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533A -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533A
KR20200115533A KR1020207023281A KR20207023281A KR20200115533A KR 20200115533 A KR20200115533 A KR 20200115533A KR 1020207023281 A KR1020207023281 A KR 1020207023281A KR 20207023281 A KR20207023281 A KR 20207023281A KR 20200115533 A KR20200115533 A KR 2020011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electrically connected
display pane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헤이 토요타카
다이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0011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01L27/3225
    • H01L27/3276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Abstract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표시 영역, 제 1 기능층, 및 제 2 기능층을 가지는 표시 패널이고, 표시 영역은 화소를 가지고, 화소는 표시 소자 및 화소 회로를 가진다. 또한 제 1 기능층은 화소 회로, 주사선, 및 제 1 접속부를 포함하고, 표시 소자는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화소 회로는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기능층은 제 1 기능층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고, 제 2 기능층은 구동 회로 및 배선을 포함하고, 구동 회로는 표시 소자와의 사이에 화소 회로를 끼우도록 제공된다. 배선은 제 1 접속부에서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은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또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기술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등에 개시(開示)되는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분야는 물건, 방법, 또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공정(process), 기계(machine), 제품(manufacture), 또는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분야의 더 구체적인 예로서는,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축전 장치, 기억 장치, 이들의 구동 방법, 또는 이들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표시 영역 및 단자 전극을 가지고, 단자 전극이 표시 영역과 서로 중첩되고, 단자 전극이 표시 영역의 비표시면 측에서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표시 화면이 되는 플렉시블한 패널 기판, 상기 패널 기판에서 표시 화면이 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 위에 매트릭스로 배치된 표시 소자를 가지는 표시부, 및 구동 회로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회로부가, 플렉시블한 구동 회로 기판 위에 플렉시블한 반도체 재료로 형성된 반도체 소자가 실장되어 구성되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6/0300853호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2/0071082호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규 표시 패널, 신규 표시 장치, 신규 입출력 장치, 신규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신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이들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과제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들 이외의 과제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질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이들 이외의 과제를 추출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영역(231), 제 1 기능층(520A), 제 2 기능층(520B), 및 제 1 접속부(591C(i,y))를 가지는 표시 패널(700)이다.
표시 영역(231)은 화소(702(i,j))를 가진다. 화소(702(i,j))는 표시 소자(550(i,j)) 및 화소 회로(530(i,j))를 가진다.
제 1 기능층(520A)은 화소 회로(530(i,j)) 및 주사선(G1(i))을 포함하고, 표시 소자(550(i,j))는 화소 회로(530(i,j))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소 회로(530(i,j))는 주사선(G1(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기능층(520B)은 제 1 기능층(520A)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고, 제 2 기능층(520B)은 구동 회로(GD) 및 배선(G2(i))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GD)는 표시 소자(550(i,j))와의 사이에 화소 회로(530(i,j))를 끼우도록 제공된다.
배선(G2(i))은 제 1 접속부(591C(i,y))에서 주사선(G1(i))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G2(i))은 구동 회로(GD)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구동 회로(GD)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231)과 중첩시켜 구동 회로(GD)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GD)의 외형이 표시 패널(700)의 외형을 따르도록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을 표시 영역(231)의 윤곽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자(519C(j))를 가지는 상기 표시 패널(700)이다.
제 1 기능층(520A)은 신호선(S1(j)), 보조 신호선(S2(j)), 및 제 2 접속부(591D(j))를 포함한다.
신호선(S1(j))은 화소 회로(530(i,j))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신호선(S1(j))은 제 2 접속부(591D(j))에서 보조 신호선(S2(j))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조 신호선(S2(j))은 다른 신호선(S1(j+1))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보조 신호선(S2(j))은 단자(519C(j))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단자(519C(j))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영역(231)이 하나의 주사선(G1(i)) 및 다른 하나의 주사선(G1(p))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주사선(G1(p))은 주사선(G1(i))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표시 패널이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영역(231)이 하나의 신호선(S1(j)) 및 다른 하나의 신호선(S1(q))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선(S1(q))은 신호선(S1(j))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표시 패널이다.
이로써, 표시 패널(700)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231)의 윤곽에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의 외형이 곡선을 사용하는 표시 영역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곡선을 따라 화소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영역(231)이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 및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를 가지는 상기 표시 패널이다.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는 화소(702(i,j))를 포함하고,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는 행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는 주사선(G1(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는 화소(702(i,j))를 포함하고,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는 행 방향과 교차하는 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는 신호선(S1(j))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복수의 화소에 화상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를 가지는 상기 표시 패널이다. 또한 h는 1 이상의 자연수이고, 1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자연수가 바람직하다.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는 제 1 접속부(591C(i,y))를 포함하고, 주사선(G1(i))은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에서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주사선(G1(i))을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접속부(591C(i,y))가 도전 부재(CP)를 포함하고, 도전 부재(CP)는 주사선(G1(i))과 배선(G2(i))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상기 표시 패널(700)이다.
이로써, 주사선(G1(i))을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표시 패널(700) 및 제어부(238)를 가지는 표시 장치이다.
제어부(238)는 화상 정보(V1) 및 제어 정보(CI)를 공급받고, 제어부(238)는 화상 정보(V1)에 기초하여 정보(V11)를 생성하고, 제어부(238)는 제어 정보(CI)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SP)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38)는 정보(V11) 및 제어 신호(SP)를 공급한다.
표시 패널(700)에는 정보(V11) 및 제어 신호(SP)가 공급된다. 또한 구동 회로(GD)는 제어 신호(SP)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화소(702(i,j))는 정보(V11)에 기초하여 표시를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표시 소자를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9)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입력부(240) 및 표시부(230)를 가지는 입출력 장치이다.
표시부(230)는 표시 패널(700)을 가지고, 입력부(240)는 검지 영역(241)을 가진다.
입력부(270)는 검지 영역(241)에 근접하는 것을 검지하고, 검지 영역(241)은 화소(702(i,j))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표시부를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하면서, 표시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근접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에 근접시키는 손가락 등을 포인터로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와 관련지을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키보드, 하드웨어 버튼, 포인팅 디바이스, 터치 센서, 조도 센서, 촬상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시선 입력 장치, 자세 검출 장치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연산 장치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편의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각각 독립된 블록으로서 블록도를 도시하였지만, 실제의 구성 요소는 기능별로 완전히 분리되기 어렵고, 한 구성 요소가 복수의 기능과 관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지스터가 가지는 소스와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의 극성 및 각 단자에 공급되는 전위 레벨에 따라 그 호칭이 서로 바뀐다. 일반적으로 n채널형 트랜지스터에서는 낮은 전위가 공급되는 단자가 소스라고 불리고, 높은 전위가 공급되는 단자가 드레인이라고 불린다. 또한 p채널형 트랜지스터에서는 낮은 전위가 공급되는 단자가 드레인이라고 불리고, 높은 전위가 공급되는 단자가 소스라고 불린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소스와 드레인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트랜지스터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는 상기 전위의 관계에 따라 소스와 드레인의 호칭이 서로 바뀐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지스터의 소스란 활성층으로서 기능하는 반도체막의 일부인 소스 영역, 또는 이 반도체막에 접속된 소스 전극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란 이 반도체막의 일부인 드레인 영역, 또는 이 반도체막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의미한다. 또한 게이트는 게이트 전극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되는 상태란 예를 들어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만이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만 접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트랜지스터가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이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이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에 접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접속이란 전기적인 접속을 의미하며, 전류, 전압, 또는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 또는 전송(傳送)할 수 있는 상태에 상당한다. 따라서, 접속되는 상태란 반드시 직접 접속되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전류, 전압, 또는 전위를 공급할 수 있도록 또는 전송할 수 있도록 배선, 저항,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상태도 그 범주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회로도상 독립된 구성 요소들이 서로 접속되는 경우라도 실제로는 예를 들어 배선의 일부가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등, 하나의 도전막이 복수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접속이란 이와 같은 하나의 도전막이 복수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도 그 범주에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중 한쪽이 소스 전극을 가리키고, 다른 쪽이 드레인 전극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규 표시 패널, 신규 표시 장치, 신규 입출력 장치, 신규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신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효과 모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이들 이외의 효과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질 것이고,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이들 이외의 효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영역, 제 1 기능층, 제 2 기능층, 및 제 1 접속부를 가지는 표시 패널이다. 표시 영역은 화소를 가지고, 화소는 표시 소자 및 화소 회로를 가진다. 또한 제 1 기능층은 화소 회로 및 주사선을 포함하고, 표시 소자는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화소 회로는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기능층은 제 1 기능층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고, 제 2 기능층은 구동 회로 및 배선을 포함하고, 구동 회로는 표시 소자와의 사이에 화소 회로를 끼우도록 제공된다. 배선은 제 1 접속부에서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은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구동 회로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과 중첩시켜 구동 회로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을 표시 영역의 윤곽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상이한 도면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절단선 X1-X2, X3-X4, X9-X10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모식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화소(702(i,j))를 설명하는 화소 회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B)의 절단선 Y1-Y2를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일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의 절단선 Y3-Y4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일부의 상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자세한 사항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B)의 일부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B)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변형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B)의 절단선 Y1-Y2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변형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B)의 절단선 Y3-Y4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표시 영역 및 구동 회로의 배치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값이 1 이상의 정수(整數)인 변수를 부호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값이 1 이상의 정수인 변수 p를 포함하는 (p)를 최대 p개의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을 특정하는 부호의 일부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값이 1 이상의 정수인 변수 m 및 변수 n을 포함하는 (m, n)을 최대 m×n개의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을 특정하는 부호의 일부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1.>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표시 영역(231), 기능층(520A), 기능층(520B), 및 제 1 접속부(591C(i,y))를 가진다(도 1의 (A) 및 (B) 참조).
<<표시 영역(231)의 구성예 1.>>
표시 영역(231)은 화소(702(i,j))를 가진다.
<<화소(702(i,j))의 구성예 1.>>
화소(702(i,j))는 표시 소자(550(i,j)) 및 화소 회로(530(i,j))를 가진다(도 1의 (B) 및 도 2의 (B) 참조).
<<기능층(520A)의 구성예 1.>>
기능층(520A)은 화소 회로(530(i,j)) 및 주사선(G1(i))을 포함한다(도 2의 (B) 및 도 4의 (A) 참조).
<<표시 소자(550(i,j))의 구성예 1.>>
표시 소자(550(i,j))는 화소 회로(530(i,j))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의 (B), 도 2의 (B), 및 도 5 참조).
표시 소자(550(i,j))는 광을 사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표시 소자(550(i,j))는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을 가진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광을 사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표시 소자를 표시 소자(550(i,j))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마이크로 LED 등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QDLED(Quantum Dot LED) 등을 표시 소자(550(i,j))에 사용할 수 있다.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의 구성예 1.>>
예를 들어, 신호선(S1(j))을 따라 열 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적층 재료를,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1)), 및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2))에 색상이 서로 상이한 광을 발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표시 소자(550(i,j))가 사출하는 광의 색상을 열마다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의 광을 발하는 재료, 녹색의 광을 발하는 재료, 및 적색의 광을 발하는 재료를 색상이 서로 상이한 광을 발하는 재료에 사용할 수 있다.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의 구성예 2.>>
예를 들어 백색의 광을 사출하도록 적층된 적층 재료를,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색상이 서로 상이한 광을 발하는 재료를,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의 광을 사출하는 형광 재료를 포함한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과, 녹색 및 적색의 광을 사출하는 형광 재료 이외의 재료를 포함한 층을 적층한 적층 재료를,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청색의 광을 사출하는 형광 재료를 포함한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과, 황색의 광을 사출하는 형광 재료 이외의 재료를 포함한 층을 적층한 적층 재료를,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발광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유닛은 한쪽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다른 쪽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재결합하는 영역을 하나 가진다. 또한 발광 유닛은 발광성 재료를 포함하고, 발광성 재료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생기는 에너지를 광으로서 방출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중간층을,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은 2개의 발광 유닛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 중간층은 전하 발생 영역을 가지고, 중간층은 음극 측에 배치된 발광 유닛에 정공을 공급하고, 양극 측에 배치된 발광 유닛에 전자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중간층을 가지는 구성을 탠덤형 발광 소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색상의 광을 발하는 재료를 포함한 발광 유닛과, 다른 색상의 광을 발하는 재료를 포함한 발광 유닛을,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화합물(올리고머, 덴드리머, 폴리머 등), 중분자 화합물(저분자와 고분자의 중간 영역의 화합물: 분자량 400 이상 4000 이하) 등을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553(j))에 사용할 수 있다.
<<전극(551(i,j)), 전극(552)>>
전극(551(i,j))은 접속부(591A)에서 화소 회로(530(i,j))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배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전극(551(i,j)) 또는 전극(552)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에 대하여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를 전극(551(i,j)) 또는 전극(552)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산화물 또는 인듐을 포함한 도전성 산화물,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갈륨을 첨가한 산화 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광이 투과할 정도로 얇은 금속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가시광에 대한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하는 금속막을 전극(551(i,j)) 또는 전극(552)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전극(551(i,j))과 전극(55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미소 공진기 구조를 표시 소자(550(i,j))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파장의 광을 다른 광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스펙트럼의 반치폭이 좁은 광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선명한 색의 광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막을 전극(551(i,j)) 또는 전극(552)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은 및 팔라듐 등을 포함한 재료, 또는 은 및 구리 등을 포함한 재료를 금속막에 사용할 수 있다.
<<화소 회로(530(i,j))의 구성예 1.>>
화소 회로(530(i,j))는 주사선(G1(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2의 (B) 및 도 4의 (A) 참조).
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소자, 인덕터, 또는 용량 소자 등을 화소 회로(530(i,j))에 사용할 수 있다.
화소 회로(530(i,j))는 스위치(SW2), 트랜지스터(M), 및 용량 소자(C2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를 스위치(SW2)에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SW2)의 구성예 1.>>
스위치(SW2)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는 반도체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막(508), 도전막(504), 도전막(512A), 및 도전막(512B)을 가진다(도 4의 (B) 참조).
반도체막(508)은 도전막(51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508A), 도전막(512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508B)을 가진다. 반도체막(508)은 영역(508A)과 영역(508B) 사이에 영역(508C)을 가진다.
도전막(504)은 영역(508C)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고, 도전막(504)은 게이트 전극의 기능을 가진다.
절연막(506)은 반도체막(508)과 도전막(504)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 절연막(506)은 게이트 절연막의 기능을 가진다.
도전막(512A)은 소스 전극의 기능 및 드레인 전극의 기능 중 한쪽을 가지고, 도전막(512B)은 소스 전극의 기능 및 드레인 전극의 기능 중 다른 쪽을 가진다. 또한 도전막(512A) 또는 도전막(512B)을 배선(G2(i))에 사용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의 구성예 1>>
예를 들어,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막을, 스위치(SW2)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 및 트랜지스터(M)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 구성을 스위치(SW2)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 및 트랜지스터(M)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막(524)을 트랜지스터에 사용할 수 있다. 도전막(524)은 도전막(504)과의 사이에 반도체막(508)을 끼우는 영역을 가진다. 도전막(524)은 제 2 게이트 전극의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전막(524)을 도전막(504)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막을 구동 회로 및 화소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 또는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 등을 화소 회로(530(i,j))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막(508)의 구성예 1.>>
예를 들어 14족 원소를 포함한 반도체를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을 포함한 반도체를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예를 들어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미결정 실리콘 등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표시 패널보다 표시 불균일이 적은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의 대형화가 용이하다.
[폴리실리콘]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보다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보다 구동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보다 화소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보다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제작에 필요한 온도를,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을 사용하는 트랜지스터의 제작에 필요한 온도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막을, 화소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막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화소 회로를 형성하는 기판과 동일한 기판 위에 구동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단결정 실리콘]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을 반도체막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표시 패널보다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하는 표시 패널보다 표시 불균일이 적은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스마트 글라스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도체막(508)의 구성예 2.>>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막에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화소 회로와 비교하여, 화소 회로가 화상 신호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리커(flicker)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선택 신호를 30Hz 미만, 바람직하게는 1Hz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분마다 1회 미만의 빈도로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축적되는 피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동에 따른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듐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 또는 인듐과 갈륨과 아연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막에 사용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반도체막에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한 트랜지스터와 비교하여, 오프 상태에서의 누설 전류가 더 작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막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듐, 갈륨, 및 아연을 포함하는 두께 25nm의 막을 반도체막(508)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탈럼 및 질소를 포함하는 두께 10nm의 막과, 구리를 포함하는 두께 300nm의 막을 적층한 도전막을 도전막(504)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리를 포함하는 막은 절연막(506)과의 사이에, 탄탈럼 및 질소를 포함하는 막을 끼우는 영역을 가진다.
예를 들어 실리콘 및 질소를 포함하는 두께 400nm의 막과, 실리콘, 산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두께 200nm의 막을 적층한 적층막을 절연막(506)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및 질소를 포함하는 막은 반도체막(508)과의 사이에, 실리콘, 산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막을 끼우는 영역을 가진다.
예를 들어 텅스텐을 포함하는 두께 50nm의 막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두께 400nm의 막과, 타이타늄을 포함하는 두께 100nm의 막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도전막을 도전막(512A) 또는 도전막(512B)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텅스텐을 포함하는 막은 반도체막(508)과 접하는 영역을 가진다.
그런데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에 사용하는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라인은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에 사용하는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라인으로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을 반도체에 사용하는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라인은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에 사용하는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라인으로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다. 어느 개조에서도 기존의 제조 라인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깜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움직임이 빠른 동영상을 원활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풍부한 계조로 사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편의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도체막(508)의 구성예 3.>>
예를 들어 화합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갈륨 비소를 포함하는 반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센류 또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기 반도체를 반도체막에 사용할 수 있다.
<<기능층(520B)의 구성예 1.>>
기능층(520B)은 기능층(520A)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도 1의 (B) 참조). 또한 기능층(520B)은 구동 회로(GD) 및 배선(G2(i))을 포함한다(도 4의 (A) 참조). 예를 들어, 절연막(521B)을 기능층(520B)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절연막(521B)에 사용할 수 있다.
<<구동 회로(GD)의 구성예 1.>>
구동 회로(GD)는 표시 소자(550(i,j))와의 사이에 화소 회로(530(i,j))를 끼우도록 제공된다(도 1의 (B) 참조).
구동 회로(GD)는 선택 신호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GD)는 선택 신호를 배선(G2(i))에 공급하고, 접속부(591C(i,y))를 통하여 주사선(G1(i))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MD)를 구동 회로(GD)에 사용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또한 트랜지스터(M)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트랜지스터(MD)에 사용할 수 있다.
<<주사선(G1(i))의 구성예 1.>>
주사선(G1(i))은 구동 회로(GD)와 일군의 화소 회로(530(i,1) 내지 530(i,n))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도 3의 (A) 및 도 4의 (A) 참조). 이로써, 주사선(G1(i))은 예를 들어, 구동 회로(GD)가 방출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또는, 화소 회로(530(i,j))가 방출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노이즈로 인한 화소 회로(530(i,j))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노이즈로 인한 구동 회로(GD)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노이즈로 초래되는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배선(G2(i))의 구성예 1.>>
배선(G2(i))은 접속부(591C(i,y))에서 주사선(G1(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배선(G2(i))은 구동 회로(GD)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절연막(521B), 절연막(518), 및 절연막(516)에 형성된 개구부를 접속부(591C(i,y))에 사용할 수 있다(도 4의 (A) 및 (B) 참조).
이로써, 구동 회로(GD)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231)과 중첩시켜 구동 회로(GD)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GD)의 외형이 표시 패널(700)의 외형을 따르도록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을 표시 영역(231)의 윤곽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는, 주연 부분을 자르고 제거하여 표시 패널의 외형을 소정의 형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배선(G2(i))의 구성예 2.>>
예를 들어, 주사선(G1(i))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도전막을 배선(G2(i))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주사선(G1(i))보다 폭이 좁은 도전막을 배선(G2(i))에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 회로(GD)와 화소 회로(530(i,j)) 사이의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신호(SP)의 파형에 생기는 일그러짐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다. 또는, 피드스루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단자(519C(j))를 가진다(도 1의 (B) 및 도 7의 (B) 참조).
<<기능층(520A)의 구성예 2.>>
기능층(520A)은 신호선(S1(j)), 보조 신호선(S2(j)), 및 접속부(591D(j))를 포함한다(도 4의 (A) 참조).
<<신호선(S1(j))의 구성예 1.>>
신호선(S1(j))은 화소 회로(530(i,j))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신호선(S1(j))은 접속부(591D(j))에서 보조 신호선(S2(j))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4의 (B) 참조).
<<보조 신호선(S2(j))의 구성예 1.>>
보조 신호선(S2(j))은 다른 신호선(S1(j+1))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보조 신호선(S2(j))은 단자(519C(j))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3의 (B) 및 도 7의 (B) 참조). 예를 들어, 보조 신호선(S2(j))은 신호선(S1(j+1))과 교차한다.
또한 신호선(S1(j))의 단부가 아니라, 신호선(S1(j))의 도중에 제공된 접속부(591D(j))에서 신호선(S1(j))을 보조 신호선(S2(j))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다른 일군의 화소 회로(530(1,j) 내지 530(m,j))에서 선택된 하나의 화소 회로(530(i,j))와 단자(519C(j)) 사이의 전기 저항을 평균화할 수 있다.
이로써, 단자(519C(j))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700)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는, 단자(519C(j))로부터 공급되는 정보(V11)의 파형에 생기는 일그러짐의 정도를 화소 회로(530(i,j))에서 평균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3.>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표시 영역(231)이 주사선(G1(i)) 및 주사선(G1(p))을 포함한다(도 2의 (A) 참조). 주사선(G1(p))은 주사선(G1(i))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주사선(G1(i+20))은 주사선(G1(i))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7의 (A) 참조). 구체적으로는, 주사선(G1(i+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화소의 개수는 주사선(G1(i))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화소의 개수보다 6개 적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표시 영역(231)이 신호선(S1(j)) 및 신호선(S1(q))을 포함한다(도 2의 (A) 참조). 신호선(S1(q))은 신호선(S1(j))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신호선(S1(i-10))은 신호선(S1(i))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7의 (B) 참조). 구체적으로는, 신호선(S1(i-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화소의 개수는 신호선(S1(i))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화소의 개수보다 3개 적다.
이로써, 표시 패널(700)의 외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231)의 윤곽에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의 외형이 곡선을 사용하는 표시 영역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곡선을 따라 화소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5.>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표시 영역(231)이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 및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를 가진다(도 10의 (A) 및 (B) 참조).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영역(231)은 도전막(VCOM2) 및 도전막(ANO)을 가진다.
<<일군의 화소의 구성예 1.>>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는 화소(702(i,j))를 포함하고,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는 행 방향(도면에서 화살표(R1)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일군의 화소(702(i,1) 내지 702(i,n))는 주사선(G1(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는 화소(702(i,j))를 포함하고,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는 행 방향과 교차하는 열 방향(도면에서 화살표(C1)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다른 일군의 화소(702(1,j) 내지 702(m,j))는 신호선(S1(j))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복수의 화소에 화상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6.>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를 가진다(도 7의 (A) 참조). 또한 h는 1 이상의 자연수이고, 1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자연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속부의 개수가 1보다 많으면,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고, n보다 작으면, 인접한 다른 행의 접속부와 단락(短絡)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591C(i,y))는 접속부(591C(i-1,y)) 또는 접속부(591C(i+1,y))와 단락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주사선(G1(i))의 단부가 아니라, 주사선(G1(i))의 도중에 제공된 접속부(591C(i,y))에서 주사선(G1(i))을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일군의 화소 회로(530(i,1) 내지 530(i,n))에서 선택된 하나의 화소 회로(530(i,j))와 구동 회로(GD) 사이의 전기 저항을 평균화할 수 있다.
또는,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에서 주사선(G1(i))을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일군의 화소 회로(530(i,1) 내지 530(i,n))에서 선택된 하나의 화소 회로(530(i,j))와 구동 회로(GD) 사이의 전기 저항을 평균화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신호(SP)의 파형에 생기는 일그러짐의 정도를 평균화할 수 있다. 또는, 피드스루의 정도를 평균화할 수 있다. 또는, 표시 불균일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의 구성예 1.>>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는 접속부(591C(i,y))를 포함하고, 주사선(G1(i))은 일군의 접속부(591C(i,1) 내지 591C(i,h))에서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7의 (A) 참조).
이로써, 주사선(G1(i))을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접속부(591C(i,y))의 구성예 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700)은 접속부(591C(i,y))가 도전 부재(CP)를 포함한다(도 8 및 도 9 참조).
<<도전 부재(CP)의 구성예 1.>>
도전 부재(CP)는 주사선(G1(i))과 배선(G2(i))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전성을 가지는 입자를 도전 부재(CP)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가 1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3μm 이상 150μm 이하인 구 형상, 기둥 형상, 또는 파이버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지는 입자를 입자(CP)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니켈 또는 금 등을 포함한 도전성 재료로 피복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스타이렌, 아크릴 수지, 또는 산화 타이타늄 등을 포함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성 재료(521C)에 도전 부재(CP)를 분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고무,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 등을 절연성 재료(521C)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형상의 구조체(KB)를 접속부(591C(i,y))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구조체(KB) 위에 형성된 도전 부재(CP)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주사선(G1(i))을 배선(G2(i))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6.>
또한 표시 패널(700)은 기재(510), 기재(770), 및 절연막(501C)을 가진다(도 4의 (A) 참조).
절연막(501C)은 기재(770)와 기재(510)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지고, 절연막(501C)은 기능층(520A)과 기재(510)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
<<기능층(520A)의 구성예 3.>>
기능층(520A)은 절연막(521), 절연막(518), 절연막(516), 절연막(506), 및 절연막(501C) 등을 가진다.
[절연막(521)]
절연막(521)은 화소 회로(530(i,j))와 표시 소자(550(i,j))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절연성 무기 재료, 절연성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와 유기 재료를 포함한 절연성 복합 재료를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산화물막, 무기 질화물막, 또는 무기 산화질화물막 등, 혹은 이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막을 적층한 적층 재료를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막, 질화 실리콘막, 산화질화 실리콘막, 산화 알루미늄막 등, 또는 이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막을 적층한 적층 재료를 포함한 막을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질화 실리콘막은 치밀한 막이고,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실록산, 또는 아크릴 수지 등, 혹은 이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수지의 적층 재료 또는 복합 재료 등을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광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절연막(521)은, 절연막(521)과 중첩되는 다양한 구조에 기인한 단차를 평탄화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는 열적 안정성, 절연성, 인성(靭性), 저유전율, 저열팽창률, 내약품성 등의 특성에 있어서 다른 유기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특히 폴리이미드를 절연막(521)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광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막을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광성 폴리이미드 또는 감광성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 막을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를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질화 실리콘을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다.
[절연막(518)]
절연막(518)은 화소 회로(530(i,j))와 절연막(521)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도 4의 (B) 참조). 또한 적층막을 절연막(518)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절연막(518)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수소, 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재료를 절연막(518)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질화물 절연막을 절연막(518)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 질화산화 실리콘, 질화 알루미늄, 질화산화 알루미늄 등을 절연막(518)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에 대한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막(516)]
절연막(516)은 화소 회로(530(i,j))와 절연막(518)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도 4의 (B) 참조). 또한 적층막을 절연막(516)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절연막(516)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막(518)과는 제작 방법이 상이한 막을 절연막(516)에 사용할 수 있다.
[절연막(506)]
절연막(506)은 반도체막(508)과 도전막(504)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도 4의 (B) 참조).
예를 들어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절연막(506)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실리콘막, 산화질화 실리콘막, 질화산화 실리콘막, 질화 실리콘막, 산화 알루미늄막, 산화 하프늄막, 산화 이트륨막, 산화 지르코늄막, 산화 갈륨막, 산화 탄탈럼막, 산화 마그네슘막, 산화 란타넘막, 산화 세륨막, 또는 산화 네오디뮴막을 포함하는 막을 절연막(506)에 사용할 수 있다.
[절연막(501C)]
절연막(501C)은 화소 회로(530(i,j))와 기재(510)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도 4의 (A) 참조).
예를 들어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절연막(501C)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및 산소를 포함한 재료를 절연막(501C)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화소 회로 또는 표시 소자 등으로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막(528)]
절연막(528)은 절연막(521)과 기재(770)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지고, 표시 소자(550(i,j))와 중첩되는 영역에 개구부를 가진다(도 5 참조). 전극(551(i,j))의 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절연막(528)은 전극(551(i,j))과 전극(552)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절연막(52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절연막(528)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실리콘막,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 막,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한 막을 절연막(528)에 사용할 수 있다.
<<밀봉재(705)>>
밀봉재(705)는 기능층(520A)과 기재(770)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지고, 기능층(520A)과 기재(770)를 접합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무기 재료,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와 유기 재료의 복합 재료 등을 밀봉재(705)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용융성 수지 또는 경화성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밀봉재(705)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경화형 접착제, 광 경화형 접착제, 열 경화형 접착제, 또는/및 혐기형(嫌氣型) 접착제 등의 유기 재료를 밀봉재(705)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미드 수지, PVC(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 수지, PVB(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 EVA(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포함한 접착제를 밀봉재(705)에 사용할 수 있다.
<<기능층(720)>>
기능층(720)은 착색막(CF), 절연막(771), 및 차광막(BM)을 가진다.
착색막(CF)은 기재(770)와 표시 소자(550(i,j))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을 가진다.
차광막(BM)은 화소(702(i,j))와 중첩되는 영역에 개구부를 가진다.
<<기능막(770P) 등>>
기능막(770P)은 표시 소자(550(i,j))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 필름,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광 확산 필름, 또는 집광 필름 등을 기능막(770P)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 편광 필름을 기능막(770P)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의 부착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막,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게 하는 발수성(撥水性)의 막, 반사 방지막(안티 리플렉션막), 비광택 처리막(안티 글레어막), 사용에 따른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하드코트막 등을 기능막(770P)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개시되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산화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에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금속 산화물을 산화물 반도체로 바꿔 읽어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는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와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 나누어진다.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CAAC-OS(c-axis-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nc-OS(nano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a-like OS(amorphous-like oxide semiconductor), 및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등이 있다.
또한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의 하나로서, 반결정성 산화물 반도체(Semi-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라고 불리는 산화물 반도체를 들 수 있다. 반결정성 산화물 반도체란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와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의 중간의 구조를 가진다. 반결정성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에 비하여 구조가 안정된다. 예를 들어 반결정성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CAAC 구조를 가지며, CAC(Cloud-Aligned Composite) 구성인 산화물 반도체가 있다. CAC의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개시되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에는 CAC-OS(Cloud-Aligned Composite oxide semiconductor)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개시되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에는 상술한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 또는 CAC-OS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nc-OS 또는 CAAC-OS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으로서 CAC-O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C-OS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 높은 전기 특성 또는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CAC-OS의 상세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CAC-OS 또는 CAC-metal oxide는 재료의 일부에서는 도전성의 기능을 가지고, 재료의 일부에서는 절연성의 기능을 가지고, 재료 전체에서는 반도체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CAC-OS 또는 CAC-metal oxide를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의 기능은 캐리어가 되는 전자(또는 정공)를 흘리는 기능이고, 절연성의 기능은 캐리어가 되는 전자를 흘리지 않는 기능이다. 도전성의 기능과 절연성의 기능을 각각 상보적으로 작용시킴으로써, 스위칭시키는 기능(On/Off시키는 기능)을 CAC-OS 또는 CAC-metal oxide에 부여할 수 있다. CAC-OS 또는 CAC-metal oxide에서 각각의 기능을 분리시킴으로써, 양쪽의 기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또한 CAC-OS 또는 CAC-metal oxide는 도전성 영역 및 절연성 영역을 가진다. 도전성 영역은 상술한 도전성의 기능을 가지고, 절연성 영역은 상술한 절연성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재료 내에서 도전성 영역과 절연성 영역은 나노 입자 레벨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전성 영역과 절연성 영역은 각각 재료 내에 편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전성 영역은 주변이 흐릿해져 클라우드상으로 연결되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CAC-OS 또는 CAC-metal oxide에서 도전성 영역과 절연성 영역은 각각 0.5nm 이상 1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nm 이상 3nm 이하의 크기로 재료 내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CAC-OS 또는 CAC-metal oxide는 상이한 밴드 갭을 가지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CAC-OS 또는 CAC-metal oxide는 절연성 영역에 기인하는 와이드 갭을 가지는 성분과 도전성 영역에 기인하는 내로 갭을 가지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경우, 캐리어를 흘릴 때 내로 갭을 가지는 성분에서 주로 캐리어가 흐른다. 또한 내로 갭을 가지는 성분이 와이드 갭을 가지는 성분에 상보적으로 작용하고, 내로 갭을 가지는 성분과 연동하여 와이드 갭을 가지는 성분에도 캐리어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CAC-OS 또는 CAC-metal oxide를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하는 경우, 트랜지스터의 온 상태에서 높은 전류 구동력, 즉 큰 온 전류 및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를 얻을 수 있다.
즉, CAC-OS 또는 CAC-metal oxide는 매트릭스 복합재(matrix composite) 또는 금속 매트릭스 복합재(metal matrix composite)라고 부를 수도 있다.
CAC-OS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을 구성하는 원소가 0.5nm 이상 1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nm 이상 2nm 이하, 또는 그 근방의 크기로 편재한 재료의 한 구성이다. 또한 아래에서는 금속 산화물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원소가 편재하고, 상기 금속 원소를 가지는 영역이 0.5nm 이상 1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nm 이상 2nm 이하, 또는 그 근방의 크기로 혼합된 상태를 모자이크 패턴 또는 패치 패턴이라고도 한다.
또한 금속 산화물은 적어도 인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듐 및 아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에 더하여 알루미늄, 갈륨, 이트륨, 구리, 바나듐, 베릴륨,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및 마그네슘 등에서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가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In-Ga-Zn 산화물에서의 CAC-OS(CAC-OS 중에서도 In-Ga-Zn 산화물을 특히 CAC-IGZO라고 불러도 좋음)란 인듐 산화물(이후, InOX1(X1은 0보다 큰 실수임)로 함)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이후, InX2ZnY2OZ2(X2, Y2, 및 Z2는 0보다 큰 실수임)로 함)과, 갈륨 산화물(이후, GaOX3(X3은 0보다 큰 실수임)으로 함) 또는 갈륨 아연 산화물(이후, GaX4ZnY4OZ4(X4, Y4, 및 Z4는 0보다 큰 실수임)로 함) 등으로 재료가 분리됨으로써 모자이크 패턴이 되고, 모자이크 패턴의 InOX1 또는 InX2ZnY2OZ2가 막 내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성(이후, 클라우드상이라고도 함)이다.
즉 CAC-OS는 GaOX3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이 혼합된 구성을 가지는 복합 금속 산화물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제 1 영역의 원소 M에 대한 In의 원자수비가 제 2 영역의 원소 M에 대한 In의 원자수비보다 큰 것을 "제 1 영역은 제 2 영역과 비교하여 In의 농도가 높다"라고 한다.
또한 IGZO는 통칭이며, In, Ga, Zn, 및 O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화합물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InGaO3(ZnO)m1(m1은 자연수임) 또는 In(1+x0)Ga(1-x0)O3(ZnO)m0(-1≤x0≤1, m0은 임의의 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결정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화합물은 단결정 구조, 다결정 구조, 또는 CAAC(c-axis aligned crystal) 구조를 가진다. 또한 CAAC 구조란 복수의 IGZO의 나노 결정이 c축 배향을 가지고 또한 a-b면에서는 배향하지 않고 연결된 결정 구조이다.
한편, CAC-OS는 금속 산화물의 재료 구성에 관한 것이다. CAC-OS란 In, Ga, Zn, 및 O를 포함한 재료 구성에서, 일부에 Ga을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과, 일부에 In을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이 각각 모자이크 패턴으로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따라서 CAC-OS에서 결정 구조는 부차적인 요소이다.
또한 CAC-OS는 조성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막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In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과, Ga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GaOX3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에서는 명확한 경계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갈륨 대신에 알루미늄, 이트륨, 구리, 바나듐, 베릴륨,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및 마그네슘 등에서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CAC-OS는 일부에 상기 금속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과, 일부에 In을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이 각각 모자이크상으로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CAC-OS는 예를 들어 기판을 의도적으로 가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CAC-OS를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성막 가스로서 불활성 가스(대표적으로는 아르곤),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성막 시의 성막 가스의 총유량에 대한 산소 가스의 유량비는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산소 가스의 유량비를 0% 이상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C-OS는 X선 회절(XRD: X-ray diffraction) 측정법의 하나인 Out-of-plane법에 의한 θ/2θ 스캔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명확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즉 X선 회절에 의한 해석 결과로부터 측정 영역의 a-b면 방향 및 c축 방향의 배향은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AC-OS는 프로브 직경이 1nm인 전자선(나노 빔 전자선이라고도 함)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자선 회절 패턴에서, 링 형상으로 휘도가 높은 영역(링 영역)이 관측되고, 상기 링 영역에 복수의 휘점이 관측된다. 따라서, 전자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CAC-OS의 결정 구조가 평면 방향 및 단면 방향에서 배향성을 가지지 않는 nc(nano-crystal) 구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In-Ga-Zn 산화물에서의 CAC-OS에서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을 사용하여 취득한 EDX 매핑으로부터, GaOX3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이 편재하고 혼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AC-OS는 금속 원소가 균일하게 분포된 IGZO 화합물과는 상이한 구조이고, IGZO 화합물과 상이한 성질을 가진다. 즉, CAC-OS는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으로 서로 상분리(相分離)되고, 각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영역이 모자이크상인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은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과 비교하여 도전성이 높은 영역이다. 즉,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을 캐리어가 흐름으로써, 산화물 반도체로서의 도전성이 발현된다. 따라서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이 산화물 반도체 내에 클라우드상으로 분포됨으로써,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μ)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은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과 비교하여 절연성이 높은 영역이다. 즉,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이 산화물 반도체 내에 분포됨으로써 누설 전류가 억제되어 양호한 스위칭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CAC-OS를 반도체 소자에 사용한 경우, GaOX3 등에 기인하는 절연성과, InX2ZnY2OZ2 또는 InOX1에 기인하는 도전성이 상보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높은 온 전류(Ion) 및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CAC-OS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는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CAC-OS는 표시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반도체 장치에 최적이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1의 (B-1) 내지 (B-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투영도이다.
<표시 장치의 구성예>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장치는 제어부(238)와 표시 패널(700)을 가진다(도 11의 (A) 참조).
<<제어부(238)의 구성예>>
제어부(238)는 화상 정보(V1) 및 제어 정보(CI)를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클럭 신호 또는 타이밍 신호 등을 제어 정보(CI)에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38)는 화상 정보(V1)에 기초하여 정보(V11)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CI)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SP)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38)는 정보(V11) 및 제어 신호(SP)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정보(V11)는 8bit 이상, 바람직하게는 12bit 이상의 계조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동 회로에 사용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클럭 신호 또는 스타트 펄스 등을 제어 신호(SP)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38)는 제어 회로(233), 압축해제(decompression) 회로(234), 및 화상 처리 회로(235)를 가진다.
<<제어 회로(233)>>
제어 회로(233)는 제어 신호(SP)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어 회로(233)는 제어 신호(SP)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클럭 신호 또는 타이밍 신호 등을 제어 신호(SP)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를 제어 회로(233)에 사용할 수 있다.
<<압축해제 회로(234)>>
압축해제 회로(234)는 압축된 상태로 공급되는 화상 정보(V1)를 푸는 기능을 가진다. 압축해제 회로(234)는 기억부를 가진다. 기억부는 예를 들어 풀어진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상 처리 회로(235)>>
화상 처리 회로(235)는 예를 들어 기억 영역을 가진다. 기억 영역은 예를 들어 화상 정보(V1)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상 처리 회로(235)는 예를 들어 소정의 특성 곡선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V1)를 보정하여 정보(V11)를 생성하는 기능과, 정보(V11)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표시 패널의 구성예>>
표시 패널(700)은 정보(V11) 및 제어 신호(SP)를 공급받는다.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SP)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화소(702(i,j))는 정보(V11)에 기초하여 표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SD)는 제어 신호(SP) 및 정보(V11)를 공급받고,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구동 회로(GD)는 제어 신호(SP)를 공급받고, 제 1 선택 신호 및 제 2 선택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신호(SP)를 사용함으로써 구동 회로(SD)의 동작과 구동 회로(GD)의 동작을 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33)를 표시 패널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지드 기판에 실장된 제어 회로(233)를 표시 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지드 기판에 실장된 제어 회로(233)를, 플렉시블 인쇄 기판을 사용하여 구동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표시 소자를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 시스템(도 11의 (B-1) 참조), 영상 모니터(도 11의 (B-2) 참조), 또는 노트북형 컴퓨터(도 11의 (B-3) 참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출력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입출력 장치의 구성예>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입출력 장치는 입력부(240)와 표시부(230)를 가진다(도 12 참조).
<<표시부(230)>>
예를 들어 실시형태 1에 기재된 표시 패널(700)을 표시부(230)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40) 및 표시부(230)를 가지는 구성의 패널을 입출력 패널(700TP)이라고 할 수 있다.
<<입력부(240)의 구성예 1.>>
입력부(240)는 검지 영역(241)을 가진다. 입력부(240)는 검지 영역(241)에 근접하는 것을 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검지 영역(241)은 화소(702(i,j))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표시부를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하면서, 표시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근접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에 근접시키는 손가락 등을 포인터로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와 관련지을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240)의 구성예 2.>>
입력부(240)는 발진 회로(OSC) 및 검지 회로(DC)를 가질 수 있다(도 12 참조).
<<검지 영역(241)>>
검지 영역(241)은 예를 들어 단수 또는 복수의 검지 소자를 가진다.
검지 영역(241)은 일군의 검지 소자(775(g,1) 내지 775(g,q))와, 다른 일군의 검지 소자(775(1,h) 내지 775(p,h))를 가진다. 또한 g는 1 이상 p 이하의 정수이고, h는 1 이상 q 이하의 정수이고, p 및 q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일군의 검지 소자(775(g, 1) 내지 775(g, q))는 검지 소자(775(g, h))를 포함하고, 행 방향(도면에서 화살표(R2)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화살표(R2)로 나타낸 방향은 화살표(R1)로 나타낸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어도 좋고, 상이한 방향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일군의 검지 소자(775(1, h) 내지 775(p, h))는 검지 소자(775(g, h))를 포함하고, 행 방향과 교차하는 열 방향(도면에서 화살표(C2)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치된다.
<<검지 소자>>
검지 소자는 근접하는 포인터를 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인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편 또는 코일 등을 스타일러스 펜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 전자 유도 방식의 근접 센서, 광학 방식의 근접 센서, 저항막 방식의 근접 센서 등을 검지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식의 검지 소자를 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검지하는 검지 소자와 스타일러스 펜을 검지하는 검지 소자를 병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포인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판별한 포인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이한 명령을 검지 정보와 관련지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이 포인터로서 사용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검지 정보를 제스처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포인터로서 사용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검지 정보를 묘화 처리와 관련지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용량 방식 또는 광학 방식의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손가락을 검지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유도 방식 또는 광학 방식의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의 (B) 및 (C)는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설명하는 투영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프로그램의 주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4의 (B)는 인터럽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프로그램의 인터럽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5의 (B)는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5의 (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1.>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연산 장치(210)와 입출력 장치(220)를 가진다(도 13의 (A) 참조). 또한 입출력 장치는 연산 장치(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도 13의 (B) 또는 (C) 참조).
<<연산 장치(210)의 구성예 1.>>
연산 장치(210)는 입력 정보(II) 또는 검지 정보(DS)를 공급받는다. 연산 장치(210)는 제어 정보(CI) 및 화상 정보(V1)를 공급한다.
연산 장치(210)는 연산부(211) 및 기억부(212)를 가진다. 또한 연산 장치(210)는 전송로(214)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5)를 가진다.
전송로(214)는 연산부(211), 기억부(21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연산부(211)>>
연산부(211)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억부(212)>>
기억부(212)는 예를 들어 연산부(2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초기 정보, 설정 정보, 또는 화상 등을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기억부(212)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 전송로(214)>>
입출력 인터페이스(215)는 단자 또는 배선을 가지고, 정보를 공급하고, 정보를 공급받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송로(2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송로(214)는 배선을 가지고, 정보를 공급하고, 정보를 공급받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연산부(211), 기억부(212),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20)의 구성예>>
입출력 장치(220)는 입력 정보(II) 및 검지 정보(DS)를 공급한다. 입출력 장치(220)는 제어 정보(CI) 및 화상 정보(V1)를 공급받는다(도 13의 (A) 참조).
예를 들어 키보드의 스캔 코드, 위치 정보, 버튼의 조작 정보, 음성 정보, 또는 화상 정보 등을 입력 정보(II)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사용되는 환경 등의 조도 정보, 자세 정보, 가속도 정보, 방위 정보, 압력 정보,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 등을 검지 정보(DS)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정보(V1)를 표시하는 휘도를 제어하는 신호, 채도를 제어하는 신호, 색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 정보(CI)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화상 정보(V1)의 일부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신호를 제어 정보(CI)에 사용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20)는 표시부(230), 입력부(240), 및 검지부(250)를 가진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하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어 정보(CI)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V1)를 표시한다.
입력부(240)는 입력 정보(II)를 생성한다.
검지부(250)는 검지 정보(DS)를 생성한다.
<<표시부(230)>>
표시부(230)는 화상 정보(V1)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표시부(230)는 제어 정보(CI)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표시부(230)는 제어부(238)와, 구동 회로(GD)와, 구동 회로(SD)와, 표시 패널(700)을 가진다(도 11 참조). 예를 들어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를 표시부(230)에 사용할 수 있다.
<<입력부(240)>>
입력부(240)는 위치 정보(P1)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양한 휴먼 인터페이스 등을 입력부(240)에 사용할 수 있다(도 13의 (A) 참조).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 센서, 마이크로폰, 또는 카메라 등을 입력부(240)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는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230) 및 표시부(230)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는 터치 센서를 가지는 입출력 장치를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패널에 접촉된 손가락을 포인터로서 사용하여 다양한 제스처(탭, 드래그, 스와이프, 또는 핀치인 등)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 장치(210)는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또는 궤적 등의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킬 때, 소정의 제스처가 공급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특정의 제스처와 미리 관련지은 소정의 조작 명령을 상기 제스처를 사용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사용자는 화상 정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스크롤 명령"을, 터치 패널을 따라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손가락을 이동하는 제스처를 사용하여 공급할 수 있다.
<<검지부(250)>>
검지부(250)는 검지 정보(DS)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검지부(25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사용되는 환경의 조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조도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검지부(250)는 주위의 상태를 검지하여 검지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조도 정보, 자세 정보, 가속도 정보, 방위 정보, 압력 정보,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검출기, 자세 검출기, 가속도 센서, 방위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회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검지부(250)에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290)>>
통신부(290)는 네트워크에 정보를 공급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하우징>>
또한 하우징은 입출력 장치(220) 또는 연산 장치(210)를 수납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는, 하우징은 표시부(230) 또는 연산 장치(21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정보 처리 장치의 하우징이 받는 광의 강도를 파악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용자는 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 또는 신뢰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이 다른 구성을 겸하는 경우나 다른 구성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표시 패널과 중첩된 터치 패널은 표시부임과 동시에 입력부이기도 하다.
<<연산 장치(210)의 구성예 2.>>
연산 장치(210)는 인공 지능부(213)를 가진다(도 13의 (A) 참조).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 또는 검지 정보(DS)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CI)를 생성한다.
[입력 정보(II)에 대한 자연 언어 처리]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를 자연 언어 처리하여 입력 정보(II) 전체에서 하나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에 담긴 감정 등을 추론하고, 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특징에 적합하다고 느껴지는 색채, 모양, 또는 서체 등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지능부(213)는 글씨의 색, 모양 또는 서체를 지정하는 정보, 배경의 색 또는 모양을 지정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CI)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를 자연 언어 처리하여 입력 정보(II)에 포함되는 일부의 언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부(213)는 문법적인 오류, 사실 오인 또는 감정을 포함하는 표현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지능부(213)는 추출한 일부를 다른 일부와는 상이한 색채, 모양 또는 서체 등으로 표시하는 제어 정보(CI)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정보(II)에 대한 화상 처리]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를 화상 처리하여 입력 정보(II)에서 하나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의 화상이 촬영된 연대, 옥내 또는 옥외, 낮 또는 밤 등을 추론하고, 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특징에 적합하다고 느껴지는 색조를 추론하고, 상기 색조를 표시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짙음과 옅음의 표현에 사용하는 색(예를 들어, 풀 컬러, 흑백, 또는 다갈색 등)을 지정하는 정보를 제어 정보(CI)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부(213)는 입력 정보(II)를 화상 처리하여 입력 정보(II)에 포함되는 일부의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한 화상의 일부와 추출한 다른 일부 사이에 경계를 표시하는 제어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출한 화상의 일부를 둘러싸는 직사각형을 표시하는 제어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검지 정보(DS)를 사용하는 추론]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부(213)는 검지 정보(DS)를 정보(IN)에 사용하여 추론(RI)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추론(RI)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의 사용자가 쾌적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제어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의 조도 등에 기초하여, 인공 지능부(213)는 표시의 밝기가 쾌적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표시의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인공 지능부(213)는 환경 소음 등에 기초하여, 소리의 크기가 쾌적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음량을 조정하는 제어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가 가지는 제어부(238)에 공급하는 클럭 신호 또는 타이밍 신호 등을 제어 정보(CI)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40)에 공급하는 클럭 신호 또는 타이밍 신호 등을 제어 정보(CI)에 사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3.>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그램>>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프로그램은 아래의 단계를 가진다(도 14의 (A) 참조).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설정을 초기화한다(도 14의 (A)의 (S1) 참조).
예를 들어 기동할 때 표시되는 소정의 화상 정보와, 상기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모드와, 상기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표시 방법을 특정하는 정보를 기억부(212)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정지 화상 정보 또는 다른 동영상 정보를 소정의 화상 정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를 소정의 모드에 사용할 수 있다.
[제 2 단계]
제 2 단계에서, 인터럽트 처리를 허가한다(도 14의 (A)의 (S2) 참조). 또한 인터럽트 처리가 허가된 연산 장치는, 주된 처리와 병행하여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터럽트 처리로부터 주된 처리로 복귀한 연산 장치는, 인터럽트 처리로 얻은 결과를 주된 처리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의 값이 초깃값일 때 연산 장치에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시키고, 인터럽트 처리로부터 복귀할 때 카운터를 초깃값 이외의 값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프로그램을 기동한 후에 항상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시킬 수 있다.
[제 3 단계]
제 3 단계에서, 제 1 단계 또는 인터럽트 처리에서 선택된, 소정의 모드 또는 소정의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한다(도 14의 (A)의 (S3) 참조). 또한 소정의 모드는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를 특정하고, 소정의 표시 방법은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특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화상 정보(V1)를 표시하는 정보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정보(V1)를 표시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 1 모드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는, 화상 정보(V1)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을 제 2 모드와 관련지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에 따라 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모드>>
구체적으로는 30Hz 이상, 바람직하게는 60Hz 이상의 빈도로 하나의 주사선에 선택 신호를 공급하고, 선택 신호에 따라 표시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 1 모드와 관련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30Hz 이상, 바람직하게는 60Hz 이상의 빈도로 선택 신호를 공급하면, 동영상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Hz 이상, 바람직하게는 60Hz 이상의 빈도로 화상을 갱신하면, 사용자의 조작을 매끄럽게 따르도록 변화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조작 중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2 모드>>
구체적으로는 30Hz 미만, 바람직하게는 1Hz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분에 1회 미만의 빈도로 하나의 주사선에 선택 신호를 공급하고, 선택 신호에 따라 표시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 2 모드와 관련지을 수 있다.
30Hz 미만, 바람직하게는 1Hz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분에 1회 미만의 빈도로 선택 신호를 공급하면, 플리커 또는 깜박거림이 억제된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를 시계에 사용하는 경우, 1초에 1회의 빈도 또는 1분에 1회의 빈도 등으로 표시를 갱신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발광 소자를 표시 소자에 사용하는 경우, 발광 소자를 펄스형으로 발광시켜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소자를 펄스형으로 발광시켜 그 잔광을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EL 소자는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는, 발열이 억제되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제 4 단계]
제 4 단계에서, 종료 명령이 공급된 경우에는 제 5 단계로 진행하고, 종료 명령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 단계로 진행하도록 선택한다(도 14의 (A)의 (S4) 참조).
판단하는 데 있어 예를 들어 인터럽트 처리에서 공급된 종료 명령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 5 단계]
제 5 단계에서 종료한다(도 14의 (A)의 (S5) 참조).
<<인터럽트 처리>>
인터럽트 처리는 다음의 제 6 단계 내지 제 8 단계를 가진다(도 14의 (B) 참조).
[제 6 단계]
제 6 단계에서, 예를 들어 검지부(250)를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가 사용되는 환경의 조도를 검출한다(도 14의 (B)의 (S6) 참조). 또한 환경의 조도 대신에 환경 광의 색 온도나 색도를 검출하여도 좋다.
[제 7 단계]
제 7 단계에서, 검출된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방법을 결정한다(도 14의 (B)의 (S7) 참조). 예를 들어 표시의 밝기는 지나치게 어둡게 되지 않도록, 또는 지나치게 밝게 되지 않도록 결정한다.
또한 제 6 단계에서 환경 광의 색 온도나 환경 광의 색도를 검출한 경우에는 표시의 색조를 조절하여도 좋다.
[제 8 단계]
제 8 단계에서, 인터럽트 처리를 종료한다(도 14의 (B)의 (S8) 참조).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3.>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4의 (B)에 나타낸 인터럽트 처리와는 상이한 인터럽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3은 공급된 소정의 이벤트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인터럽트 처리에 가지는 점에서, 도 14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 인터럽트 처리와는 상이하다.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같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원용한다.
<<인터럽트 처리>>
인터럽트 처리는 다음의 제 6 단계 내지 제 8 단계를 가진다(도 15의 (A) 참조).
[제 6 단계]
제 6 단계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공급된 경우에는 제 7 단계로 진행하고, 소정의 이벤트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8 단계로 진행한다(도 15의 (A)의 (U6) 참조). 예를 들어 소정의 기간에 소정의 이벤트를 공급받았는지 여부를 조건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5초 이하, 1초 이하, 또는 0.5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초 이하이며, 0초보다 긴 기간을 소정의 기간으로 할 수 있다.
[제 7 단계]
제 7 단계에서, 모드를 변경한다(도 15의 (A)의 (U7) 참조). 구체적으로는 제 1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제 2 모드를 선택하고, 제 2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제 1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30)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회로(GDA), 구동 회로(GDB) 및 구동 회로(GDC)를 가지는 표시부(230)의 하나의 구동 회로가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영역에 대하여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도 15의 (B) 참조).
예를 들어 구동 회로(GDB)가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있는 입력부(240)에 소정의 이벤트가 공급된 경우에 구동 회로(GDB)가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영역의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도 15의 (B) 및 (C) 참조). 구체적으로는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에 공급하는 "탭" 이벤트에 따라 구동 회로(GDB)가 공급하는 선택 신호의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신호(GCLK)는 구동 회로(GDB)의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고, 신호(PWC1) 및 신호(PWC2)는 구동 회로(GDB)의 동작을 제어하는 펄스 폭 제어 신호이다. 구동 회로(GDB)는 신호(GCLK), 신호(PWC1), 및 신호(PWC2) 등에 기초하여 선택 신호를 주사선(G1(m+1)) 내지 주사선(G1(2m))에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구동 회로(GDA) 및 구동 회로(GDC)가 선택 신호를 공급하지 않고, 구동 회로(GDB)가 선택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GDA) 및 구동 회로(GDC)가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영역의 표시를 변화시키지 않고, 구동 회로(GDB)가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영역의 표시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가 소비하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 8 단계]
제 8 단계에서, 인터럽트 처리를 종료한다(도 15의 (A)의 (U8) 참조). 또한 주된 처리를 실행하는 기간에 인터럽트 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도 좋다.
<<소정의 이벤트>>
예를 들어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공급하는 "클릭"이나 "드래그" 등의 이벤트, 손가락 등을 포인터로 사용하여 터치 패널에 공급하는 "탭",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등의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포인터로 가리키는 슬라이드 바의 위치, 스와이프의 속도, 드래그의 속도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은 명령의 인수(arguments)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지부(250)가 검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이벤트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에 눌러 넣을 수 있도록 배치된 버튼 등과 접촉되는 감압 검지기 등을 검지부(25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짓는 명령>>
예를 들어 종료 명령을 특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되어 있는 하나의 화상 정보로부터 다른 화상 정보로 표시를 전환하는 "페이지 넘김 명령"을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넘김 명령"을 실행할 때에 사용되는 페이지를 넘기는 속도 등을 결정하는 인수를 소정의 이벤트를 사용하여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상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 그 부분에 연속되는 다른 부분을 표시시키는 "스크롤 명령" 등을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스크롤 명령"을 실행할 때에 사용되는 표시를 이동시키는 속도 등을 결정하는 인수를 소정의 이벤트를 사용하여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방법을 설정하는 명령 또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 등을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생성하는 화상의 밝기를 결정하는 인수를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생성하는 화상의 밝기를 결정하는 인수를, 검지부(250)가 검지하는 환경의 밝기에 기초하여 결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푸시형 서비스를 사용하여 배신되는 정보를 통신부(290)를 사용하여 취득하는 명령 등을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정보를 취득하는 자격의 유무를, 검지부(250)가 검지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판단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교실, 학교, 회의실, 기업, 건물 등의 내부 또는 영역에 있는 경우에, 정보를 취득하는 자격을 가진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학교 또는 대학 등의 교실에서 배신되는 교재를 수신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를 교과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도 13의 (C) 참조). 또는, 기업 등의 회의실에서 배신되는 자료를 수신하여 회의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6의 (B) 내지 (E)는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의 (A) 내지 (E)는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5200B)는 연산 장치(5210)와 입출력 장치(5220)를 가진다(도 16의 (A) 참조).
연산 장치(5210)는 조작 정보를 공급받는 기능을 가지고,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입출력 장치(5220)는 표시부(5230), 입력부(5240), 검지부(5250), 통신부(5290)를 가지고, 조작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 및 화상 정보를 공급받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입출력 장치(5220)는 검지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 통신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 및 통신 정보를 공급받는 기능을 가진다.
입력부(5240)는 조작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입력부(5240)는 정보 처리 장치(5200B)의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키보드, 하드웨어 버튼, 포인팅 디바이스, 터치 센서, 조도 센서, 촬상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시선 입력 장치, 자세 검출 장치 등을 입력부(5240)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230)는 표시 패널을 가지고,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을 표시부(5230)에 사용할 수 있다.
검지부(5250)는 검지 정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주변의 환경을 검지하고, 검지 정보로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조도 센서, 촬상 장치, 자세 검출 장치, 압력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등을 검지부(5250)에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5290)는 통신 정보를 공급받는 기능 및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전자 기기 또는 통신망과 접속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구내 통신, 전화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진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1.>>
예를 들어, 원통상의 기둥 등을 따르는 외형을 표시부(5230)에 적용할 수 있다(도 16의 (B) 참조). 또한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고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로써, 예를 들어, 건물의 기둥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광고 또는 안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포인터의 궤적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6의 (C) 참조). 구체적으로는, 대각선의 길이가 20인치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인치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5인치 이상인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배치하여 하나의 표시 영역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배치하여 멀티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전자 칠판, 전자 게시판, 전자 간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3.>>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6의 (D) 참조). 이로써,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맑은 날씨의 옥외 등 외광이 강한 환경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워치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4.>>
표시부(5230)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완만하게 휘는 곡면을 가진다(도 16의 (E) 참조). 또는, 표시부(5230)는 표시 패널을 가지고, 표시 패널은 예를 들어, 앞면, 측면, 및 상면에 표시를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앞면뿐만 아니라 측면 및 상면에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5.>>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7의 (A) 참조). 이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맑은 날씨의 옥외 등 외광이 강한 환경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6.>>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7의 (B) 참조). 이에 의하여, 날씨가 맑은 날에 옥내에 비치는 강한 외광이 닿아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텔레비전 시스템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7.>>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7의 (C) 참조).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맑은 날씨의 옥외 등 외광이 강한 환경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태블릿 컴퓨터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8.>>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7의 (D) 참조).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맑은 날씨의 옥외 등 외광이 강한 환경에서도 적합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에 피사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9.>>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조도에 따라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도 17의 (E) 참조).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맑은 날씨의 옥외 등 외광이 강한 환경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퍼스널 컴퓨터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등에서, X와 Y가 접속된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된 경우에는,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와,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와, X와 Y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가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소정의 접속 관계, 예를 들어, 도면 또는 문장에 나타낸 접속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 또는 문장에 나타낸 접속 관계 이외의 것도 도면 또는 문장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X, Y는 대상물(예를 들어, 장치, 소자, 회로, 배선, 전극, 단자, 도전막, 층 등)인 것으로 한다.
X와 Y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X와 Y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소자(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인덕터, 저항 소자,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발광 소자, 부하 등)가 X와 Y 사이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이며, X와 Y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소자(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인덕터, 저항 소자,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발광 소자, 부하 등)를 통하지 않고, X와 Y가 접속되는 경우이다.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X와 Y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소자(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 용량 소자, 인덕터, 저항 소자,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발광 소자, 부하 등)가 X와 Y 사이에 1개 이상 접속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스위치는 온 오프가 제어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스위치는 도통 상태(온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오프 상태)가 되어, 전류를 흘릴지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는, 스위치는 전류를 흘리는 경로를 선택하여 전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X와 Y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X와 Y를 기능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회로(예를 들어, 논리 회로(인버터, NAND 회로, NOR 회로 등), 신호 변환 회로(DA 변환 회로, AD 변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등), 전위 레벨 변환 회로(전원 회로(승압 회로, 강압 회로 등), 신호의 전위 레벨을 바꾸는 레벨시프터 회로 등), 전압원, 전류원, 전환 회로, 증폭 회로(신호 진폭 또는 전류량 등을 크게 할 수 있는 회로, 연산 증폭기, 차동 증폭 회로, 소스 폴로어 회로, 버퍼 회로 등), 신호 생성 회로, 기억 회로, 제어 회로 등)가 X와 Y 사이에 1개 이상 접속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X와 Y 사이에 다른 회로를 개재(介在)하여도 X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Y로 전달되는 경우는 X와 Y는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X와 Y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와,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된 경우에는,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즉, X와 Y 사이에 다른 소자 또는 다른 회로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경우),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즉, X와 Y 사이에 다른 회로를 개재하여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및 X와 Y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즉, X와 Y 사이에 다른 소자 또는 다른 회로를 개재하지 않고, 접속되는 경우)가,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전기적으로 접속된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된 경우에는, 단순히, 접속된다고만 명시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같은 내용이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가 Z1을 통하여(또는 통하지 않고)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이 Z2를 통하여(또는 통하지 않고)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나,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가 Z1의 일부와 직접 접속되고, Z1의 다른 일부가 X와 직접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이 Z2의 일부와 직접 접속되고, Z2의 다른 일부가 Y와 직접 접속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와 Y와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X,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Y의 순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X,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Y는 이 순서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X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을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X,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Y는 이 접속 순서로 제공된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들 예와 같은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회로 구성에서의 접속 순서에 대하여 규정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을 구별하여 기술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표현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적어도 제 1 접속 경로를 통하여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속 경로는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2 접속 경로는 트랜지스터를 통한,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 사이의 경로이고, 상기 제 1 접속 경로는 Z1을 통한 경로이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적어도 제 3 접속 경로를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접속 경로는 상기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3 접속 경로는 Z2를 통한 경로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적어도 제 1 접속 경로에 의하여, Z1을 통하여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속 경로는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2 접속 경로는 트랜지스터를 통한 접속 경로를 가지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적어도 제 3 접속 경로에 의하여, Z2를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접속 경로는 상기 제 2 접속 경로를 가지지 않는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는 적어도 제 1 전기적 경로에 의하여, Z1을 통하여 X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기적 경로는 제 2 전기적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2 전기적 경로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로부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으로의 전기적 경로이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은 적어도 제 3 전기적 경로에 의하여, Z2를 통하여 Y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전기적 경로는 제 4 전기적 경로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 4 전기적 경로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으로부터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로의 전기적 경로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들 예와 같은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회로 구성에서의 접속 경로에 대하여 규정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제 1 단자 등)와 드레인(또는 제 2 단자 등)을 구별하여 기술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현 방법은 일례이며, 이들 표현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X, Y, Z1, Z2는 대상물(예를 들어, 장치, 소자, 회로, 배선, 전극, 단자, 도전막, 층 등)인 것으로 한다.
또한 회로도상 독립된 구성 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배선의 일부가 전극으로서도 기능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도전막이 배선 및 전극 양쪽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전기적 접속은 이와 같은 하나의 도전막이 복수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도 그 범주에 포함한다.
ANO: 도전막, C21: 용량 소자, CI: 제어 정보, DS: 검지 정보, G1(i): 주사선, G2(i): 배선, GCLK: 신호, GDA: 구동 회로, GDB: 구동 회로, GDC: 구동 회로, GD: 구동 회로, II: 입력 정보, IN: 정보, S1(j): 신호선, S2(j): 보조 신호선, SD: 구동 회로, SP: 제어 신호, SW2: 스위치, P1: 위치 정보, PWC1: 신호, PWC2: 신호, V1: 화상 정보, V11: 정보, VCOM2: 도전막, 200: 정보 처리 장치, 210: 연산 장치, 211: 연산부, 212: 기억부, 213: 인공 지능부, 214: 전송로, 215: 입출력 인터페이스, 220: 입출력 장치, 230: 표시부, 231: 표시 영역, 233: 제어 회로, 234: 압축해제 회로, 235: 화상 처리 회로, 238: 제어부, 240: 입력부, 241: 검지 영역, 248: 제어부, 250: 검지부, 270: 입력부, 290: 통신부, 501C: 절연막, 504: 도전막, 506: 절연막, 508: 반도체막, 510: 기재, 512A: 도전막, 512B: 도전막, 516: 절연막, 518: 절연막, 519C: 단자, 520A: 기능층, 520B: 기능층, 521: 절연막, 521B: 절연막, 528: 절연막, 530: 화소 회로, 550: 표시 소자, 551: 전극, 552: 전극, 553(j): 발광성 재료를 포함한 층, 591A: 접속부, 591C(i,y): 접속부, 591D(j): 접속부, 700: 표시 패널, 700TP: 입출력 패널, 702: 화소, 720: 기능층, 770: 기재, 770P: 기능막, 771: 절연막, 775: 검지 소자, 5200B: 정보 처리 장치, 5210: 연산 장치, 5220: 입출력 장치, 5230: 표시부, 5240: 입력부, 5250: 검지부, 5290: 통신부

Claims (10)

  1. 표시 패널로서,
    표시 영역과,
    제 1 기능층과,
    제 2 기능층과,
    제 1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영역은 화소를 가지고,
    상기 화소는 표시 소자 및 화소 회로를 가지고,
    상기 제 1 기능층은 상기 화소 회로 및 주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화소 회로는 상기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기능층은 제 1 기능층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 2 기능층은 구동 회로 및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표시 소자와의 사이에 상기 화소 회로를 끼우도록 제공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 1 기능층은 신호선, 보조 신호선, 및 제 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은 상기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신호선은 상기 제 2 접속부에서 상기 보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보조 신호선은 다른 신호선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보조 신호선은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제 1 주사선 및 제 2 주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사선은 상기 제 1 주사선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제 1 신호선 및 제 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선은 상기 제 1 신호선보다 적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일군의 화소 및 다른 일군의 화소를 가지고,
    상기 일군의 화소는 상기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일군의 화소는 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일군의 화소는 상기 주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다른 일군의 화소는 상기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일군의 화소는 행 방향과 교차하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다른 일군의 화소는 상기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군의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일군의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선은 상기 일군의 접속부에서 상기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패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도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주사선(G1(i))과 상기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8. 표시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패널과,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에는 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가 공급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는 상기 정보 및 상기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9. 입출력 장치로서,
    입력부 및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부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가지고,
    상기 입력부는 검지 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지 영역에 근접하는 것을 검지하고,
    상기 검지 영역은 상기 화소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는, 입출력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로서,
    키보드, 하드웨어 버튼, 포인팅 디바이스, 터치 센서, 조도 센서, 촬상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시선 입력 장치, 자세 검출 장치 중 하나 이상과,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207023281A 2018-01-30 2019-01-17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KR20200115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3242 2018-01-30
JPJP-P-2018-013242 2018-01-30
PCT/IB2019/050369 WO2019150210A1 (ja) 2018-01-30 2019-01-17 表示パネル、表示装置、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533A true KR20200115533A (ko) 2020-10-07

Family

ID=6747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281A KR20200115533A (ko) 2018-01-30 2019-01-17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42679B2 (ko)
JP (2) JP7217240B2 (ko)
KR (1) KR20200115533A (ko)
CN (2) CN111656428B (ko)
TW (3) TWI814689B (ko)
WO (1) WO2019150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2209A1 (zh) * 2019-07-24 2021-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
CN112542484A (zh) 2019-09-20 2021-03-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1082A1 (en) 2000-09-07 2002-06-13 Hiroyuki Okita Display device
US20160300853A1 (en) 2015-04-06 2016-10-13 Semicondud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82378A (en) 1976-08-05 1980-07-22 Thomas A. Brown Abuttable light-emitting device modules for graphic display assemblies
JP2000206565A (ja) 1999-01-14 2000-07-28 Sony Corp 表示装置用半導体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608614B2 (ja) * 2001-03-28 2005-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4660963B2 (ja) 2001-05-09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電気的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4462981B2 (ja) * 2004-03-29 2010-05-1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該基板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WO2007032313A1 (ja) 2005-09-16 2007-03-22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8062575A (ja) 2006-09-08 2008-03-21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および記録装置
CN101536064B (zh) * 2006-11-21 2011-06-15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4386128B2 (ja) 2007-11-15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5901007B2 (ja) * 2011-09-12 2016-04-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40011574A (ko) * 2012-07-17 2014-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318999B1 (ja) 2012-08-24 2013-10-16 四国装備株式会社 荷台の幌装置
JP2015194515A (ja) 2014-03-31 2015-11-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191344B2 (en) 2014-11-21 2019-01-29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102271115B1 (ko) * 2015-02-13 2021-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7068454A1 (en) * 2015-10-23 2017-04-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WO2017103737A1 (en) 2015-12-18 2017-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input/output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US10490122B2 (en) 2016-02-2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885363B (zh) 2016-03-30 2021-05-28 夏普株式会社 液晶面板的制造方法
TW201742437A (zh) * 2016-04-28 2017-12-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輸入/輸出裝置、資料處理裝置及顯示方法
CN107403804B (zh) * 2016-05-17 2020-10-3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US20170338252A1 (en) 2016-05-17 2017-11-23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10529745B2 (en) 2016-07-05 2020-01-07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10217416B2 (en) 2016-07-05 2019-02-26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07579075B (zh) * 2016-07-05 2020-11-2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80090936A (ko) * 2017-02-03 2018-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1082A1 (en) 2000-09-07 2002-06-13 Hiroyuki Okita Display device
US20160300853A1 (en) 2015-04-06 2016-10-13 Semicondud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5497A1 (en) 2021-02-04
TWI814689B (zh) 2023-09-01
CN117153057A (zh) 2023-12-01
TW202403715A (zh) 2024-01-16
US20240112629A1 (en) 2024-04-04
CN111656428B (zh) 2023-08-04
JPWO2019150210A1 (ja) 2021-03-04
CN111656428A (zh) 2020-09-11
JP7217240B2 (ja) 2023-02-02
TWI799495B (zh) 2023-04-21
WO2019150210A1 (ja) 2019-08-08
US11842679B2 (en) 2023-12-12
JP2023052567A (ja) 2023-04-11
TW201937474A (zh) 2019-09-16
TW202331689A (zh)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1178B2 (ja) 機能パネル
JP7433406B2 (ja) 表示パネル
JP2023052567A (ja) 表示パネル
JP2023139059A (ja) 表示パネル
KR20210002009A (ko) 기능 패널,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JP2022169661A (ja) 表示装置
JP2024032708A (ja) 表示装置
JP2023080135A (ja) 表示パネル
WO2019234555A1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
WO2020003056A1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
WO2020031018A1 (ja) 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
KR20240060692A (ko) 표시 패널,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