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534B1 - 커튼봉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커튼봉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534B1
KR101889534B1 KR1020170077363A KR20170077363A KR101889534B1 KR 101889534 B1 KR101889534 B1 KR 101889534B1 KR 1020170077363 A KR1020170077363 A KR 1020170077363A KR 20170077363 A KR20170077363 A KR 20170077363A KR 101889534 B1 KR101889534 B1 KR 10188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od
curtain
rod connecting
connecting hole
connect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
Priority to KR102017007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 A47H2001/0215Curtain rods being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커튼봉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커튼봉연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커튼봉에 설치되고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커튼봉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커튼이 쳐지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 커튼봉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튼봉 연결구조{CONNECTING STRUTURE OF CURTAIN BAR}
본 발명은 커튼봉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을 지지하면서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커튼봉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커튼이 쳐지지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된 커튼봉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직물지, 자수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고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문을 가려 햇빛이 실내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외에서 실내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은 창문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브라켓(10)을 이용하여 바 형태의 커튼봉(20)이 설치되고, 이러한 커튼봉(20)에 링(40)을 통해 커튼(30)을 연결하여 창문의 중앙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개폐되면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커튼봉(20)은 큰 커튼봉 (21)내에 작은 커튼봉(22)이 끼워지게 하고, 창문의 길이에 맞게 큰 커튼봉 내에서 작은 커튼봉을 슬라이딩시켜 커튼봉 길이를 조절한 다음 창문의 상측에 설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튼봉에 커튼고리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링(40)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커튼봉의 양측단부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하고 상기 커튼봉에 결합된 링의 커튼고리부에 커튼을 걸어 고정하므로서, 커튼을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링이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면서 커튼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커튼봉 연결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커튼봉을 구성함에 있어서 큰 커튼봉(21)의 내부에 구성된 중공부에 작은 커튼봉(22)이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되므로, 큰 커튼봉과 작은 커튼봉의 연결부분에는 큰 커튼봉의 두께만큼의 걸림턱(D)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커튼의 개폐를 위해, 커튼봉(20)을 따라 링의 이동시킬 때, 상술한 걸림턱(D) 부분에서 링(40)이 걸림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커튼의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에 장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작은 커튼봉(22)이 큰 커튼봉(21)에 원활하게 끼워지게 구성되기 위해서는 큰 커튼봉(21)의 중공부 내경이 작은 커튼봉(22)의 외경보다 좀 더 크게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큰 커튼봉과 작은 커튼봉이 결합된 커튼봉을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 커튼의 하중에 의해 연결부위(A)가 아래로 처지게 되어 커튼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커튼봉에 설치되는 커튼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봉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커튼봉연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커튼봉에 설치되고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커튼봉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커튼이 쳐지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 커튼봉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과,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게 구성되고 중공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각각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이 결합되는 커튼봉연결구 및 상기 좌측 커튼봉과 우측커튼봉 및 커튼봉연결구가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커튼봉연결구의 양측으로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양측에 결합수단을 통해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이 결합되면, 커튼봉연결구 및 좌측 커튼봉과 우측 커튼봉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편차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커튼을 지지하면서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구와, 상기 끼움구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되되, 측면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내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지지편과, 상기 끼움구와 지지편 사이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회전축과, 상기 지지편의 후면 일부분에 상기 편심회전축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작동편과, 일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편심회전축에 장착되게 구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편심회전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걸림되는 가압지지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편심회전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걸림되는 가압해제편이 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단부에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고정링의 가압지지편에 걸림되고 상기 편심회전축이 편심량만큼 회전하게 되어 고정링이 편심회전축의 가압에 의해 커튼봉연결구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커튼봉연결구에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을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고정링의 해제지지편에 걸림되고 상기 편심회전축이 역회전하게 되어 고정링이 편심회전축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커튼봉연결구에서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고정이 해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튼봉연결구는 내부 중앙에 중앙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커튼봉연결구에는 내부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편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중앙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럭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튼봉연결구는 내부 중앙에 중앙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가 커튼봉연결구의 단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 단부에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고정구의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가 수용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커튼봉연결구 내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구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구지지블럭과, 상기 고정구지지블럭과 상기 중앙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지지블럭을 탄성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커튼봉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커튼봉연결구에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좌측 및 우측 커튼봉과 커튼봉연결구가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커튼을 지지하면서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커튼봉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커튼이 쳐지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커튼 및 커튼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결합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좌측 및 우측 커튼봉이 커튼봉연결구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에서 좌측 및 우측 커튼봉이 커튼봉연결구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고정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는 좌측 및 우측 커튼봉(110,120)이 커튼봉연결구(200)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커튼(C)을 지지하면서 커튼봉(100)을 따라 이동하는 링(10)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커튼봉(100)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커튼(C)이 쳐지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커튼봉연결구(2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게 구성되되, 종래와 같이 통상의 중공의 원형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튼봉연결구(200)는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게 구성되고 중공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각각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결합되어, 좌측 커튼봉(110), 커튼봉연결구(200) 및 우측 커튼봉(120)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양단에는 결합수단(300)을 통해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200)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좌측 커튼봉(110)과 우측커튼봉(120) 및 커튼봉연결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커튼봉연결구(200)의 양측으로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양측에 결합수단을 통해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결합되면, 커튼봉연결구(200) 및 좌측 커튼봉(110)과 우측 커튼봉(120)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편차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커튼(C)을 지지하면서 커튼봉(120)을 따라 이동하는 링(10)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수단(300)은 일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구(311)와, 상기 끼움구(311)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되되, 측면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내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지지편(312)과, 상기 끼움구(311)와 지지편(312) 사이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회전축(313)과, 상기 지지편(312)의 후면 일부분에 상기 편심회전축(313)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작동편(314)과, 일부분에 절개부(315a)가 형성되어 상기 편심회전축(313)에 장착되게 구성되되, 상기 절개부(315a)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편심회전축(31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작동편(314)에 걸림되는 가압지지편(315b)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5a)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편심회전축(31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작동편(314)이 걸림되는 가압해제편(315c)이 형성되는 고정링(3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에 끼움구(311)가 고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편(312)과 끼움구(311)를 커튼봉연결구(200) 내부로 삽입하면 1차적으로 커튼봉연결구(200)에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커튼봉연결구(200)에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커튼봉연결구(200)와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를 각각 양손으로 잡고 돌려 회전시키면 된다. 여기서, 고정되는 회전방향은 커튼봉연결구(200)에 대해 좌측 커트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시계방향이고, 고정이 해제되는 회전방향은 커튼봉연결구(200)에 대해 좌측 커트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반시계방향이 된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단부에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작동편(314)이 고정링의 가압지지편(315b)에 걸림되고 상기 편심회전축(313)이 편심량만큼 회전하게 되어 고정링(315)이 편심회전축(313)의 가압에 의해 커튼봉연결구(20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커튼봉연결구(200)에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을 결합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작동편(314)이 고정링의 해제지지편(315c)에 걸림되고 상기 편심회전축(313)이 역회전하게 되어 고정링(315)이 편심회전축(31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커튼봉연결구(200)에서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의 고정이 해제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는 내부 중앙에 중앙지지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커튼봉연결구(210)에는 내부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편(312)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럭(22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럭(220)과 상기 중앙지지판(2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럭(220)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양단에는 결합수단(300)을 통해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편(312)의 단부를 지지블럭(220)이 지지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가압 지지하여,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커튼봉연결구(200)에서 흔들리지 않고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는 내부 중앙에 중앙지지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321)와, 상기 고정구(321)의 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322)와, 상기 커튼봉연결구(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321)가 커튼봉연결구(200)의 단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322)가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홈(323)과, 상기 가이드홈(323)의 내측 단부에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고정구(321)의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322)가 수용 걸림되는 걸림홈(324)과, 상기 커튼봉연결구(200) 내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구(321)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구지지블럭(325)과, 상기 고정구지지블럭(325)과 상기 중앙지지판(2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지지블럭(325)을 탄성 가압하는 가압스프링(3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에 고정구(321)가 고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기(322)를 가이드홈(323)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구(321)를 커튼봉연결구(2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봉연결구(200)에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커튼봉연결구(200)에 대해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을 잡고 돌려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걸림돌기(322)가 걸림홈에 수용 걸림되면서 커튼봉연결구(200)에 상기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구(321)의 단부를 고정구지지블럭(325)이 가압스프링(326)의 탄성에 의해 가압 지지하여, 좌측 커튼봉(110) 및 우측 커튼봉(120)이 커튼봉연결구(200)에서 흔들리지 않고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봉 연결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커튼봉(110,120)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커튼봉연결구(200)에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좌측 및 우측 커튼봉(110,120)과 커튼봉연결구(120)가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커튼(C)을 지지하면서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10)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커튼봉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편차 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커튼(C)이 쳐지지 않고 수평으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좌측 커튼봉 120: 우측 커튼봉
200: 커튼봉연결구 300: 결합수단

Claims (4)

  1.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과,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게 구성되고 중공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각각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이 결합되는 커튼봉연결구 및
    상기 좌측 커튼봉과 우측커튼봉 및 커튼봉연결구가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커튼봉연결구의 양측으로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양측에 결합수단을 통해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이 결합되면, 커튼봉연결구 및 좌측 커튼봉과 우측 커튼봉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편차없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커튼을 지지하면서 커튼봉을 따라 이동하는 링이 커튼봉의 연결부분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구와, 상기 끼움구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되되, 측면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내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지지편과, 상기 끼움구와 지지편 사이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회전축과, 상기 지지편의 후면 일부분에 상기 편심회전축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작동편과, 일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편심회전축에 장착되게 구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편심회전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걸림되는 가압지지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편심회전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걸림되는 가압해제편이 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튼봉연결구의 단부에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고정링의 가압지지편에 걸림되고 상기 편심회전축이 편심량만큼 회전하게 되어 고정링이 편심회전축의 가압에 의해 커튼봉연결구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커튼봉연결구에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을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작동편이 고정링의 해제지지편에 걸림되고 상기 편심회전축이 역회전하게 되어 고정링이 편심회전축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커튼봉연결구에서 좌측 커튼봉 및 우측 커튼봉의 고정이 해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봉연결구는 내부 중앙에 중앙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커튼봉연결구에는 내부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편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중앙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럭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구조.
  4. 삭제
KR1020170077363A 2017-06-19 2017-06-19 커튼봉 연결구조 KR10188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63A KR101889534B1 (ko) 2017-06-19 2017-06-19 커튼봉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63A KR101889534B1 (ko) 2017-06-19 2017-06-19 커튼봉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534B1 true KR101889534B1 (ko) 2018-08-17

Family

ID=6340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63A KR101889534B1 (ko) 2017-06-19 2017-06-19 커튼봉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814B1 (ko) 2019-02-27 2020-02-07 김광조 주름 성형을 위한 링 결합형 커튼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65B1 (ko) * 2005-01-13 2006-05-22 김홍권 서포트 높이 조절구조
KR101404521B1 (ko) * 2013-03-11 2014-06-10 주식회사 소므로 커튼봉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65B1 (ko) * 2005-01-13 2006-05-22 김홍권 서포트 높이 조절구조
KR101404521B1 (ko) * 2013-03-11 2014-06-10 주식회사 소므로 커튼봉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814B1 (ko) 2019-02-27 2020-02-07 김광조 주름 성형을 위한 링 결합형 커튼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517B2 (en) Window balance assembly including sash support bracket
US7942184B2 (en) Vertical cellular blind
US20070200040A1 (en) Blind/curtain mounting bracket for curtain rods
KR101889534B1 (ko) 커튼봉 연결구조
KR101989754B1 (ko) 미닫이방식의 시스템 창호
EP3760826A2 (en) A screening device, a roof window comprising such a screening device and a method for mounting such a screening device on a roof window
JP2018090966A (ja) 建具
JP6132759B2 (ja) 着脱可能な嵌め殺し式網戸
KR20200044417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EP1950370A1 (en) Locking device for door and window shutters and the like
KR102209521B1 (ko) 엣지형조명등
KR20130005011A (ko) 권취식 방충망의 승강프레임 고정장치
JP6126422B2 (ja) 建具
KR101862647B1 (ko) 창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 시스템
JP2011026797A (ja) 補助建具付き建具
KR20110023239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EP3581753B1 (en) Sliding screening device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180044758A (ko) 롤스크린용 잠금장치
WO2020037954A1 (zh) 安装支架组件和窗机组件
KR10162764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안전 방충망
KR101662612B1 (ko) 블라인드의 길이 조절장치
KR101929231B1 (ko)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KR101503744B1 (ko) 환기창 개폐장치
KR200313789Y1 (ko) 롤브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