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76Y1 -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76Y1
KR200370376Y1 KR20-2004-0026149U KR20040026149U KR200370376Y1 KR 200370376 Y1 KR200370376 Y1 KR 200370376Y1 KR 20040026149 U KR20040026149 U KR 20040026149U KR 200370376 Y1 KR200370376 Y1 KR 200370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tch
pusher
door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20-2004-0026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실과 바란다 사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크가 걸려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스트라이커의 고정위치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후크의 걸림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지속시킴과 동시에 문짝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더라도 문틀로부터 문짝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문짝의 분리로 인한 외부의 침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평 절개홈(13)과 연통된 공간부(14) 및 수용공간(15)과 연통된 수직 절개홈(16) 그리고 안착면(12a)이 구비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하며 턱부분(17a) 및 목부분(17b)이 구비된 푸셔(17)와, 상기 하우징 및 푸셔사이에 설치되어 푸셔를 수평 절개홈 측으로 편의하는 제1탄성부재(18)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후크(22)가 형성되고 평행한 부위에는 푸셔의 목부분이 끼워지는 절개부(23a)를 갖는 돌출부(23)가 형성됨과 동시에 래치턱(25)이 구비되어 푸셔(17)와 직교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2)에 고정된 가이드핀(26)에 수직 장공(27)이 끼워지게 설치된 작동편(19)과, 상기 하우징 및 작동편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편을 상측으로 편의하는 제2탄성부재(20)와, 상기 래치턱의 하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작동편을 하강시켜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래치(24)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체결부재(30)에 의해 폐쇄하는 커버(29)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잠금장치{omitted}
본 고안은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거실과 바란다 사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의 미닫이문에는 문의 중첩부에 걸림고리와 걸림편을 각각 고정하여 문이 닫힌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어 잠금장치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 및 문의 조립정도에 따라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거나, 걸 수 없게 된다.
즉,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가 부정확하거나, 문의 조립정도가 불량할 경우에는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음은 물론 사용중 부주의로 걸림고리와 걸림편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 파손될 경우에도 잠금장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손잡이를 문에 부착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와 잠금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의 내부에 축(2)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4)을 통해 출몰하는 후크(5)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편(6)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과 회동편사이에는 손잡이(3)의 회전력을 회동편(6)에 전달하는 링크(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역할을 하는 링크(8)의 일단은 축(2)에 핀(9)으로 결합되어 있고 링크(8)의 다른 일단에 고정된 가동핀(10)은 회동편(6)에 형성된 장공(6a)에 끼워져 있는데, 상기 가동핀(10)은 하우징(1)에 곡선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홈(1a)에도 동시에 끼워져 축(2)의 회동시 회동편(6)과 함께 가이드홈(1a)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와 같은 상태는 회동편(6)에 형성된 후크(5)가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어 록킹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문을 닫기 위해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문을 밀면 문이 닫히게 되는데,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를 문의 닫힘방향인 도 1a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된 축(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축에 핀(9)으로 결합된 링크(8)도 함께 회동될려고 하지만, 상기 링크의다른 일단은 링크의 다른 일단에 고정된 가동핀(10)이 회동편(6)의 장공(6a)과 하우징(1)에 형성된 가이드홈(1a)내에 동시에 끼워져 있으므로 회동편(6)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회동편(6)의 후크(5)가 도 1b와 같이 구멍(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스트라이커(11)내에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문이 잠겨진 상태에서 문을 열기 위해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밀면 축(2)의 회전으로 가이드홈(1a)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가동핀(10)이 가이드홈(1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회동편(6)을 회동시켜 도 1a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문의 개방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후크가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문틀의 정 위치보다 상측에 고정하면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걸리지 못하여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스트라이커가 정 위치보다 하측에 고정하면 걸림상태가 불안정하여 완벽한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스트라이커를 항상 정 위치에 고정하여야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의 고정작업이 번거롭게 되므로 시공성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부주의로 후크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문을 닫을 경우에는 문을 닫는 과정에서 후크가 문틀에 부딪히게 되므로 후크또는 스트라이커가 파손되었다.
셋째, 링크를 이용하여 회동편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문짝 프레임의 폭(b)이 커야 만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문짝 프레임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없었다.
넷째, 링크에 고정된 가동핀을 회동편의 장공 및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조립하는 작업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후크가 걸려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스트라이커의 고정위치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후크의 걸림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문짝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더라도 문틀로부터 문짝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문짝의 분리로 인한 외부의 침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수평 절개홈과 연통된 공간부 및 수용공간과 연통된 수직 절개홈 그리고 안착면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하며 턱부분 및 목부분이 구비된 푸셔와, 상기 하우징 및 푸셔사이에 설치되어 푸셔를 수평 절개홈 측으로 편의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후크가 형성되고 평행한 부위에는 푸셔의 목부분이 끼워지는 절개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래치턱이 구비되어 푸셔와 직교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핀에 수직 장공이 끼워지게 설치된 작동편과, 상기 하우징 및 작동편 사이에 설치되어작동편을 상측으로 편의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래치턱의 하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작동편을 하강시켜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체결부재에 의해 폐쇄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1a은 미닫이문이 개방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1b는 미닫이문이 닫히고, 잠겨진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결합상태도로서,
도 3a는 미닫이문이 개방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3b는 미닫이문이 닫히고, 잠겨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13: 수평 절개홈
14 : 공간부 15 : 수용공간
16 : 수직 절개홈 17 : 푸셔
17a : 턱부분 l7b : 목부분
19 : 작동편 21 : 스트라이커
22 : 후크 23 : 돌출부
23a : 절개부 24 : 래치
25 : 래치턱 25a : 걸림홈
28 : 키이 32 : 놉
36 : 링크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결합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하우징(12)의 상부에 수평 절개홈(13)과 연통된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절개홈(13)의 직교된 지점에는 수용공간(15)과 연통된 수직 절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4)에는 턱부분(17a) 및 목부분(17b)을 갖는 푸셔(17)가 제1탄성부재(18)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수평 절개홈(13)을 통해 출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직 절개홈(16)상에는 푸셔(17)의 누름 동작에 따라 승, 하강하는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작동편(19)의 수평면(19a)이 하우징(12)의 하부에 위치된 안착면(12a)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20)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승, 하강하는 작동편(19)에는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편(19)이 상사점에 위치시 스트라이커(21)에 걸리는 후크(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와 소정 간격이 위치된 지점에는 작동편(19)이 하사점에 위치될 경우, 푸셔(17)의 턱부분(17a)에 걸려 지지되고 상사점에 위치될 경우에는 목부분(17b)에 끼워지는 절개부(23a)를 갖는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으로는 래치(24)가 걸리는 래치턱(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래치턱(25)에는 작동편(19)이 상사점에 위치되어 미닫이문(31)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래치(24)가 걸리는 걸림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미닫이문(31)의 록킹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작동편(19)을 하방으로 누르더라도 래치(24)가 걸림홈(25a)에 걸려있어 회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작동편(19)이 접속되는 하우징(12)에 가이드핀(26)이 고정되어 있고 작동편(19)에는 가이드핀이 끼워지는 수직 장공(27)이 형성되어 있어 작동편(19)의 승, 하강운동시 작동편(19)이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작동편(19)이 더욱 안정적으로 승, 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작동편(19)의 하단에 가이드돌기(19b)를 형성하고 하우징(12)에는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2b)을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푸셔(17)의 걸림상태 해제 및 래치(24)의 걸림상태 해제에 따라 작동편(19)의 승, 하강 운동시 가이드핀(26) 및 수직 장공(27) 그리고 가이드돌기(19b) 및 가이드홈(12b)에 의해 작동편(19)이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래치(24)에 키이홈(24a)이 형성되어있어 키이(28)에 의해 래치(24)가 회동함에 따라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키이홈(24a)은 필요에 따라 "-" 또는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우징(12)의 일측에 덮개(29)를 덮고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30)로 체결하므로서, 완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미닫이문(31)의 상, 하부에 본 고안을 설치함과 동시에 2개의 래치(24)를 동시에 회동시켜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구조는 미닫이문(31)의 중간에 놉(32)을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놉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33)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린 종동기어(34)가 회전하면서 랙판(35)을 승, 하강시켜 상기 랙판의 양단에 걸려 있는 링크(36)를 동시에 승,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래치(24)의 일단에 도 5와 같이 피니언(24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36)에는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36a)이 형성되어 있어 놉(32)의 회전에 따라 미닫이문의 상, 하부에 위치된 2개의 래치(24)가 동시에 회동하여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이(28)에 의해 미닫이문(31)의 록킹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미닫이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래치(24)가 도 3a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동편(19)은 제2탄성부재(20)를 압축시키면서 하사점에 위치되어 작동편(19)의 수평면(19a)이 하우징(12)의 안착면(12a)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간부(14)에 위치된 푸셔(17)는 제1탄성부재(18)에 의해 전진하여 선단부가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동편(19)에 형성된 돌출부(23)의 상면이 푸셔(17)의 턱부분(17a)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강제적으로 작동편(19)을 상승시키더라도 돌출부(23)의 상면이 푸셔(17)의 턱부분(17a)에 얹혀져 있어 작동편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므로 미닫이문을 닫는 과정에서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 후크(22)가 스트라이커(21)에 부딪힐 우려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푸셔(17)가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되고, 작동편(19)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미닫이문(31)을 닫으면 미닫이문이 거의 닫히는 시점에서 문설주(37)에 고정되어 있는 스트라이커(21)에 의해 푸셔(17)가 눌리게 되므로 상기 푸셔가 제1탄성부재(18)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12)의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 푸셔(17)가 하우징(12)의 내부로 수용되면 푸셔(17)의 턱부분(17a)이 공간부(14)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작동편(19)에 형성된 돌출부(23)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편(19)은 제2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돌출부(23)가 수용공간(15) 내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도 3b와 같이 작동편(19)의 후크(22)가 스트라이커(21)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돌출부(23)에 절개부(23a)가 형성되어 있고 푸셔(17)에는 절개부가 끼워지는 목부분(17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20)에 의해 작동편(19)이 상사점까지 상승하면 래치턱(25)의 하부에 래치(24)가 위치되어 있어 상기 래치는 작동편(19)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강제로 일정각도 회동하여 작동편(19)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래치(24)의 끝부분이 래치턱(25)에 형성된 걸림홈(25a)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편(19)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작동편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더라도 래치(24)의 끝부분이 래치턱(25)의 걸림홈(25a)에 걸려 있어 작동편(19)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실내에 위치하는 키이구멍(38)을 통해 키이(28)를 꽂아 래치(24)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를 압축시키면서 강제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탄성부재(18)를 압축시키면서 공간부(14)에 수용되어 있던 푸셔(17)가 제1탄성부재(18)의 복원력으로 수평 절개홈(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푸셔(17)의 턱부분(17a)이 작동편(19)에 형성된 돌출부(23)의 상면을 지지하여 미닫이문(31)의 언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래치(24)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작동편(19)이 상승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미닫이문의 언록킹상태를 유지하면 사용자가 미닫이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예시한 도 4 및 도 5와 같은 경우에는 미닫이문의 닫힘에 따른 록킹상태는 동일하게 이루어지지만, 미닫이문을 개방하기 위한 언록킹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미닫이문(31)을 열기 위해 실내에 위치된 놉(32)을회전시키면 상기 놉의 회전에 따라 링크(36)가 동시에 승, 하강하면서 래치(24)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닫이문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미닫이문이 닫히는 시점에서 스트라이커에 의해 푸셔가 눌리면서 작동편이 상승하므로서, 작동편의 후크가 스트라이커의 내측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스트라이커의 고정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후크가 스트라이커의 저면에서 걸려 있어 외부의 침입자가 미닫이문을 문틀로부터 강제로 제거하기 위해 미닫이문을 상부로 들어올리지 못하게 된다.
셋째, 미닫이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작동편이 항상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을 닫는 과정에서 작동편의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부딪힐 염려가 없게 된다.
넷째, 하우징의 내부에 푸셔, 작동편을 각각 제1,2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함과 동시에 래치를 위치시키고 커버로 폐쇄하기만 하면 조립작업이 완료되므로 부품의 조립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다섯째, 각 부품이 평면적으로 위치되므로 폭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문틀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수평 절개홈과 연통된 공간부 및 수용공간과 연통된 수직 절개홈 그리고 안착면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하며 턱부분 및 목부분이 구비된 푸셔와, 상기 하우징 및 푸셔사이에 설치되어 푸셔를 수평 절개홈 측으로 편의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후크가 형성되고 평행한 부위에는 푸셔의 목부분이 끼워지는 절개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래치턱이 구비되어 푸셔와 직교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핀에 수직 장공이 끼워지게 설치된 작동편과, 상기 하우징 및 작동편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편을 상측으로 편의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래치턱의 하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작동편을 하강시켜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체결부재에 의해 폐쇄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에 키이홈을 형성하여 키이에 의해 래치가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외주면에 피니언을 형성하고 놉의 회전에 따라 승, 하강하는 링크에는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을 형성하여 놉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작동편에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턱에 미닫이문의 록킹상태에서 래치의 끝부분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004-0026149U 2004-09-10 2004-09-10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70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49U KR200370376Y1 (ko) 2004-09-10 2004-09-10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49U KR200370376Y1 (ko) 2004-09-10 2004-09-10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359A Division KR100633005B1 (ko) 2004-09-09 2004-09-09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76Y1 true KR200370376Y1 (ko) 2004-12-13

Family

ID=4935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149U KR200370376Y1 (ko) 2004-09-10 2004-09-10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241B2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78968Y1 (ko)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370376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0390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US20080256992A1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990513B1 (ko) 도어락 모티스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82419B1 (ko) 상, 하 잠금부를 갖는 미닫이문의 잠금부 동시 개폐장치
KR200456819Y1 (ko) 창호용 개폐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