10) 방향으로 연장되며 조명프레임(23)에 고정 결합된다. 축수용부(32)의 고정힌지부는 회동축(41)의 나머지 구간을 수용하며 측방 즉, 조명유니트(10) 방향으로 연장되며 브래킷(1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힌지부를 갖는다. 회동연결부(30)가 힌지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힌지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락킹부(40)는 락킹바아(41), 조작노브(42), 락킹바아가이드(43), 락킹걸림부(44), 락킹탄성부재(45) 및 바아스토퍼(46)를 갖는다. 락킹바아(41)는 조명프레임(23)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락킹바아(41)는 막대형상을 갖고 락킹되는 부분의 말단영역은 락킹걸림부(44)에 의해 밀려지도록 락킹되는 방향을 따라 둥그런 형상을 가진다. 조작노브(42)는 락킹바아(41)에 연결되며 조명프레임(23)의 외측에 배치되어 락킹바아(41)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조작노브(42)는 락킹바아(41)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조작손잡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락킹바아가이드(43)는 장착위치에서 락킹바아(41)가 조명프레임(23)과 브래킷(10)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락킹바아가이드(43)는 조명프레임(23)의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어 락킹바아(41)의 슬라이딩 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바아가이드(431) 및 조명프레임(23)의 외연부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슬라이딩노브(43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가이드(432)를 포함한다. 바아가이드(431)는 바아출입개구(431-1), 샤프트슬라이딩슬롯(431-2), 체결공(431-3) 및 스토퍼걸림공(431-4)를 갖는다.
락킹걸림부(44)는 락킹위치에서 락킹바아(41)가 걸리게 한다. 락킹탄성부재(45)는 락킹바아(41)에 락킹위치 방향으로 탄성을 가한다. 바아스토퍼(46)는 락킹탄성부재(45)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락킹바아(41)를 저지한다.
도 3과 도 4는 엣지형조명등의 개폐 동작도이다.
도 3은 락킹부(40)가 락킹되어 있는 상태로 조명유니트(20)가 브래킷(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락킹부(40)의 조작노브(42)의 해제손잡이(424)를 후방으로 밀어서 락킹바아(41)를 락킹걸림부(44)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면 천장프레임(2)에 고정된 브래킷(10)에 대하여 조명유니트(20)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된다.
도 5 내지 7은 변형 예의 락킹해제동작도이다.
도 5는 락킹바아(51)가 도광판(21)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락킹걸림부(54)의 락킹걸림턱(541)에 걸려 락킹된 상태이다. 여기서, 락킹부(50)는 락킹바아(51), 조작노브(52), 락킹바아가이드(53), 락킹걸림부(54), 락킹탄성부재(55)를 포함한다.
락킹바아(51)은 바아헤드(511)와 가이드수용부(512)를 갖는다. 바아헤드(511)는 락킹바아(51)의 하단 우측 말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둥그런 형상을 가지고 있어 조명프레임(23)이 브래킷(10)에 접근하면 락킹걸림부(54)의 락킹걸림턱(541)에 의해 좌측으로 밀리도록 형성된다.
조작노브(52)는 락킹바아(51)와 연결되어 도광판(21)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조명프레임(23)의 내연부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광판(21)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도광판(21)의 판면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조작연결부(521) 및 조작연결부(521)와 연결되어 도광판(21)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범위에 속하도록 하는 조명프레임(23)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라이딩노브(522)를 갖는다. 이에 의해 조작노브(52)가 조명프레임(23)을 통과하여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작노브(52)가 조명프레임(23)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경우 필요한 슬라이딩슬롯을 조명프레임(23)에 따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명프레임(23)의 제작이 매우 간단해진다.
락킹바아가이드(53)는 바아가이드(531), 가이드지지부(532), 바아스토퍼(533) 및 체결공(534)를 갖는다. 바아가이드(531)는 조명프레임(23)의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어 락킹바아(51)의 슬라이딩 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지지부(532)는 바아가이드(531)와 연결되며 락킹탄성부재(55)를 지지한다. 가이드지지부(532)는 조명프레임(23)의 판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부분을 갖고 체결공(534)이 형성된다. 바아스토퍼(533)는 바아가이드(531)의 축을 따라 중앙부분의 공간을 두고 두부분으로 마련되며 두부분의 바아스토퍼(533)는 탄력적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이 되도록 마련된다. 락킹바아가이드(53)는 조명프레임(23)의 외연부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슬라이딩노브(52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가이드(미도시)를 더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노브(522)가 정확한 경로인 노브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락킹바아(51)도 정확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락킹걸림부(54)는 락킹걸림턱(541)을 갖고 브래킷(10)으로부터 판면이 절개되고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락킹탄성부재(55)는 가이드지지부(532)와 락킹바아(51)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가이드지지부(532)를 지지되어 락킹바아(51)를 락킹걸림턱(541)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한다.
도 6은 락킹바아(51)가 도광판(21)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락킹걸림부(54)의 락킹걸림턱(541)에 걸려 락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노브(52)의 슬라이딩노브(52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락킹바아(51)를 락킹걸림턱(541)으로부터 락킹해제를 하였다. 이후에는 락킹바아(51)가 지지된 조명프레임(23)이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브래킷(10)에 대해 개방된다.
도 7은 다른 변형 예의 락킹부(60)에 의한 락킹 및 해제의 동작도이다.
여기서, 락킹바아(61)는 삽입공(미도시, 도2참조)을 갖고, 조명프레임(23)은 길이방향을 따라 해제샤프트(623)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슬롯(미도시)과 두께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해제손잡이(624)를 수용하는 손잡이수용부(231)가 형성되며, 조작노브(62)는 락킹바아(61)의 삽입공에 슬라이딩 및 가능하게 삽입되는 해제샤프트(623)와, 해제샤프트(623) 타측의 자유단에 해제샤프트(623)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명프레임(23) 외연부의 판면에 대하여 평행하며 돌출되지 않은 설치위치 및 설치위치에서 회동되어 조명프레임(23) 외연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딩가능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해제손잡이(624)를 갖는다. 해제손잡이(624)는 하단 양측이 둥그런 형상을 가짐으로써 슬라이딩 시 조명프레임(23)의 외측에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 (a) 해제손잡이(624)가 손잡이수용부(231)에 수용된 상태로 락킹바아(61)가 락킹걸림부(64)에 걸려 있다.
도 7 (b) 사용자가 해제손잡이(624)의 좌측을 눌러 회동시켜 우측을 조명프레임(23)의 외측보다 돌출되도록 한다.
도 7 (c) 사용자는 돌출된 해제손잡이(624)의 우측을 돌출되는 방향으로 샤프트스토퍼(623-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잡아당긴다.
도 7 (d) 이후 사용자는 돌출된 해제손잡이(624)를 좌측방향으로 밀면 락킹바아(61)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락킹걸림부(64)로부터 락킹이 해제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된 실시 예를 셜명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조작노브를 이용하여 락킹바아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락킹바아가 설치되는 조명프레임의 프레임부재 또는 조명프레임전체가 락킹바아와 연결되며 브래킷에 대하여 조명프레임 전체 혹은 락킹바아가 설치되는 조명프레임의 프레임부재 만을 슬라이딩하여 락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작노브를 외부에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는 브래킷에 대하여 조명프레임 전체 혹은 락킹바아가 설치되는 조명프레임의 프레임부재를 상방, 하방 또는 판면방향 등 어느 한 방향으로 누르면 개방이 되도록 할 수 잇다. 이에 더하여 한번 누르면 열리고 한번 더 누르면 락킹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원터치도어)와 같이 마련하여 조작이 쉽고 외관이 미려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엣지형조명등(1)으로 인하여, 조명프레임(23)의 외측면을 따라 조작노브(42)를 조작하여 쉽게 조명프레임(23)을 개방할 수 있다. 락킹탄성부재(45) 및 바아스토퍼(46)를 가지면 락킹바아(41)가 락킹걸림부(44)에 락킹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조작연결부(521) 및 슬라이딩노브(522)를 가지고, 락킹걸림부(54)가 도광판(21)의 판면방향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조작노브(52)가 조명프레임(23)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어 조명프레임(23)에 조작노브(52)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되지 않아 조명프레임(23)의 제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바아가이드(431)와 노브가이드(432)에 의해 락킹바아(41)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제손잡이(624)를 회동시킨 후 잡아당기고 슬라이딩시켜 손쉽게 조명프레임(23)을 브래킷(10)에 대해 개방할 수 있다. 샤프트스토퍼(623-1)에 의해 해제샤프트(623)를 슬라이딩 위치까지만 이동시킬 수 있다.
1 : 엣지형조명등 2 : 천장프레임
3 : 천장보드(천장텍스타일) 10 : 브래킷
20 : 조명유니트 21 : 도광판
22 : LED유니트 23 : 조명프레임
30 : 회동연결부 31 : 회동축
32 : 축수용부 40 : 락킹부
41 : 락킹바아 42 : 조작노브
43 : 락킹바아가이드 44 : 락킹걸림부
45 : 락킹탄성부재 46 : 바아스토퍼
231 : 손잡이수용부 411 : 삽입공
423 : 해제샤프트 424 : 해제손잡이
431 : 바아가이드 432 : 노브가이드
441 : 락킹걸림턱

Claims (7)

  1. 엣지형조명등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판면을 따라 광을 조사하는 LED유니트와, 상기 도광판과 상기 LED유니트를 지지하는 조명프레임을 갖는 조명유니트;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회동단과 상기 브래킷을 연결하여 상기 천장에 직교한 선회평면을 따라 상기 조명프레임이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상기 조명프레임이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개방된 해제위치 간을 회동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연결부;
    상기 조명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바아, 상기 락킹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브래킷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락킹바아가이드,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걸리는 락킹걸림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 각각은,
    상기 락킹바아에 상기 락킹위치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락킹탄성부재; 및
    상기 락킹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락킹바아를 저지하는 바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락킹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내연부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조작연결부; 및
    상기 조작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에 속하도록 하는 상기 조명프레임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슬라이딩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아가이드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어 상기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바아가이드; 및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연부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걸림부는 상기 도광판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아는 삽입공을 갖고,
    상기 조명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해제샤프트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슬롯과 두께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해제손잡이를 수용하는 손잡이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락킹바의 삽입공에 슬라이딩 및 가능하게 삽입되는 해제샤프트와, 상기 해제샤프트 타측의 자유단에 상기 해제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명프레임 외연부의 판면에 대하여 평행하며 돌출되지 않은 설치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에서 회동되어 상기 조명프레임 외연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딩가능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해제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샤프트는 상기 락킹바아의 삽입공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샤프트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조명등.
KR1020190038052A 2019-04-01 2019-04-01 엣지형조명등 KR10220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52A KR102209521B1 (ko) 2019-04-01 2019-04-01 엣지형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52A KR102209521B1 (ko) 2019-04-01 2019-04-01 엣지형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359A true KR20200116359A (ko) 2020-10-12
KR102209521B1 KR102209521B1 (ko) 2021-02-01

Family

ID=7288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52A KR102209521B1 (ko) 2019-04-01 2019-04-01 엣지형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15B1 (ko) * 2021-05-18 2021-11-22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내진성능을 갖춘 설치가 편리한 엣지형 led 조명등
CN115247773A (zh) * 2022-08-15 2022-10-28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心脏外科用手术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707A (ko) * 2004-09-30 2005-01-12 선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목적 렌즈교체형 조명기구
KR20130117533A (ko) * 2012-04-18 2013-10-28 주식회사 두리계전 전원공급장치의 착탈이 용이한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
CN103672629A (zh) * 2012-09-14 2014-03-26 三洋科技中心(深圳)有限公司 吸顶灯及其安装方法
KR101942327B1 (ko) * 2018-03-09 2019-01-25 박병기 조명등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707A (ko) * 2004-09-30 2005-01-12 선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목적 렌즈교체형 조명기구
KR20130117533A (ko) * 2012-04-18 2013-10-28 주식회사 두리계전 전원공급장치의 착탈이 용이한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
CN103672629A (zh) * 2012-09-14 2014-03-26 三洋科技中心(深圳)有限公司 吸顶灯及其安装方法
KR101942327B1 (ko) * 2018-03-09 2019-01-25 박병기 조명등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15B1 (ko) * 2021-05-18 2021-11-22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내진성능을 갖춘 설치가 편리한 엣지형 led 조명등
CN115247773A (zh) * 2022-08-15 2022-10-28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心脏外科用手术灯
CN115247773B (zh) * 2022-08-15 2024-04-19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心脏外科用手术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521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521B1 (ko) 엣지형조명등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JP2005287838A (ja) パチンコ機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20090091480A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153977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200132036A (ko) 엣지형 조명등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20100064656A (ko) 전자레인지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JP2008261131A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KR101889534B1 (ko) 커튼봉 연결구조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523293B1 (ko) 창호용 크리센트
JPH11101044A (ja) 出没ボルトの同期後退及び自動係脱機構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JP5951577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188542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JP2015166517A (ja) 引戸用施解錠装置
KR200370376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24022518A (ja) レバーハンドル操作器具及び扉開装置
JP2020101032A (ja) 建具
KR20210109302A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2003278423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