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656A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656A
KR20100064656A KR1020080123184A KR20080123184A KR20100064656A KR 20100064656 A KR20100064656 A KR 20100064656A KR 1020080123184 A KR1020080123184 A KR 1020080123184A KR 20080123184 A KR20080123184 A KR 20080123184A KR 20100064656 A KR20100064656 A KR 2010006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pair
sliders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181B1 (ko
Inventor
김공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81B1/ko
Priority to US12/461,958 priority patent/US8729439B2/en
Priority to EP09169790.4A priority patent/EP2211592B1/en
Publication of KR2010006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양 방향 도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의 동시 열림을 방지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도어를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절환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절환장치는 도어가 양 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서 회동하는 한 쌍의 홀더와, 한 쌍의 홀더와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도어가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되면 한 쌍의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제한하여 도어가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 방향 도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의 동시 열림을 방지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음식물에 조사함으로써 음식물에 함유된 물분자의 병진 운동에 따른 마찰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통상 전자레인지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와,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한다. 이때 도어가 본체의 좌측에 힌지 결합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개폐하는 방식을 좌 개폐 방식이라 하고, 도어가 본체의 우측에 힌지 결합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개폐하는 방식을 우 개폐 방식이라 한다. 사용자는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레인지가 설치되는 장소가 변경됨에 따라서 도어의 개폐 방식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좌개폐 방식의 전자레인지가 우개폐 방식으로 개폐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양 방향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레인지에서는 일 방향이 열릴 경우에 타 방향은 잠김으로써 도어의 이탈을 방지해주어야 도어가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양 방향 도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의 동시 열림을 방지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절환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절환장치는 상기 도어가 양 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서 회동하는 한 쌍의 홀더와, 상기 한 쌍의 홀더와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도어가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가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버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일정영역에 끼워져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또한, 레버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홈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 마련된 한 쌍의 돌출턱을 통하여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걸림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영역은 상기 도어가 좌측으로 개방되면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 는 좌측걸림영역과, 상기 도어가 우측으로 개방되면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우측걸림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부가 상기 좌측걸림영역 또는 상기 우측걸림영역에 걸리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돌출턱은 상기 걸림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축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삽입홈과, 상기 제1 및 제2축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에 출입함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축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및 제2홀더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와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축부재 중 어느 하나에서 빠지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를 좌측에서 고정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를 우측에서 고정하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슬라이더에는 상기 제1레버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과, 상기 제2레버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레버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수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수용홈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1상측수용홈과, 상기 제2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1하측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2상측수용홈과, 상기 제2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2하측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상측수용홈에는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제1축부재에서 빠지면 상기 제1 및 제2레버가 걸릴 수 있도록 좌측걸림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하측수용홈에는 상기 제2홀더가 상기 제2축부재에서 빠지면 상기 제1 및 제2레버가 걸릴 수 있도록 우측걸림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수용홈에는 상기 좌측걸림영역과 우측걸림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돌출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돌출턱은 상기 제1상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1상측돌출턱과, 상기 제1하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1하측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돌출턱은 상기 제2상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2상측돌출턱과, 상기 제2하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2하측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를 구비한다. 도어(30)의 좌우 측면에는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31)가 각각 설치된다. 도어(30)의 우측에는 전자레인지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작버튼(41)이 마련된 컨트롤패널(40)이 설치된다. 도어(30)의 상하에는 도어(30)의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개폐를 구현하기 위한 절환장치(20)(change device)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20)는 도어(30)의 상하에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20)는 도어(3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00)와, 도어(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홀더(200)와, 한 쌍의 홀더(200) 사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재(100)에는 본체(10)에 마련된 한 쌍의 축부재(11)에 대응하는 한 쌍의 삽입홈(110)이 마련된다. 한 쌍의 삽입홈(110)은 한 쌍의 축부재(11)를 수용하도록 입구부(111)가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홀더(200)는 한 쌍의 축부재(11)가 한 쌍의 삽입홈(110)에 출입함에 따라서 연동된다. 한 쌍의 홀더(200)는 불완전나사(미도시)에 의해서 도어(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축부재(11)가 한 쌍의 삽입홈(110)에 인입/인출되는 동안 한 쌍의 축부재(11)는 연동홈(210)에 의해서 한 쌍의 홀더(200)를 회동시킨다. 한 쌍의 홀더(200) 가운데 좌측에 마련된 축부재(11L)에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홀더를 제1홀더(200L)라 하며, 우측에 마련된 축부재(11R)에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홀더를 제2홀더(200R)라 한다.
제1홀더(200L)와 제2홀더(200R) 사이에는 제1 및 제2홀더(200)가 회동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서 제1 및 제2홀더(200)를 구속하거나 및 구속 해제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더(300)가 마련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300)는 제1 및 제2홀더(200) 사이에서 도어(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300)는 상하로 적층되는 제1슬라이더(300L)와 제2슬라이더(300R)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슬라이더(300)는 각각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제1슬라이더(300L)는 제2슬라이더(300R)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슬라이더(300R)는 제1슬라이더(300L)와 도어(30) 사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 및 제2슬라이더(300)에 마련된 가이드홀(310)은 베이스부재(1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0)에 삽입되어 제1슬라이더(300L)와 제2슬라이더(300R)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슬라이더(300)는 각각 그 일단에 측면부(311)를 구비하고, 그 타단에 회동제한부(321)를 구비한다. 제1슬라이더(300L)에 마련되는 측면부(311)는 제1홀더(200L)에 밀착하고 제2슬라이더(300R)에 마련되는 측면부(311)는 제2홀더(200R)에 밀착한다. 이처럼 제1 및 제2슬라이더(300) 각각을 제1 및 제2홀더(200) 각각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 스프링(600)가 마련된다. 슬라이더 스프링(600)의 일단은 제1슬라이더(300L)에 연결되고, 슬라이더 스프링(600)의 타단은 제2슬라이더(300R)에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슬라이더 스프링(600)는 제1슬라이더(300L)와 제2슬라이더(300R)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
이처럼, 슬라이더 스프링(600)에 의해서 제1 및 제2슬라이더(300)는 제1 및 제2홀더(200)에 밀착되므로, 제1 및 제2홀더(200)가 회동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홀더(200)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슬라이더(300)는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슬라이더(300)가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서 제1 및 제2홀더(20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홀더(200L)와 같이 연동홈(210)의 입구부(211)가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제1홀더(200L)가 배치되는 것을 제1대기위치라 한다. 제1홀더(200L)가 제1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연동홈(210)의 입구부(211)와 삽입홈(110)의 입구부(111)는 모두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축부재(11L)는 연동홈(210)과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연동홈(210)의 입구부(211)가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제1홀더(200L)를 제1대기위치로 유지해주는 비틀림 스프링(220)이 마련된다.
비틀림 스프링(220)는 그 일단이 제1홀더(200L)의 저면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도어(30)의 상면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되면 비틀림 스프링(220)는 연동홈(210)의 입구부(211)가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제1홀더(200L)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2홀더(200R)와 같이 연동홈(210)의 입구부(211)가 도어(30)의 측면을 향하도록 제2홀더(200R)가 배치되는 것을 제2대기위치라고 한다. 제2홀더(200R)가 제2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연동홈(210)의 입구부(211)는 도어(30)의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삽입홈(110)의 입구부(111)는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비틀림 스프링(220)은 연동홈(210)의 입구부(211)가 도어(30)의 측면을 향하도록 제2홀더(200R)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1홀더(200L)는 회동함에 따라서 제1대기위치와 제2대기위치 사이를 교대로 왕복할 수 있으며, 제2홀더(200R) 또한 회동함에 따라서 제1대기위치와 제2대기위치 사이를 교대로 왕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슬라이더(300)에 마련된 관통홀(320)은 한 쌍의 레버(400)가 힌지핀(700)을 통하여 도어(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레버(400)는 도어(30)가 좌측 방향으로 개방될 때 제1슬라이더(300L)의 일정공간에 끼워지는 제1레버(410)와, 도어(30)가 우측 방향으로 개방될 때 제2슬라이더(300R)의 일정공간에 끼워지는 제2레버(420)를 포함한다. 제1레버(410)와 제2레버(420)는 도어(30) 상단의 양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제1레버(410)는 도어(30)의 전면을 기준으로 도어(30)의 좌측 상단과 베이스부재(100) 사이에 마련된다. 제1레버(410)는 힌지핀(700)에 의하여 그 회동축(412)이 도어(30)에 결합된다. 제1레버(410)의 일단에는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폐쇄함에 따라서 본체(10)의 일면과 접하여 회동력을 전달받는 절곡부(413)가 형성된다. 제1레버(410)의 타단에는 제1수용홈(5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부(414)가 형성된다. 또한, 제1레버(410)의 절곡부(413)에는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함에 따라서 제1레버(41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411)이 결합된다.
제2레버(420)는 도어(30)의 우측 상단과 베이스부재(100) 사이에 마련된다. 제2레버(420)는 제1레버(410)와 마찬가지로 힌지핀(700)에 의하여 그 회동축(422)이 도어(30)에 결합된다. 제2레버(420)의 일단에는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폐쇄함에 따라서 본체(10)의 일면과 접하여 회동력을 전달받는 절곡부(4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레버(420)의 타단에는 제2수용홈(5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부(424)가 형성된다. 또한, 제2레버(420)의 절곡부(423)에는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함에 따라서 제2레버(42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421)이 결합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300)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300) 각각의 좌측에 형성되어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510)과, 한 쌍의 슬라이더(300) 각각의 우측에 형성되어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520)이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130은 한 쌍의 슬라이더(300)에 마련된 관통홀(32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며, 미설명부호 140은 걸림부(414,424)가 수용홈(510,520)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미설명부호 150은 탄성스프링(150)을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a는 제1슬라이더에 형성된 제1상측수용홈과 제1하측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제2슬라이더에 형성된 제2상측수용홈과 제2하측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상하로 적층되어 형성된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홈(510)은 상측에 놓여진 제1슬라 이더(300L)에 형성되는 제1상측수용홈(510T)과, 하측에 놓여진 제2슬라이더(300R)에 형성되는 제1하측수용홈(510B)이 상하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1상측수용홈(510T)과 제1하측수용홈(510B)에는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개폐함에 따라서 제1 및 제2슬라이더(30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1돌출턱(511)이 형성된다. 제1돌출턱(511)은 직선부와 경사부를 가진 삼각형상이 겹쳐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돌출턱(511)은 경사부를 통하여 제1수용홈(510)에서 제1레버(410)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영역(R)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돌출턱(511)은 직선부를 통하여 제1수용홈(510)에서 제1레버(410)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영역(H1,H2)을 형성한다. 제1돌출턱(511) 가운데 제1상측수용홈(510T)에 형성된 것을 제1상측돌출턱(511T)이라 하며 제1하측수용홈(510B)에 형성된 것을 제1하측돌출턱(511B)이라 한다.
제1상측수용홈(510T)은 제1상측돌출턱(511T)을 기준으로 제1레버(410)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영역(R)과, 도어(30)를 좌측 방향으로 개방함에 따라서 제1레버(410)가 걸리도록 하는 좌측걸림영역(H1)으로 구분된다.
제1하측수용홈(510B)은 제1하측돌출턱(511B)을 기준으로 제1레버(410)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영역(R)과, 도어(30)를 우측 방향 개방함에 따라서 제1레버(410)가 걸리도록 하는 우측걸림영역(H2)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하면 제1레버(410)는 해제영역(R)에서 좌측걸림영역(H1) 또는 해제영역(R)에서 우측걸림영 역(H2)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제2수용홈(520)은 상측에 놓여진 제1슬라이더(300L)에 형성되는 제2상측수용홈(520T)과, 하측에 놓여진 제2슬라이더(300R)에 형성되는 제2하측수용홈(520B)이 상하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2상측수용홈(520T)과 제2하측수용홈(520B)에는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개폐함에 따라서 제1 및 제2슬라이더(30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2돌출턱(521)이 형성된다. 제2돌출턱(521)은 직선부와 경사부를 가진 삼각형상이 겹쳐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돌출턱(521)은 제2수용홈(520)의 내부에서 경사부를 통하여 제2레버(420)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영역(R)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돌출턱(521)은 직선부를 통하여 제2레버(420)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영역(H1,H2)을 형성한다. 제2돌출턱(521) 가운데 제2상측수용홈(520T)에 형성된 것을 제2상측돌출턱(521T)이라 하며 제2하측수용홈(520B)에 형성된 것을 제2하측돌출턱(521B)이라 한다.
제2상측수용홈(520T)은 제2상측돌출턱(521T)을 기준으로 제2레버(420)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영역(R)과, 도어(30)를 좌측 방향으로 개방함에 따라서 제2레버(420)가 걸리도록 하는 좌측걸림영역(H1)으로 구분된다.
제2하측수용홈(520B)은 제2하측돌출턱(521B)을 기준으로 제2레버(420)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영역(R)과, 도어(30)를 우측 방향 개방함에 따라서 제2레버(420)가 걸리도록 하는 우측걸림영역(H2)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도어(30)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하면 제2레 버(420)는 해제영역(R)에서 좌측걸림영역(H1) 또는 해제영역(R)에서 우측걸림영역(H2)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홀더(200L)와 제2홀더(200R)는 제2대기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때, 제1레버(410)는 절곡부(413)에 의하여 걸림부(414)가 제1수용홈(510)의 해제영역(R)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제2레버(420)도 절곡부(423)에 의하여 걸림부(424)가 제2수용홈(520)의 해제영역(R)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 스프링(600)에 의해서 제1홀더(200L)에는 제1슬라이더(300L)의 측면부(311)가 밀착하고 제2홀더(200R)에도 제2슬라이더(300R)의 측면부(311)가 밀착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는 도어(30)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의 좌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도어(30)에서 제1홀더(200L)는 제1축부재(11L)와 연동하여 회동한 후 비틀림 스프링(220)에 의해서 제1대기위치에서 고정되고 제2홀더(200R)는 제2대기위치에서 고 정된다. 제1홀더(200L)가 제2대기위치에서 제1대기위치로 이동하면서 회동하는 동안 제1홀더(200L)는 제1슬라이더(300L)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슬라이더(300L)의 이동에 따라서 제1상측수용홈(510T)과 제2상측수용홈(520T)의 좌측걸림영역(H1)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레버(410)는 탄성스프링(411)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축(412)을 중심으로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가 회동하게 된다. 회동되는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1상측수용홈(510T)의 좌측걸림영역(H1)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는 좌측걸림영역(H1)에 걸린 상태에서 제1하측걸림턱(511B)과 밀착된다. 즉, 도어(30)를 좌측으로 개방함에 따라서 제1상측걸림턱(511T)이 제1하측걸림턱(511B)과 서로 경사면이 엇갈리도록 이동되고,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는 좌측걸림영역(H1)에 걸려 있는 상태로 제1상측걸림턱(511T)과 제1하측걸림턱(511B)에 밀착된다.
동시에, 제2레버(420)도 탄성스프링(421)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축(422)을 중심으로 걸림부(424)가 회동하게 된다. 회동되는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2상측수용홈(520T)의 좌측걸림영역(H1)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는 좌측걸림영역(H1)에 걸린 상태에서 제2상측걸림턱(521T)과 제2하측걸림턱(521B)에 밀착된다.
즉, 도어(30)가 좌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홀더(200L)를 제2대기위치로 이동시키더라도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가 좌측걸림영역(H1)에 걸리게 되고,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도 좌측걸림영역(H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30)를 우측으로 개방시키고자 하더라도 제2슬라이더(300R)가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오, 제2홀더(200R)가 제1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양 방향 개폐식 도어(30)의 동시 열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도어(30)에서 제1홀더(200L)는 제1축부재(11L)와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제2대기위치에서 고정되고, 제2홀더(200R)는 제2축부재(11R)와 연동하여 회동한 후 비틀림 스프링(220)에 의해서 제1대기위치에서 고정된다. 제2홀더(200R)가 제2대기위치에서 제1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2홀더(200R)는 제2슬라이더(300R)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슬라이더(300R)의 이동에 따라서 제1하측수용홈(510B)과 제2하측수용홈(520B)의 우측걸림영역(H2)도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레버(420)는 탄성스프링(421)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축(422)을 중심으로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가 회동하게 된다. 회동되는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2하측수용홈(520B)의 우측걸림영역(H2)에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는 우측걸림영역(H2)에 걸린 상태에서 제1슬라이더(300L)의 제2상측걸림턱(521T)과 밀착된다. 즉, 도어(30)의 우측 개방에 따라서 제2하측걸림턱(521B)이 제2상측걸림턱(521T)과 서로 경사면이 엇갈리도록 이동되고,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는 우측걸림영역(H2)에 걸려 있는 상태로 제2상측걸림턱(521T)과 제2하측걸림턱(521B)에 밀착된다.
동시에, 제1레버(410)도 탄성스프링(411)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축(412)을 중심으로 걸림부(414)가 회동하게 된다. 회동되는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1하측수용홈(510B)의 우측걸림영역(H2)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는 우측걸림영역(H2)에 걸린 상태에서 제1상측걸림턱(511T)과 제1하측걸림턱(511B)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어(30)가 우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홀더(200R)를 제2대기위치로 이동시키더라도 제2레버(420)의 걸림부(424)가 제2상측걸림턱(521T)과 제2하측걸림턱(521B)에 걸리게 되고, 제1레버(410)의 걸림부(414)가 제1상측걸림턱(511T)과 제1하측걸림턱(511B)에 걸리게 되므로, 제1슬라이더(300L)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30)를 좌측으로 개방시키고자 하더라도 제2슬라이더(300L)가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제1홀더(200L)가 제1대기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양 방향 개폐식 도어의 동시 열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슬라이더에 형성된 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의 좌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절환장치
30... 도어 40... 컨트롤패널
100... 베이스부재 200... 한 쌍의 홀더
300... 한 쌍의 슬라이더 400... 레버

Claims (16)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절환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절환장치는 상기 도어가 양 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서 회동하는 한 쌍의 홀더와, 상기 한 쌍의 홀더와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도어가 어느 일 방향으로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가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일정영역에 끼워져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에 마련된 한 쌍의 돌출턱을 통하여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걸림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영역은 상기 도어가 좌측으로 개방되면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좌측걸림영역과, 상기 도어가 우측으로 개방되면 상기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우측걸림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좌측걸림영역 또는 상기 우측걸림영역에 걸리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돌출턱은 상기 걸림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8.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축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삽입홈과,
    상기 제1 및 제2축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에 출입함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축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및 제2홀더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와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축부재 중 어느 하나에서 빠지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를 좌측에서 고정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를 우측에서 고정하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에는 상기 제1레버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과, 상기 제2레버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레버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수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1상측수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1하측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2상측수용홈과, 상기 제2슬라이더에 형성되는 제2하측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상측수용홈에는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제1축부재에서 빠지면 상기 제1 및 제2레버가 걸릴 수 있도록 좌측걸림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하측수용홈에는 상기 제2홀더가 상기 제2축부재에서 빠지면 상기 제1 및 제2레버가 걸릴 수 있도록 우측걸림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용홈에는 상기 좌측걸림영역과 우측걸림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돌출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턱은 상기 제1상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1상측돌출턱과, 상기 제1하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1하측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턱은 상기 제2상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2상측돌출턱과, 상기 제2하측수용홈에 형성되는 제2하측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20080123184A 2008-12-05 2008-12-05 전자레인지 KR1014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184A KR101462181B1 (ko) 2008-12-05 2008-12-05 전자레인지
US12/461,958 US8729439B2 (en) 2008-12-05 2009-08-28 Microwave oven with door change device
EP09169790.4A EP2211592B1 (en) 2008-12-05 2009-09-09 Microwave oven with door chan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184A KR101462181B1 (ko) 2008-12-05 2008-12-05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656A true KR20100064656A (ko) 2010-06-15
KR101462181B1 KR101462181B1 (ko) 2014-11-21

Family

ID=4204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184A KR101462181B1 (ko) 2008-12-05 2008-12-05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29439B2 (ko)
EP (1) EP2211592B1 (ko)
KR (1) KR101462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927B (zh) * 2016-05-31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左右开门机构及冰箱
US10731287B2 (en) 2017-11-16 2020-08-04 Whirlpool Corporation Bi-directional door for an appliance
US10829953B2 (en) * 2017-12-12 2020-11-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amped closure assembly for a microwave ove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9419A (en) * 1973-08-29 1975-06-17 Admiral Corp Two-way opening door for household refrigerator
US3863045A (en) * 1973-12-13 1975-01-28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 interlock switch actuator
US4053731A (en) * 1974-06-14 1977-10-11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energy oven seal
JPS5275570U (ko) * 1975-12-01 1977-06-06
US4503582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Double-acting refrigerator door hinge and sliding lock-bolt
US4495673A (en) * 1982-09-29 1985-01-29 Whirlpool Corporation Double-acting refrigerator door hinge with dual latch members
US5064255A (en) * 1988-05-10 1991-11-12 Sharp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US4947583A (en) * 1988-05-10 1990-08-14 Sharp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US5222792A (en) * 1988-05-10 1993-06-29 Sharp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KR910008691Y1 (ko) * 1989-06-20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좌, 우 자유개폐식 도어
KR950010248B1 (ko) 1992-06-26 1995-09-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잡음 주파수 변환회로
JP2880363B2 (ja) * 1993-01-20 1999-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扉の開閉装置
KR100273718B1 (ko) 1993-06-11 2000-12-15 허일섭 신규한 피브린 용해효소 및 그를 포함하는 혈전증 치료제
JPH08504910A (ja) * 1993-10-18 1996-05-28 パク、ビュン・キ 両側開放型のドア開閉装置
KR0152116B1 (ko) * 1994-04-29 1998-11-02 김광호 냉장고의 도아
KR960001395A (ko) * 1994-06-16 1996-01-25 박병기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
JP3479410B2 (ja) * 1996-05-14 2003-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扉開閉機構
US5829197A (en) * 1995-12-02 1998-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ually actuable apparatus enabling a door to be selectively hinged at either side
US6000771A (en) * 1997-09-26 1999-12-14 Thetford Corporation RV refrigerator with swinging closure door capable of being opene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KR19990034523A (ko) 1997-10-30 1999-05-15 전주범 좌우개폐가 가능한 냉장고의 도어 장치
TW536613B (en) * 1999-10-25 2003-06-11 Sharp Kk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85996B1 (ko) * 2005-03-29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US7516515B2 (en) * 2006-04-13 2009-04-14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dual swing door
KR101424554B1 (ko) * 2007-01-23 2014-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484945B1 (ko) * 2008-12-04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81B1 (ko) 2014-11-21
US20100140261A1 (en) 2010-06-10
EP2211592A2 (en) 2010-07-28
EP2211592B1 (en) 2018-10-31
US8729439B2 (en) 2014-05-20
EP2211592A3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277B1 (en)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items, in particular a washing machine
KR200416692Y1 (ko) 가전제품용 도어래치유닛
JPH09159349A (ja) ドアの両側を選択的に開閉可能とするドア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0934781B1 (ko)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20100064656A (ko) 전자레인지
JPH0227075A (ja) 施錠金具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EP4043679A1 (en) Magnetic buckle device
KR101549408B1 (ko) 전자렌지
KR20200116359A (ko) 엣지형조명등
US20080256992A1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JP2008280752A (ja) ラッチ錠
KR20060023498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057529B1 (ko) 투 포인트 타입 도어 로킹 장치
WO2008060121A1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ype door
KR101297721B1 (ko) 냉장고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101230464B1 (ko) 홈바 도어 잠금장치
KR200481473Y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3981950B2 (ja) 落し錠
JP5322623B2 (ja) ドア開閉状態切替装置
JPH0341016Y2 (ko)
JP2019216825A (ja) 遊技機
KR102457673B1 (ko) 선로 전환기의 커버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