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161A -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1161A KR20200111161A KR1020207017104A KR20207017104A KR20200111161A KR 20200111161 A KR20200111161 A KR 20200111161A KR 1020207017104 A KR1020207017104 A KR 1020207017104A KR 20207017104 A KR20207017104 A KR 20207017104A KR 20200111161 A KR20200111161 A KR 20200111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line
- transmission
- communication system
- signal
- branch p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4—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5—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improving S/N by matching impedance, noise reduction, gai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로는, 도중에 분기점을 갖고 있고, 송신 장치와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을 갖고 있고, 또한, 분기점과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신호선은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신호의 전송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드론,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스마트 폰 등에서는 복수의 카메라를 탑재하는 구성이 급증하고 있다.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에 전송할 때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얼라이언스가 책정한 C-PHY 규격이나 D-PHY 규격이라는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이 적용된다. 특허 문헌 1에는, D-PHY 규격의 신호 전송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MIPI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포인트 투 포인트 전송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측의 핀 수나 전송로 사이즈의 업, 제품 디자인면에서의 제약 등 과제가 많다.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이 유망하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에서는, 반사 등의 영향으로 파형 품질이 크게 열화되기 때문에, 고속 전송에 맞지 않는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하는 것의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로는 도중에 분기점을 갖고 있고, 송신 장치와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을 갖고 있고, 또한, 분기점과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신호선은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갖고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송 장치는,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 장치이다. 이 전송 장치는, 분기점과, 송신 장치와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과, 분기점과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과,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신호선의 분기점의 근방에 마련된 복수의 저항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비교례 A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비교례 B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비교례 C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6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개시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3분기(three branch)의 통신 시스템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4분기의 통신 시스템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5분기의 통신 시스템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본 개시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20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도 2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도 2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도 29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도 30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도 3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도 3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도 33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1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이미지 센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2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탑재용 카메라의 설치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차량탑재용 카메라에,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을 적용한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비교례 A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비교례 B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비교례 C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6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개시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3분기(three branch)의 통신 시스템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4분기의 통신 시스템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5분기의 통신 시스템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한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본 개시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20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도 2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도 24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도 28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도 29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도 30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도 31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도 3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도 33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1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이미지 센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2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탑재용 카메라의 설치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차량탑재용 카메라에,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을 적용한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의 실시의 형태(통신 시스템)
2. 제2의 실시의 형태(통신 시스템)
3. 제1∼제2의 실시의 형태에 공통의 변형례(통신 시스템)
4. 제3의 실시의 형태(통신 시스템)
5. 제1∼제3의 실시의 형태 및 그들 변형례에 공통의 변형례(통신 시스템)
6. 적용례(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이미지 센서, 차량탑재용 카메라)
<1. 제1의 실시의 형태>
[구성]
본 개시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1)은,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에 적용되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1)은, 2개의 송신 장치(TX1, TX2)와, 하나의 수신 장치(RX)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1)은, 또한, 예를 들면, 도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송신 장치(TX1, TX2)와, 수신 장치(RX)를 서로 접속하는 전송로(P)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1)은, 2개의 송신 장치(TX1, TX2)로부터, 전송로(P)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RX)에 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로(P)는, 도중(途中)에 3개로 분기되어 있고, 분기점(Hp, Hn)을 갖고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1)는, 송신 장치(TX1)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1)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1p, P1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1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1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TX1)의 각 신호선(P1p, P1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2)는, 송신 장치(TX2)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2)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2p, P2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2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2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TX2)의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3)는, 수신 장치(RX)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3)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3p, P3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3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3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신호선(P1p, P2p, P3p)은 분기점(Hp)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P1n, P2n, P3n)은 분기점(Hn)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전송로(P1, P2, P3)는, 예를 들면, 배선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로(P1, P3)가 배선 기판상의 공통의 층 내에 형성되어 있고, 전송로(P2)은 배선 기판상의 전송로(P1, P3)와는 다른 층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로(P1, P3)와 전송로(P2)가 스루홀로 구성된 분기점(Hp, Hn)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로(P2, P3)가 배선 기판상의 공통의 층 내에 형성되어 있고, 전송로(P1)가 배선 기판상의 전송로(P2, P3)와는 다른 층 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로(P2, P3)와 전송로(P1)가 스루홀로 구성된 분기점(Hp, Hn)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각 신호선(P1p, P2p, P3p)은 분기점(Hp)의 근방에 저항 소자(R)를 갖고 있고, 또한, 각 신호선(P1n, P2n, P3n)도, 분기점(Hn)의 근방에도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의 특성 임피던스를 Z0로 하고, 각 송신 장치(TX1, TX2)의 각 신호선(P1p, P1n, P2p, P2n)에 대한 종단 저항을 RT/2로 하고,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한 종단 저항을 RT/2로 하면, 저항 소자(R)는, 이하의 식(1)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R=((분기수-1)×Z0-RT/2)/분기수 … (1)
특성 임피던스(Z0)가 50옴으로 되어 있고, 종단 저항(RT/2)이 100/2=50옴으로 되어 있을 때, 저항 소자(R)는, 16.7옴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은, 송신 장치(TX1, TX2) 및 수신 장치(RX)의 어느 포트에서 보아도, 50옴(RS)으로 되어 있어서, 임피던스 정합이 취하여진 전송로로 되어 있다.
각 저항 소자(R)는, 반사에 의한 전송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극력,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전송로(P)의 레인 내(內) 스큐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신호선(P1p)과 신호선(P1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近似)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1p, P1n)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2p)과 신호선(P2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2p, P2n)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3p)과 신호선(P3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3p, P3n)이 배치된다. 또한, 전송로(P)의 레인 사이 스큐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서로 다른 레인 사이의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이 배치된다.
반사에 의한 전송 특성의 열화의 억제, 전송로(P)의 레인 내 스큐 특성의 열화의 억제, 및 전송로(P)의 레인 사이 스큐 특성의 열화의 억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송로(P)가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레이어에 걸쳐서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레이어의 특성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전송로(P)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로(P)가 복수 레이어에 걸쳐서 배선되는 경우, 각 레이어의 특성이 서로 가까워지지 않을 때에는, 1레인을 구성하는 각 배선의 특성이나, 레인 사이 특성에 차분이 나오기 어렵게 되도록 각 레이어의 사용 비율을 정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시스템(1)에서는, 송신 장치(TX1)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TX2)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2)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통신 시스템(1)에서는, 송신 장치(TX2)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는 차동 종단된다. 송신 장치(TX1, TX2)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신호 출력 및 차동 종단의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도 5는, 통신 시스템(1)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통신 시스템(1)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통신 시스템(1)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2개의 파형 중 하측의 파형은, 송신 장치(TX1, TX2)측에서 본 때의 통과 특성의 결과이고, 2개의 파형 중 상측의 파형은, 수신 장치(RX)측에서 본 때의 통과 특성의 결과이다. 도 6에서는, 송신 장치(TX1, TX2)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의 결과와, 수신 장치(RX)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의 결과가 서로 맞겹처져 있다.
도 5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5dB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저항 소자(R)가 삽입된 덕에 의해, 통과하는 신호 레벨이 약 56%에 까지 내려간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15dB로 되어 있다. 이것은, 반사된 신호 레벨이 약 18%까지 내려간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아이 다이어그램의 눈이 또렷이 열려 있다.
도 8은, 비교례 A에 관한 통신 시스템(100)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송신 장치(TX1)의 각 신호선(P1p, P1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고,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SSTL(Stub Series Termination Logic)을 활용한 전송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스터브인 송신 장치(TX2)측으로 분기한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 저항치가 Z0/2의 SST가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신 장치(TX2)에서 본 때의 버스의 임피던스의 비정합이 해소된다.
도 9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2dB 정도로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저항 소자(R)가 삽입되어 있지 않아, 신호 레벨이 그다지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0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7dB 정도로 되어 있다. 이것은, 입력한 신호의 반분이 반사에 의해 돌아와 버린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아이 다이어그램의 눈이 도 7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눈과 비교하여, 상당히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반사에 의한 노이즈가 많고, 신호가 통과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비교례 B에 관한 통신 시스템(200)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200)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200)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200)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200)에서는, 송신 장치(TX2)의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고,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200)은, SSTL을 활용한 전송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200)에서는, 스터브인 송신 장치(TX2)측으로 분기한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 저항치가 Z0/2의 SST가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신 장치(TX2)에서 본 때의 버스의 임피던스의 비정합이 해소된다.
도 13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2dB 정도로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저항 소자(R)가 삽입되어 있지 않아, 신호 레벨이 그다지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4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2dB 정도로 되어 있다. 이것은, 입력한 신호의 대부분이 반사에 의해 돌아와 버리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아이 다이어그램의 눈이, 거의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통신 시스템(200)에서는, 반사에 의한 노이즈가 많고, 신호가 통과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비교례 C에 관한 통신 시스템(300)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통신 시스템(300)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통신 시스템(300)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통신 시스템(300)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300)에서는, 송신 장치(TX1)의 각 신호선(P1p, P1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고, 송신 장치(TX2)의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서도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300)에서는,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해서도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300)은, SSTL을 활용한 전송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300)에서는, 스터브인 송신 장치(TX2)측으로 분기한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 저항치가 Z0/2의 SST가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신 장치(TX2)에서 본 때의 버스의 임피던스의 비정합이 해소된다.
도 17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4dB 정도로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저항 소자(R)가 삽입되어 있지 않아, 신호 레벨이 그다지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8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6dB 정도로 되어 있다. 이것은, 입력한 신호의 약 반분이 반사에 의해 돌아와 버리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아이 다이어그램의 눈이, 어느 정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통신 시스템(300)에서는, 반사에 의한 노이즈가 많고, 신호가 통과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효과]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신 시스템(1)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근래, 드론,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스마트 폰 등에서는, 복수의 카메라를 탑재하는 구성이 급증하고 있다.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에 전송할 때에는, MIPI 얼라이언스가 책정한 C-PHY 규격이나 D-PHY 규격이라는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이 적용된다.
그런데, MIPI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포인트 투 포인트 전송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측의 핀 수나 전송로 사이즈의 업, 제품 디자인 면에서의 제약 등 과제가 많다.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이 유망하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에서는, 반사 등의 영향으로 파형 품질이 크게 열화되기 때문에, 고속 전송에 맞지 않는다. 실제, 상술한 통신 시스템(100, 200, 300)에서는, 반사에 의한 노이즈가 많고 신호가 통과하기 어려웠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로(P)에서, 3분기된 분기점(Hp, Hn)이 마련되고, 3분기된 분기점(Hp, Hn)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로(P)에 분기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로(P)에 마련한 각 저항 소자(R)가 상기한 식(1)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은, 송신 장치(TX1, TX2) 및 수신 장치(RX)의 어느 포트에서 보아도, 50옴(RS)으로 되어 있어서, 임피던스 정합이 취하여진 전송로가 된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송신 장치(예를 들면, 송신 장치(TX2))가 차동 종단된다. 이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송신 장치가 해방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전송로(P)상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2. 제2의 실시의 형태>
[구성]
본 개시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2)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통신 시스템(2)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2)은,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에 적용되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2)은, 3개의 송신 장치(TX1, TX2, TX3)와, 하나의 수신 장치(RX)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2)은, 또한,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송신 장치(TX1, TX2, TX3)와, 수신 장치(RX)를 서로 접속하는 전송로(P)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2)은, 3개의 송신 장치(TX1, TX2, TX3)로부터, 전송로(P)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RX)에 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로(P)는, 도중에 4개로 분기되어 있고, 분기점(Hp, Hn)을 갖고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1)는, 송신 장치(TX1)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1)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1p, P1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1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1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TX1)의 각 신호선(P1p, P1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2)는, 송신 장치(TX2)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2)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2p, P2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2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2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TX2)의 각 신호선(P2p, P2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3)는, 수신 장치(RX)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3)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3p, P3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3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3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4)는, 송신 장치(TX3)와, 분기점(Hp, Hn)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4)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차동의 신호선(한 쌍의 신호선(P4p, P4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4p)은 분기점(Hp)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4n)은 분기점(Hn)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TX3)의 각 신호선(P4p, P4n)에 대해 종단 저항(RT/2)이 마련되어 있다. 신호선(P1p, P2p, P3p, P4p)은 분기점(Hp)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P1n, P2n, P3n, P4n)은 분기점(Hn)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각 신호선(P1p, P2p, P3p, P4p)은 분기점(Hp)의 근방에 저항 소자(R)를 갖고 있고, 또한, 각 신호선(P1n, P2n, P3n, P4n)도, 분기점(Hn)의 근방에도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여기서,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P4p, P4n)의 특성 임피던스를 Z0로 하고, 각 송신 장치(TX1, TX2, TX3)의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4p, P4n)에 대한 종단 저항을 RT/2로 하고,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p, P3n)에 대한 종단 저항을 RT/2로 하면, 저항 소자(R)는, 상술한 식(1)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특성 임피던스(Z0)가 50옴으로 되어 있고, 종단 저항(RT/2)이 100/2=50옴으로 되어 있을 때, 저항 소자(R)는, 25옴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P4p, P4n)은, 송신 장치(TX1, TX2, TX3) 및 수신 장치(RX)의 어느 포트에서 보아도, 50옴(RS)으로 되어 있고, 임피던스 정합이 취하여진 전송로로 되어 있다.
각 저항 소자(R)는, 반사에 의한 전송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극력,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전송로(P)의 레인 내 스큐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신호선(P1p)과 신호선(P1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1p, P1n)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2p)과 신호선(P2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2p, P2n)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3p)과 신호선(P3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3p, P3n)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4p)과 신호선(P4n)과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신호선(P4p, P4n)이 배치된다. 또한, 전송로(P)의 레인 사이 스큐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서로 다른 레인 사이의 배선 패턴이 극력, 근사 레이아웃이 되도록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P4p, P4n)이 배치된다.
통신 시스템(2)은, 송신 장치(TX1)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TX2, TX3)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2, TX3)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통신 시스템(2)에서는, 송신 장치(TX2)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TX3)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TX3)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통신 시스템(2)에서는, 송신 장치(TX3)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TX2)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TX2)는 차동 종단된다. 송신 장치(TX1, TX2, TX3)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신호 출력 및 차동 종단의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효과]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신 시스템(2)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로(P)에서, 4분기된 분기점(Hp, Hn)이 1조(組), 마련되고, 4분기된 분기점(Hp, Hn)의 각 조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로(P)에 분기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로(P)에 마련한 각 저항 소자(R)가 상기한 식(1)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P4p, P4n)은, 송신 장치(TX1, TX2, TX3) 및 수신 장치(RX)의 어느 포트에서 보아도, 50옴(RS)으로 되어 있고, 임피던스 정합이 취하여진 전송로가 된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송신 장치(예를 들면, 송신 장치(TX2, TX3))가 차동 종단된다. 이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송신 장치가 해방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전송로(P)상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3. 제1∼제2의 실시의 형태에 공통의 변형례>
[변형례 A]
도 21은, 3분기의 통신 시스템(1)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은, 2개의 송신 장치(TX1, TX2)로부터, 전송로(P)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RX)에 신호를 전송한다. 각 저항 소자(R)는,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1p) 및 신호선(P2p)은 분기점(Hp)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1n) 및 신호선(P2n)은 분기점(Hn)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1p) 및 신호선(P3p)은 분기점(Hp)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1n) 및 신호선(P3n)은 분기점(Hn)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1)에서는, 송신 장치(TX1)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2)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2)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1)에서는, 송신 장치(TX2)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는 차동 종단된다.
본 변형례에서는, 전송로(P)에서, 3분기된 분기점(Hp, Hn)이 1조, 마련되고, 3분기된 분기점(Hp, Hn)의 각 조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로(P)에 분기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례 B]
도 22는, 4분기의 통신 시스템(2)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2)은, 3개의 송신 장치(TX1, TX2, TX3)로부터, 전송로(P)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RX)에 신호를 전송한다. 도 22에서는, 전송로(P)에서 3분기의 분기점(Hp, Hn)이 2개소(지점(A), 지점(B))에 마련되어 있고, 각 지점(A, B)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각 저항 소자(R)는, 식(1)에서 분기수를 3으로 하였을 때의 저항치(16.7옴)로 되어 있다.
신호선(P1p) 및 신호선(P2p)은, 지점(A)의 분기점(Hp)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1n) 및 신호선(P2n)은, 지점(A)의 분기점(Hn)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1p) 및 신호선(P5p)은, 지점(A)의 분기점(Hp)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1n) 및 신호선(P5n)은, 지점(A)의 분기점(Hn)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5p)은, 지점(A)의 신호선(P1p)과 지점(B)의 신호선(P3p)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신호선(P5n)은, 지점(A)의 신호선(P1n)과 지점(B)의 신호선(P3n)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신호선(P3p) 및 신호선(P4p)은, 지점(B)의 분기점(Hp)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3n) 및 신호선(P4n)은, 지점(B)의 분기점(Hn)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3p) 및 신호선(P5p)은, 지점(B)의 분기점(Hp)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3n) 및 신호선(P5n)은, 지점(B)의 분기점(Hn)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2)에서는, 송신 장치(TX1)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2, X3)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2, X3)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2)에서는, 송신 장치(TX2)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X3)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X3)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2)에서는, 송신 장치(TX3)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X2)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X2)는 차동 종단된다.
본 변형례에서는, 전송로(P)에서, 3분기된 분기점(Hp, Hn)이 2조, 마련되고, 3분기된 분기점(Hp, Hn)의 각 조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로(P)에 분기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례 C]
도 23은, 5분기의 통신 시스템(3)의 실장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3)은, 4개의 송신 장치(TX1, TX2, TX3, TX4)로부터, 전송로(P)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RX)에 신호를 전송한다. 도 23에서는, 도 22의 4분기의 통신 시스템(2)의 신호선(P3p) 및 신호선(P4p)에서, 새롭게 3분기를 마련한 것에 상당한다. 또한, 새롭게 마련한 3분기의 부분을 지점(C)이라고 칭한다. 각 지 점(A, B, C)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각 저항 소자(R)는, 식(1)에서 분기수를 3으로 하였을 때의 저항치(16.7옴)로 되어 있다.
신호선(P4p) 및 신호선(P6p)은, 지점(C)의 분기점(Hp)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4n) 및 신호선(P6n)은, 지점(C)의 분기점(Hn)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6p)은, 송신 장치(TX4)에 접속된 일방의 배선이다. 신호선(P6n)은, 송신 장치(TX4)에 접속된 타방의 배선이다. 또한, 신호선(P4p) 및 신호선(P7p)은, 지점(C)의 분기점(Hp)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선(P4n) 및 신호선(P7n)은, 지점(C)의 분기점(Hn)에서 공통의 전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P7p)은, 송신 장치(TX3)에 접속된 일방의 배선이다. 신호선(P7n)은, 송신 장치(TX3)에 접속된 타방의 배선이다.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3)에서는, 송신 장치(TX1)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2, X3, X4)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2, X3, X4)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3)에서는, 송신 장치(TX2)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X3, X4)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X3, X4)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3)에서는, 송신 장치(TX3)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X2, X4)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X2, X4)는 차동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본 변형례의 통신 시스템(3)에서는, 송신 장치(TX4)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 X2, X3)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 X2, X3)는 차동 종단된다. 송신 장치(TX1, TX2, TX3, TX4)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신호 출력 및 차동 종단의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본 변형례에서는, 전송로(P)에서, 3분기된 분기점(Hp, Hn)이 2조, 마련되고, 또한, 일방의 조의 분기점(Hp, Hn)에서, 송신 장치(TX1)와 수신 장치(RX)를 연결하는 메인의 전송로에서 분기된 한 쌍의 신호선에서, 3분기된 분기점(Hp, Hn)이 1조, 마련되어 있다. 3분기된 분기점(Hp, Hn)의 각 조에서, 신호선마다에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로(P)에 분기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례 D]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에서, 각 분기점(Hp, Hn)에서, 수신 장치(RX) 가까이에 마련된 각 저항 소자(R)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도 24는, 통신 시스템(1)의 한 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1)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분기점(Hp, Hn)에서, 수신 장치(RX) 가까이에 마련된 각 저항 소자(R)가 생략된 것에 상당한다. 도 2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1)에서, 각 저항 소자(R)는, 이하의 식(2)을 풂에 의해 얻어지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수식 1]
특성 임피던스(Z0)가 50옴으로 되어 있고, 종단 저항(RT/2)이 100/2=50옴으로 되어 있을 때, 저항 소자(R)는, 20.7옴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은, 송신 장치(TX1, TX2)의 포트에서 본 때에는, 50옴(RS-fromTX)이 되어 있고, 수신 장치(RX)의 포트에서 본 때에는, 35.35옴(RS-fromRX)으로 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1)에서의 통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도 2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1)에서의 반사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도 2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1)에서의 아이 다이어그램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에서, 2개의 파형 중 하측의 파형은, 송신 장치(TX1, TX2)측에서 본 때의 통과 특성의 결과이고, 2개의 파형 중 상측의 파형은, 수신 장치(RX)측에서 본 때의 통과 특성의 결과이다. 도 26에서는, 송신 장치(TX1, TX2)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의 결과와, 수신 장치(RX)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의 결과가 서로 맞겹처져 있지 않고, 송신 장치(TX1, TX2)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의 쪽이, 수신 장치(RX)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보다도 우수하다.
도 25에서는,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3dB로, 도 5에서의 신호 레벨과 비교하여 약간, 개선되어 있다. 이것은 분기점(Hp, Hn)에서, 수신 장치(RX) 가까이에 마련된 각 저항 소자(R)가 생략됨에 의해, 수신 장치(RX) 가까이에 마련된 각 저항 소자(R)에 의한 전압의 분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끝났기 때문이다. 또한, 도 26에서는, 송신 장치(TX1, TX2)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에서,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18dB로 되어 있고, 수신 장치(RX)측에서 본 때의 반사 특성에서, 1㎓ 부근의 신호 레벨이 -10dB로 되어 있다. 도 27에서는, 아이 다이어그램의 눈이, 또렷이 열려 있다.
본 변형례에서는, 분기점(Hp, Hn)에서, 수신 장치(RX) 가까이에 마련된 각 저항 소자(R)가 생략됨에 의해, 수신 장치(RX)에 입력되는 신호 레벨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레벨이 개선된 분만큼 노이즈에 강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4. 제3의 실시의 형태>
[구성]
본 개시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4)에 관해 설명한다. 도 28은, 통신 시스템(4)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4)은,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에 적용되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4)은, 2개의 송신 장치(TX1, TX2)와, 하나의 수신 장치(RX)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4)은, 또한,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송신 장치(TX1, TX2)와, 수신 장치(RX)를 서로 접속하는 전송로(P)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4)은, 2개의 송신 장치(TX1, TX2)로부터, 전송로(P)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RX)에 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로(P)는, 도중에 3개로 분기되어 있고, 분기점(H1, H2, H3)을 갖고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1)는, 송신 장치(TX1)와, 분기점(H1, H2, H3)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1)는, 3개로 1조의 신호를 전송하는 3개의 신호선(P11, P12, P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11)은 분기점(H1)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12)은 분기점(H2)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13)은 분기점(H3)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2)는, 송신 장치(TX2)와, 분기점(H1, H2, H3)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2)는, 3개로 1조의 신호를 전송하는 3개의 신호선(P21, P22, P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21)은 분기점(H1)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22)은 분기점(H2)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23)은 분기점(H3)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의 하나인 전송로(P3)는, 송신 장치(TX3)와, 분기점(H1, H2, H3)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송로(P3)는, 3개로 1조의 신호를 전송하는 3개의 신호선(P31, P32, P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호선(P31)은 분기점(H1)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32)은 분기점(H2)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P33)은 분기점(H3)에 접속되어 있다.
각 신호선(P11, P21, P31)은 분기점(H1)의 근방에 저항 소자(R)를 갖고 있고, 각 신호선(P12, P22, P32)은 분기점(H2)의 근방에 저항 소자(R)를 갖고 있고, 각 신호선(P13, P23, P33)은 분기점(H3)의 근방에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여기서, 각 신호선(P11, P21, P31, P12, P22, P32, P13, P23, P33)의 특성 임피던스를 Z0로 하고, 각 송신 장치(TX1, TX2)의 각 신호선(P11, P21, P12, P22, P13, P23)에 대한 종단 저항을 RT/2로 하고, 수신 장치(RX)의 각 신호선(P31, P32, P33)에 대한 종단 저항을 RT/2로 하면, 저항 소자(R)는, 상기한 식(1)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특성 임피던스(Z0)가 50옴으로 되어 있고, 종단 저항(RT/2)이 100/2=50옴으로 되어 있을 때, 저항 소자(R)는, 16.7옴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신호선(P11, P21, P31, P12, P22, P32, P13, P23, P33)은, 송신 장치(TX1, TX2) 및 수신 장치(RX)의 어느 포트에서 보아도, 50옴(RS)으로 되어 있고, 임피던스 정합이 취하여진 전송로로 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4)에서는, 송신 장치(TX1)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2)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2)는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통신 시스템(4)에서는, 송신 장치(TX2)가 신호를 출력할 때는, 송신 장치(TX1)의 출력은 정지되고, 또한, 송신 장치(TX1)는 종단된다. 송신 장치(TX1, TX2)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신호 출력 및 종단의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로(P)에서, 3분기된 분기점(H1, H2, H3)이 마련되고, 3분기된 분기점(H1, H2, H3)에서, 신호선마다 저항 소자(R)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로(P)에 분기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송로(P)에 마련한 각 저항 소자(R)가 상기한 식(1)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신호선(P11, P21, P31, P12, P22, P32, P13, P23, P33)은, 송신 장치(TX1, TX2) 및 수신 장치(RX)의 어느 포트에서 보아도, 50옴(RS)으로 되어 있고, 임피던스 정합이 취하여진 전송로가 된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송신 장치(예를 들면, 송신 장치(TX2))가 종단된다. 이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송신 장치가 해방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전송로(P)상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5.제1∼제3의 실시의 형태 및 그들 변형례에 공통의 변형례>
제1∼제3의 실시의 형태 및 그들 변형례에 공통의 변형례의 전송로(P)에서, 분기점(Hp, Hn) 또는 분기점(H1, H2, H3)이나 각 소자 저항(R)을 포함하는 부분이, IC(Integrated Circuit)나 모듈 등의 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의 통신 시스템(1)에서, 전송로(P)가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송 장치(10)는, 예를 들면, 분기점(Hp, Hn)과,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중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마련된 6개의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전송 장치(10)는, 또한, 예를 들면,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중 분기점(Hp, Hn)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6개의 접속단자(T1p, T1n, T2p, T2n, T3p, T3n)를 갖고 있다.
도 20의 통신 시스템(2)에서, 전송로(P)가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송 장치(20)는, 예를 들면, 분기점(Hp, Hn)과,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P4p, P4n) 중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마련된 8개의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전송 장치(20)는, 또한, 예를 들면,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P4p, P4n) 중 분기점(Hp, Hn)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8개의 접속단자(T1p, T1n, T2p, T2n, T3p, T3n, T4p, T4n)를 갖고 있다.
도 21의 통신 시스템(1)에서, 전송로(P)가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송 장치(30)는, 예를 들면, 분기점(Hp, Hn)과,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중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마련된 6개의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전송 장치(30)는, 또한, 예를 들면,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중 분기점(Hp, Hn)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6개의 접속단자(T1p, T1n, T2p, T2n, T3p, T3n)를 갖고 있다.
도 22의 통신 시스템(2)에서, 전송로(P)의 A지점 및 B지점이, 각각,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23의 통신 시스템(3)에서, 도 23의 전송로(P)의 A지점, B지점 및 C지점이, 각각,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4의 통신 시스템(1)에서, 전송로(P)가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송 장치(40)는, 예를 들면, 분기점(Hp, Hn)과,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중 분기점(Hp, Hn)의 근방에 마련된 4개의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전송 장치(10)는, 또한, 예를 들면, 각 신호선(P1p, P1n, P2p, P2n, P3p, P3n) 중 분기점(Hp, Hn)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6개의 접속단자(T1p, T1n, T2p, T2n, T3p, T3n)를 갖고 있다. 전송 장치(40)에서, 각 신호선(P3p, P3n)에는, 소자 저항(R)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28의 통신 시스템(4)에서, 전송로(P)가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송 장치(50)는, 예를 들면, 분기점(H1, H2, H3)과, 각 신호선(P11, P12, P13, P21, P22, P23, P31, P32, P33) 중 분기점(H1, H2, H3)의 근방에 마련된 9개의 저항 소자(R)를 갖고 있다. 전송 장치(50)는, 또한, 예를 들면, 각 신호선(P11, P12, P13, P21, P22, P23, P31, P32, P33) 중 분기점(H1, H2, H3)은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된 9개의 접속단자(T11, T12, T13, T21, T22, T23, T31, T32, T33)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전송로(P) 중, 분기점(Hp, Hn) 또는 분기점(H1, H2, H3)이나 각 소자 저항(R)을 포함하는 부분이, IC(Integrated Circuit)나 모듈 등의 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송로(P)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 있어서, 분기점(Hp, Hn) 또는 분기점(H1, H2, H3)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도 29의 전송 장치(10)에서,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점(Hp)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1)와, 분기점(Hn)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2)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스위치 소자(SW1)는, 분기점(Hp)과 신호선(P1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繼斷)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2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3p)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1)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1)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p, P2p)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p)을 접속한다. 스위치 소자(SW2)는, 분기점(Hn)과 신호선(P1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2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3n)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2)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2)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n, P2n)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n)을 접속한다.
도 30의 전송 장치(20)에서, 예를 들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점(Hp)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3)와, 분기점(Hn)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4)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스위치 소자(SW3)는, 분기점(Hp)과 신호선(P1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2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3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4p)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3)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3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3)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p, P2p, P4p)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p)을 접속한다. 스위치 소자(SW4)는, 분기점(Hn)과 신호선(P1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2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3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4n)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4)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3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4)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n, P2n, P4n)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n)을 접속한다.
도 31의 전송 장치(30)에서,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점(Hp)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5)와, 분기점(Hn)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6)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스위치 소자(SW5)는, 분기점(Hp)과 신호선(P1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2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3p)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5)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5)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p, P2p)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p)을 접속한다. 스위치 소자(SW6)는, 분기점(Hn)과 신호선(P1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2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3n)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6)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6)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n, P2n)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n)을 접속한다.
도 32의 전송 장치(40)에서, 예를 들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점(Hp)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7)와, 분기점(Hn)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8)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스위치 소자(SW7)는, 분기점(Hp)과 신호선(P1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2p)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p)과 신호선(P3p)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7)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7)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p, P2p)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p)을 접속한다. 스위치 소자(SW8)는, 분기점(Hn)과 신호선(P1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2n)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n)과 신호선(P3n)을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8)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8)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n, P2n)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n)을 접속한다.
도 33의 전송 장치(50)에서,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점(H1)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9)와, 분기점(H2)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10)와, 분기점(H3)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SW11)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스위치 소자(SW9)는, 분기점(H1)과 신호선(P11)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1)과 신호선(P21)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1)과 신호선(P31)상의 저항 소자(R)를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9)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9)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1, P21)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1)을 접속한다. 스위치 소자(SW10)는, 분기점(H2)과 신호선(P12)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2)과 신호선(P22)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2)과 신호선(P32)상의 저항 소자(R)를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10)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10)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2, P22)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2)을 접속한다. 스위치 소자(SW11)는, 분기점(H3)과 신호선(P13)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3)과 신호선(P23)상의 저항 소자(R)를 계단하는 스위치와, 분기점(H3)과 신호선(P33)상의 저항 소자(R)를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SW11)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내부의 2개의 스위치를 온 오프 한다. 스위치 소자(SW11)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예를 들면, 신호선(P13, P23)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선(P33)을 접속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서는, 분기점(Hp, Hn) 또는 분기점(H1, H2, H3)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로(P)를 목적에 응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변형례에서, 각 저항 소자(R)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저항치가 변화한 가변 저항 소자라도 좋다. 각 저항 소자(R)의 저항치는, 예를 들면, 신호 출력 및 종단의 전환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변화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전송로(P)를 목적에 응하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6. 적용례>
이하에,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러한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의 적용례에 관해 설명한다.
(적용례 그 1)
도 39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러한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되는 스마트 폰(5)(다기능 휴대 전화)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스마트 폰(5)에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탑재되어 있고, 그러한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되어 있다.
도 40은, 스마트 폰(5)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0)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11)와, 메모리 제어부(312)와, 전원 제어부(313)와, 외부 인터페이스(314)와, MIPI 인터페이스(315)와, GPU(Graphics Processing Unit)(316)와, 미디어 처리부(317)와, 디스플레이 제어부(318)와, MIPI 인터페이스(319)를 갖고 있다. CPU(311), 메모리 제어부(312), 전원 제어부(313), 외부 인터페이스(314), MIPI 인터페이스(315), GPU(316), 미디어 처리부(317), 디스플레이 제어부(318)는, 이 예에서는, 시스템 버스(320)에 접속되고, 이 시스템 버스(320)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CPU(311)는, 프로그램에 따라, 스마트 폰(5)에서 취급되는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메모리 제어부(312)는, CPU(311)가 정보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메모리(501)을 제어하는 것이다. 전원 제어부(313)는, 스마트 폰(5)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다.
외부 인터페이스(314)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이 예에서는, 무선 통신부(502)와 접속되어 있다. 무선 통신부(502)는, 휴대 전화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부나, RF(Radio Frequency) 프런트 엔드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IPI 인터페이스(315)는, 화상 신호를 이미지 센서(41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다. 이 MIPI 인터페이스(315)와 이미지 센서(410) 사이의 통신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러한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된다. 이미지 센서(410)는,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CMOS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U(316)는,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미디어 처리부(317)는, 음성이나, 문자나, 도형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318)는, MIPI 인터페이스(319)를 통하여, 디스플레이(504)를 제어하는 것이다.
MIPI 인터페이스(319)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504)에 송신하는 것이다. 화상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YUV 형식이나 RGB 형식 등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MIPI 인터페이스(319)와 디스플레이(504)의 사이의 통신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된다.
도 41은, 이미지 센서(410)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미지 센서(410)는, 센서부(411)와, ISP(Image Signal Processor)(412)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인코더(413)와, CPU(414)와, RAM(Random Access Memory)(415)과, ROM(Read Only Memory)(416)과, 전원 제어부(417)와,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418)와, MIPI 인터페이스(419)를 갖고 있다. 이들의 각 블록은, 이 예에서는, 시스템 버스(420)에 접속되어, 이 시스템 버스(420)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센서부(411)는,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CMOS 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ISP(412)는, 센서부(411)가 취득한 화상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JPEG 인코더(413)는, ISP(412)가 처리한 화상을 인코드하여 JPEG 형식의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CPU(414)는, 프로그램에 따라 이미지 센서(410)의 각 블록을 제어하는 것이다. RAM(415)은, CPU(414)가 정보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메모리이다. ROM(416)은, CPU(414)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다. 전원 제어부(417)는, 이미지 센서(410)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다. I2C 인터페이스(418)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취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이미지 센서(4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0)로부터, 제어 신호에 더하여 클록 신호도 수취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센서(410)는, 다양한 주파수의 클록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MIPI 인터페이스(419)는, 화상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0)에 송신하는 것이다. 화상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YUV 형식이나 RGB 형식 등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MIPI 인터페이스(419)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0) 사이의 통신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된다.
(적용례 그 3)
도 42 및 도 43에, 촬상 장치에의 적용례로서, 차량탑재용 카메라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도 42는 차량탑재용 카메라의 설치례의 한 예를 도시하고, 도 43은 차량탑재용 카메라의 내부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301)의 프런트(전방)에 차량탑재용 카메라(401), 좌우에 차량탑재용 카메라(402, 403), 또한 리어(후방)에 차량탑재용 카메라(404)가 설치된다. 차량탑재용 카메라(401∼404)는 각각, 차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ECU(302)(Electrical Control Unit ; 전자 제어 유닛)에 접속되어 있다.
차량(301)의 프런트에 비치된 차량탑재용 카메라(401)의 화상 취입 각도는, 예를 들면 도 42에 a로 나타내는 범위이다. 차량탑재용 카메라(402)의 화상 취입 각도는, 예를 들면 도 42에 b로 나타내는 범위이다. 차량탑재용 카메라(403)의 화상 취입 각도는, 예를 들면 도 42에 c로 나타내는 범위이다. 차량탑재용 카메라(404)의 화상 취입 각도는, 예를 들면 도 42에 d로 나타내는 범위이다. 차량탑재용 카메라(401∼404)는 각각, 취입한 화상을 ECU(302)에 출력한다. 이 결과, 차량(301)의 전방, 좌우, 후방의 360도(전방위)의 화상을 ECU(302)에서 취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탑재용 카메라(401∼404)는 각각, 이미지 센서(431)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회로(432)와, 셀렉터(433)와, SerDes(SERializer/DESerializer) 회로(434)를 갖고 있다.
DSP 회로(432)는, 이미지 센서(431)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대해 각종의 화상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SerDes 회로(434)는, 신호의 시리얼/패럴렐 변환을 행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FPD-Link Ⅲ 등의 차량탑재 인터페이스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셀렉터(433)는, 이미지 센서(431)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를, DSP 회로(432)를 통하여 출력하는지, DSP 회로(432)를 통하지 않고서 출력하는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미지 센서(431)와 DSP 회로(432) 사이의 접속 인터페이스(441)에,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미지 센서(431)와 셀렉터(433) 사이의 접속 인터페이스(442)에,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에 관한 통신 시스템(1∼4)이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복수의 실시의 형태 및 그들의 변형례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본 개시의 효과는,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가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 이외의 효과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로는, 도중에 분기점을 갖고 있고,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분기점과 상기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을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은,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갖고 있는 통신 시스템.
(2) 상기 전송로는, 차동의 신호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 상기 신호선이, 상기 분기점,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을 갖고 있는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3)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하나의 제1 송신 장치가 상기 신호를 출력할 때는,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송신 장치의 출력은 정지되고,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차동 종단되는 (2)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4) 상기 전송로는, 3개의 신호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 상기 신호선이, 상기 분기점,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을 갖고 있는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5)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하나의 제1 송신 장치가 상기 신호를 출력할 때는,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송신 장치의 출력은 정지되고,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종단되는 (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6)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는, 각각,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저항 소자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는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R=((분기수-1)×Z0-RT/2)/분기수
Z0 :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
RT/2 : 상기 송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의 종단 저항
(7) 각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저항 소자는, 이하의 식으로써 얻어지는 저항치를 갖고 있는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수식 2]
Z0 : 상기 제1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
RT/2 : 상기 송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의 종단 저항
(8)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 장치로서,
분기점과,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과,
상기 분기점과 상기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의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마련된 복수의 저항 소자를 구비한 전송 장치.
(9) 각 상기 저항 소자는, 가변 저항 소자인 (8)에 기재된 전송 장치.
(10) 상기 분기점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를 또한 구비한 (8) 또는 (9)에 기재된 전송 장치.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장치에 의하면, 고속 전송에 적합한 멀티 포인트 버스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는, 여기에 기재된 효과로 반드시는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라도 좋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서 2018년 1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제2018-009330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응하여, 여러가지의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 할 수 있는데, 그것들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0)
-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로는, 도중에 분기점을 갖고 있고,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분기점과 상기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을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은,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는, 차동의 신호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 상기 신호선이, 상기 분기점,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하나의 제1 송신 장치가 상기 신호를 출력할 때는,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송신 장치의 출력은 정지되고,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차동 종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는, 3개의 신호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 상기 신호선이, 상기 분기점,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하나의 제1 송신 장치가 상기 신호를 출력할 때는, 상기 복수의 송신 장치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송신 장치의 출력은 정지되고,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종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는, 각각,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저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저항 소자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저항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R=((분기수-1)×Z0-RT/2)/분기수
Z0 : 상기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
RT/2 : 상기 송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의 종단 저항 - 복수의 송신 장치로부터 하나의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 장치로서,
분기점과,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분기점을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제1 신호선과,
상기 분기점과 상기 수신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2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신호선 중,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신호선의 상기 분기점의 근방에 마련된 복수의 저항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저항 소자는, 가변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점에서의 분기수를 바꾸는 스위치 소자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009330 | 2018-01-24 | ||
JP2018009330 | 2018-01-24 | ||
PCT/JP2019/000689 WO2019146430A1 (ja) | 2018-01-24 | 2019-01-11 | 通信システムおよび伝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1161A true KR20200111161A (ko) | 2020-09-28 |
KR102655886B1 KR102655886B1 (ko) | 2024-04-11 |
Family
ID=6739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7104A KR102655886B1 (ko) | 2018-01-24 | 2019-01-11 |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1710885B2 (ko) |
EP (1) | EP3745602B1 (ko) |
JP (1) | JP7197513B2 (ko) |
KR (1) | KR102655886B1 (ko) |
CN (1) | CN111543010B (ko) |
WO (1) | WO201914643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77368B1 (en) | 2021-04-26 | 2022-10-18 |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5729A (ja) * | 2003-07-25 | 2005-02-1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通信装置 |
WO2016163252A1 (ja) * | 2015-04-06 | 2016-10-13 | ソニー株式会社 | バス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
JP2017195500A (ja) | 2016-04-20 | 2017-10-26 | ソニー株式会社 | 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信号受信方法、信号送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40093A1 (de) | 1995-10-27 | 1997-04-30 | Gestra Ag | Anordnung zur Signalübertragung über einen Feldbus |
US5872491A (en) * | 1996-11-27 | 1999-02-16 | Kmw Usa, Inc. | Switchable N-way power divider/combiner |
JP2006246280A (ja) | 2005-03-07 | 2006-09-14 | Hitachi Ltd | 分岐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分岐ケーブル |
US8242796B2 (en) | 2008-02-21 | 2012-08-14 | Advantest (Singapore) Pte Ltd | Transmit/receive unit,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transmit/receive units |
US8649445B2 (en) * | 2011-02-17 | 2014-02-11 |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 Methods and systems for noise resilient, pin-efficient and low power communications with sparse signaling codes |
JP5968457B2 (ja) | 2012-11-02 | 2016-08-10 | カナレ電気株式会社 | ループスルー機能を有するアクティブコネクタ |
CN104735387B (zh) * | 2015-03-19 | 2018-05-22 |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 实现多通道mipi同步传输方法和装置 |
US9535150B1 (en) * | 2015-06-12 | 2017-01-03 | Rohde & Schwarz Gmbh & Co. Kg | Method for calibrating a cable and respective measuring device |
CN105871353B (zh) | 2016-06-22 | 2019-03-15 |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多负载电路及装置 |
JP6726045B2 (ja) | 2016-07-12 | 2020-07-22 | Ykk Ap株式会社 | 戸体および建具 |
US10200222B2 (en) * | 2017-01-31 | 2019-02-05 | Raytheon Company | Low cost and low frequency baseband two-tone test set using direct digital synthesizers as signal generators and a fully differential amplifier as the power combiner |
-
2019
- 2019-01-11 JP JP2019566998A patent/JP7197513B2/ja active Active
- 2019-01-11 KR KR1020207017104A patent/KR1026558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1-11 US US16/963,106 patent/US11710885B2/en active Active
- 2019-01-11 WO PCT/JP2019/000689 patent/WO2019146430A1/ja unknown
- 2019-01-11 CN CN201980007108.4A patent/CN111543010B/zh active Active
- 2019-01-11 EP EP19744498.7A patent/EP3745602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5-09 US US18/195,126 patent/US20230318161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5729A (ja) * | 2003-07-25 | 2005-02-1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通信装置 |
WO2016163252A1 (ja) * | 2015-04-06 | 2016-10-13 | ソニー株式会社 | バス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
JP2017195500A (ja) | 2016-04-20 | 2017-10-26 | ソニー株式会社 | 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信号受信方法、信号送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46430A1 (ja) | 2019-08-01 |
US20230318161A1 (en) | 2023-10-05 |
KR102655886B1 (ko) | 2024-04-11 |
EP3745602A1 (en) | 2020-12-02 |
JP7197513B2 (ja) | 2022-12-27 |
JPWO2019146430A1 (ja) | 2021-01-07 |
CN111543010A (zh) | 2020-08-14 |
CN111543010B (zh) | 2021-10-22 |
US11710885B2 (en) | 2023-07-25 |
EP3745602B1 (en) | 2023-04-12 |
US20210367317A1 (en) | 2021-11-25 |
EP3745602A4 (en) | 2020-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95318B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configurable bidirectional front-end interface | |
CN109413353B (zh) | 可重新配置的引脚对引脚接口及其设置方法 | |
US11765004B2 (en) |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
US11711627B2 (en) | Image capture display terminal | |
US20230318161A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er | |
CN102791181A (zh) | 内窥镜系统 | |
US5341509A (en) | Paralle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stack of bus-printed disks and a plurality of radially exending processing unit boards | |
US9698746B2 (en) | Active connector having loop through function | |
CN107689800A (zh) | C型通用序列汇流排切换电路 | |
JP7503620B2 (ja) | データ送信装置 | |
CN105682360B (zh) | 高频模块和移动终端 | |
WO2019198434A1 (ja) | 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 |
JP2007306267A (ja) | 半導体送受信装置システム、メモリカードおよびメモリカードホスト機器 | |
US792482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pinout mapping | |
EP1622037B1 (en) | Integrated branching network system and joint connector | |
CN112398540B (zh) | 光模块及包括其的信号处理系统 | |
GB2074824A (en) | High speed ribbon cable bus | |
US20070171991A1 (en) | Current mod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ing circuit sharing a clock outputting unit | |
US6320475B1 (en) | Printed circuit board suppressing ringing in signal wavefor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