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850A -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850A
KR20200112850A KR1020207021234A KR20207021234A KR20200112850A KR 20200112850 A KR20200112850 A KR 20200112850A KR 1020207021234 A KR1020207021234 A KR 1020207021234A KR 20207021234 A KR20207021234 A KR 20207021234A KR 20200112850 A KR20200112850 A KR 2020011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electric device
control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노리 오가와
도시오 호리끼
히로유끼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시설의 천장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유저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기기 관리 시스템(5)은, 전기 기기(30)를 접속 가능한 기기 연결부(16)와, 점포의 천장(100)에 마련된 덕트 레일(8)을 따라 전기 기기(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연결부(15)를 포함한다. 기기 관리 시스템(5)은, 덕트 레일(8)에 설치 가능한 커넥트 유닛(10)과, 커넥트 유닛(10)의 덕트 레일(8)를 따른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50)를 구비하고, 제어 정보에는, 위치 검출 센서(18)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의 조건이 포함되어 있고, 관리부(51)는, 위치 검출 센서(18)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Description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
본 개시는, 전기 기기의 이동을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천장 등의 덕트 레일에 설치되는 스포트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명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광원으로서 갖는 등체와, 덕트 레일에 설치되는 플러그 박스와, LED 소자에 점등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와, 등체와 플러그 박스를 연결하는 암을 구비한다.
특허문헌 2에는, 전기 기기에 설치된 이동체의 레일 본체 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급전 레일 및 급전 레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9959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4357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스포트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는,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올라 수작업으로 플러그 박스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천장 등에 설치된 덕트 레일의 위치로부터 변화하는 일 없이 고정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덕트 레일이 설치된 공간의 배치를 바꾸는 등, 조명 장치가 덕트 레일에 대하여 설치되는 공간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하여 조명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올라 수작업으로 조명 장치를 이동시키야만 하여 레이아웃 변경 시의 유저에 대한 편리성이 좋지 않았다. 특히 복수의 조명 장치를 덕트 레일에 설치할 것을 상정한 경우, 레이아웃 변경 때마다 개개의 조명 장치의 이동을 사람이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개시는, 상술한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고안되었으며, 시설의 천장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제어하여 유저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부와, 시설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상기 전기 기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레일에 설치 가능한 가동식 접속 장치와,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의 상기 덕트 레일을 따른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의 조건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시설에 마련된 덕트 레일에 설치 가능한 가동식 접속 장치와, 관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기 관리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접속하는 처리와, 상기 관리부는,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의 상기 덕트 레일을 따른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를 상기 덕트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처리를 갖고, 상기 제어 정보에는,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의 조건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시설의 천장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유저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커넥트 유닛의 구동계 및 제어계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가동 연결부를 덕트 레일에 연결하는 기구의 일례, 및 기기 연결부에 전기 기기를 연결하는 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사용 상태의 커넥트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커넥트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측에서 본 커넥트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커넥트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이측에서 본 커넥트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레이아웃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탭이 터치 조작으로 선택된 경우에 제어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방향 지정 버튼이 Z 방향의 레이아웃으로 전환된 경우에 제어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탭이 터치 조작으로 선택된 경우에 제어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SNS·Web 서비스로서 트랜슬레이션을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SNS·Web 서비스로서 인스타그램을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레시피 스토어에 등록된 레시피 정보의 일람이 표시된, 제어 단말기의 터치 패널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어 단말기로부터 커넥트 유닛을 직접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17은 외부 서버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커넥트 유닛을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18은 SNS·Web 서비스를 이용하여 커넥트 유닛을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19는 전기 기기의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커넥트 유닛을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20a는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 덕트 레일을 바로 위에서 본 좌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b는 제어 단말기의 좌표계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를 직사각형으로 나타냄과 함께, 검정 동그라미로 전자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개시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이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는 것을 피하여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지, 이들에 의하여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려는 것은 의도되어 있지 않다.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 개요)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5)의 구성의 개요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기 관리 시스템(5)은, 점포의 천장(100)에 부설된 덕트 레일(8)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복수의 커넥트 유닛(10)과, 각각의 커넥트 유닛(10)의 이동 및 동작을 지시하는 관리 서버(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에서는,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커넥트 유닛(10)은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 형태(1)에서는, 덕트 레일(8)이 부설되는 시설의 일례로서 점포를 예시한다. 단, 덕트 레일(8)은, 천장이 배치되어 있는 시설이라면 점포에 한정하여 마련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는 오피스, 공장, 편의점, 공공 시설(예를 들어 시청, 도서관), 복수의 점포가 배치되는 쇼핑 몰 등의 상업 시설이어도 된다. 덕트 레일(8)은 천장에 한하지 않고 시설의 측벽에 부설되어도 된다. 즉, 덕트 레일(8)은, 시설의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면인 상면(천장) 또는 측면(측벽)에 부설될 수 있다.
덕트 레일(8)은, 점포의 천장(100)의 천장면에 대하여 복수의 커넥트 유닛(10)의 각각이 자유롭게 도면 중 화살표 a1, b1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예를 들어 격자형으로 부설된다. 덕트 레일(8)에는, 예를 들어 조명 장치가 설치 가능한, 범용 혹은 기설된 배선 덕트를 이용할 수 있다. 커넥트 유닛(10)은 덕트 레일(8)에,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커넥트 유닛(10)은, 후술할 각종 전기 기기(30)를 접속(연결)한다. 커넥트 유닛(10)은, 자기(自機)가 도면 중 화살표 a1, b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자기에 접속된 전기 기기(30)를 덕트 레일(8)을 따라 도면 중 화살표 a1, b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덕트 레일(8)은 격자형으로 부설되지만, 복수의 덕트 레일(8)이 교차하지 않도록 부설되어도 된다. 또한 각각의 덕트 레일(8)은 직선, 곡선, 꺾은선 등 다양한 형상을 해도 되고, 또한 원이나 타원, 정사각형, 장방형, 다각형 등, 루프형으로 다양한 형상을 해도 된다.
커넥트 유닛(10)에 접속 가능한 각종 전기 기기(30)는, 커넥트 유닛(10)에 대하여 교환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각종 전기 기기(30)로서, 예를 들어 전원(311), 스포트라이트(312), 프로젝터(313), 카메라(314), 마이크로폰(315), 스피커(316), 사람의 움직임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317), 공기 청정기(318), 팬(31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센서(317)는, 사람의 움직임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종 전기 기기(30)도, 상기에서 한정 열거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기기(30)가 접속되는 커넥트 유닛(10)은, 덕트 레일(8)을 통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50)와의 사이에서 통신(예를 들어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관리 서버(50)로부터 지시받은 위치로 이동한다. 전기 기기(30)는, 커넥트 유닛(10)의 이동 후의 위치 혹은 이동 중에 있어서, 관리 서버(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동작(예를 들어 팬 회전 혹은 틸트 회전, 또는 팬 회전 및 틸트 회전의 양쪽)을 행한다.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 상세)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5)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기 관리 시스템(5)은, 커넥트 유닛(10)과 각종 전기 기기(30)와 제어 단말기(40)와 관리 서버(50)와 클라우드 서버(60)와 외부 서버(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커넥트 유닛(10)은 제어부(11), 메모리(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11)는, 커넥트 유닛(10)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며, 커넥트 유닛(1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통괄하기 위한 제어 처리, 커넥트 유닛(10)의 각 부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데이터의 연산(계산) 처리, 및 데이터의 기억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1)는, 메모리(1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11)는 동작 시에 메모리(12)를 사용하며, 제어부(11)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12)에 기록한다.
메모리(12)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커넥트 유닛(10)의 동작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나아가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은, 예를 들어 제어부(11)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이다. ROM은, 예를 들어 제어부(1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12)는 또한, 관리 서버(5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나 자기의 식별 정보 등을 기억한다.
통신부(13)는,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망(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관리 서버(5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3)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기능을 가져도 되며, 이 경우에는 무선 LAN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50)와의 사이에서 접속되어도 된다. 커넥트 유닛(10)은 관리 서버(5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어 정보를 메모리(12)에 저장함과 함께, 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덕트 레일(8)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관리 서버(50)는, 커넥트 유닛(10)에 접속된 전기 기기(3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치 검출 센서(18)는, 커넥트 유닛(10)이 덕트 레일(8)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추정,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위치 검출 센서(18)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조합하거나, 또는 어느 것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위치 검출 센서(18)는, 대체로서 커넥트 유닛(10)에 WiFi(등록 상표)의 통신 기능을 갖게 하여, WiFi(등록 상표)의 액세스 포인트(도시 생략)로부터의 비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추정을 행하거나, 액세스 포인트(도시 생략)로부터의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위치 추정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센서(18)는 RFID 태그로 대체되어도 되며,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비콘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로 대체되어도 된다.
전기 기기(30)는 제어부(31), 메모리(32), 통신부(33), 센서(34), 액추에이터(35)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3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혹은 FPGA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31)는, 전기 기기(30)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며, 전기 기기(3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통괄하기 위한 제어 처리, 전기 기기(30)의 각 부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데이터의 연산(계산) 처리, 및 데이터의 기억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1)는, 메모리(3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31)는 동작 시에 메모리(32)를 사용하며, 제어부(31)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32)에 기록한다.
메모리(32)는, 예를 들어 RAM과 ROM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전기 기기(30)의 동작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나아가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은, 예를 들어 제어부(31)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이다. ROM은, 예를 들어 제어부(3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32)는 또한, 관리 서버(5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나 자기의 식별 정보 등을 기억한다.
통신부(33)는, 예를 들어 유선에 의하여 커넥트 유닛(10)과의 사이에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커넥트 유닛(1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혹은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3)는,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인 경우에, 센서(34)에 의하여 검지된 검지 정보나, 유저 등에 의하여 전기 기기(30)가 직접 조작된 경우의 제어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커넥트 유닛(10)을 통하여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33)는, 관리 서버(50)로부터 송신된 제어 정보(예를 들어 전기 기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커넥트 유닛(10)을 통하여 수신한다. 통신부(33)와 관리 서버(50)의 통신부(53)의 통신은 커넥트 유닛(10)을 통해도 되고, 무선 통신 등에 의하여 커넥트 유닛(10)을 통하지 않고 직접 행해져도 된다.
또한 전기 기기(30)는 제어 단말기(40)나 관리 서버(5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유저로부터 조작, 제어되어도 된다. 그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를 통신부(33)는 관리 서버에 커넥트 유닛(10)을 통하거나 또는 통하지 않고 송신해도 된다.
센서(34)는,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팬(319)인 경우, 실온의 상승을 검지하여 팬(319)이 작동하도록 실온을 검지하는 온도 센서여도 된다. 또한 센서(34)는, 전기 기기(30)가 스포트라이트(312)인 경우, 접근한 인물을 조명하도록 인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여도 된다. 센서(34)는 전기 기기(30)의 역할이나 용도에 따라 구성으로서 생략되어도 된다.
액추에이터(35)는,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팬(319)인 경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여도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35)는, 전기 기기(30)가 스포트라이트(312)인 경우, LED(Light Emitting Diode)나 할로겐 램프 등의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원부여도 된다. 액추에이터(35)는 전기 기기(30)의 역할이나 용도에 따라 구성으로서 생략되어도 된다.
제어 단말기(40)는, 예를 들어 기기 관리 시스템(5)의 유저에 의하여 사용되는 데스크톱형의 PC(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 PC 등의 고정형 거치 단말기나, 태블릿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단말기이다. 실시 형태(1)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어 단말기(40)로서 태블릿 단말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제어 단말기(40)는 제어부(41), 메모리(42), 통신부(43) 및 터치 패널(44)을 포함한다.
제어부(4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혹은 FPGA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41)는, 제어 단말기(40)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며, 제어 단말기(4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통괄하기 위한 제어 처리, 제어 단말기(40)의 각 부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데이터의 연산(계산) 처리, 및 데이터의 기억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41)는, 메모리(4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41)는 동작 시에 메모리(42)를 사용하며, 제어부(41)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42)에 기록한다.
메모리(42)는, 예를 들어 RAM과 ROM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제어 단말기(40)의 동작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나아가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은, 예를 들어 제어부(41)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이다. ROM은, 예를 들어 제어부(4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42)는 또한, 자기의 식별 정보 등을 기억한다.
통신부(43)는,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망(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5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통신부(43)는, 예를 들어 무선 LAN 기능을 갖고, 무선 LAN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5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터치 패널(44)은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로서, 후술할 점포 내의 레이아웃 정보나 각종 전기 기기(30)에 대한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레시피 정보를 작성(즉,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터치 패널(44)은, 제어 단말기(40)의 유저에 의한 각종 터치나 탭 등의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관리 서버(50)는 제어부(51), 메모리(52) 및 통신부(53)를 포함한다.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혹은 FPGA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51)는, 관리 서버(50)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며, 관리 서버(5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통괄하기 위한 제어 처리, 관리 서버(50)의 각 부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데이터의 연산(계산) 처리, 및 데이터의 기억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51)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51)는 동작 시에 메모리(52)를 사용하며, 제어부(51)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후술할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생성하여 관리하거나 한다.
메모리(52)는, 예를 들어 RAM과 ROM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관리 서버(50)의 동작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나아가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은, 예를 들어 제어부(51)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이다. ROM은, 예를 들어 제어부(5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52)는 또한, 전기 기기(30)로부터 송신된 검지 정보, 전기 기기(30)의 동작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커넥트 유닛(10)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정보, 자기의 식별 정보, 재해 시나 긴급 시용의 제어 정보,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 등을 기억한다.
통신부(53)는 모바일 통신망(도시 생략), 및 무선 LAN이나 인터넷망을 이용한 네트워크망(도시 생략)에 각각 접속된다. 통신부(53)는, 모바일 통신망(도시 생략)에 접속된 제어 단말기(40), 네트워크망(도시 생략)에 접속된 클라우드 서버(60), 외부 서버(70), SNS·Web 서비스(9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통신부(53)는 PLC 통신망 또는 무선 LAN망을 통하여 커넥트 유닛(10)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관리 서버(50)는 통신부(53)를 통하여, 커넥트 유닛(10)에 접속된 전기 기기(30)로부터, 전기 기기(30)에 의하여 검지된 검지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 서버(50)는 통신부(53)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60)에 검지 정보의 분석의 실행을 요구하고 그 분석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50)는 통신부(53)를 통하여, 외부 서버(70)에 있어서 공개되어 있는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외부 서버(7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50)는 레이아웃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를 공개하기 위하여 외부 서버(70)에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50)는 SNS·Web 서비스(90)와의 사이에서 연계하여 동작 가능하다. SNS·Web 서비스(90)는, 예를 들어 각종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및 각종 Web 서비스를 포함한다. SNS·Web 서비스(90)에는, 기지된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트위터(등록 상표), 페이스북(등록 상표), 인스타그램(등록 상표), IFTTT(이프트), 트랜슬레이션(Translation) 등을 들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는 제어부(61), 메모리(62) 및 통신부(63)를 포함한다.
제어부(6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혹은 FPGA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61)는, 클라우드 서버(60)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며, 클라우드 서버(6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통괄하기 위한 제어 처리, 클라우드 서버(60)의 각 부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데이터의 연산(계산) 처리, 및 데이터의 기억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61)는, 메모리(6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61)는 동작 시에 메모리(62)를 사용하며, 제어부(61)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62)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의 센서(34)가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행하거나, 제어 단말기(40)에 입력된 유저의 입력 정보로부터 유저의 기호 분석을 행하거나, 본 시스템 외로부터의 데이터(예를 들어 유저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정보나 기호에 관한 정보, 날씨나 계절이나 시간 등의 환경에 관한 정보 등)와 병합하여 유저의 비즈니스 스타일이나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해도 된다.
메모리(62)는, 예를 들어 RAM과 ROM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클라우드 서버(60)의 동작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나아가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은, 예를 들어 제어부(61)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이다. ROM은, 예를 들어 제어부(6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62)는 또한, 관리 서버(50)를 포함하는 많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검지 정보를 축적한다.
통신부(63)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망(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관리 서버(50)와의 사이에서 통신한다. 클라우드 서버(60)는 통신부(63)를 통하여, 관리 서버(50)로부터 수신한 검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관리 서버(50)에 회신한다.
외부 서버(70)는 제어부(71), 메모리(72) 및 통신부(73)를 포함한다.
제어부(7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혹은 FPGA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제어부(71)는, 외부 서버(70)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며, 외부 서버(70)의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통괄하기 위한 제어 처리, 외부 서버(70)의 각 부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데이터의 연산(계산) 처리, 및 데이터의 기억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71)는, 메모리(7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71)는 동작 시에 메모리(72)를 사용하며, 제어부(71)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72)에 기록한다.
메모리(72)는, 예를 들어 RAM과 ROM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외부 서버(70)의 동작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나아가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은, 예를 들어 제어부(71)의 동작 시에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이다. ROM은, 예를 들어 제어부(7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72)는 또한, 공개되어 있는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등록한다.
통신부(73)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망(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통신부(73)는, 네트워크망(도시 생략)에 접속된 관리 서버(50)에 대하여, 메모리(72)에 등록된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73)는, 관리 서버(50)로부터 송신되는 공개용의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외부 서버(70)는, 제어 단말기(40)가 행하는 기능을 갖고, 제어 단말기(40) 대신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의 작성 등을 행해도 된다.
도 3은, 커넥트 유닛(10)의 구동계 및 제어계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커넥트 유닛(10)은, 가동 연결부(15), 기기 연결부(16), 모터(14) 및 전원부(19)를 포함하는 구동계와, 제어부(11), 메모리(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하는 제어계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계에 포함되는 제어부(11), 메모리(12) 및 통신부(13)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 연결부(15)는 커넥트 유닛(10)을 덕트 레일(8)에, 가동이 자유롭게 설치한다(즉, 덕트 레일(8)과 연결함). 커넥트 유닛(10)은, 가동 연결부(15)에 의하여 설치된 덕트 레일(8)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다. 가동 연결부(15)의 기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기 연결부(16)는 전기 기기(30)를 커넥트 유닛(10)에 접속한다(즉, 전기 기기(30)와 연결함). 기기 연결부(16)에 접속된 전기 기기(30)는 커넥트 유닛(10)과 함께, 덕트 레일(8)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다. 기기 연결부(16)의 기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모터(14)는, 예를 들어 이동용 모터(14z), 팬용 모터(14y) 및 틸트용 모터(14x)를 포함한다. 이동용 모터(14z)는 가동 연결부(15)에 마련된다(도 4 참조). 이동용 모터(14z)는, 피니언 기어(141)가 축 지지된 회전축을 가지며, 덕트 레일(8)의 내측에 부설된 랙(8y)과 피니언 기어(141)를 맞물리게 하여 가동 연결부(15)를 직진 운동시킨다. 이동용 모터(14z)의 회전에 의하여 커넥트 유닛(10)은 덕트 레일(8)을 따라 이동한다.
팬용 모터(14y)는 기기 연결부(16)에 마련된다(도 4 참조). 팬용 모터(14y)는, 기어(142)(도 4 참조)를 통하여 커넥트 유닛(10)을 연직 방향(달리 말하면 도 3의 지면(紙面) 상하 방향에 상당하는 수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가지며, 기기 연결부(16)에 접속된 전기 기기(30)를 팬 방향으로 회전시킨다(즉, 팬 회전시킴).
틸트용 모터(14x)는 기기 연결부(16)에 마련된다(도 4 참조). 틸트용 모터(14x)는 커넥트 유닛(10)의 연직 방향(상술 참조)의 축에 대하여, 기어(144)(도 4 참조)를 통하여 전기 기기(30)를 틸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다(즉, 틸트 회전시킴).
전원부(19)는, 덕트 레일(8) 내의 전극인 레일형의 전극판(8z)(도 4 참조)으로부터 상용 교류를 입력하여 커넥트 유닛(10)의 각 부에 직류 전압을 인가한다. 전원부(19)는, 전극판(8z)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 시 등에 있어서도 커넥트 유닛(1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배터리(19z)를 내장한다. 배터리(19z)는 전원부(19)에 의하여 충전된다.
도 4는, 가동 연결부(15)를 덕트 레일(8)에 연결하는 기구의 일례, 및 기기 연결부(16)에 전기 기기(30)를 연결하는 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연결 기구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다양한 연결 기구가 이용되어도 된다.
덕트 레일(8)은, 그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으로 형성된, 긴 형상의 하우징(8a)을 갖는다. 덕트 레일(8)의 하측에는, 대향하는 1쌍의 걸림 지지부(8a1, 8a2)가, 가동 연결부(15)를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8a)의 양측의 내벽면에는 그 긴 쪽 방향으로, 상용 교류가 통전하는 전극판(8z)이 각각 배치된 돌기(8b1, 8b2)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8a)의 내측의 천장면에는 그 긴 쪽 방향으로, 이동용 모터(14z)의 피니언 기어(141)와 맞물리는 랙(8y)이 배치된다.
가동 연결부(15)는 커넥트 유닛(10)에 상부에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가동 연결부(15)의 외측의 양측면에는, 덕트 레일(8)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 지지부(8a1, 8a2)와, 각각 덕트 레일(8)의 긴 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로운 돌기(151, 152)가 형성된다. 또한 가동 연결부(1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이동용 모터(14z)의 피니언 기어(141)는 랙(8y)과 맞물린다. 또한 가동 연결부(15)의 외측의 양측면에는, 선단에 접점(155a, 156a)을 갖는 볼록부(155, 156)가 형성된다. 접점(155a, 156a)은 각각, 덕트 레일(8)의 양측의 내벽면에 배치된 전극판(8z)과 접촉하여 도통하여, 전극판(8z)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기기 연결부(16)는 커넥트 유닛(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기 기기(30)를 커넥트 유닛(10)의 하면에 연결한다. 기기 연결부(16)는 상방의 팬 부재(121)와 하방의 틸트 부재(123)로 분할되어 있다. 팬 부재(121)는 팬용 모터(14y) 및 기어(142)를 포함한다. 틸트 부재(123)는 틸트용 모터(14x) 및 기어(144)를 포함한다. 또한 틸트 부재(123)는, 틸트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자유로운 설치부(123z)를 갖는다.
또한 설치부(123z)의 하면에는, 전기 기기(30)가 장착되는 오목부(123y)가 형성된다. 전기 기기(30)의 하우징(30z)은, 설치부(123z)의 오목부(123y)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30z2)가 형성된 돌기부(30z1)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돌기부(30z1)의 볼록부(30z2)를 설치부(123z)의 오목부(123y)에 삽입하고, 볼록부(30z2)를 오목부(123y)에 대하여 90° 비틂으로써, 기계적인 로크 기구가 걸려서 오목부(123y)로부터 볼록부(30z2)가 빠지지 않게 된다. 돌기부(30z1)는 설치부(123z)에 결합된다. 반대로 볼록부(30z2)를 오목부(123y)에 대하여 -90° 비틂으로써, 기계적인 로크 기구가 해제되어 오목부(123y)로부터 볼록부(30z2)가 빠진다. 돌기부(30z1)는 설치부(123z)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설치부(123z)와 돌기부(30z1)의 결합은, 기계적인 로크 기구에 의하지 않고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한 자기력으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설치부(123z)의 오목부(123y)에, 통전 가능한 전자석을 설치하고, 돌기부(30z1)의 볼록부(30z2)에 자석 혹은 자성체를 설치한다. 설치부(123z)의 오목부(123y)가 설치부(123z)의 볼록부(30z2)에 끼워맞춰지면, 전자석을 통전함으로써 설치부(123z)와 돌기부(30z1)가 자기력에 의하여 공고히 결합된다. 반대로 통전을 멈춤으로써 설치부(123z)로부터 돌기부(30z1)가 해방된다.
팬용 모터(14y)가 회전하면, 틸트 부재(123), 및 그 설치부(123z)에 설치된 전기 기기(30)가 팬 방향 d5로 소정 각도(예를 들어 360°) 회전한다. 또한 틸트용 모터(14x)가 회전하면, 틸트 부재(123)의 설치부(123z), 및 이에 설치된 전기 기기(30)가 틸트 방향 d6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어 연직 방향의 축에 대하여 30°) 경사진다.
도 5는, 사용 상태의 커넥트 유닛(1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커넥트 유닛(1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측에서 본 커넥트 유닛(1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커넥트 유닛(1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측에서 본 커넥트 유닛(1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커넥트 유닛(10)은, 덕트 레일(8)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부재(10z1)와, 덕트 레일(8)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 부재(10z2)를 포함하는, 대략 T자형의 하우징(10z)을 갖는다. 커넥트 유닛(10)은, 가동 연결부(15)가 덕트 레일(8)과 연결됨으로써 덕트 레일(8)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다. 또한 커넥트 유닛(10)은, 기기 연결부(16)가 전기 기기(30)와 연결됨으로써 전기 기기(30)를 보유 지지한다. 도 5에서는, 전기 기기(30)로서, 예를 들어 프로젝터(313)(도 1 참조)가 커넥트 유닛(10)에 연결되어 있다.
도 10은, 레이아웃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탭 tb1이 터치 조작으로 선택된 경우에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화면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제어부(41)는, 그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 혹은 정보를 터치 패널(44)에 표시한다.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의 화면은, 유저가, 상부에 배치된 탭 tb1, tb2 중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레이아웃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레이아웃 화면 GM1과,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레시피 화면 GM2로 전환 가능하다.
탭 tb1이 터치 조작으로 선택되면, 터치 패널(44)은 레이아웃 화면 GM1을 표시한다. 레이아웃 화면 GM1은 3개의 칼럼으로 구성된다. 레이아웃 화면 GM1에 있어서, 도면 중 좌측의 칼럼 CM11에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가 표시된다. 중앙의 칼럼 CM12에는 레이아웃 생성 화면이 표시된다. 우측의 칼럼 CM13에는 프로퍼티(240)(PROPERTY), 라이브 뷰(245)(LIVE VIEW), 조정 박스(250)(ADJUST)가 표시된다.
칼럼 CM11에 표시되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에서는, 복수 종류의 전기 기기(30)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이 세로로(즉, 도 10의 지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아이콘으로서, 예를 들어 카메라의 아이콘 i1, 마이크 아이콘 i2, 스피커 아이콘 i3, 비콘 아이콘 i4, 프로젝터 아이콘 i5, 센서 아이콘 i6의 합계 6개의 아이콘이 등록되어 있다. 또한 ADD 버튼(221)은, 칼럼 CM11에 표시되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에 신규로 아이콘을 추가하는 경우에 선택된다.
이들 아이콘은 유저에 의하여 터치 조작되고, 드래그 조작에 의하여 중앙의 칼럼 CM12로 이동하여 릴리스 조작된다. 아이콘은, 릴리스 조작된 위치의 근방의 격자 LT 상의 위치 혹은 격자점 LTc에 배치된다. 또한 격자 LT는 덕트 레일(8)에 상당하고, 격자점 LTc는 덕트 레일(8)의 교차점에 상당한다. 따라서 아이콘으로 나타나는 전기 기기(30)는 덕트 레일(8) 상의 위치 혹은 교차점에 배치된다.
도 10에서는, 카메라의 아이콘 i11 내지 i13이 격자점 LTc에 배치된다. 또한 카메라의 아이콘 i13으로 나타나는 카메라(314)는, 점선 L1, L2 사이에 놓여 나타나는 범위가 촬상 시의 화각으로 되도록 점포 내를 촬상하는 것이 나타난다. 그 외, 복수의(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15개의) 비콘 아이콘 i4, 1개의 스피커 아이콘 i3, 1개의 프로젝터 아이콘 i5, 1개의 센서 아이콘 i6이 각각 배치된다. 또한 덕트 레일(8)의 형상에 따라서는, 어느 레이아웃으로부터 상이한 레이아웃으로 변경함으로써 이동이 필요해지는 전기 기기 중, 무슨 수를 쓰더라도 자동으로는 이동할 수 없어서 유저 등에 의한 수동 이동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그때, 수동 이동이 필요한 전기 기기의 아이콘은, 수동 이동이 필요하지 않은 전기 기기의 아이콘을 색이나 사이즈, 형상 등을 달리 하여 표시하면 된다.
중앙의 칼럼 CM12에 표시되는 레이아웃 생성 화면은, 격자 LT 및 아이콘 외에, 점포 내의 공간을 상방에서 본 화상을 배경 화상(233)으로서 포함한다. 배경 화상(233)에는, 점포 내에 설치된 복수의 상품 진열대(231z)가 비춰져 있다.
우측의 칼럼 CM13에 표시되는 프로퍼티(PROPERTY)(240)에는, 전기 기기(30)의 식별 정보(DEVICE ID)(241), 및 동작 중(BEHAVIOR)인 전기 기기(30)의 레시피 정보(242)의 일람이 나타난다. 프로퍼티(240)의 하방에는 삭제 버튼(DELETE)(240z) 및 추가 버튼(ADD)(240y)이 표시된다. 전기 기기(30)의 식별 정보(241)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하나의 레시피 정보(242)를 선택하고 삭제 버튼(240z)을 터치하면 이 레시피 정보(242)는 소거된다. 또한 추가 버튼(240y)를 터치하면 이 레시피 정보(242)는 추가된다.
라이브 뷰(245)(LIVE VIEW)는, 식별 정보(241)로 특정되는 전기 기기(30), 여기서는, 카메라의 아이콘 i13으로 나타나는 카메라(314)가 촬상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한다.
조정 박스(250)는, 식별 정보(241)로 특정되는 전기 기기(30)(여기서는 카메라(314))의 동작을 지시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250z)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작 버튼(250z)은, 상하 좌우로 촬상 방향을 전환하는 4개의 버튼, 촬상 방향을 팬 방향(좌회전·우회전)으로 회전시키는 2개의 버튼, 촬상 방향을 틸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2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유저는 이들 조작 버튼(250z) 중 하나를 터치 조작하면, 카메라(314)의 방향(촬상 방향)이 변경된다. 또한 칼럼 CM13에는 프로퍼티(240), 라이브 뷰(245) 및 조정 박스(250)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칼럼 CM13에는 프로퍼티(240)만, 라이브 뷰(245)만, 라이브 뷰(245) 및 조정 박스(250)만이 표시된다.
또한 레이아웃 화면 GM1의 하방에는, 등록되어 있는 레이아웃 정보의 일람을 표시시키는 레이아웃 일람 버튼(LAYOUT LIST)(261)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또한 레이아웃이 대상으로 될 전기 기기(30)를 특정하기 위한 대상 특정 버튼(OBJECT)(262)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또한 중앙의 칼럼 CM12의 레이아웃 생성 화면의 확대·축소를 조작하기 위한 배율 슬라이드 바(263)가 표시된다. 또한 레이아웃의 방향을 지정하는 방향 지정 버튼(264)이 표시된다. 방향 지정 버튼(264)은, 점포 내의 수평 방향의 공간을 나타내는 X-Y 방향의 레이아웃과, 점포 내의 수직 방향의 공간을 나타내는 Z 방향의 레이아웃으로 전환 가능하다. 도 10에서는, 방향 지정 버튼(264)은 X-Y 방향의 레이아웃을 표시하도록 선택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에 의하여 작성·편집된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를 관리 서버(50)의 메모리(52)에 등록하는 저장 버튼(265)이 표시된다. 또한 저장 버튼(265)의 클릭 조작에 의하여 레이아웃 정보가 저장될 저장처는 관리 서버(50)의 메모리(52)에 한하지 않으며, 제어 단말기(40)의 메모리(42)나 클라우드 상의 스토리지여도 된다.
또한 레이아웃의 변경 조작에는 AR(Augmented Reality)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단말기(40)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어서 그 카메라로 천장 및 덕트 레일(8)을 촬상하고, 조작하고자 하는 대상인 전기 기기(30)를, 촬상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44) 상에서 선택함으로써, 유저는 실 공간을 촬상하면서 대상인 전기 기기(3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 대상인 전기 기기(3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라면, 이 대상인 전기 기기(30)의 이동처를, 촬상 중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44) 상에서 입력함으로써, 실 공간을 촬상하면서 이동처까지도 지정할 수 있다.
터치 패널(44)에 입력된 이동처의 위치를 실 공간의 위치로 변환하는 예를 설명한다. 실 공간의 좌표의 덕트 레일(8) 상의 전기 기기(30)의 위치 정보를 로봇 좌표계라 한다. 또한 제어 단말기(40)의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 좌표계라 한다.
관리 서버(50)의 제어부(51)는, 제어 단말기(40)로부터 터치 패널(44)로 입력된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좌표 변환부(511)는 로봇 좌표계로부터 단말 장치 좌표계로 변환한다. 도 20a는,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 덕트 레일(8)을 바로 위에서 본 좌표를 나타내며, 덕트 레일(8)이 소정 위치인 위치 정보(x,y,θ)를 (0,0,0)로 한다. 도 20b는, 제어 단말기(40)의 좌표계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40)를 직사각형으로 나타냄과 함께, 검정 동그라미로 전기 기기(30)의 위치(301)를 나타낸다.
제어 단말기(40)로 전기 기기(30)를 촬영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 좌표를 단말 장치 좌표계의 원점으로 한다. 이때, 제어 단말기(40)의 위치는, 예를 들어 이하의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것으로 구해진다.
방식 1로서는, 전기 기기(30)에 붙여진 식별 마크(도시 생략)를 제어 단말기(40)의 카메라로 촬영한다. 제어부(51)는, 촬영한 카메라 화상의 화상 정보를, 식별 마크(도시 생략)의 인식을 행하여 식별 마크(도시 생략)의 크기와 기울기를 구한다. 제어부(51)는, 구해진 식별 마크(도시 생략)의 크기와 기울기로부터 좌표계의 캘리브레이션을 행함과 함께, 벽의 위치를 패턴 매칭의 화상 처리에 의하여 추출하여 제어 단말기(40)의, 단말 장치 좌표계에서의 제어 단말기(40)의 촬영 위치를 산출한다. 이는, 카메라로 촬영한 식별 마크(도시 생략)가 보이는 방식에 따라 좌표 변환을 행하는 것에 상당하며, 식별 마크(도시 생략)가 경사져 있으면 그 경사 각도로 좌표계도 경사지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방식 2로서는, 전기 기기(30)로부터 제어 단말기(40)까지의 거리를 심도 카메라로 계측하고, 계측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위치를 산출한다.
심도 카메라로의, 전기 기기(30)로부터 제어 단말기(40)까지의 거리의 계측은, 공지된 방법이 이용된다. 거리의 계측 방법의 일례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이다. TOF 방식에서는, 투사한 레이저가 대상까지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거리가 계측된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Kinect(등록 상표)는, 단일의 투영 패턴(예를 들어 랜덤한 도트가 흩뿌려진 큰 사각형 패턴)을 항시 대상 표면에 투영해 두고,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패턴 내의 각 장소의 이동량을 화상 처리로 잡아냄으로써,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동화상의 모든 프레임에 있어서 3차원 계측을 행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조작에 카메라의 화상 인식 기술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단말기(40)에 탑재된 카메라나 전기 기기(30)로서의 카메라 등으로 유저를 비추어, 예를 들어 유저가 조작하고자 하는 전기 기기(30)를 가리키면, 그 전기 기기(30)가 조작 대상인 전기 기기(30)로서 관리 서버(50)에 인식되도록 카메라로부터 관리 서버(50)에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이 대상인 전기 기기(3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라면, 이 대상인 전기 기기(30)의 이동처를, 카메라에 비춰진 유저가 손가락으로 가리킴으로써, 실 공간 내에서 이동처까지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가, 터치 패널(44)이 표시하는 카메라 화상 상의 유저의 입력에 의하여 이동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44)에, 카메라 화상과, 도 10에 도시하는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가 분할된 분할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여기서의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란, 시설의 상면도(시설의 2차원의 지도 정보)를 포함한다. 유저의 지시로서 레이아웃 화면 GM1에 아이콘을 표시해도 되며, 제어 단말기(40)가 마이크를 갖고, 제어부(41)에서 유저의 소정 워드의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분할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분할 화면에 있어서, 카메라 화상에 대한 유저의 입력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의 위치에, 유저의 입력이 있음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1)는 터치 패널(44)의 카메라 화상의 입력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의 위치 정보를 제어 단말기(40)에 출력한다. 또는 분할 화면에 있어서,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에 대한 유저의 입력에 대응하는 카메라 화상의 위치에, 유저의 입력이 있음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1)는, 터치 패널(44)의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의 입력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대응하는 카메라 화상의 위치 정보를 제어 단말기(40)에 출력한다. 즉, 분할 화면에 있어서, 카메라 화상 및 레이아웃 생성 화면 CM12 중 어느 것에 유저가 입력한 경우, 다른 쪽 화상의 유저 입력이 표시된다.
또한 조작 정보는 유저의 목소리에 의하여 지시되어도 되며, 커넥트 유닛(10), 전기 기기(30), 또는 제어 단말기(40)에 입력 수단으로서 음성 인식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1은, 방향 지정 버튼(264)이 Z 방향의 레이아웃으로 전환된 경우에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화면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제어부(41)는, 그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 혹은 정보를 터치 패널(44)에 표시한다. 방향 지정 버튼(264)이 Z 방향의 레이아웃으로 전환된 경우, 중앙의 칼럼 CM12에는, 대상 특정 버튼(262)에 의하여 특정되어 식별 정보(241)에 표시되는, 카메라의 아이콘 i13에 대응하는 카메라(314)의 수직 방향의 배치가 나타난다. 또한 카메라(314)에 의하여 촬상되는 화각은, 점선 L3, L4 사이에 놓여 나타나는 범위이다. 여기서는, 피사체로서 포스터가 부착된 간판(235)이 촬상된다. 카메라(314)의 이동이나 방향에 따라, 촬상되는 피사체의 촬상 범위가 변화한다. 라이브 뷰(245)에는, 카메라(314)에 의하여 촬상되는 촬상 범위 내의 피사체의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방향 지정 버튼(264)이 Z 방향의 레이아웃으로 전환된 경우, 레이아웃 화면 GM1에 있어서의, 좌측의 칼럼 CM11과 우측의 칼럼 CM13의 표시 항목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314)의 위치를 조정할 때, 사람의 움직임 검지를 위한 센서(317)에 의하여 실 공간에 있어서의 인물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VR(확장 현실)로 카메라(314)를 표시하고, 카메라(314)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움직임으로써, 카메라(314)의 위치나 방향을 미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2는,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탭 tb2가 터치 조작으로 선택된 경우에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화면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제어부(41)는, 그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 혹은 정보를 터치 패널(44)에 표시한다. 탭 tb2가 터치 조작으로 선택되면 터치 패널(44)은 레시피 화면 GM2를 표시한다. 레시피 화면 GM2는 3개의 칼럼으로 구성된다. 레시피 화면 GM2에 있어서, 도면 중 좌측의 칼럼 CM21에는, 레이아웃 화면 GM1의 좌측의 칼럼 CM11과 마찬가지로 전기 기기 리스트(220)가 표시된다. 우측의 칼럼 CM23에는 SNS·Web 서비스(90)의 일람(270)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SNS·Web 서비스(90)로서, 예를 들어 IFTTT(271), 트위터(Twitter)(등록 상표)(272), 트랜슬레이션(Translation)(273)을 들 수 있다. 또한 ADD 버튼(278)은, 칼럼 CM23에 표시되는 SNS·Web 서비스(90)의 일람(270)에 신규로 SNS·Web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에 선택된다.
중앙의 칼럼 CM22에는 레시피 설정 화면 GM22가 표시된다. 레시피 설정 화면 GM22에서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에 등록되어 있는 아이콘을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레시피 설정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아이콘 i1 내지 i6 중 하나가 유저에 의하여 터치 조작되고, 드래그 조작에 의하여 중앙의 칼럼 CM22로 이동하여 릴리스 조작되면, 레시피 설정 화면 GM22에 아이콘이 표시되고,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30)가 레시피 설정의 대상으로 된다. 도 12에서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로부터 카메라의 아이콘 i1이 드래그 조작되고, 레시피 설정 화면 GM22에는, 카메라(314)가 설정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타일 te1이 표시된다.
타일 te1 아래에는, 카메라(314)의 동작 조건을 나타내는 타일 te2, te3이 등록된다. 동작 조건은, 유저가 터치 패널(44)에 대하여 터치 입력함으로써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타일 te2에는, 카메라(314)가 인물을 검지한 것이 동작 조건으로서 등록된다. 또한 타일 te2에는 일시와 장소가 등록된다. 또한 타일 te2에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로부터 드래그 조작된 프로젝터 아이콘 i5의 타일 te4, 및 새로이 전기 기기 리스트(220)로부터 드래그 조작된 카메라의 아이콘 i1의 타일 te5가 연관지어져 있다. 또한 타일 te3에는, 타일 te2에 등록된 동작 조건이 만족된 경우의 동작 내용이 등록된다. 동작 내용으로서, 프로젝터 아이콘 i5에 대응하는 프로젝터(313)는 벽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또한 카메라의 아이콘 i1에 대응하는 카메라(314)는 소정의 장소를 촬상하여,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인물의 연령층을 판별하는 것이 등록된다.
상술한 동작 조건 및 상술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타임 세일의 시간대(미리 정해진 시간)에 의류품 코너에서 인물을 찾아내면, 프로젝터(313)가 작동하여 벽면에, 다양한 패션의 옷을 입은 여성이 비추어진다는 연출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14)가 작동하여, 촬상되는 화상에 복수의 인물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연령층을 판별하여, 연령에 걸맞는 옷을 진열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상술한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레시피 정보는, 저장 버튼(265)을 누름으로써 제어 단말기(40)로부터 관리 서버(50)로 송신되고, 관리 서버(50)의 제어부(51)는 그 송신된 레시피 정보를 메모리(52)에 등록한다. 또한 저장 버튼(265)의 클릭 조작에 의하여 레시피 정보가 저장될 저장처는 관리 서버(50)의 메모리(52)에 한하지 않으며, 제어 단말기(40)의 메모리(42)나 클라우드 상의 스토리지여도 된다. 또한 외부 서버(70)의 메모리(72)에 공개용으로 저장되어도 된다.
도 13은, SNS·Web 서비스(90)로서 트랜슬레이션(273)을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화면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제어부(41)는, 그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 혹은 정보를 터치 패널(44)에 표시한다. 레시피 설정 화면 GM22에서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에 등록되어 있는 마이크 아이콘 i2를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마이크로폰(315)을 나타내는 타일 te6이 배치된다. 또한 SNS·Web 서비스(90)의 일람(270)에 등록되어 있는 트랜슬레이션(273)을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트랜슬레이션(273)을 나타내는 타일 te7이 배치된다. 또한 전기 기기 리스트(220)에 등록되어 있는 스피커 아이콘 i3을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스피커(316)를 나타내는 타일 te8이 배치된다. 타일 te6과 타일 te7을 연관짓고 타일 te7과 타일 te8을 연관지음으로써 레시피 정보가 설정된다. 이 설정에서 레시피 정보는, 마이크로폰(315)으로 외국어 음성을 입력하면, Web 서비스인 트랜슬레이션(273)이, 입력된 음성을 일본어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316)가 일본어로 발음하는 레시피 정보가 설정된다. 또한 일본어 음성을 외국어 음성으로 변환하는 설정을 레시피 정보에 포함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점포의 계산대에 외국인이 찾아온 경우, 점원은, 외국어로 발음된 내용을 곧바로 일본어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접객 매너가 향상되어 매출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4는, SNS·Web 서비스(90)로서 인스타그램(275)을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화면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 단말기(40)의 제어부(41)는, 그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 혹은 정보를 터치 패널(44)에 표시한다. SNS·Web 서비스(90)의 일람(270)에 등록되어 있는 인스타그램(275)을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인스타그램(275)을 나타내는 타일 te9가 배치된다. 또한 레시피 설정 화면 GM22에서는, 전기 기기 리스트(220)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터 아이콘 i5를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프로젝터(313)를 나타내는 타일 te10이 배치된다. 타일 te9와 타일 te10을 연관지음으로써 레시피 정보가 설정된다. 이 설정에서는, 인스타그램(275)에 화상이 투고된 경우, 예를 들어 투고된 화상이 점포 내의 화상인 경우, 프로젝터(313)가 그 장소로 이동하여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화상에 흥미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 다양한 영상을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각종 레시피 정보는 클라우드 상의 레시피 스토어에 있어서 등록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상 혹은 무상으로 공개되어도 된다. 도 15는, 레시피 스토어(310)에 등록된 레시피 정보의 일람이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에 표시된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레시피 스토어(310)에는, 레시피 번호 001 내지 0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레시피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제어 단말기(40)의 제어부(41)는 통신부(43)를 통하여 레시피 스토어(310)에 액세스하여, 등록되어 있는 레시피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42)에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유저는, 레시피 정보를 설정할 수고를 덜 수 있고, 또한 새로이 설정할 레시피 정보에 일부를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간단히 설정 가능하다.
(기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5)의 동작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커넥트 유닛(10)을 덕트 레일(8)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작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어 단말기(40)로부터 커넥트 유닛(10)을 직접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유저는, 제어 단말기(40)의 터치 패널(44)(즉, 유저 인터페이스인 UI)에 대하여, 커넥트 유닛(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제어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아웃 정보, 레시피 정보, 전기 기기 이동 정보 등이다. 또한 전기 기기 이동 정보는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되어도 된다. 입력되는 제어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신선 식품 코너에 배치된 프로젝터(313)를 야채 코너로 이동시키는 정보를 들 수 있다. 제어 단말기(40)는, 유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 정보를 접수한다(T1).
제어 단말기(40)는, 입력된 제어 정보를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T2). 관리 서버(50)는 제어 단말기(4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대상으로 될 전기 기기(30)가 접속된 커넥트 유닛(10)을 특정한다(T3). 또한 이때, 관리 서버(50)는, 대상으로 될 전기 기기(30)가 접속된 커넥트 유닛(10)에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그 외의 정보(예를 들어 제어 정보가 입력된 제어 단말기(40)의 식별 정보 등)를 부가해도 된다.
관리 서버(50)는 커넥트 유닛(10)에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T4). 커넥트 유닛(10)은, 관리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처를 결정하여 이동한다(T5).
도 17은, 외부 서버(70)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커넥트 유닛(10)을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외부 서버(70)는 레이아웃 정보, 레시피 정보 등의 제어 정보를 옵션 리스트로서 등록하고 있다. 외부 서버(70)는 제어 정보의 옵션 리스트를 판독한다(T11). 외부 서버(70)는 판독한 옵션 리스트를 제어 단말기(40)에 송신한다(T12). 옵션 리스트를 송신하는 타이밍으로서, 정기적으로, 혹은 제어 단말기(40)로부터 요구받았을 때를 들 수 있다.
제어 단말기(40)는 외부 서버(70)로부터 옵션 리스트를 수신하고, 옵션 리스트 중에서 유저의 입력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원하는 제어 정보를 접수한다(T13). 제어 단말기(40)는, 원하는 제어 정보를 외부 서버(70)에 통지한다(T14). 또한 제어 단말기(40)와 외부 서버(70)의 통신은 관리 서버(50)를 통해고 되고, 직접 행해져도 된다.
외부 서버(70)는, 선택된 제어 정보의 상세 정보를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T15). 관리 서버(50)는, 수신한 제어 정보의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어 정보를 설정한다(T16). 관리 서버(50)는, 대상으로 될 전기 기기(30)가 접속된 커넥트 유닛(10)에, 설정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T17). 커넥트 유닛(10)은, 관리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처를 특정하여 이동한다(T18). 또한 여기서는, 외부 서버(70)가 관리 서버(50)에 제어 정보의 상세 정보를 송신하고 있었지만, 제어 단말기(40)가 제어 정보의 상세 정보를 외부 서버(70)로부터 수취하여 관리 서버(50)에 직접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옵션 리스트에는, 제어 정보에 더해 공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외부 서버(70)는, 기기 관리 시스템(5)이 위치하는 시설의 공간 정보(공간의 크기, 공간의 형상, 공간의 용도)에 따라 제어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T11). 공간의 크기의 예는 3차원의 공간(x,y,z)의 길이, 2차원의 공간(x,y)이다. 여기서 z는 높이를 의미하고 있다. 공간의 형상의 예는 2차원의 공간의 형상, 3차원의 공간의 형상이다.
또한 옵션 리스트에는, 제어 정보에 더해 시설 내부의 유저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유저의 위치는, 높이 정보를 제외한 2차원의 위치여도 되고, 3차원의 위치여도 된다. 제어 단말기(40)는 옵션 리스트를 표시할 때, 유저의 위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스피커(316)인 경우, 스피커(316)의 지향성과 스피커(316)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피커(316)의 소리가 들리기 쉬운 위치(최적 위치)가 정해진다. 이때, 옵션 리스트의 제어 정보에는, 최적 위치에서 스피커(316)의 소리가 들리기 쉽도록 전기 기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의 기능이 작용하는 영역과 그 작용하는 강도를 시설의 공간에 매핑함으로써 최적 위치의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전기 기기(30)가 스포트라이트인 경우, 전기 기기(30)의 기능이 작용하는 영역이란, 스포트라이트로 조명되는 범위를 나타내고, 전기 기기(30)의 기능이 작용하는 강도란, 스포트라이트로 조명되는 밝기를 나타낸다. 밝기의 일례는 조도(lux)이다. 예를 들어 기기 관리 시스템(5)이 복수의 스피커(316)를 갖는 경우, 지향성의 정보와, 볼륨의 크기별 소리의 감쇠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316)의 소리가 들리기 쉬운 위치(최적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유저는 제어 단말기(40)의 표시를 확인하고, 스피커(316)의 소리를 들려 주고자 하는 유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원하는 제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 단말기(40)는, 스피커(316)의 소리를 들려 주고자 하는 유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유저의 입력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제어 정보를 접수한다(T13). 여기서의 유저의 위치는, 위치 검출 센서(18)에서 검지하는 유저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기기(30)의 기능이 가장 유효하게 작용하는 유저의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유저의 위치는 1점이 아니라 영역을 의미해도 된다.
도 18은, SNS·Web 서비스(90)를 이용하여 커넥트 유닛(10)을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SNS·Web 서비스(90)는 정기적인 일시나 이벤트를 검지한다(T21). SNS·Web 서비스(90)가 검지하는 이벤트로서, 예를 들어 특정 사진이 인스타그램(등록 상표)에 투고되거나, 트위터(등록 상표)에, 특정 문언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올려지거나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SNS·Web 서비스(90)는 정기적인 일시 혹은 이벤트의 검지 시에 제어 정보의 상세 정보를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T22). 이 제어 정보는 전술한 레이아웃 정보나 레시피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서버(50)가 SNS·Web 서비스(90)에 대하여 상세 정보를 요구하고, SNS·Web 서비스(90)는 이 요구에 따라 상세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관리 서버(50)는, 수신한 제어 정보의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대상으로 될 커넥트 유닛(10)을 특정한다(T23). 관리 서버(50)는, 대상으로 될 전기 기기(30)가 접속된 커넥트 유닛(10)에, 설정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T24). 커넥트 유닛(10)은, 관리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처를 특정하여 이동한다(T25).
도 19는, 전기 기기(30)의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커넥트 유닛(10)을 이동시키는 동작 수순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전기 기기(30)는 검지 정보를 생성한다(T31). 검지 정보는,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팬(319)인 경우, 실온의 상승을 검지하여 팬(319)이 작동하도록 온도 센서가 검지한 실온이어도 된다. 또한 검지 정보는, 전기 기기(30)가 카메라(314)인 경우, 카메라(314)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인물의 연령 등을 포함하는 정보여도 된다. 전기 기기(30)는, 생성한 검지 정보를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T32).
관리 서버(50)는, 검지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52)에 저장한다(T33). 관리 서버(50)는, 검지 정보를 분석받기 위해서 클라우드 서버(60)에 검지 정보를 송신한다(T34).
클라우드 서버(60)는, 관리 서버(50)를 포함하는 많은 서버로부터 검지 정보를 수신하고(T35), 이들 검지 정보를 분석한다(T36). 이 분석으로서, 예를 들어 카메라(314)로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인물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찾아도 된다. 분석 결과, A점, B점, C점 등의 슈퍼에서는 저녁 5:00경부터 과일 코너에 많은 사람이 모여 있다는 정보가 얻어진다.
클라우드 서버(60)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T37). 클라우드 서버(60)가 생성하는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저녁 5:00경이 되면 과일 코너를 조명하도록 스포트라이트를 이동시켜 점등하거나, 과일 코너로 프로젝터를 이동시켜 영상을 투영하는 등, 판매 촉진으로 이어지는 레시피 정보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60)는, 생성한 제어 정보를 관리 서버(50)에 송신한다(T38). 시간 정보에 관한 분석뿐 아니라, 예를 들어 날씨 정보나 요일, 점내의 혼잡 수준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전기 기기를 이동, 제어시켜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50)는 자장치에 있어서도, 전기 기기(30)로부터 수신한 점포 내의 검지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T39). 이 분석으로서, 예를 들어 카메라(314)로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의류품 코너에는 젊은 여성 고객이 모인다는 정보가 얻어진다. 관리 서버(50)는 이 분석 결과, 의류품 코너로 스피커를 이동시켜 젊은 층에 맞는 음악을 흐르게 하는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달리 말하면, 시설 내의 소정 장소의 유저층의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층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30)의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타깃 유저층이 모이는 위치(장소)를 분석 결과로서 취득하여, 타깃 유저층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30)의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달리 말하면 제어 정보는, 소정의 타깃 유저층에 대응하는 검지 정보만으로 전기 기기(30)를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타깃 유저층은 타깃의 속성에 포함된다. 또한 미리 복수의 타깃 유저층이 설정되고, 타깃 유저층별로 상이한 장소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시간대에 따라 타깃 유저층을 변경해도 된다. 즉, 검지 정보의 조건은 시간대에 따라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주간 시간대(10시 내지 17시에 포함되는 시간)에 있어서, 타깃 유저층을 가족층(아이를 동반한 유저)으로 설정하고, 야간 시간대(17시 내지 24시에 포함되는 시간)에 있어서, 타깃 유저층을 20대 내지 30대의 여성층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때, 관리 서버(50)는 타깃 유저층의 정보를 취득하여,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관리 서버(50)는, 자장치가 생성한 제어 정보, 및 클라우드 서버(60)가 생성한 제어 정보를 선택하고, 대상으로 될 전기 기기(30)가 접속된 커넥트 유닛(10)에, 선택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T40). 어느 쪽을 우선도가 높은 제어 정보로 설정할지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커넥트 유닛(10)은, 관리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처를 특정하여 이동한다(T41).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옵션 리스트에는, 제어 정보에 더해 검지 정보의 조건 또는 분석 결과의 조건을 포함해도 된다. 검지 정보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원하는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검지 정보의 조건 또는 분석 결과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기기(30)가 제어된다. 달리 말하면 관리 서버(50)는, 검지 정보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검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기 기기(30)의 제어 정보를 커넥트 유닛(10)에 송신한다(T40). 여기서, 검지 정보의 조건의 예는, 유저의 위치, 시간대, 요일, 계절, 시설 밖의 날씨 정보, 시설 밖의 날씨 정보의 변화 등이다. 분석 정보의 조건의 예는, 유저의 속성(성별, 신장, 복장 등), 시설 내의 유저 수 등이다. 커넥트 유닛(10)은, 관리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처를 특정하여 이동한다(T41).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복수의 센서(317)인 경우, 시설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시설 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를 복수의 각도에서 검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옵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설정 위치는 1점이 아니라 영역을 의미해도 된다. 시설 내의 설정 위치의 예는, 방범을 고려하여 감시가 필요한 장소, 유저의 주목을 모으고자 하는 장소, 또는 유저의 반응을 취득하고자 하는 장소이다. 복수의 전기 기기(30)를 유효 활용하여, 가능한 경우에는 복수의 각도에서 검지함으로써, 취득할 유저의 정보량을 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기기(30)가 복수의 센서 또는 복수의 카메라(314)이고, 검지 정보의 조건이 복수의 설정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유저가 검지된 설정 위치로 복수의 카메라(314)를 분산시켜 검지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는 작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복수의 각 설정 위치에 있어서, 다른 설정 위치에 유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전기 기기(30)의 이동처의 정보를 갖는다. 기기 관리 시스템(5)이 3개의 전기 기기(30)를 갖고, 검지 조건이 3개의 설정 위치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정보는, 3개의 설정 위치별로, 다른 2개의 설정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3개의 전기 기기(30)가 1개의 설정 위치에서 기능하는 정보와, 다른 1개의 설정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되어 있는 경우의 2개의 전기 기기(30)가 1개의 설정 위치에서 기능하는 정보와, 3개의 모든 설정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되어 있는 경우의 1개의 전기 기기(30)가 1개의 설정 위치에서 기능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상에 의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5)에서는, 커넥트 유닛(10)(가동식 접속 장치의 일례)은, 전기 기기(30)를 접속 가능한 기기 연결부(16)(접속부의 일례)와, 점포(시설의 일례)의 천장(100)에 마련된 덕트 레일(8)을 따라 전기 기기(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연결부(15)(구동부의 일례)를 포함하며, 덕트 레일(8)에 설치 가능하다. 관리 서버(50)(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는, 커넥트 유닛(10)의 덕트 레일(8)을 따른 이동을 지시하는 제어부(51)(관리부의 일례)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 관리 시스템(5)에 따르면, 점포의 천장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전기 기기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유저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수정예, 치환예, 부가예, 삭제예, 균등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확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각종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또한 덕트 레일은 점포의 천장에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임의의 형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천장의 면에 배치되는 덕트 레일은, 교차하지 않는 소용돌이형이나, 임의의 점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곡선형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덕트 레일은, 다각형, 모서리가 둥글어진 다각형, 원형을 포함하는 타원형, 올록볼록한 외형 등의 내측에 부설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덕트 레일은, 다양한 형상에 있어서, 막다른 곳이 없는 엔드리스 루프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18년 1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 제2018-012049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내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개시는, 시설의 천장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제어하여 유저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5: 기기 관리 시스템
8: 덕트 레일
10: 커넥트 유닛
11: 제어부
12: 메모리
13: 통신부
14: 모터
15: 가동 연결부
16: 기기 연결부
18: 위치 검출 센서
30: 전기 기기
40: 제어 단말기
50: 관리 서버
60: 클라우드 서버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부와, 시설에 마련된 덕트 레일을 따라 상기 전기 기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레일에 설치 가능한 가동식 접속 장치와,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의 상기 덕트 레일을 따른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의 조건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정보의 조건은 시간대별로 상이한,
    기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정보의 조건은 유저의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속성은 유저의 연령층 및 성별로 규정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가 배치된 소정의 공간의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 단말기에 대한 유저의 입력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카메라 화상에 대한 유저의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의 위치에,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의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가 배치된 소정의 공간의 카메라 화상과 상기 공간의 지도 화상을 포함하는 분할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화상에 유저의 제1 입력 위치의 검출을 취득하고, 상기 공간의 지도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지도 화상에 상기 유저의 제2 입력 위치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는 제1 전기 기기와 제2 전기 기기와 제3 전기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위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a) 상기 제1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와 상기 제3 전기 기기가 기능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고,
    (b)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와 상기 제3 전기 기기가 기능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고,
    (c)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와 상기 제3 전기 기기가 기능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8. 시설에 마련된 덕트 레일에 설치 가능한 가동식 접속 장치와, 관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기 관리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접속하는 처리와,
    상기 관리부는,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의 상기 덕트 레일을 따른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를 상기 덕트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처리를 갖고,
    상기 제어 정보에는,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의 조건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정보의 조건은 시간대별로 상이한,
    기기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정보의 조건은 유저의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기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속성은 유저의 연령층 및 성별로 규정되는,
    기기 관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가 배치된 소정의 공간의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 단말기에 대한 유저의 입력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카메라 화상에 대한 유저의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의 위치에,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의 이동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가동식 접속 장치가 배치된 소정의 공간의 카메라 화상과 상기 공간의 지도 화상을 포함하는 분할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화상에 유저의 제1 입력 위치의 검출을 취득하고, 상기 공간의 지도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지도 화상에 상기 유저의 제2 입력 위치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기 관리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는 제1 전기 기기와 제2 전기 기기와 제3 전기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위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a) 상기 제1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와 상기 제3 전기 기기가 기능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고,
    (b)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와 상기 제3 전기 기기가 기능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고,
    (c)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유저가 검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와 상기 제3 전기 기기가 기능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기기 관리 방법.
KR1020207021234A 2018-01-26 2019-01-23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 KR20200112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2049 2018-01-26
JP2018012049 2018-01-26
PCT/JP2019/002113 WO2019146654A1 (ja) 2018-01-26 2019-01-23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850A true KR20200112850A (ko) 2020-10-05

Family

ID=6739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34A KR20200112850A (ko) 2018-01-26 2019-01-23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24110B2 (ko)
JP (1) JP7228796B2 (ko)
KR (1) KR20200112850A (ko)
CN (1) CN111656094B (ko)
WO (1) WO2019146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3332B1 (en) * 2021-05-07 2022-05-17 Eduardo Reyes Remote controlled moving ligh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3579A (ja) 2007-03-27 2008-10-09 Yamaha Corp 給電レールおよび給電レール装置
JP2017199596A (ja) 2016-04-28 2017-11-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05891D0 (en) * 2002-03-13 2002-04-24 Remote Controlled Lighting Ltd A lighting Unit
JP3941800B2 (ja) * 2004-06-25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携帯型無線通信端末および内部無線通信制御方法
JP5872306B2 (ja) * 2012-01-30 2016-03-0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2009B2 (ja) * 2012-09-28 2016-10-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WO2014135555A1 (en) * 2013-03-07 2014-09-12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system, track and lighting module therefore
CN104869691B (zh) * 2015-02-13 2017-09-01 俞文峰 智能照明布置及控制的系统
CN205447347U (zh) * 2015-12-26 2016-08-10 广东卓耐普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临时照明人体自动感应led灯
KR101618020B1 (ko) * 2015-12-31 2016-05-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실내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E202016004226U1 (de) * 2016-07-06 2016-11-11 Helmut Senkel Schienensystem mit verfahrbaren Verbrauchern
IT201600083187A1 (it) * 2016-08-05 2018-02-05 Lym S R L Sistema di illuminazione
CN205919225U (zh) * 2016-08-28 2017-02-01 郭新溢 一种智能夜灯
KR101878866B1 (ko) * 2016-12-02 2018-08-16 유소현 조명장치
CN206831278U (zh) * 2017-05-26 2018-01-02 广州市恩的灯光科技有限公司 移动型舞台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3579A (ja) 2007-03-27 2008-10-09 Yamaha Corp 給電レールおよび給電レール装置
JP2017199596A (ja) 2016-04-28 2017-11-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56094A (zh) 2020-09-11
JP7228796B2 (ja) 2023-02-27
US20200359486A1 (en) 2020-11-12
US11224110B2 (en) 2022-01-11
CN111656094B (zh) 2024-04-02
JPWO2019146654A1 (ja) 2021-01-07
WO2019146654A1 (ja)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548B2 (en) System and method to assist users having reduced visual capability utilizing lighting device provided information
US11869157B2 (en) Method for providing scale to align 3D objects in 2D environment
US11341290B2 (en) Method for moving and aligning 3D objects in a plane within the 2D environment
US1024156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US8841865B2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202882A1 (en) Smart-home device placement and installation using augmented-reality visualizations
US11573626B2 (en) Identifying electrical power ports utilizing IoT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US201802535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Lighting Control System Layout for a Site
WO2015005076A1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844694A (zh) 使用集线器连接两个不同环境的系统和方法
JP7228796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JP20190361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310732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digital signage
CN11103360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7210884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3711263A (zh) 基于图像分析确定光单元的布置
US115563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circuitry to store position information of users present in a space and control environment effect prod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oom
JP6182908B2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2011191892A (ja) 画像表示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WO2021152684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616722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in Proxemic interaction and migratable user interface: applied to smart city
JP2021060859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59854A (ko)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Spassova Interactive ubiquitous displays based on steerable pro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