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866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866B1
KR101878866B1 KR1020160163335A KR20160163335A KR101878866B1 KR 101878866 B1 KR101878866 B1 KR 101878866B1 KR 1020160163335 A KR1020160163335 A KR 1020160163335A KR 20160163335 A KR20160163335 A KR 20160163335A KR 101878866 B1 KR101878866 B1 KR 10187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riving
coupled
pers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517A (ko
Inventor
유소현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유소현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소현, 이정화 filed Critical 유소현
Priority to KR102016016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8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하고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장치는 지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접근하는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AMP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조명을 제공하면서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유아기 아이들을 포함하는 어린이와 심신이 취약한 노약자들은 실내 또는 실외의 어두운 장소에서 이동하는 것이 힘들고, 어린이들의 경우 어두운 장소에 대한 두려움으로 화장실을 가지 못해 부모가 함께 화장실로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조명스위치는 어린이들의 손이 도달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어 밤에는 어린이 혼자 어두운 장소를 이동하는 것이 힘들고, 넓은 평수의 실내나 실외에서는 혼자서 화장실로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특허공개 제10-2014-0132218호는 아이의 울음을 감지하여 램프를 점등하는 영유아용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0050313호는 융복합 유아 감성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어린이의 반응에 따라 조명을 제공하는 기술은 개시하고 있으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하고 어린이들에게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발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명을 제공하면서 편안하게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하고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장치는 지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접근하는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센서를 통해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고 접근하며,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롤러들을 구동시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부의 양끝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커버와 인접하면 정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장치는 유아, 어린이 또는 심신이 미약한 노약자가 방안이나 어두운 외부를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조명 및 음악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레일을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므로 어두운 곳에서 혼자 이동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유아, 어린이 또는 심신 미약자가 편안하게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독립심을 배양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외부의 가이드부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명장치를 주로 사용하는 연령대나 취향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부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이드부 내부에 저장되는 음악은 사용자의 설정 조정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 음악 및 가이드 효과의 열거된 효과들 외에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동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0)는 레일부(200), 구동부(300) 및 가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조명장치(100)는 어린이 또는 노약자를 감지하면 접근하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하여 화장실 또는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음악을 발생시켜 어린이들이 어두운 공간에서도 즐겁게 이동하도록 한다.
레일부(200)는 실외 또는 실내에 지면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물체의 측면에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구동부(300)는 레일부(200)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가이드부(400)는 구동부(30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이드부(4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전방을 향해 결합 배치되는 센서를 통해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고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음악을 제공한다.
구동부(300)는 가이드부(400)의 신호를 수신하면 레일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롤러들을 구동시켜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며, 레일부(200)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장애물에 인접하면 장애물을 감지하고 정지한다.
레일부(200)는 레일프레임(220), 삽입커버(240) 및 가이드홈(260)을 포함한다.
레일프레임(220)은 직육면체의 바(bar)형태로 일단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레일부(200)의 일측면 일부에는 가이드홈(26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한다.
삽입커버(240)의 일부는 레일프레임(2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가이드홈(260)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레일프레임(2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가이드부(400)가 레일부(200)의 양끝단으로 이동하여 레일부(200)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부(300)는 일부가 레일프레임(220) 내부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나머지는 가이드홈(260)을 지나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부(400)는 캐릭터 커버(410) 및 조명유닛(420)을 포함한다.
캐릭터 커버(410)는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친근감이나 호감을 느끼도록 다양한 종류의 생물 형태로 형성되고, 유연한 고분자 또는 천연 물질로 구성되어 용이하게 가이드부(400)에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다.
조명유닛(420)은 캐릭터 커버(410)에 형성되는 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부(400)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를 감지하면 빛을 발광하여 상기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조명유닛(420)은 조명장치(100)에 오작동 또는 구동문제가 발생한 경우 일부의 조명유닛(420)만 깜빡이거나 빛의 발광을 정지시켜 사용자에게 정비를 위한 경고 신호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는 조명프레임(425), 접속단자(430), 제어유닛(440), 램프(450), 적외선센서(460) 및 초음파센서(470)를 더 포함한다.
조명프레임(425)은 캐릭터커버(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서 발광하는 조명유닛(42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다.
접속단자(430)는 조명프레임(425)의 배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부(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단자홈(10)에 삽입되는 단자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접속단자(430)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부(300) 및 가이드부(4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탈착 또는 부착이 용이한 접속단자(430)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부(400)를 구동부(30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제어유닛(440)은 조명프레임(425)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레일부(200) 및 구동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통해 작동하여 결합되는 램프들과 센서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램프(450)는 제어유닛(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조명프레임(425)에 형성되는 홈들과 인접하도록 조명프레임(425)의 외부공간에 배치되며, 조명프레임(425)에 형성되는 홈의 구조를 통해 발산되는 빛이 하부로 경사지게 조사되도록 하여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이동하려는 이동경로에 빛을 조사하거나 경고등을 발생시킨다.
램프(450)는 캐릭터 커버(410)의 종류에 따라서 위치나 형태가 변경될 수 있고 캐릭터 커버(410)는 조명프레임(425)과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램프(45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적외선센서(460)는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고, 초음파 센서(470)는 초음파를 통해 접근하는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와 거리를 감지하며, 적외선센서(460) 또는 초음파 센서(470)가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440)으로 전송하여 조명유닛(420) 및 램프(450)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가이드부(400)는 적외선센서(460) 또는 초음파 센서(470)를 통해 어린이 또는 노약자를 감지하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유닛(440)에는 스피커가 부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어린이 또는 노약자에게 친밀감을 주고 편안함을 주는 음악을 발생시켜 어린이 또는 노약자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1의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구동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200)는 제1 전극(280) 및 제2 전극(281)을 더 포함하고, 구동부(300)는 제1 구동롤러(310), 제2 구동롤러(320), 제1 전극롤러(330), 제2 전극롤러(340), 내부프레임(350), 연결단자(360), 모터(370), 구동커버(380), 제1 구동축(390), 제2 구동축(391), 제1 기어(392), 제2 기어(394) 및 구동레일(396)을 포함한다.
제1 전극(280) 및 제2 전극(281) 각각은 외부전원의 양극 또는 음극과 각각 연결되고, 레일프레임(220)의 내부공간에 서로 상하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구동롤러(310, 320)들 각각은 제1 전극(280)과 제2 전극(281)의 사이에 배치되고, 레일프레임(220)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에서 제1 구동롤러(310)와 제2 구동롤러(320)의 사이에는 제1 전극롤러(330) 및 제2 전극롤러(340)가 각각 제1 전극(280) 및 제2 전극(281)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레일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프레임(350)의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제1 전극롤러(330) 및 제2 전극롤러(34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가이드홈(260)을 지나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레일부(200)와 평행하게 양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레일부(200)의 외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내부프레임(350)의 일부는 제1 구동롤러(310) 및 제2 구동롤러(32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구동롤러(320)와 내부프레임(350) 사이에는 모터(370) 및 제2 구동축(391)이 배치되어 모터(370)가 구동하면 구동축(390)이 회전하면서 제2 구동롤러(320)를 회전시킨다.
제1 전극롤러(330)는 내부프레임(35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전극(280)과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제2 전극롤러(340)는 제1 전극롤러(33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내부프레임(35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전극(281)과 밀착된다.
제1 구동축(390)의 일단은 레일부(200)의 외부에 형성되는 내부프레임(350)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구동롤러(310)를 향해 연장되고 가이드홈(260)을 지나서 제1 구동롤러(310)와 결합된다.
제2 구동축(391)의 일단은 레일부(200)의 외부에 형성되는 내부프레임(350)의 타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모터(370)를 관통하여 가이드홈(260)을 향해 연장되어 제2 구동롤러(320)와 결합된다.
내부프레임(35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구동축(390)에는 내부프레임(350)과 레일프레임(220) 사이에 제1 기어(393)가 결합되고, 내부프레임(350)의 타측에 배치되는 모터(370)와 제2 구동롤러(320)의 사이에는 제2 기어(394)가 제2 구동축(291)에 결합된다.
구동레일(396)은 제1 기어(393)와 제2 기어(394)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모터(370)가 구동하면 제2 기어(394)가 회전하면서 제1 기어(393)를 회전시키고, 제1 및 제2 기어(393, 394)들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구동롤러(310, 320)들이 회전한다.
레일부(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내부프레임(350)의 상부에는 연결단자(360)가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 전극롤러(330, 34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상부에 형성된다.
구동커버(380)는 레일부(200)를 향해 내부의 수납공간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결시키는 단자홈(10)이 형성되며, 구동커버(380)가 내부프레임(350)과 결합되면, 연결단자(360)의 상부가 단자홈(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프레임(350), 모터(370), 구동레일(395)을 커버한다.
따라서, 모터(370)가 구동하면 제1 및 제2 기어(393, 394)들이 회전하고 제1 및 제2 구동롤러(310, 320)들이 회전하면서 구동부(30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구동부(30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 및 제2 전극롤러(330, 340)들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280, 281)들 각각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제1 및 제2 전극(280, 281)들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은 제1 및 제2 전극롤러(330, 340)들을 통해 내부프레임(350)에 연결된 연결단자(360)에 전달된다.
연결단자(360)로 전달되는 전력은 연결단자(36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400)의 접속단자(430)로 전송되고, 조명유닛(420), 제어유닛(440), 램프(450), 적외선센서(460) 및 초음파 센서(470)를 위한 전력으로 사용된다.
도 6은 도 1의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는 구동부(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레일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전극(280, 28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서 이동하며 어린이 또는 노약자에게 조명을 제공하고 음악을 발생시켜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이동경로를 이동하는 동안 공포감을 경감시키고 이동경로를 가이드한다.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초음파 센서(470) 또는 적외선 센서(460)는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접근하면 감지하여 조명을 이동경로에 제공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플레이하며 제어유닛(440)은 초음파 센서(470) 또는 적외선 센서(460)를 통해 감지되는 어린이 또는 노약자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동부(30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한다.
가이드부(400)는 어린이 또는 노약자를 화장실을 포함하는 목적지까지 가이드하고 레일부(200)의 끝단에 배치되는 삽입커버(240)를 감지하면 정지하면서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대기한다.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화장실을 포함하는 목적지에서 용무를 마치고 다시 돌아가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부(400)는 어린이 또는 노약자를 감지하여 레일부(200)를 따라 앞서서 이동하면서 조명 및 음악을 제공한다.
따라서, 조명장치(100)는 심신이 미약하고 길안내가 필요한 어린이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길을 안내하고 어두운 곳에서 공포심을 감소시키며 혼자 이동하도록 독립심을 배양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명장치 200: 레일부
300: 구동부 400: 가이드부

Claims (10)

  1. 내부공간이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일측면 일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며 타측은 벽과 결합되는 레일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하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극들, 상기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전극들과 밀착되는 구동롤러들, 상기 구동롤러들의 사이에서 상기 전극들 각각과 밀착 배치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극롤러들, 상기 레일부의 외부에서 상기 구동롤러와 구동축을 통해 결합되는 모터 및 상기 레일부의 외부에서 상기 모터, 구동롤러 및 전극롤러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후방에 형성된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연결단자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접근하는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경로에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전방을 향해 결합되는 센서를 통해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고 접근하며,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음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레일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롤러들을 구동시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부의 양끝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커버와 인접하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롤러들 각각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각각의 구동축들과 결합되는 기어들; 및
    상기 기어들을 감싸는 구동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조명프레임;
    상기 조명프레임의 표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릭터 커버; 및
    상기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하는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60163335A 2016-12-02 2016-12-02 조명장치 KR10187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35A KR101878866B1 (ko) 2016-12-02 2016-12-02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35A KR101878866B1 (ko) 2016-12-02 2016-12-02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17A KR20180063517A (ko) 2018-06-12
KR101878866B1 true KR101878866B1 (ko) 2018-08-16

Family

ID=6262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35A KR101878866B1 (ko) 2016-12-02 2016-12-0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6094B (zh) 2018-01-26 2024-04-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设备管理系统以及设备管理方法
DE102018120427A1 (de) * 2018-08-22 2020-02-27 Tridonic Gmbh & Co Kg Leuchten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s Leuchtensystems
CN109855006A (zh) * 2019-02-25 2019-06-07 中国航空国际建设投资有限公司 机库及其照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472A (ja) * 2004-10-29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袋照明
KR100836887B1 (ko) * 2006-02-24 2008-06-11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239B1 (ko) * 1999-02-10 2002-05-02 이현조 다목적 이동형 서치라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472A (ja) * 2004-10-29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袋照明
KR100836887B1 (ko) * 2006-02-24 2008-06-11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17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866B1 (ko) 조명장치
US8810407B1 (en) Walker with illumination, location, positioning, tactile and/or sensor capabilities
CN106003089A (zh) 一种儿童智能陪伴机器人
AU2015243852A2 (en) Seat assembly for a patient transport device
US9772078B2 (en) Lighted toilet paper holder
CN105922272A (zh) 一种幼儿陪伴机器人
KR102189230B1 (ko) 휴대 지능형 uvc led 살균기
US6829788B1 (en) Toilet training assembly
US10842895B1 (en) Germicidal modular motion-detecting lighting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sible light illumination and optical disinfection
US20020094746A1 (en) Blowing doll
US10518183B2 (en) Light-up toy with motion sensing capabilities
US107021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ghting effects in toilet seat
ES2030592T3 (es) Sistema de bano.
JP4403551B2 (ja) 発光表示式検知装置
JP2010101034A (ja) 便座装置
CN109200592B (zh) 用于促进移动的儿童玩具
KR101222808B1 (ko) 양치질 학습장치
CN205704219U (zh) 一种幼儿陪伴机器人
US20140298580A1 (en) Childs Pot
KR20190105844A (ko) 광량 조절이 가능한 비타민 디 체내합성 유도용 조명장치
KR102629354B1 (ko) 체온 측정가능한 거울
US8066544B2 (en) Toy apparatus and environment therefor
JP3174336U (ja)
JP2007275086A (ja) 発光箱
AU705635B3 (en) Comf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