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858A -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858A
KR20200113858A KR1020190034651A KR20190034651A KR20200113858A KR 20200113858 A KR20200113858 A KR 20200113858A KR 1020190034651 A KR1020190034651 A KR 1020190034651A KR 20190034651 A KR20190034651 A KR 20190034651A KR 20200113858 A KR20200113858 A KR 2020011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ntainer
pair
stirring device
fram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진
임동남
Original Assignee
비오비시스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비시스템 (주) filed Critical 비오비시스템 (주)
Priority to KR102019003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858A/ko
Publication of KR2020011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9/1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9/81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ationary mix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용기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장치와 드럼 용기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대차를 포함하는 교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 장치는, 메인 프레임; 드럼 용기를 수용하여 고정하고 메인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몸체는, 수용되는 드럼 용기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의 양측단에서 하부 프레임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중간 높이에서 측부 프레임의 외측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 샤프트; 및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내측 측방으로 드럼 용기의 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용기를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고, 드럼 용기의 로딩에서부터, 교반, 언로딩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STIRRING APPARATUS AND SYSTEM OF CONTENTS IN DRUM CONTAINER}
본 발명은 드럼 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학 약품, 오일, 페인트, 각종 분말 등 다양한 종류의 재료(이하 '내용물'이라 한다)를 드럼 용기에 담아 운반 또는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내용물은 주로 액체나 분말 상태의 것이 많은데, 이중에서도 점도가 있는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이나, 반도체 제조공정 중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에 사용되는 슬러리(slurry)와 같이 액체와 입자상 고체가 혼합된 내용물은, 장시간 그대로 놔두면 점도가 증가하거나 입자상 고체가 아래로 가라앉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용물을 필요로 하는 장비 등에 공급하기 어렵거나, 내용물을 사용하는 공정에서 내용물을 사용하기 곤란하거나, 공정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특허문헌 1(등록특허공보 제10-0931562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축(84)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럼(20) 내의 내용물을 교반한 다음, 내용물을 필요로 하는 장비 등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먼저 교반장치의 도어(11)와 1쌍의 유동커버부재(13)를 열고, 이송롤러(16)를 통해 드럼(20)을 드럼거치부(15) 상의 드럼지지부(50)에 진입시킨 다음, 1쌍의 유동커버부재(13)를 닫고 클램프(30)를 체결하여 드럼(20)을 수직커버부재(14)와 1쌍의 유동커버부재(13)로 감싸 고정한다. 이후, 컨트롤박스(90)를 조작하면 리프트(70)에 의해 수직커버부재(14), 1쌍의 유동커버부재(13), 드럼지지부(50), 구동부(미도시) 및 회전축(84)과 함께 드럼(20)을 소정 높이만큼 상승시켜 드럼지지부(50)가 이송롤러(16)와 드럼거치부(15)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어서, 구동부(미도시)를 작동하여 회전축(84)을 회전시키면 수직커버부재(14), 1쌍의 유동커버부재(13), 드럼지지부(50) 및 드럼(20)이 화살표 a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드럼(20) 내의 내용물이 교반된다.
그런데, 내용물이 충전된 드럼(20)은, 그 크기와 내용물의 무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그 무게가 수백kg의 중량물이다. 따라서, 수직커버부재(14), 1쌍의 유동커버부재(13), 드럼지지부(50) 및 회전축(84)은 중량물인 드럼(20)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강철로 이루어진다.
한편, 1쌍의 유동커버부재(13)는 드럼(20)의 진출입을 위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플렉서블해야 한다. 따라서, 1쌍의 유동커버부재(13)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강철 밴드로 이루어지는데, 회전시 드럼(20)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끊어지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장기간 반복적인 유동커버부재(13)의 개폐에 따라 1쌍의 유동커버부재(13)와 수직커버부재(14)의 연결 부위는 열화되어 이러한 안전 사고의 위험은 증가한다. 더욱이, 교반장치의 동작 중에는, 드럼(20) 및 드럼(20)과 함께 회전하는 수직커버부재(14), 1쌍의 유동커버부재(13), 드럼지지부(50) 등은, 정지시의 하중에 더해 회전시의 원심력까지 더해지므로, 드럼(20)의 안정적이고 확실한 지지 및 고정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한다.
또한, 드럼(20) 내용물은 산이나 알칼리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 약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자는 드럼(20)의 운반 및 진출입시와 도어(11) 및 1쌍의 유동커버부재(13)의 개폐시 등 작업의 전과정중, 내용물의 누출에 대비하여 내화복(耐化服)을 입고 작업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9315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회전하는 중량물인 드럼 용기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교반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용기의 교반 장치로의 로딩, 교반 및 교반 장치로부터의 언로딩 등 전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교반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 용기의 양측면을 진퇴가능한 협지 부재로 협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고정은 물론, 드럼 용기의 로딩/언로딩 및 교반 작업의 전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교반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반 장치는, 드럼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 용기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장치로서, 메인 프레임; 상기 드럼 용기를 세워서 수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드럼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몸체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몸체는, 세워져서 수용되는 상기 드럼 용기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단에서 각각 상기 드럼 용기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중간 높이에서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외측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내측 측방으로 상기 드럼 용기의 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샤프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샤프트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 용기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장치는, 상기 드럼 용기의 상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 장치는, 상기 드럼 용기의 상면을 향해 승강가능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강하였을 때 상기 드럼 용기의 상면을 누르는 상면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누름 부재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장치가 상기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회전 몸체에 상기 드럼 용기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드럼 용기의 전단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용기의 상측 전단이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상측 전방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회전 몸체에 상기 드럼 용기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드럼 용기의 전단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용기의 하측 전단이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하측 전방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는, 상기 드럼 용기의 중심축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드럼 용기의 중심축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교반 시스템은, 전술한 교반 장치; 및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회전 몸체에 로딩 또는 언로딩할 드럼 용기를 세워서 적재하여 운반 가능한 대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교반 시스템에서, 상기 회전 몸체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차의 바닥면에는, 각각이 대차의 진행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 롤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 장치 또는 상기 대차에는, 상기 대차가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하부 프레임과 대향하여 인접하였을 때, 상기 드럼 용기를 상기 대차로부터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회전 몸체로 로딩하거나, 상기 드럼 용기를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상기 대차로 언로딩하는 로더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더 유닛은,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로딩 또는 언로딩 시에만 상기 교반 장치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대차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이송 롤러들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교반 장치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끼리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가능하고, 상기 대차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끼리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는 적재 공간을 규정하는 양측 프레임에 상기 드럼 용기의 양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협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는 무인 자율 주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용기의 회전시 드럼 용기를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고, 드럼 용기의 로딩에서부터, 회전 몸체에 의한 드럼 용기의 지지 고정, 교반, 회전 몸체에 의한 드럼 용기의 고정 해제, 드럼 용기의 언로딩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교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교반 장치를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교반 장치를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교반 장치를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교반 장치와 도 11에 도시된 대차가 대향하여 인접한 상태를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더 유닛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로더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시스템은 크게, 드럼 용기(20)를 회전시켜 그 내용물을 교반하는 교반 장치(100,100a,100b,100c, 도 1 내지 도 10 참조), 드럼 용기(20)를 운반하는 대차(200, 도 11 및 도 12 참조) 및 드럼 용기(20)를 교반 장치(100)와 대차(200) 사이에서 로딩/언로딩하는 로더 유닛(300, 도 12 내지 도 14 참조)을 포함한다. 이하, 교반 장치(100), 대차(200), 로더 유닛(300)의 순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교반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정면도, 도 4는 그 평면도, 도 5는 그 측면도이다. 다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그 크기가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고, 실제 동작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동작들을 마치 다른 시점에 수행되는 동작처럼 도시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구성의 생략, 크기의 과장, 실제 동작과의 불일치는 나머지 도면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면 중의 참조부호에서 예컨대 '122L', '122R'과 같이, 숫자의 뒤에 'L', 'R'과 같은 영문 대문자가 붙은 경우 'L'은 좌측, 'R'은 우측의 부재를 지칭하고, 유사하게 숫자의 뒤에 'U', 'L'과 같은 영문 대문자가 붙은 경우 'U'는 상측, 'L'은 하측의 부재를 지칭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122'와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영문자를 생략하는 경우는, '122L'과 '122R'을 구분하지 않고 통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 정면, 배면, 측면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물체가 놓이는 방향이나 관찰방향이 달라지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회전 몸체(120)는 회전하는 동작 중에 상하가 뒤바뀌게 되지만, 이하에서는 회전 몸체(120)가 정지하여 드럼 용기(20)를 회전 몸체(120)에 로딩/언로딩할 수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를 규정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10), 회전 몸체(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교반 장치(100)의 외연을 규정하고 교반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 내지 고정되는 기본 틀을 제공한다.
메인 프레임(110)에는 도어(112)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112)는 교반 장치(100)가 동작 중일 때, 즉 회전 몸체(120)가 회전하면서 드럼 용기(20)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 중일 때, 작업자의 접근을 방지하고 만약에 발생하는 사고(예컨대, 드럼 용기(20)의 이탈 등)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어(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개폐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자동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에는 메인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교반 장치(100) 전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바퀴(114)와, 교반 장치(10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렉(leg)(116)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에는, 예컨대 교반 장치(100) 정면 일측에 제어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교반 장치(100)를 포함한 교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작업자의 동작 명령이나 각종 선택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 패널, 교반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필요한 경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및/또는, 대차(200) 등의 교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장치나, 교반된 내용물을 공급 또는 사용하는 장비, 다른 교반 시스템, 외부 제어 장치나 작업자의 휴대 단말과 유/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몸체(120)는 드럼 용기(20)를 수용하여 고정하고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서 드럼 용기(2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드럼 용기(20) 내의 내용물을 교반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회전 몸체(120)는 하부 프레임(121),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L, 122R), 한 쌍의 회전 샤프트(126L, 126R) 및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130LU, 130RU, 130LL, 130RL)를 포함한다.
회전 몸체(120)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121)은, 세워져서 수용되는 드럼 용기(20)의 저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강철 소재의 플레이트 형태, 격자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프레임(121) 상에는 드럼 용기(20)의 원활한 로딩/언로딩을 위한 복수의 이송 롤러(1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롤러(150)에 대해서 상세히는 후술한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L, 122R)은 하부 프레임(121)의 양측단에서 각각 드럼 용기(20)의 이격되어 하부 프레임()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의 높이는,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123)과 상면 누름 부재(141)의 배치 공간을 고려하여 하부 프레임(121) 상에 로딩된 드럼 용기(20)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에는, 그 대략 중간 높이에서 외측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 샤프트(126L, 126R)가 고정된다. 회전 샤프트(126L, 126R)의 양단부는 각각 메인 프레임(110)의 샤프트 지지부(118L, 118R)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의 내측 측방으로는 드럼 용기(20)의 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적어도 한 쌍(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한 쌍씩, 총 두 쌍, 즉 총 4개)의 협지 부재(130LU, 130RU, 130LL, 130RL)가 설치된다.
각각의 협지 부재(130)는, 구체적으로, 측부 프레임(122)을 관통하여 드럼 용기(20)의 측면을 향해 진퇴하는 메인 샤프트(132), 메인 샤프트(132)의 주위에 메인 샤프트(132)와 평행하며 측부 프레임(122)을 관통하여 드럼 용기(20)의 측면을 향해 진퇴하는 보조 샤프트(133), 메인 샤프트(132) 및 보조 샤프트(133)의 드럼 용기(20)쪽 단부에 고정되고 드럼 용기(20)와 대향하는 표면이 드럼 용기(20)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 누름 부재(131), 및 메인 샤프트(132)의 측부 프레임(122)을 관통한 드럼 용기(20)와 반대쪽 단부에 연결되며 측부 프레임(122)의 외측에 고정되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협지 부재(130)에 의하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를 작동시켜 메인 샤프트(132)와 측면 누름 부재(131)를 드럼 용기(20)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드럼 용기(20)가 전후좌우 및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거나(도 3에서 두 개의 협지 부재(130LU 및 130RU) 참조), 메인 샤프트(132)와 측면 누름 부재(131)를 드럼 용기(20)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드럼 용기(20)의 고정을 해제하여 회전 몸체(120)에 드럼 용기(20)를 로딩/언로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도 3에서 두 개의 협지 부재(130LL 및 130RL) 참조).
구동부(160)는 회전 몸체(12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요소로서, 한 쌍의 회전 샤프트(126L, 126R)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샤프트(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회전 샤프트(126L))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부(160)는 전동 모터(162)와 전동 모터(162)의 회전력을 회전 샤프트(126L)에 전달하는 기어 또는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164)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구동부(160)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4개의 협지 부재(130LU, 130RU, 130LL, 130RL)로 드럼 용기(20)의 측면을 협지하여 드럼 용기(20)가 회전 몸체(1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 다음, 구동부(160)에 의해 회전 몸체(120)를 회전시키면, 드럼 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교반된다.
한편, 4개의 협지 부재(130LU, 130RU, 130LL, 130RL)로 드럼 용기(20)의 측면을 협지하여 드럼 용기(20)가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드럼 용기(20)를 고정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교반 장치(100)는 후부 프레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후부 프레임(124)은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L, 122R)에 연결되고 하부 프레임(121)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드럼 용기(20)의 후방을 지지한다. 또한, 후부 프레임(124)의 드럼 용기(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측면 누름 부재(131)와 유사하게 드럼 용기(20)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상의 후부 지지 부재(12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서는 후부 프레임(124)이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후부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121)에 연결되거나, 동시에 하부 프레임(121)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몸체(120)가 180도 회전하여 상하가 반전되었을 때, 드럼 용기(20)가 하방(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정지 상태에서 상방인 z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교반 장치(100)는 상부 프레임(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23)은 하부 프레임(12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2) 각각의 상단에 연결된다. 이때, 드럼 용기(20)의 로딩/언로딩이 용이하도록, 상부 프레임(124)은 드럼 용기(20)의 상면과 이격되게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상부 프레임(124)에는 드럼 용기(20)의 상면을 향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하였을 때 드럼 용기(20)의 상면을 누르는 상면 누름 부재(1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면 누름 부재(141)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42)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21)과 측부 프레임(122) 및 협지 부재(130)에 더해 후부 프레임(124) 및/또는 상부 프레임(123) 및 상면 누름 부재(141)를 더 구비함으로써, 드럼 용기(20)의 회전시 드럼 용기(20)를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고, 협지 부재(130)에 걸리는 고정력을 분산시켜 협지 부재(130)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회전 몸체(120)가 회전하여 후부 프레임(124)이 상방을 향할 때 드럼 용기(20)가 하방(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정지 상태에서 전방인 -y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교반 장치는 전방 스토퍼(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교반 장치(100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토퍼(143U, 143L)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스토퍼는 드럼 용기(20)의 상측 전단보다 전방에서 드럼 용기(20)의 상측 전단이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상측 전방 스토퍼(143U), 및/또는 드럼 용기(20)의 하측 전단보다 전방에서 드럼 용기(20)의 하측 전단이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하측 전방 스토퍼(143L)를 포함한다.
이때, 전방 스토퍼(143)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드럼 용기(20)의 전단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전방 스토퍼(143U, 143L)를 설치하는 상부 프레임(123a) 및 하부 프레임(121)은, 회전 몸체(120)에 드럼 용기(20)가 수용되었을 때 상부 프레임(123a) 및 하부 프레임(121)의 각각의 전단이 드럼 용기(20)의 전단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변형예에서 상부 프레임(123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 T자형이 될 수 있다. 다만, 상부 프레임은 T자형에 한하지 않고, +자형이나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자형 또는 판상의 상부 프레임의 후단은, 도 5에 도시된 후부 프레임(124)을 상방으로 더 연장하여 연장된 후부 프레임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전방 스토퍼(143)는, 전술한 상면 누름 부재(141)와 마찬가지로, 드럼 용기(20)의 로딩/언로딩이 용이하게 되도록,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44U, 144L)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21)과 측부 프레임(122) 및 협지 부재(130), 후부 프레임(124), 및/또는 상부 프레임(123) 및 상면 누름 부재(141)에 더해, 전방 스토퍼(143)를 더 구비함으로써, 드럼 용기(20)의 회전시 드럼 용기(20)를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고, 협지 부재(130)에 걸리는 고정력을 분산시켜 협지 부재(130)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다른 변형예로서 협지 부재의 구조가 다른 교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지 부재(130)의 메인 샤프트(132)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의 플런저를 겸하여 메인 샤프트(132)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가 동일 축(x방향축) 상에 배치됨에 반해, 본 변형예의 협지 부재(300b)는 메인 샤프트(132b)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b)의 플런저(133b)가 별개로 구비되고, 특히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인 샤프트(132b)와 플런저(133b)의 서로 교차하는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플런저(133b)의 전후방향(y방향) 진퇴에 따라 메인 샤프트(132b)는 플런저(133b)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플런저(133b)와 대략 수직인 좌우방향(x방향)으로 진퇴한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132)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가 동일 축(x방향축) 상에 배치되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본 변형예에서는 측면 누름 부재(131)가 드럼 용기(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기 어려워져 드럼 용기(20)를 더욱 확실히 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보조 샤프트(133)가 없고 메인 샤프트(132b)와 플런저(133b)의 직경이 전술한 실시예의 메인 샤프트(132)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보다 협지 부재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협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b)가, 측부 프레임(122)에 고정되는 브라켓(127)을 개재하여, 회전 몸체(120b)의 회전축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보다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b)의 설치공간의 제약이 줄어들고, 충분한 크기와 용량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b)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는 또 다른 변형예로서 협지 부재의 구조가 또 다른 교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협지 부재(130c)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의 협지 부재(130b)와 유사하게, 메인 샤프트(132c)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134b)의 플런저(133c)가 별개로 구비되고, 메인 샤프트(132c)와 플런저(133c)의 서로 교차하는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다만, 전술한 변형예에서는 메인 샤프트(132b)와 플런저(133b)가 대략 직각으로 서로 교차함에 반해, 본 변형예에서는 메인 샤프트(132c)와 플런저(133c)가 직각보다 작은 예각으로 서로 교차한다. 또한, 본 변형예의 협지 부재(130c)는 드럼 용기(20)의 중심축보다 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협지 부재(130c)에서는, 플런저(133c)가 전후방향(y방향)으로 진퇴함에 따라 메인 샤프트(132c)는 드럼 용기(20)의 중심축을 향해, 좌우방향(x방향) 축과 약간의 각도(α)를 가지고 진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비해 동일한 협지력을 가지는 협지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드럼 용기(2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대차(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대차(200)는 교반 장치(100)의 회전 몸체(120)에 로딩할 또는 회전 몸체로부터 언로딩한 드럼 용기(20)를 세워서 적재하여 운반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대차(200)는, 대차의 기본 구조와 드럼 용기(20)의 적재 공간을 규정하는 프레임과, 바퀴 등을 구비한다.
또한, 대차의 바닥면(210)에는, 드럼 용기(20)의 로딩/언로딩이 용이하게 되도록, 복수의 이송 롤러(2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복수의 이송 롤러(250)는 각각이 대차의 진행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대차(200)는 드럼 용기(20)를 적재하고 이동할 때 드럼 용기(20)가 대차(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벨트나 체인 등의 수동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자동 로딩/언로딩을 위해서는 자동 고정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 교 반 장치(100)의 회전 몸체(120)에 사용된 한 쌍의 협지 부재(130)와 유사하게, 적재 공간을 규정하는 양측 프레임에 드럼 용기(20)의 양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협지 부재(230)를 사용할 수 있다. 대차(200)의 협지 부재(230)는 회전 몸체(120)의 협지 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대차(20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운행하는 형태의 대차라도 되지만, 자동 로딩/언로딩을 위해서는 전동 대차, 나아가 무인 자율 주행 가능한 전동 대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대차(200)는 메모리와 제어부(미도시) 및 를 구비하고, 교반 장치(100)나, 교반된 내용물을 공급 또는 사용하는 장비, 다른 교반 시스템, 외부 제어 장치나 작업자의 휴대 단말과 유/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27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 장치(100)의 회전 몸체(120)의 하부 프레임(121)에도,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이송 롤러(150)가 설치될 수 있다(도 2, 도 3, 도 5 등 참조).
교반 장치(100)의 이송 롤러(150)는 대차(200)의 이송 롤러(250)와 협력하여, 드럼 용기(20)를 대차(200)로부터 교반 장치(100)의 회전 몸체(120)로 로딩하거나, 드럼 용기(20)를 교반 장치(100)의 회전 몸체(120)로부터 대차(200)로 언로딩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로딩/언로딩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로더 유닛(300)으로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로더 유닛(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전술한 교반 장치(100)와 대차(200)가 대향하여 인접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더 유닛(300)을 도시한 도면들((a): 평면도, (b): 측면도, (c): 정면도)이며, 도 14는 로더 유닛(3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단, 도 13의 (a) 및 도 14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동 모터(340)와 구동 풀리(341)를 생략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장치(100)와 대차(200)가 정렬하여 대향하면, 이송 롤러들(150, 250)이 서로 정렬되어 전후방향(y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정렬하여 대향하는 이송 롤러들(150, 250) 중 교반 장치(100)측 및 대차(200)측 각각의 최선단에 배치된 이송 롤러(150-1, 250-1)의 일측에서, 교반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110)에는 로더 유닛(300)이 고정되어 있다.
로더 유닛(300)은, 로딩 또는 언로딩 시에만 교반 장치(100)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150) 중 적어도 하나(150-1) 및 대차(200)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250) 중 적어도 하나(250-1)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여 이송 롤러들(150, 25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부재(310, 3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로더 유닛(3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202), 수직 프레임(304), 구동 부재(310, 320), 진퇴 부재(330), 구동 모터(340) 등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202)과 수직 프레임(304)은 로더 유닛(300)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 고정하는 요소로서, 수평 프레임(202)이 교반 장칭(100)의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됨으로써 로더 유닛(300)이 교반 장치(100)에 고정된다.
구동 부재(310, 320)는,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스플라인 축 또는 각기둥 형상을 가지고, 진퇴 부재(33)에 의해 좌우방향(x방향)으로 진퇴가능하다.
진퇴 부재(330)는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퇴 부재(330)는 일측으로 돌출하여 진퇴하는 플런저(331)와, 플런저의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로드(rod)를 구비한다. 따라서, 플런저(331)의 진퇴에 따라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가 함께 진퇴가능하다.
한편, 교반 장치(100)측 및 대차(200)측 각각의 최선단에 배치된 이송 롤러(150-1, 250-1)의 롤러 헤드(151, 251)에는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의 각 선단부(311, 321)의 형상과 동일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가 x방향으로 길이 d만큼 전진하였을 때(도 14의 (b) 참조), 그 선단부(311, 321)가 각각 이송 롤러(150-1, 250-1)의 롤러 헤드(151, 251)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와 이송 롤러(150-1, 250-1)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교반 장치(100)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150)끼리는 풀리(152; 도 12 참조)와 벨트(153)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가능하고, 대차(200)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250)끼리도 풀리(252)와 벨트(253)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회전 몸체(120)와 대차(200)에는 이송 롤러(150, 25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드럼 용기(20)의 로딩/언로딩시에만 선택적으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더 유닛(300)에 의해 이송 롤러(150, 250)의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와 이송 롤러(150-1, 250-1)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실제로 한 쌍의 구동 부재(310, 32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 롤러(150, 250)를 회전 구동하는 요소는, 구동 모터(340)와 풀리(341, 342, 343, 344)와 벨트(355)이다. 즉, 구동 모터(340)가 회전하면, 구동 풀리(341)가 회전하고, 벨트(355)가 구동 풀리(341)의 회전력을 종동 풀리(342, 343)에 전달한다. 한편, 참조부호 344는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벨트(355)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풀리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교반 시스템에 의하면, 드럼 용기(20)의 로딩에서부터, 회전 몸체(12)에 의한 드럼 용기(20)의 지지 고정, 교반, 회전 몸체(12)에 의한 드럼 용기(20)의 고정 해제, 드럼 용기(20)의 언로딩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 로더 유닛(300)은 교반 장치(100)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셜명하였으나, 로더 유닛(300)은 대차(200)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 시스템에 관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교반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교반 시스템에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교반 장치(100a, 100b, 100c)가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어부(400)는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31603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드럼 용기(20)에 표시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종류, 교반 상태 등의 정보에 따라 로딩, 교반, 언로딩 및 내용물을 필요로 하는 장비에의 공급을 위한 대차(200)와 교반 장치(100)의 동작 제어 및 필요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316036호는 제어부(400)의 동작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교반 장치
110: 메인 프레임
120: 커플러
121: 하부 프레임
122: 측부 프레임
123: 상부 프레임
124: 후부 프레임
126: 회전 샤프트
130: 협지 부재
131: 측면 누름 부재
134: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141: 상면 누름 부재
142: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150: 이송 롤러
160: 구동부
162: 구동 모터
164: 동력 전달 수단
200: 대차
300: 로더 유닛
400: 제어부

Claims (16)

  1. 드럼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 용기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장치로서,
    메인 프레임;
    상기 드럼 용기를 세워서 수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드럼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몸체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몸체는,
    세워져서 수용되는 상기 드럼 용기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단에서 각각 상기 드럼 용기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중간 높이에서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외측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의 내측 측방으로 상기 드럼 용기의 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샤프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샤프트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진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 용기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용기의 상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용기의 상면을 향해 승강가능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강하였을 때 상기 드럼 용기의 상면을 누르는 상면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누름 부재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회전 몸체에 상기 드럼 용기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드럼 용기의 전단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용기의 상측 전단이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상측 전방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회전 몸체에 상기 드럼 용기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드럼 용기의 전단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용기의 하측 전단이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는 하측 전방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협지 부재는, 상기 드럼 용기의 중심축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드럼 용기의 중심축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교반 장치; 및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회전 몸체에 로딩 또는 언로딩할 드럼 용기를 세워서 적재하여 운반 가능한 대차를 포함하는 교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차의 바닥면에는, 각각이 대차의 진행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장치 또는 상기 대차에는, 상기 대차가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하부 프레임과 대향하여 인접하였을 때, 상기 드럼 용기를 상기 대차로부터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회전 몸체로 로딩하거나, 상기 드럼 용기를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상기 대차로 언로딩하는 로더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 유닛은, 상기 교반 장치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로딩 또는 언로딩 시에만 상기 교반 장치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대차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이송 롤러들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장치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끼리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가능하고,
    상기 대차의 복수의 이송 롤러들끼리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적재 공간을 규정하는 양측 프레임에 상기 드럼 용기의 양측면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협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무인 자율 주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시스템.
KR1020190034651A 2019-03-26 2019-03-26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13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651A KR20200113858A (ko) 2019-03-26 2019-03-26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651A KR20200113858A (ko) 2019-03-26 2019-03-26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58A true KR20200113858A (ko) 2020-10-07

Family

ID=7288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651A KR20200113858A (ko) 2019-03-26 2019-03-26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8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4412A (zh) * 2023-04-24 2023-07-28 南京启亮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薄膜制备的混配料装置
KR102627956B1 (ko) * 2023-01-27 2024-01-24 비오비시스템 (주) 자동화된 드럼 쉐이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62B1 (ko) 2008-05-30 2009-12-14 플러스이엔지 주식회사 약액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62B1 (ko) 2008-05-30 2009-12-14 플러스이엔지 주식회사 약액 교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956B1 (ko) * 2023-01-27 2024-01-24 비오비시스템 (주) 자동화된 드럼 쉐이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6494412A (zh) * 2023-04-24 2023-07-28 南京启亮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薄膜制备的混配料装置
CN116494412B (zh) * 2023-04-24 2024-02-09 南雄市金叶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薄膜制备的混配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3858A (ko)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KR101439073B1 (ko) 토션바 적용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1944172B1 (ko) 케미컬 드럼 용기 자동 커플링 시스템의 캡 개폐장치
ITBO940169U1 (it) Miscelatore di prodotti generalmente collocati in contenitori e gruppo di sostegno e serraggio per almeno uno di tali contenitori,
CN103182263B (zh) 搅拌装置
US20170312937A1 (en) Concrete mixing carrier
KR101538536B1 (ko) 드럼 세정장치
AU2012243423A1 (en) A bulk container discharge device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1926959B1 (ko) 케미컬 드럼 용기 자동 커플링 시스템의 로딩 장치
KR102105311B1 (ko) 화물 이송 유닛
JPH07194969A (ja) 槽移動による液状物質製造装置
JP2009072720A (ja) 混合機
KR102627956B1 (ko) 자동화된 드럼 쉐이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10654582U (zh) 一种集装箱
CN210117034U (zh) 翻桶式送料装置及应用其的送料系统
KR102132034B1 (ko) 드럼 리프트
WO2014172742A1 (en) Rotating spreader bulk loading system and container therefor
CN205523864U (zh) 运输装卸快件装置
CN217527356U (zh) 一种聚氨酯胶粘剂分散设备
CN220975269U (zh) 一种集装箱卸料装置
CN218774627U (zh) 一种微囊悬浮剂用搅拌装置
CN212221201U (zh) 一种带四向叉车口的集装箱
JPS61174934A (ja) 回転ドラムの挾持・起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