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521B1 - 커튼봉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커튼봉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521B1
KR101404521B1 KR1020130025725A KR20130025725A KR101404521B1 KR 101404521 B1 KR101404521 B1 KR 101404521B1 KR 1020130025725 A KR1020130025725 A KR 1020130025725A KR 20130025725 A KR20130025725 A KR 20130025725A KR 101404521 B1 KR101404521 B1 KR 101404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rod
bar
curtai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현
조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므로
Priority to KR102013002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02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for mounting curtain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봉을 4 분할하여 운반과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간섭현상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시에는 2개의 센터봉을 직렬연결하여 하나로 일체화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커튼봉을 1센터봉과 2센터봉 2개로 구성되는 센터봉과 좌측봉 및 우측봉으로 4 분할하여 구성할 때, 상기 1센터봉과 2센터봉을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센터봉을 설치할 수 있는 커튼봉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중앙에 센터봉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양측으로 1센터봉과 2센터봉의 내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1,2센터봉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에 개재하여 직경이 확대되어 연결돌기와 1,2센터봉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어댑터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커튼봉 연결장치{A CURTAIN BAR COUPLER}
본 발명은 커튼봉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가려 햇빛이 실내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에서 실내를 시각적으로 확인 불가능하도록 하는 커튼을 유지하는 커튼봉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취급과 운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연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직물지, 자수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문을 가려 햇빛이 실내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외에서 실내를 들여다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튼은 창문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브라켓을 이용하여 바 형태의 커튼봉이 설치되고, 이러한 커튼봉에 커튼을 연결하여 창문의 중앙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개폐되면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창문에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커튼봉은 벽체 또는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는 커튼봉 연결구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내용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커튼봉 연결구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1)와, 이 제1고정부(11)의 전면에 위치 구성되어 제1고정부(11)에 고정되고 전방측 하부에 안착부(12)가 형성되는 제2고정부(13)로 구성된 고정구(10)와;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의 안착부(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걸어지고 하단에 커튼(30)이 연결되는 연결구(40)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40)는, 상기 연결바(20)를 타고 좌우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구(10)에 걸리지 않고 고정구(10)를 통과하도록 후면에 개방부(41)가 개방형성된 'C'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습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 - 2010 - 0010499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커튼봉이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창문의 크기에 맞게 일체형의 커튼봉은 방이나 주방과 같이 창문의 폭이 좁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고, 거실과 같이 창문의 폭이 큰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튼을 유지하기 위한 커튼봉은 창문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방이나 주방에 설치되는 창문의 크기에 비하여 거실에 설치되는 창문이 상대적으로 크고, 대형 평수의 경우에는 창문의 크기가 4.2 ∼ 4.5m에 이르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창문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커튼봉을 일체형으로 할 경우에는 최소 4.5m의 길이를 가지게 되므로 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취급하는 것도 어렵지만 운반하는 것 또한 쉽지 않기 때문에 커튼 설치에 많은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창문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커튼봉을 중앙의 센터봉과 센터봉 양측에 결합되는 사이드봉 3개로 나누어 구성하고, 보관 및 운반(택배)시에는 분리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설치시에는 센터봉의 양측에 사이드봉을 결합한 후 브라켓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커튼봉을 3개로 분할한 상태에서도 하나의 길이가 연결부위를 감안하여 실제 커튼봉의 치수를 단순하게 3 분할하지 않고 약간 더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2미터 가까이 육박하는 길이를 가지게 되므로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특히 커튼봉을 택배를 이용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긴 길이로 인하여 차량 내부에 적재하는 것이 쉽지 않고 다른 화물과의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여러 불편한 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튼봉을 4분할로 구성할 경우에는 각각의 커튼봉 길이가 짧기 때문에 취급과 운반의 용이성은 제공할 수 있으나 커튼봉을 연결한 상태에서 설치할 때에는 브라켓이 3개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4 분할된 커튼봉을 안전하게 잡아주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설치가 어렵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커튼봉을 1센터봉과 2센터봉 2개로 구성되는 센터봉과 좌측봉 및 우측봉으로 4 분할하여 구성할 때, 상기 1센터봉과 2센터봉을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센터봉을 설치할 수 있는 커튼봉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중앙에 센터봉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양측으로 1센터봉과 2센터봉의 내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1,2센터봉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에 개재하여 직경이 확대되어 연결돌기와 1,2센터봉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어댑터로 구성하여;
커튼봉을 4 분할하여 운반과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간섭현상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시에는 2개의 센터봉을 직렬연결하여 하나로 일체화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커튼봉을 4개로 분할하여 중앙의 2개의 커튼봉을 하나의 브라켓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직렬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여 운반과 보관시에는 4개로 분할하여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간섭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시에는 3단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브라켓의 변경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커튼봉 연결장치(100)는, 커튼봉(101)을 1센터봉(102)과 2센터봉(103) 2개로 구성되는 센터봉(104)과 좌측봉(105)과 우측봉(106) 4개로 분할하여 구성할 때 1센터봉(102)과 2센터봉(103)을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센터봉(104)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장치(100)는, 중앙에 센터봉(104)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원통 또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장치바디(1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바디(110)의 양측으로는 1센터봉(102)과 2센터봉(103)의 내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1,2센터봉(102,10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연결돌기(111)를 돌출시킨다.
상기 장치바디(110)와 연결돌기(111)의 경계지점에는 턱(112)을 형성하여 1,2센터봉(102,103)을 결합할 때 더 이상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2센터봉(102,10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연결돌기(111)에는 어댑터(113)를 개재하여 연결돌기(111)의 회전에 의하여 어댑터(113)의 직경이 확대되어 연결돌기(111)와 1,2센터봉(102,103)을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돌기(111)는 대직경부(114)와 소직경부(115)를 가지고 외측방향(1,2센터봉 방향) 또는 내측방향(장치바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돌기(111)의 외경면과 어댑터(113)의 내경면에는 나사(116)를 형성하여 장치바디(11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연결돌기(111)가 어댑터(113)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결합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어댑터(113)는 관체 형상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로트(117)를 형성하여 연결돌기(111)의 대직경부(114)에 의하여 어댑터(113)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1,2센터봉(102,103)의 내경면과 밀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경량의 합금금속이나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나 제조의 용이성과 더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어댑터(113)의 외표면(1,2센터봉의 내경부와 연접되는 부위)에는 매끄러운 표면보다는 마찰이 있는 표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연결돌기(111)를 회전시킬 때 쉽게 단속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봉 연결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반이나 보관을 위해서는 커튼봉(101)을 1센터봉(102)과 2센터봉(103), 좌측봉(105), 우측봉(106)으로 4분할하고 연결장치(100)와 함께 짧은 길이로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어 보관과 운반 과정에서 많은 공간을 필요하지 않으면서 다른 물건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거나 간섭이 없도록 하는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튼봉(101)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1,2센터봉(102,103)을 직렬로 연결하여 센터봉(104)을 구성하고, 상기 센터봉(104)의 양측에 좌측봉(105)과 우측봉(106)을 연결한 상태에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커튼봉(101)의 양측과 중앙으로 잡아줌으로써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센터봉(104)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장치바디(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돌기(111)에 어댑터(113)를 결합하거나 또는 어댑터(113)를 1,2센터봉(102,103)의 내경에 결합시킨 후 연결돌기(111)를 어댑터(113)와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치바디(11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1,2센터봉(102,103)을 회전시켜 연결돌기(111)와 어댑터(113)에 형성한 나사(116)가 연결돌기(111)의 대직경부(114)에 의하여 조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어댑터(113)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연결돌기(111)와 어댑터(113) 및 1,2센터봉(102,103)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2센터봉(102,103)을 연결하여 직선형태의 센터봉(104)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센터봉(104)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1,2센터봉(102,103)의 중앙에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센터봉(104)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센터봉을 연결함으로써 길이가 긴 커튼봉의 연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커튼봉을 4 분할하여 운반과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설치시에는 2개의 센터봉을 직렬연결하여 하나로 일체화하여 설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커튼본 연결장치
101; 커튼봉
104; 센터봉
110; 장치바디
111; 연결돌기
113; 어댑터
117; 슬로트

Claims (2)

  1. 커튼봉을 1센터봉과 2센터봉 2개로 구성되는 센터봉과 좌측봉 및 우측봉으로 4 분할하여 구성할 때, 상기 1센터봉과 2센터봉을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센터봉을 설치할 수 있는 커튼봉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중앙에 센터봉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양측으로 1센터봉과 2센터봉의 내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1,2센터봉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에 개재하여 직경이 확대되어 연결돌기와 1,2센터봉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어댑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가지고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돌기의 외경면과 어댑터의 내경면에는 나사를 형성하여 장치바디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연결돌기가 어댑터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도록 하고;
    상기 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는 연결돌기의 대직경부에 의하여 어댑터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1,2센터봉의 내경면과 밀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슬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장치.
KR1020130025725A 2013-03-11 2013-03-11 커튼봉 연결장치 KR101404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725A KR101404521B1 (ko) 2013-03-11 2013-03-11 커튼봉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725A KR101404521B1 (ko) 2013-03-11 2013-03-11 커튼봉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521B1 true KR101404521B1 (ko) 2014-06-10

Family

ID=5113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725A KR101404521B1 (ko) 2013-03-11 2013-03-11 커튼봉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24B1 (ko) * 2014-09-29 2015-07-10 주식회사 소므로 커튼봉 연결장치
KR20180002269U (ko)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썬데코 커튼봉 지지 브라켓
KR101889534B1 (ko) * 2017-06-19 2018-08-17 주식회사 유일 커튼봉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060A (ja) * 1994-12-13 1996-06-25 Akaishi Kogyo Kk 突張装置
KR200320092Y1 (ko) 2003-04-15 2003-07-12 박희제 조립식 커튼봉의 고정링안내구
KR200405299Y1 (ko) 2005-10-26 2006-01-11 진태선 회전 체결구조를 갖는 봉 커튼용 지지봉
KR200410203Y1 (ko) 2005-12-12 2006-03-07 김영애 커텐 안내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060A (ja) * 1994-12-13 1996-06-25 Akaishi Kogyo Kk 突張装置
KR200320092Y1 (ko) 2003-04-15 2003-07-12 박희제 조립식 커튼봉의 고정링안내구
KR200405299Y1 (ko) 2005-10-26 2006-01-11 진태선 회전 체결구조를 갖는 봉 커튼용 지지봉
KR200410203Y1 (ko) 2005-12-12 2006-03-07 김영애 커텐 안내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24B1 (ko) * 2014-09-29 2015-07-10 주식회사 소므로 커튼봉 연결장치
WO2016052853A3 (ko) * 2014-09-29 2016-05-26 (주)모행 커튼봉 연결장치
KR20180002269U (ko)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썬데코 커튼봉 지지 브라켓
KR101889534B1 (ko) * 2017-06-19 2018-08-17 주식회사 유일 커튼봉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257B2 (en) Convertible pet barrier with a connection member
CA2801766C (en) Coupler system
KR101404521B1 (ko) 커튼봉 연결장치
US20160057969A1 (en) Pet kennel
US11240991B2 (en) Pet tent support structure
US7850021B2 (en) Iron pipe furniture assembly structure
US9951802B2 (en) Assembly device
US20080164787A1 (en) Joint device for assembled furniture and foldable cabinet using the joint device
KR100924235B1 (ko)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CN107076191A (zh) 用于杆形的型材元件的转角连接器
US20190152644A1 (en) New foldable box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CA2713001A1 (en) Shutter with pull side bar
US3710419A (en) Hinge structure
US9322203B2 (en) Mini slat folding door
US20130062296A1 (en) Portable clothes line
EP2849556A1 (en) Wall entry tunnel for a pet door
EP3688244A1 (fr) Profile de lisse comprenant des zones deformables pour l'absorption des deformations dudit profile lors de sa fixation
US20160076291A1 (en) Mini Slat Folding Door
US11253085B2 (en) Kit, display case, components therefor and edge profile
US9730541B2 (en) Window treatment closure device and method
CN201517538U (zh) 家具用圆木棒快速角接接头
KR101538856B1 (ko)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KR200479956Y1 (ko) 빨래 건조대
KR200478466Y1 (ko) 조립식 장롱
CN217657586U (zh) 一种模块化拼装宠物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