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121A -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121A
KR20200113121A KR1020190033010A KR20190033010A KR20200113121A KR 20200113121 A KR20200113121 A KR 20200113121A KR 1020190033010 A KR1020190033010 A KR 1020190033010A KR 20190033010 A KR20190033010 A KR 20190033010A KR 20200113121 A KR20200113121 A KR 2020011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ent
module
mark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576B1 (ko
Inventor
유의식
김태준
전성하
송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닌
Priority to KR102019003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걸어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표식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A System For Intermediating Contents With Product Ta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걸어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표식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거리 상의 제약은 사라져,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의 접속만으로,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영상파일, 음성파일 등의 콘텐츠를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서버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상에 영상파일, 음성파일 등을 게재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가며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플랫폼 등이 등장했는가 하면, 온라인 강의가 생겨나게 되면서 특정 강사의 수업을 듣기 위해 강의가 이루어지는 곳까지 이동해야 했던 종래의 불편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온라인 강의 제공 시스템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6728호(2009.12.09)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온라인 강의 제공 시스템(9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학습자단말(91)과 관리자단말(93)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학습자단말(91)과 관리자단말(93)이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상호학습정보제공서버(95)를 구성하였다.
상기 관리자단말(93)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호학습정보제공서버(95)로 콘텐츠를 업로드하였으며, 상기 상호학습정보제공서버(95)에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상기 학습자단말(91)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호학습정보제공서버(95)에 접속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업로드된 콘텐츠가 단순히 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성을 청취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측의 단말기를 업로더단말기라 하고,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측의 단말기를 다운로더단말기라고하면, 상기 업로더단말기 측에서는 콘텐츠를 단순히 업로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콘텐츠 상에 등장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홍보를 진행하고 싶어할 수도 있고,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원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는 콘텐츠에 등장하는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유도하는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업로더단말기 측에서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이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상황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의 자연스러운 구매를 유도하는 홍보전략을 세울 수 없었다.
또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는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싶어도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었는바, 유일한 방법이라고는 해당 콘텐츠의 플레이를 종료하고, 인터넷 검색사이트 등을 통해 해당 상품을 검색한 뒤,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사이트 또는 오프라인사이트를 찾아 구매를 진행하는 것 뿐이었다. 설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상품을 구매하더라도 구매한 상품은 실제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과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상에 어느 연예인이 입은 특정 옷이 등장하였고,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해당 옷과 비슷한 옷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 구매했다고 한들,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구매한 옷은 콘텐츠 상에서 해당 연예인인 입었던 옷과 동일한 것이 아닌, 그와 유사한 옷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업로더단말기 측에서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할 때, 업로드 대상이 되는 콘텐츠 상에 등장하는 상품에 각각의 표식을 걸어,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중 화면에 등장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선택한 상품을 바로 구매하거나 장바구니에 담아 플레이 종료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6728호(2009.12.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를 플레이 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식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업로드 대상이 되는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면, 업로드된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상품 표식이 나타나 다운로더단말기 측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를 플레이할 때, 플레이를 종료하는 것 없이도,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을 선택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의 특정 장면에 한해 상품 표식이 등장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 되고 있는 콘텐츠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를 플레이할 때 구매를 원하는 상품이 등장하였을 경우, 해당 상품의 표식을 선택하여 즉시 구매를 진행하거나, 선택한 상품 리스트를 저장하여 플레이 종료 후 구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표식을 선택하면 선택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이 자동으로 리스트화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상품리스트에 나열된 상품중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에 등장한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 싶을 때, 콘텐츠의 플레이를 종료하고, 인터넷 검색사이트 등을 통해 해당 상품을 검색한 뒤,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사이트 또는 오프라인사이트를 찾아 구매를 진행하는 번잡한 과정을 진행할 필요없이, 상품 표식의 선택만으로 구매과정을 단순화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직접 상품 표식이 지정되어 업로드되는바,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 표식을 선택하면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구매가 가능해짐으로써,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을 별도로 검색해 구매하는 과정에서,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이 아닌 유사상품, 모조상품, 위조상품 등을 구매하게 되는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업로드부와, 상기 업로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업로드부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업로드부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콘텐츠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이 수신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표식설정모듈은, 상품 표식이 지정될 콘텐츠의 장면을 특정하는 장면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표식설정모듈은, 상기 장면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장면에 등장하는 상품 중 표식을 지정할 상품을 특정하는 상품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표식설정모듈은, 상기 상품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표식설정모듈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콘텐츠업로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은, 일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추출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운로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운로드부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운로드부는, 일측은 상기 콘텐츠특정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콘텐츠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운로드부는, 일측은 상기 콘텐츠추출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구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표식을 감지하는 선택표식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리스트저장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부는, 일측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상기 선택상품리스트 저장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상품리스트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하는 구매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품 구매에 필요한 구매정보를 요청하는 구매정보요청모듈과,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에 연결되어, 요청된 구매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업로드부가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업로드단계와, 상기 업로드단계 이후에, 다운로드부가 일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추출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단계 이후에, 상품구매부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구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업로드단계는, 콘텐츠수신모듈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수신단계와, 상기 콘텐츠수신단계 이후에, 표식설정모듈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이 수신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설정단계와, 상기 표식설정단계 이후에, 콘텐츠업로드모듈이 상기 표식설정모듈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콘텐츠업로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표식설정단계는, 장면특정모듈이 상품 표식이 지정될 콘텐츠의 장면을 특정하는 장면특정단계와, 상기 장면특정단계 이후에, 상품특정모듈이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 중 표식을 지정할 상품을 특정하는 상품특정단계와, 상기 상품특정단계 이후에, 표식특정모듈이 상기 상품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특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운로드단계는,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와, 상기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 이후에, 콘텐츠특정모듈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특정단계와, 상기 콘텐츠특정단계 이후에, 콘텐츠추출모듈이 일측은 상기 콘텐츠특정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콘텐츠추출단계와, 상기 콘텐츠추출단계 이후에, 콘텐츠전송모듈이 일측은 상기 콘텐츠추출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선택표식감지모듈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표식을 감지하는 선택표식감지단계와, 상기 선택표식감지단계 이후에, 상품리스트제공모듈이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단계 이후에, 리스트저장확인모듈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리스트저장확인단계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단계 이후에, 상품리스트저장모듈이 일측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상기 선택상품리스트 저장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상품리스트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구매확인모듈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하는 구매확인단계와, 상기 구매확인단계 이후에, 구매정보요청모듈이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품 구매에 필요한 구매정보를 요청하는 구매정보요청단계와, 상기 구매정보요청단계 이후에, 결제요청모듈이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에 연결되어, 요청된 구매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걸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를 플레이 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식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업로드 대상이 되는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면, 업로드된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상품 표식이 나타나 다운로더단말기 측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를 플레이할 때, 플레이를 종료하는 것 없이도,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을 선택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콘텐츠의 특정 장면에 한해 상품 표식이 등장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 되고 있는 콘텐츠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를 플레이할 때 구매를 원하는 상품이 등장하였을 경우, 해당 상품의 표식을 선택하여 즉시 구매를 진행하거나, 선택한 상품 리스트를 저장하여 플레이 종료 후 구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표식을 선택하면 선택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이 자동으로 리스트화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상품리스트에 나열된 상품중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등장한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 싶을 때, 콘텐츠의 플레이를 종료하고, 인터넷 검색사이트 등을 통해 해당 상품을 검색한 뒤,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사이트 또는 오프라인사이트를 찾아 구매를 진행하는 번잡한 과정을 진행할 필요없이, 상품 표식의 선택만으로 구매과정을 단순화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직접 상품 표식이 지정되어 업로드되는바, 다운로더단말기가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 표식을 선택하면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구매가 가능해짐으로써,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을 별도로 검색해 구매하는 과정에서,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이 아닌 유사상품, 모조상품, 위조상품 등을 구매하게 되는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온라인 강의 제공 시스템에 관한 도면.
도 2는 업로더단말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다운로더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업로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품 표식이 지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품 표식이 지정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다운로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상품구매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선택상품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운로더단말기 상에 표현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에 관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업로드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다운로드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1의 상품구매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업로더단말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다운로더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1)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일측은 업로더단말기(U)와 연결이 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이 되어, 상기 업로더단말기(U) 측에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1)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Upload)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1)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Download)할 수 있도록 상기 업로더단말기(U)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를 중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로써, 상기 업로더단말기(U) 측에서는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걸어 업로드할 수 있게 되고, 온라인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표식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업로더단말기(U)란,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Upload)하는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총칭하는 개념이고,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란 온라인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Download)하는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상기 콘텐츠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파일, 음성파일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을 보고 구매 의사가 생겼을 때, 해당 상품의 표식을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것인바, 상기 콘텐츠는 음성파일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이미지 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품이란, 구매의 대상이 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유형적인 것 뿐만 아니라, 무형적인 것까지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온라인 강의일 경우, 플레이되는 콘텐츠에 등장한 유형의 강의교재는 당연히 상기 상품의 범위에 들어가고, 해당 콘텐츠에서 언급할 수 있는 무형의 학원강의, 서비스 등도 상기 상품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에 관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1)은, 업로드부(10), 데이터베이스부(30), 다운로드부(50), 상품구매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업로드부(10)는, 업로더단말기(U)와 연결되어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통해 상기 업로더단말기(10) 측에서는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여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상품 표식이 지정되는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데이터베이스부(30)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플레이할 경우, 플레이 중 특정 장면에서 상품 표식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상품 표식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업로드부(10)는, 콘텐츠수신모듈(11), 표식설정모듈(13), 콘텐츠업로드모듈(15)을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은,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은 후술하는 표식설정모듈(13)과 연결이 되며,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 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표식설정모듈(13)에 전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에 수신된 콘텐츠는 아직 상품 표식이 지정되지 않은 콘텐츠로 볼 수 있다.
상기 표식설정모듈(13)은,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과 연결되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이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에 아직 상품 표식이 지정되지 않았어도, 상기 표식설정모듈(13)을 통해서 업로드 대상이 될 콘텐츠에 용이한 상품 표식 지정이 가능해 진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표식설정모듈(13)은, 장면특정모듈(131), 상품특정모듈(133), 표식특정모듈(135)을 포함한다.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은, 상품 표식이 지정될 콘텐츠의 장면을 특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만일 콘텐츠를 드라마라고 할 때, 해당 드라마가 플레이되는 과정에서 드라마에 등장하는 상품에 계속적으로 표식이 따라 다니게 된다면, 다운로더단말기(D) 측의 드라마 시청이 극도로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을 통해 상품 표식이 나타나는 콘텐츠 장면을 특정하게 된다. 여기서 콘텐츠의 장면이란, 순간의 일 찰나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플레이되는 특정 구간도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즉, 콘텐츠가 연속적으로 플레이되는 영상이라면 일 시점부터 타 시점까지의 연속적인 특정 구간을 표식이 등장할 콘텐츠의 장면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콘텐츠를 영상이라고 가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장면을 일 시점에서 타 시점에 이르는 연속적인 구간으로 설정했을 때, 해당 구간에서 등장하는 특정 상품에 표식이 지정되는바, 해당 구간을 시청하고 있는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해당 구간을 플레이하고 있는 중에 상품 표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은,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에 의해 특정된 장면에 등장하는 상품 중 표식을 지정할 상품을 특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의 장면에는 수 많은 상품이 등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온라인 강의와 같은 교육 콘텐츠일 경우에는, 온라인 강의가 플레이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강의교재, 기출문제집, 핵심정리노트, 강사가 언급하는 타강좌, 추가해설강의 등이 있으며, 플레이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요리법 교육 강의라고 할 경우에는, 화면 상에 보여진 수많은 재료들이 상품에 해당한다. 이러한 모든 상품에 표식을 지정할 경우,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에 의해 특정된 해당 구간에서는 콘텐츠의 플레이가 극도로 방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업로더단말기(U) 측에서는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을 통해 판매를 원하는 특정 상품만을 지정해 표식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에 의해 특정된 상품은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을 통해 특정된 콘텐츠 장면 내에서 지속적인으로 추적되는바, 만일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에 의해 영상콘텐츠의 일 시점에서 타 시점까지의 연속된 구간이 표식이 지정되는 장면으로 특정되었다면,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에 의해 특정된 상품이 해당 구간에서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추적되어, 해당 구간에서 등장했을 때에는 후술할 표식특정모듈(135)에 의해 형성된 표식이 나타나게 되고, 해당 구간에서 퇴장하였을 때에는 표식이 나타나지 않으며, 해당 구간 내에서 특정된 상품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면 표식특정모듈(135)에 의해 형성된 표식 역시 해당 상품의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일 콘텐츠에 등장한 상품이 연예인이 입고 있는 옷일 경우, 해당 옷을 입고 있는 배우가 움직이더라도, 그 움직임을 따라 표시된 표식이 함께 이동할 수 있고, 특정 구간 내에서 해당 옷을 입은 배우의 등장과 퇴장이 반복될 경우라도, 해당 옷의 상품 표식은 해당 옷이 화면에 등장했을 때 보이고, 퇴장했을 때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식특정모듈(135)은,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에 의해 특정된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는 구성으로, 표식이란,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을 통해 특정된 상품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호, 문자, 도형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5에서는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을 통해 특정된 콘텐츠 장면에서,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을 통해 해당 장면에 등장한 여러 가지 음식재료 중, '전병', '오이', '고추'가 표식이 지정될 상품으로 특정이 되었고, 상기 표식특정모듈(135)을 통해 이들 상품 이미지 상에 해당 상품의 일반명칭이 사각형 도형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6은 상품 표식이 지정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에서는 상기 장면특정모듈(131)을 통해 특정된 콘텐츠 장면이 전술한 도 5와 동일하지만,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을 통해 특정된 상품은 '전병'뿐 이며, 무엇보다도 상기 표식특정모듈(135)을 통해 표식이 지정된 방식이 도 5와 달리, 일반명칭을 표기하지 않고, 전병의 외주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밝게 빛나도록 구성하였음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콘텐츠를 플레이하고 있는 중에 등장한 사각형 안의 문자나, 바깥쪽 둘레가 빛나는 상품 등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텐츠업로드모듈(15)은, 상기 표식설정모듈(135)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에 수신된 콘텐츠가 상품 표식이 지정이 되지 않은 것이라도, 해당 콘텐츠는 상기 표식설정모듈(13)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되게 되면서, 상기 콘텐츠업로드모듈(15)에 의해 업로드되는 콘텐츠는 상품 표식이 지정이 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는, 상기 업로드부(10)와 연결되어 상기 업로드부(10)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는 후술할 다운로드부(50)와 연결이 되어 다운로드부(50)에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후술할 상품구매부(70)와도 연결이 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상품리스트를 저장할 수도 있는 구성이다.
상기 다운로드부(50)는, 일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추출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여기서 다운로드라 함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저장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실시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이를 통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3의 다운로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다운로드부(50)는,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51), 콘텐츠특정모듈(53), 콘텐츠추출모듈(55), 콘텐츠전송모듈(57)을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51)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된 플레이 가능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로 인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는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들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되고,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에서 플레이를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해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텐츠특정모듈(53)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상기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51)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콘텐츠를 선택했을 때, 그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원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콘텐츠추출모듈(55)은, 일측은 상기 콘텐츠특정모듈(53)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특정모듈(53)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서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콘텐츠전송모듈(57)은, 일측은 상기 콘텐츠추출모듈(55)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추출모듈(55)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 전송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이로써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는 콘텐츠 리스트 상에서 선택한 해당 콘텐츠를 수신해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구매부(70)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되어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품구매부(70)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콘텐츠 플레이 중에 선택한 표식에 해당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고, 플레이 중에 리스트화된 상품을 구매하거나, 플레이 완료 후에 리스트화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3의 상품구매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상품구매부(70)는, 선택표식감지모듈(71),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 상품리스트저장모듈(74), 구매확인모듈(75), 구매정보요청모듈(76), 결제요청모듈(77)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71)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표식을 감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콘텐츠를 플레이하고 있는 다운로더단말기(D)에서 콘텐츠에 등장한 어느 상품 표식을 선택하게 되면, 표식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71)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71)은 감지된 표식신호를 후술할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에 전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이라 함은, 마우스를 이용해 커서(Cursor)를 표식 근처로 가져가 클릭하거나, 클릭 없이 상기 커서를 표식 근처로 가져다 놓고 일정시간동안 커서를 멈춰두는 행위,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표식 근처에서 화면을 터치하는 행위, 홍체 인식 등으로 시점이 일정시간동안 표식 근처에 머무는 행위 등 구매 의사를 인정할 수 있는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은,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71)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의해 선택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선택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란, 콘텐츠 플레이과정에서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상품 표식에 해당하는 상품들을 나열한 목록을 의미한다. 도 9는 선택상품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는 콘텐츠를 플레이하고 있는 중에 특정 구간에서 판매 대상이 되는 상품의 표식을 볼 수 있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구간에서는 판매 대상이 되는 상품의 표식으로, '전병', '오이', '고추'가 나타나 있다.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콘텐츠에 등장한 '오이'와 '고추'를 구매하고 싶어 화면에 보이는 해당 표식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71)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표식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표식신호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로 전해지게 되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에 의해 해당 표식신호에 대응되는 상품목록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는 '당근', '달걀'의 상품 표식이 현재 화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선택상품리스트에 '당근'과 '달걀'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이전 화면에서 등장한 '당근', '달걀'의 상품 표식을 선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은,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0은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운로더단말기 상에 표현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에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의 화면 상에 '장바구니담기' 인터페이스가 형성되는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 상기 '장바구니담기'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신호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에 전달이 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을 원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리스트저장모듈(74)은, 일측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의 상기 선택상품리스트 저장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선택상품리스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되면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은 콘텐츠의 플레이가 종료된 이후에도 저장된 선택상품리스트를 불러와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구매확인모듈(75)은,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의 화면상에 '구매하기' 인터페이스가 형성되는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 상기 '구매하기'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신호가 상기 구매확인모듈(75)에 전달이 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을 원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상에 콘텐츠의 플레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도, 상기 구매확인모듈(75)에 의해 구매를 요청함으로써, 그 즉시 상품 구매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76)은, 상기 구매확인모듈(75)에 연결되어, 상기 구매확인모듈(75)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부터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상품 구매에 필요한 구매정보를 요청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구매정보에는 상품수량, 배송지 등 구매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모듈(77)은,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76)에 연결되어, 요청된 구매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요청하는 구성을 말하며, 상기 경제요청모듈(77)은 온라인 상에서의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구성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중복된 서술을 피하고자 전술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1)을 이루는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를 간단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인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방법(S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단계(S10)와, 다운로드단계(S30)와, 상품구매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업로드단계(S10)는, 업로드부(10)가 업로더단말기(U)와 연결되어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2는 도 11의 업로드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업로드단계(S10)는, 콘텐츠수신단계(S11), 표식설정단계(S13), 콘텐츠업로드단계(S15)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수신단계(S11)는, 콘텐츠수신모듈(11)이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상기 표식설정단계(S13)는, 상기 콘텐츠수신단계(S11) 이후에, 표식설정모듈(13)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과 연결되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11)이 상기 업로더단말기(U)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표식설정단계(S13)는, 장면특정단계(S131), 상품특정단계(S133), 표식특정단계(S135)를 포함한다.
상기 장면특정단계(S131)는, 장면특정모듈(131)이 상품 표식이 지정될 콘텐츠의 장면을 특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상품특정단계(S133)는, 상기 장면특정단계(S131) 이후에, 상품특정모듈(133)이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 중 표식을 지정할 상품을 특정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상기 표식특정단계(S135)는, 상기 상품특정단계(S133) 이후에, 표식특정모듈(135)이 상기 상품특정모듈(133)에 의해 특정된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콘텐츠업로드단계(S15)는, 상기 표식설정단계(S13) 이후에, 콘텐츠업로드모듈(15)이 상기 표식설정모듈(13)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다운로드단계(S30)는, 상기 업로드단계(S10) 이후에, 다운로드부(50)가 일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추출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3은 도 11의 다운로드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다운로드단계(S30)는,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S31), 콘텐츠특정단계(S33), 콘텐츠추출단계(S35), 콘텐츠전송단계(S37)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S31)는,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51)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콘텐츠특정단계(S33)는, 상기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S31) 이후에, 콘텐츠특정모듈(53)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콘텐츠추출단계(S35)는, 상기 콘텐츠특정단계(S33) 이후에, 콘텐츠추출모듈(55)이 일측은 상기 콘텐츠특정모듈(53)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특정모듈(53)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상기 콘텐츠전송단계(S37)는, 상기 콘텐츠추출단계(S35) 이후에, 콘텐츠전송모듈(57)이 일측은 상기 콘텐츠추출모듈(55)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추출모듈(55)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상품구매단계(S50)는, 상기 다운로드단계(S30) 이후에, 상품구매부(70)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와 연결되어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도 14은 도 11의 상품구매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품구매단계(S50)는, 선택표식감지단계(S51), 상품리스트제공단계(S52), 리스트저장확인단계(S53), 상품리스트저장단계(S54), 구매확인단계(S55), 구매정보요청단계(S56), 결제요청단계(S57)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표식감지단계(S51)는, 선택표식감지모듈(71)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가 선택한 표식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단계(S52)는, 상기 선택표식감지단계(S51) 이후에,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이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71)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의해 선택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선택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단계(S53)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단계(S52) 이후에,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상기 상품리스트저장단계(S54)는,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단계(S53) 이후에, 상품리스트저장모듈(74)이 일측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73)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의 상기 선택상품리스트 저장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구매확인단계(S55)는, 구매확인모듈(75)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72)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구매정보요청단계(S56)는, 상기 구매확인단계(S55) 이후에, 구매정보요청모듈(76)이 상기 구매확인모듈(75)에 연결되어, 상기 구매확인모듈(75)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로부터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에 상품 구매에 필요한 구매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상기 결제요청단계(S57)는, 상기 구매정보요청단계(S56) 이후에, 결제요청모듈(77)이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76)에 연결되어, 요청된 구매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15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업로더단말기(U) 측에서는 온라인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지정할 수 있고, 이러한 표식은, 콘텐츠의 특정장면 내에 특정상품 상에 문자나 도형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도 15에서 현재 보이는 화면 상에 등장한 '올리브', '전병', '오이', '당근', '어린잎', '고사리', '비트', '달걀'을 지정상품으로 하여, 해당 상품 상에 사각형 도형 내측에 해당 상품의 일반명칭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상품 표식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해당 화면을 시청하고 있는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현재 화면 상에 보이는 상품 표식 가운데에서 '전병' 표식을 선택하였고, 이로 인해, 기 선택된 '레몬', '블루베리', '할라피뇨'에 이어 '전병'이 선택상품리스트에 추가가 되었다. 이 과정은 콘텐츠가 계속적으로 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운로더단말기(D) 측에서는 '구매하기' 버튼을 눌러 즉시 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고, '장바구니담기' 버튼을 눌러 선택상품리스트는 저장하되 구매를 유예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U: 업로더단말기
D: 다운로더단말기
1: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0: 업로드부
11: 콘텐츠수신모듈
13: 표식설정모듈
131: 장면특정모듈
133: 상품특정모듈
135: 표식특정모듈
15: 콘텐츠업로드모듈
30: 데이터베이스부
50: 다운로드부
51: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
53: 콘텐츠특정모듈
55: 콘텐츠추출모듈
57: 콘텐츠전송모듈
70: 상품구매부
71: 선택표식감지모듈
72: 상품리스트제공모듈
73: 리스트저장확인모듈
74: 상품리스트저장모듈
75: 구매확인모듈
76: 구매정보요청모듈
77: 결제요청모듈
S1: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S10: 업로드단계
S11: 콘텐츠수신단계
S13: 표식설정단계
S131: 장면특정단계
S133: 상품특정단계
S135: 표식특정단계
S15: 콘텐츠업로드단계
S30: 다운로드단계
S51: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
S53: 콘텐츠특정단계
S55: 콘텐츠추출단계
S57: 콘텐츠전송단계
S50: 상품구매단계
S51: 선택표식감지단계
S52: 상품리스트제공단계
S53: 리스트저장확인단계
S54: 상품리스트저장단계
S55: 구매확인단계
S56: 구매정보요청단계
S57: 결제요청단계

Claims (26)

  1.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업로드부와,
    상기 업로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업로드부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부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콘텐츠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이 수신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설정모듈은,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 중 표식을 지정할 상품을 특정하는 상품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설정모듈은, 상품 표식이 지정될 콘텐츠의 장면을 특정하는 장면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설정모듈은, 상기 상품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표식설정모듈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콘텐츠업로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은, 일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추출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 측에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부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부는, 일측은 상기 콘텐츠특정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콘텐츠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부는, 일측은 상기 콘텐츠추출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구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표식을 감지하는 선택표식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리스트저장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부는,
    일측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상기 선택상품리스트 저장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상품리스트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하는 구매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부는,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품 구매에 필요한 구매정보를 요청하는 구매정보요청모듈과,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에 연결되어, 요청된 구매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20. 업로드부가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업로드단계와,
    상기 업로드단계 이후에, 다운로드부가 일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추출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단계 이후에, 상품구매부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되어 콘텐츠 플레이 과정에서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구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단계는, 콘텐츠수신모듈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수신단계와, 상기 콘텐츠수신단계 이후에, 표식설정모듈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콘텐츠수신모듈이 수신한 콘텐츠에 상품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설정단계와, 상기 표식설정단계 이후에, 콘텐츠업로드모듈이 상기 표식설정모듈에 의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콘텐츠업로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설정단계는, 장면특정모듈이 상품 표식이 지정될 콘텐츠의 장면을 특정하는 장면특정단계와, 상기 장면특정단계 이후에, 상품특정모듈이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 중 표식을 지정할 상품을 특정하는 상품특정단계와, 상기 상품특정단계 이후에, 표식특정모듈이 상기 상품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품에 표식을 지정하는 표식특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단계는, 콘텐츠리스트제공모듈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와, 상기 콘텐츠리스트제공단계 이후에, 콘텐츠특정모듈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해 상품 표식이 지정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특정단계와, 상기 콘텐츠특정단계 이후에, 콘텐츠추출모듈이 일측은 상기 콘텐츠특정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콘텐츠추출단계와, 상기 콘텐츠추출단계 이후에, 콘텐츠전송모듈이 일측은 상기 콘텐츠추출모듈과 연결이 되고, 타측은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와 연결이 되어, 상기 콘텐츠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선택표식감지모듈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가 선택한 표식을 감지하는 선택표식감지단계와, 상기 선택표식감지단계 이후에, 상품리스트제공모듈이 상기 선택표식감지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표식에 대응되는 상품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단계 이후에, 리스트저장확인모듈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리스트저장확인단계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단계 이후에, 상품리스트저장모듈이 일측은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스트저장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의 상기 선택상품리스트 저장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상품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상품리스트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구매확인모듈이 상기 상품리스트제공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여부를 확인하는 구매확인단계와, 상기 구매확인단계 이후에, 구매정보요청모듈이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구매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상품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다운로더단말기에 상품 구매에 필요한 구매정보를 요청하는 구매정보요청단계와, 상기 구매정보요청단계 이후에, 결제요청모듈이 상기 구매정보요청모듈에 연결되어, 요청된 구매정보가 확인되면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방법.
KR1020190033010A 2019-03-22 2019-03-22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10A KR102278576B1 (ko) 2019-03-22 2019-03-22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10A KR102278576B1 (ko) 2019-03-22 2019-03-22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121A true KR20200113121A (ko) 2020-10-06
KR102278576B1 KR102278576B1 (ko) 2021-07-20

Family

ID=7282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10A KR102278576B1 (ko) 2019-03-22 2019-03-22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728A (ko)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케이티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상호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10524110A (ja) * 2007-04-14 2010-07-15 リヴゼイ カール 商品情報のディスプレイ表示及び購買
KR20120128511A (ko) * 2011-05-17 2012-11-27 박인준 노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9260A (ko) * 2015-11-20 2017-05-30 정진혁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12695A (ko) * 2017-07-28 2019-02-11 양재혁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4110A (ja) * 2007-04-14 2010-07-15 リヴゼイ カール 商品情報のディスプレイ表示及び購買
KR20090126728A (ko)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케이티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상호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20128511A (ko) * 2011-05-17 2012-11-27 박인준 노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9260A (ko) * 2015-11-20 2017-05-30 정진혁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12695A (ko) * 2017-07-28 2019-02-11 양재혁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576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items in media data and delivery of information related thereto
KR101432457B1 (ko) 콘텐츠를 자동으로 태깅하기 위한 콘텐츠 캡처 장치 및 방법
US9947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E-commerce shopping
WO2016004240A1 (en) Interactive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
US20130198002A1 (en) Method and process of using meta-data associated with a digital media to advertise local inventory based upon view gps location
CN105594178A (zh) 用于以媒体为中心并且可货币化的社交联网的系统和方法
WO2009085229A2 (en) Method of inserting/overlaying markers, data packets and objects relative to viewable content and enabling live social networking, n-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s and/or other value derivable from the content
KR20160054484A (ko) 라이브 비디오 콘텐츠의 동적 바인딩
TW200951734A (en) Social aspects of content aggregation, syndication, sharing, and updating
CN108141563A (zh) 所连接媒体装置上的数字覆盖报价
BRPI0715057A2 (pt) mÉtodo para promover a compra de conteédo de mÍdia por meio de documentaÇço de encontros de mÍdias de comunidade, mÉtodo para documentar encontros de mÍdias de comunidade e sistema de compra de mÍdia
US20130139060A1 (en) Content service method
CN104936034B (zh) 基于视频的信息录入方法及装置
CN106530012A (zh) 广告物料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12037005A2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KR20160027486A (ko) 광고 제공 장치, 광고 표시 장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표시 방법
KR100786951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홈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16052A (ja) ネットワーク上での情報提供要求方法および装置
KR20200113121A (ko) 상품 표식이 지정된 온라인 콘텐츠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0083A (ko) 동영상 핑거프린트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마크업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765460A (zh) 广告定制
WO2018221988A1 (ko) 컨텐츠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397507B2 (ja) 書籍コンテンツに広告を挿入配信するサーバ装置
KR102107315B1 (ko)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JP2004077863A (ja) 広告情報配信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