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605A -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605A
KR20200114605A KR1020190036632A KR20190036632A KR20200114605A KR 20200114605 A KR20200114605 A KR 20200114605A KR 1020190036632 A KR1020190036632 A KR 1020190036632A KR 20190036632 A KR20190036632 A KR 20190036632A KR 20200114605 A KR20200114605 A KR 2020011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n
push pin
spring
ej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898B1 (ko
Inventor
조재홍
Original Assignee
조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홍 filed Critical 조재홍
Priority to KR102019003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8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턴핀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형성하여 제품 성형 후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금형이 형개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승하면서 이젝터 플레이트 상측에 연결된 리턴핀 및 밀핀이 같이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간편하게 탈거 할 수 있으며, 추가 작동 없이 스프링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져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한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Press mold having spring ejecting pin}
본 발명은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턴핀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형성하여 제품 성형 후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금형이 형개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승하면서 이젝터 플레이트 상측에 연결된 리턴핀 및 밀핀이 같이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간편하게 탈거 할 수 있으며, 추가 작동 없이 스프링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져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한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규격이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틀로서, 냉장고, 텔레비전 등의 전기전자제품은 물론 자동차 등을 비롯한 각종 제품의 부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며, 금속뿐만 아니라, 고무나 플라스틱, 유리 등을 성형하여 양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금속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사용 재료의 종류, 금형 형상 및 용융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 주로 프레스 금형, 드로잉금형, 벤딩금형, 전단금형, 사출성형금형, 다이캐스팅금형, 주조금형, 압축성형금형, 압축블로우성형금형, 분말야금금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러 가지 가공법 중 프레스 가공은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재료를 절단 혹은 성형하는 작업을 말하며, 다른 가공법들과 비교해서 다음과 같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제품의 강도가 높고 경량화 되어 있다. ② 재료의 이용률이 좋다. ③ 생산성이 높은 가공법이다. ④ 제품의 정도가 높고 균일성이 있는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 금형은 다른 성형방법과는 달리 원료수지가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연화되거나 일부만 용융된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성형방법에서 성형하기 어려운 초고분자량의 수지성형이나 충전제의 함량이 높아 용융가공이 어려운 고분자 물질의 성형에 활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레스 금형은 제품을 성형한 후 탈거하기 위한 밀핀의 작동을 위해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져 금형 제작비용이 증가함으로써 제품의 원가가 증가하였으며, 금형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프레스 금형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52065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턴핀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형성하여 제품 성형 후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금형이 형개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승하면서 이젝터 플레이트 상측에 연결된 리턴핀 및 밀핀이 같이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간편하게 탈거 할 수 있으며, 추가 작동 없이 스프링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져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한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은 원재료가 배치되는 하원판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승강이동하며, 원재료를 프레스 하기 위한 상원판이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승강 이동하는 제1이젝터플레이트 및 제2이젝터플레이트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제2이젝터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하 승강 이동하는 리턴핀; 및 상기 제1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턴핀의 상단에 밀핀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은 리턴핀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형성하여 제품 성형 후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개방되면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승하면서 밀핀이 같이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하원판으로부터 탈거시켜주며, 이에 따라 완성된 제품을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밀핀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등의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구조가 간단해져 금형 제작비용이 줄어들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며,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성형 준비단계에서 상부금형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리턴핀 및 밀핀이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밀핀의 상부에 원재료를 올려놓으면 원재료(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에서는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연화되거나 일부만 용융된 상태의 원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울어진 형태의 밀핀에 올려놓아도 흘러내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가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밀핀의 상단면에 고정되며, 이후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원재료가 상부금형의 상원판에 의해 가압될 때 복수개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가압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즉, 고정된 형태의 하원판에 원재료가 놓여질 경우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원재료를 가압할 때 원재료가 단번에 강한 압력을 받아 가압되면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 있는 밀핀에 원재료를 올려놓은 후 가압하기 때문에 상부금형의 상원판에 의해 원재료가 가압될 때 복수개의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력이 상승하는 형태로 가압되어 제품의 불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구성들이 간단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동작함으로써 작동상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부금형이 하강하면서 전진되어 있는 리턴핀을 후퇴시키고 이에 따라 리턴핀과 연결된 이젝트 플레이트 및 밀핀도 같이 후퇴하는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작동상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밀핀이 홈 형태의 하원판의 위쪽으로 상승하여 들려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재료를 정확히 중심에 배치하기 쉬우며, 밀핀 위에 원재료를 접촉시킬 때 다시 위치를 바꾸기 쉽다. 즉, 원재료를 밀핀 위에 포개어 얹을 때에 초기에는 밀핀에서 위로 솟아오른 중심부의 작은 면적에만 접촉시키고, 밀핀이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좌우에 빈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원재료를 손으로 올려놓을 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정위치로 원재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수월하다.
이에 더하여, 복수개의 스프링 중 중앙의 제1스프링이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부금형의 상승 시작 시에 제1스프링이 먼저 상승하여 제2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면을 밀어주면서, 제2이젝터플레이트를 위쪽으로 튕겨줌으로써 제2이젝터플레이트가 부품의 무게 및 주변 부품과의 마찰로 인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에 의한 리턴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서 밀핀에 원재료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에 의한 리턴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에서 밀핀에 원재료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은 크게 하부금형(10)과, 하부금형(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지지부(30) 및 상기 하부금형(10)과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하부금형(10)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11)를 따라 상하로 승강함으로써 금형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부금형(20)으로 구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금형(20)에는, 상부금형(20)을 상하 승강키기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금형이 측면에는 상부금형(20)의 상승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금형 체결판(2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20)의 하단에는 상하 승강에 의해 원재료(40)를 프레스 하기 위한 상원판(21)가 형성되며, 하부금형(10)에는 상기 상원판(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원재료(40)가 배치되는 하원판(14)가 형성된다.
상기 하원판(14)는 중앙 부분이 가장 높이가 높도록, 중앙 부분이 솟아 있고 가장자리 쪽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원판(21)도 중앙 부분이 가장 높이가 높도록, 중앙 부분이 솟아 있고 가장자리 쪽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10)에는 복수개의 리턴핀(13)이 상기 하원판(14)를 관통하여 상하 승강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리턴핀(13)의 상단에는 밀핀(12)이 고정 형성된다.
상기 밀핀(12)은 리턴핀(13)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하원판(14)의 상단에서 상하 승강하여 상기 상부금형(20)이 하강하여 금형을 닫으면 상기 하원판(14)에 인입되며, 상기 상부금형(20)이 상승하여 금형을 개방하면 함께 상승하여 상기 하원판(14)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원판(14)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하, 리턴핀(13) 및 밀핀(12)의 상하 승강이동을 위한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리턴핀(13)은 하원판(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하단이 지지부(30)에 형성된 제2이젝터플레이트(32)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밀핀(12)이 고정 형성된다.
상기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에는 제1이젝터플레이트(31)가 나사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지지부(30)의 제1가이드부(33)를 따라 일체로 상하 승강 이동하며, 상기 제1이젝터플레이트(31)에는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젝터플레이트(32)는 막혀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 중 중앙에 형성된 제1스프링(35)은 좌우의 제2스프링(36) 및 제3스프링(37)에 비해 더욱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부금형(20)이 상승하여 금형이 개방되면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이 상승하여 제1이젝터플레이트(31)의 홀을 관통하여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면과 맞닿아 제2이젝터플레이트(32)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이젝터플레이트(32)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리턴핀(13)이 함께 상승하여 리턴핀(13)의 상단에 고정 형성된 밀핀(12)도 동시에 하원판(1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 중 중앙의 제1스프링(35)이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부금형(20)의 상승 시작 시에 제1스프링(35)이 먼저 상승하여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면을 밀어주면서, 제2이젝터플레이트(32)를 위쪽으로 튕겨줌으로써 제2이젝터플레이트(32)가 부품의 무게 및 주변 부품과의 마찰로 인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나머지 제2스프링(36) 및 제3스프링(37)이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면과 맞닿아 밀어주면서 제1이젝터플레이트(31) 및 제2이젝터플레이트(32)가 지지대(30)의 최상단면과 맞닿을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스프링을 3개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스프링의 개수는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은 이하 프레스 금형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c)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이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후 상부금형(20)이 상승하여 금형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0)의 하원판(1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승되어 있는 밀핀(12)의 상단에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연화되거나 일부만 용융된 상태의 원재료(40)를 올려놓으면 원재료(40)가 밀핀(12) 상단면에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밀핀(12)이 홈 형태의 하원판(14)의 위쪽으로 상승하여 들려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재료(40)를 정확히 중심에 배치하기 쉬우며, 밀핀(12) 위에 원재료(40)를 접촉시킬 때 다시 위치를 바꾸기 쉽다. 즉, 원재료(40)를 밀핀(12) 위에 포개어 얹을 때에 초기에는 밀핀(12)에서 위로 솟아오른 중심부의 작은 면적에만 접촉시키고, 밀핀(12)이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좌우에 빈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원재료(40)를 손으로 올려놓을 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정위치로 원재료(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수월하다. 반면, 밀핀(12)이 상승하지 않은 상태로 홈 형태의 하원판(14)에 인입되어 있으면 하원판(14)의 내측 벽이 사면을 막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좌우로 움직일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따라서 잘못 놓아진 원재료(40)를 좌우로 움직이기가 어려워 원재료(40)를 하원판(14)에서 완전히 들어냈다가 다시 놓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밀핀(12)이 하원판(14)의 위쪽으로 상승하여 들려져 있기 때문에 원재료(40)의 전후좌우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쉽게 이루어진다.
이후, 상부금형(20)이 하강하면서 상부금형(20) 하단의 상원판(21)이 밀핀(12) 상단면의 원재료(40)를 점진적으로 가압하면서 밀핀(12) 및 리턴핀(13)이 하강하여 리턴핀(13)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이젝터플레이트(32) 및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1이젝터플레이트(31)가 함께 하강하고, 이에 따라 하단의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을 가압하면서 제1이젝터플레이트(31)의 하단면이 스토퍼(34)와 맞닿을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핀(12)이 하원판(14)에 인입될 때까지 하강하게 되며, 상원판(21)에 의해 밀핀(12)이 하원판(14)에 인입되면서 금형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일정시간 동안 원재료(40)를 가열 및 가압하여 성형한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금형이 히터(미도시)에 의해 예열된 후에도 원재료(40)의 성형이 완료되기까지 히터(미도시)는 지속적으로 금형을 가열한다.
상기와 같이 제품 성형 준비단계에서 상부금형(2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리턴핀(13) 및 밀핀(12)이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밀핀(12)의 상부에 원재료(40)를 올려놓으면 원재료(40, 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에서는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연화되거나 일부만 용융된 상태의 원재료(40)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울어진 형태의 밀핀에 올려놓아도 흘러내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가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밀핀(12)의 상단면에 고정되며, 이후 상부금형(20)이 하강하여 원재료(40)가 상부금형(20)의 상원판(21)에 의해 가압될 때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가압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즉, 고정된 형태의 하원판(21)에 원재료(40)가 놓여 질 경우 상부금형(20)이 하강하여 원재료(40)를 가압할 때 원재료(40)가 단번에 강한 압력을 받아 가압되면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 있는 밀핀(12)에 원재료(40)를 올려놓은 후 가압하기 때문에 상부금형(20)의 상원판(21)에 의해 원재료(40)가 가압될 때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의 반발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력이 상승하는 형태로 가압되어 제품의 불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원재료(4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부금형(20)이 점차 상승하면서 금형을 개방하게 되고, 상부금형(20)이 개방됨에 따라 지지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이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리턴핀(13) 및 밀핀(12) 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 중 중앙의 제1스프링(35)이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의 상승 시작 시에 제1스프링(35)이 먼저 상승하여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면을 밀어주면서 제2이젝터플레이트(32)를 위쪽으로 튕겨줌으로써 제2이젝터플레이트(32)가 부품의 무게 및 주변 부품과의 마찰로 인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프링(36) 및 제3스프링(37)이 상승하여 제2이젝터플레이트(32)의 하단면과 맞닿아 밀어주면서 제1이젝터플레이트(31) 및 제2이젝터플레이트(32)가 지지대(30)의 최상단면과 맞닿을 때까지 상승하여 리턴핀(13) 및 밀핀(12)이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리턴핀(13)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플레이트(31, 32)의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을 형성하여 제품 성형 후 상부금형(20)이 상승하여 개방되면 복수개의 스프링(35, 36, 37)에 의해 리턴핀(13)이 상승하면서 리턴핀(13)의 상단에 형성된 밀핀(12)이 같이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하원판(14)으로부터 탈거시켜주며, 이에 따라 완성된 제품을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은 리턴핀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형성하여 제품 성형 후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개방되면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승하면서 밀핀이 같이 상승하여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하원판으로부터 탈거시켜주며, 이에 따라 완성된 제품을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밀핀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등의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구조가 간단해져 금형 제작비용이 줄어들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며,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성형 준비단계에서 상부금형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리턴핀 및 밀핀이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밀핀의 상부에 원재료를 올려놓으면 원재료(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에서는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연화되거나 일부만 용융된 상태의 원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울어진 형태의 밀핀에 올려놓아도 흘러내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가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밀핀의 상단면에 고정되며, 이후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원재료가 상부금형의 상원판에 의해 가압될 때 복수개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가압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즉, 고정된 형태의 하원판에 원재료가 놓여질 경우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원재료를 가압할 때 원재료가 단번에 강한 압력을 받아 가압되면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 있는 밀핀에 원재료를 올려놓은 후 가압하기 때문에 상부금형의 상원판에 의해 원재료가 가압될 때 복수개의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력이 상승하는 형태로 가압되어 제품의 불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구성들이 간단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동작함으로써 작동상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부금형이 하강하면서 전진되어 있는 리턴핀을 후퇴시키고 이에 따라 리턴핀과 연결된 이젝트 플레이트 및 밀핀도 같이 후퇴하는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작동상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밀핀이 홈 형태의 하원판의 위쪽으로 상승하여 들려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재료를 정확히 중심에 배치하기 쉬우며, 밀핀 위에 원재료를 접촉시킬 때 다시 위치를 바꾸기 쉽다. 즉, 원재료를 밀핀 위에 포개어 얹을 때에 초기에는 밀핀에서 위로 솟아오른 중심부의 작은 면적에만 접촉시키고, 밀핀이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좌우에 빈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원재료를 손으로 올려놓을 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정위치로 원재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수월하다.
이에 더하여, 복수개의 스프링 중 중앙의 제1스프링이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부금형의 상승 시작 시에 제1스프링이 먼저 상승하여 제2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면을 밀어주면서, 제2이젝터플레이트를 위쪽으로 튕겨줌으로써 제2이젝터플레이트가 부품의 무게 및 주변 부품과의 마찰로 인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하부금형
11 : 제2가이드부
12 : 밀핀
13 : 리턴핀
14 : 하원판
20 : 상부금형
21 : 상원판
22 : 금형 체결판
30 : 지지대
31 : 제1이젝터플레이트
32 : 제2이젝터플레이트
33 : 제1가이드부
34 : 스토퍼
35 : 제1스프링
36 : 제2스프링
37 : 제3스프링

Claims (2)

  1. 원재료가 배치되는 하원판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승강이동하며, 원재료를 프레스 하기 위한 상원판이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승강 이동하는 제1이젝터플레이트 및 제2이젝터플레이트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제2이젝터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하 승강 이동하는 리턴핀; 및
    상기 제1이젝터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핀의 상단에 밀핀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KR1020190036632A 2019-03-29 2019-03-29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KR10217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32A KR102179898B1 (ko) 2019-03-29 2019-03-29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32A KR102179898B1 (ko) 2019-03-29 2019-03-29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05A true KR20200114605A (ko) 2020-10-07
KR102179898B1 KR102179898B1 (ko) 2020-11-17

Family

ID=7288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32A KR102179898B1 (ko) 2019-03-29 2019-03-29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8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640Y1 (en) * 1986-11-08 1989-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sensing change of function of refrigerator
KR970002708U (ko) * 1995-06-15 1997-01-24 최계식 안경용 코걸이
KR101520802B1 (ko) * 2014-05-20 2015-05-21 주식회사 범천정밀 순차 가공 소재의 성형 탈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640Y1 (en) * 1986-11-08 1989-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sensing change of function of refrigerator
KR970002708U (ko) * 1995-06-15 1997-01-24 최계식 안경용 코걸이
KR101520802B1 (ko) * 2014-05-20 2015-05-21 주식회사 범천정밀 순차 가공 소재의 성형 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898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3441A (en)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lamp receptacles
CN208305871U (zh) 一种制动片成型机
CN209111459U (zh) 一种便于脱模的注塑模具浇注系统
KR102179898B1 (ko) 스프링 밀핀이 형성된 프레스 금형
CN212045827U (zh) 一种分步成型的光学镜片注塑模具
KR102197771B1 (ko) 스프링 코어가 형성된 프레스 금형
CN211334362U (zh) 一种新型的产品厚度可调式注塑压缩光学模具
CN108973049B (zh) 一种便于脱模的注塑模具
CN110976730A (zh) 一种球窝金具内腔一次锻造成型工艺
CN209139599U (zh) 一种自动卸除废料的冲压模具
CN111072266A (zh) 一种用于全自动粉末成型压力机的玻璃粉末成型模具
CN207140232U (zh) 注塑成型模具
CN216400439U (zh) 一种自动脱模的手机保护套注塑模具
CN108058347A (zh) 汽车外饰件模具单顶板二次顶出机构
CN208375516U (zh) 一种快速成型的木屑托盘模具
CN212860302U (zh) 一种可快速下料的精密模具
CN213733178U (zh) 一种安全模具结构
CN115284555B (zh) 注塑模具
CN219006879U (zh) 一种具有斜抽机构的模具
CN212219164U (zh) 一种新型二次顶出机构
CN212707604U (zh) 一种定模先抽结构的模具
CN219381437U (zh) 一种模具顶出机构和注塑模具
CN218701014U (zh) 一种模具顶出结构
KR20200015294A (ko) 흡착부 취출성을 개선시킨 사출금형 시스템
CN216031917U (zh) 一种模具的二次顶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