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18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18A
KR20200110918A KR1020190030418A KR20190030418A KR20200110918A KR 20200110918 A KR20200110918 A KR 20200110918A KR 1020190030418 A KR1020190030418 A KR 1020190030418A KR 20190030418 A KR20190030418 A KR 20190030418A KR 20200110918 A KR20200110918 A KR 2020011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
drum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웅
박우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918A/ko
Publication of KR2020011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06F2202/085
    • D06F2204/08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부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드럼과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하는 수류형성단계; 배수부가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드럼 및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분리과정, 및 분리과정의 진행 중 배수부가 터브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과정을 포함하는 제1탈수단계; 및 드럼 및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과정, 및 회전과정의 진행 중 분사부가 드럼의 원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과정을 포함하는 제1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터브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오물을 분리하는 세탁행정, 상기 터브에 깨끗한 물을 급수한 뒤 세탁행정의 완료 후 의류에 잔류하는 물과 오물을 제거하는 헹굼행정, 및 급수 없이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물과 오물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의류에서 오물을 제거한다.
상기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에서는 상기 급수부와 배수부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세탁과 헹굼에 유리한 경향이 있지만, 터브의 부피 및 물 소비량을 고려할 때 세탁과 헹굼에 적절한 양의 수위를 결정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헹굼성능이 높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헹굼행정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헹굼성능의 향상을 위해, 본 발명은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안, 드럼의 원주면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잔류하는 오물을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헹굼단계(일명, shower rinse)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의류의 헹굼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드럼의 원주면에 물을 분사하여 물과 오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에서 배출되게 하는 제1헹굼단계, 상기 제1헹굼단계에서 공급된 물을 배수하지 않고 터브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헹굼단계의 완료 후 드럼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제2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의 드럼; 상기 드럼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드럼 투입구;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배수부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분리과정, 및 상기 분리과정의 진행 중 상기 배수부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과정을 포함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과정, 및 상기 회전과정의 진행 중 상기 분사부가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과정을 포함하는 제1헹굼단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헹굼단계의 진행 중 작동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는 상기 분리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헹굼단계는 상기 제1탈수단계의 배수과정이 완료된 후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헹굼단계의 진행 중 상기 감지부가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이 종료되는 회전종료과정, 상기 분사부의 작동이 종료되는 분사종료과정, 및 상기 교반부가 회전하는 교반과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상인 때 개시되는 제2헹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교반부 높이의 절반 이상인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헹굼단계의 진행 중 작동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교반과정은 상기 교반부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헹굼단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교반부의 회전이 중단되는 교반종료단계; 상기 배수부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 및 상기 제2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에 포함된 물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헹굼성능이 높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헹굼행정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헹굼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헹굼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터브(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바디(11), 상기 캐비닛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버(1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21)는 캐비닛 커버(12)에 구비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지지부(15)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15)는 상기 터브 바디(31)에 발생한 진동을 감쇄 가능한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는 커버(3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3)에는 투입구(12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35)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3)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35)를 통해 상기 투입구(12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5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51)의 원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드럼 바디(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5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의 물은 다수의 관통홀들(55)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로 이동하고,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은 상기 관통홀들(55)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57)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축(57)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57)이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회전축(57)과 터브 바디(31)의 바닥면 사이의 각도가 오차(조립공차) 범위 내에서 90도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상기 회전축(57)의 자유단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 바디(31)에는 상기 회전축(5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는 교반부(7)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7)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거나 의류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교반부(7)는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 위치하는 교반 바디(71), 상기 교반 바디를 회전시키는 바디 회전축(7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교반 바디(71)는 상기 바디 회전축(74)이 고정되는 허브(711), 상기 허브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51a)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암(713, arm)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7)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는 축 관통홀(571)이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51b)에는 상기 축 관통홀(571)에 연통하는 연통홀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바디 회전축(74)은 일단은 상기 허브(7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홀 및 축 관통홀(571)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7) 및 드럼(5)은 구동부(9)에 의해 회전하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9)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9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바디 회전축(74)의 일단은 상기 로터(9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93)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 바디(71)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9)에는 상기 로터(93)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축(57)에 전달하는 클러치(95), 상기 클러치(95)의 위치를 제어하는 클러치 작동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7)의 원주면에는 축 체결부(573, shaft serration)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93)에는 로터 체결부(931, rotor serration)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러치(95)는 상기 두 체결부(573, 931)을 연결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95)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클러치 바디(951),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위치하는 클러치 체결부(9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체결부(953)는 상기 클러치 바디(951)를 상기 축 체결부(573) 및 로터 체결부(931)에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클러치 작동부가 상기 클러치 바디(951)를 회전축(57)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클러치 바디(951)는 상기 로터 체결부(931)와 축 체결부(573)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터(93)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 바디(51)와 교반 바디(7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클러치 작동부가 상기 클러치 바디(951)를 로터(93)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로터 체결부(931)는 상기 축 체결부(57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터(93)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 바디(51)는 회전하지 않지만, 상기 교반 바디(71)는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37)를 통해 터브(3)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38)를 통해 터브(3) 내부의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37)는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상기 터브 바디(31)에 공급하는 급수관(371) 및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3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38)는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펌프(383)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381),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38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에 공급된 물의 양은 감지부(4)를 통해 측정된다. 상기 감지부(7)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가 형성되는 연통관(41), 상기 연통관(41)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41)은 일단은 상기 제1배수관(38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 바디(31)의 회전중심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드럼 바디(51)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9)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51a)에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노즐(391), 상기 노즐을 급수원에 연결하는 노즐 급수관(393), 상기 노즐 급수관을 개폐하는 분사밸브(3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39)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51a)에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도 2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0), 상기 터브(3) 및 드럼(5)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하는 수류형성단계(S20),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S30),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제1탈수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단계(S10)는 제어부(미도시)가 급수부에 구비된 급수밸브(373)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관(371)을 개방하는 단계이다. 상기 급수단계(S10)는 상기 감지부(7)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급수수위에 도달하면 종료된다.
상기 급수수위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하중센서 등을 통해 판단하는 포량판단단계를 상기 급수단계의 이전에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수류형성단계(S20)는 상기 드럼(5)과 교반부(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상기 터브와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의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수류형성단계(S20)는 상기 교반부(7)만 회전할 수도 있고, 상기 교반부 및 드럼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수류형성단계(S20)가 진행되는 동안, 의류에 잔류하는 오물은 터브나 드럼 내부의 수류와 충돌할 뿐 아니라, 상기 드럼이나 교반부와 접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물은 의류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1배수단계(S30)는 제어부가 상기 배수부의 펌프(383)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1탈수단계(S40)는 상기 드럼(5) 및 교반부(7)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분리과정, 및 상기 분리과정의 진행 중 상기 배수부(38)가 상기 터브(3)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과정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리과정에서 클러치(95)는 상기 회전축(57)과 로터(93)를 연결하고, 상기 스테이터(91)는 회전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로터(93)를 회전시킨다. 상기 분리과정에서 상기 로터(93)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과정은 제어부가 펌프(383)를 제어하여, 상기 분리과정에서 터브로 배출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배수과정에서 상기 펌프(383)는 상기 분리과정의 개시와 함께 작동하여, 상기 분리과정의 종료와 함께 작동을 종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펌프는 상기 분리과정의 진행 중 주기적으로 작동과 작동중단을 반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탈수단계(S4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헹굼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제1헹굼단계(S50)는 상기 드럼(5) 및 상기 교반부(7)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과정(S51, S53), 및 상기 회전과정(S51, S53)의 진행 중 분사부(39)가 상기 드럼의 원주면(51a)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과정(S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헹굼단계(S50)는 상기 제1탈수단계(S40)에 구비된 배수과정이 완료된 뒤 개시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류형성단계(S20)에 사용된 물(의류에서 분리된 오물이 포함된 물)을 완전히 배출한 뒤 제1헹굼단계를 진행해야만 의류에 잔류하는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분사과정(S55)은 제어부가 상기 분사밸브(395)를 제어하여 상기 노즐 급수관(393)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노즐(391)이 상기 드럼의 원주면(51a)에 물을 분사하는 과정이다.
상기 분사과정(S55)은 드럼과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과정(S51, S53)의 진행 중 실행된다. 상기 회전과정은 클러치(95)에 의해 회전축(57)이 로터(9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93)가 회전하는 과정으로, 드럼회전과정(S51) 및 교반부 회전과정(S53)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과정(S51, S53)의 진행 중 분사과정(S55)을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5)과 교반부(7)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드럼(5) 내부에 저장된 의류(L)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드럼의 원주면(5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즐(391)이 물을 분사하면, 노즐에서 분사된 물은 의류(L) 및 관통홀(55)을 거쳐 상기 터브(3)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의류에 잔류하는 오물은 물과 터브로 이동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헹굼단계의 회전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드럼과 교반부의 회전수)는 상기 제1탈수단계의 분리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탈수단계(S40)와 달리 상기 제1헹굼단계(S50)에는 상기 노즐(391)이 드럼의 원주면(51a)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과정이 있고, 상기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 드럼 내부에 물을 분사하면 드럼에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는 상기 분리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1헹굼단계(S50)에서 소비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헹굼단계(S50)에서 상기 배수부(38)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S57). 즉, 상기 제1헹굼단계(S50)의 진행 중, 제어부는 상기 펌프(38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상기 노즐(391)에서 분사되어 의류 및 관통홀(55)을 거친 후 터브(3)로 배출된 물은 곧바로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오물을 의류에서 제거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제1헹굼단계(S50)가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하는 단점이 있는데, 상기 배수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과정(S57)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한편, 상기 노즐(391)에서 분사된 물을 곧바로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는 방식은 의류의 위치에 따라 상기 노즐(391)에서 분사된 물이 의류에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탈수단계(S40)의 완료 후 드럼 내부의 의류는 대부분 드럼의 원주면(5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헹굼단계의 회전과정(S51, S53) 및 분사과정(S55)이 개시되면, 드럼의 원주면(51a)에 위치된 의류의 영역(L1)에는 노즐(391)에서 분사된 물이 공급되나, 드럼의 바닥면(51b)에 위치된 의류의 영역(L2)에는 노즐(391)에서 분사된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역시 상기 제1헹굼단계(S50)의 진행 중 배수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과정(S57)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391)에서 분사된 물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물이 공급되지 않은 영역(L2)에 물을 공급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헹굼단계(S50)의 진행 중 상기 감지부(4)가 상기 터브(3)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S58), 및 상기 수위감지단계를 통해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한 때(S59) 개시되는 제2헹굼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단계(S58)는 상기 연통관(41)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43)가 발생하는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센서(43)가 제공하는 신호를 기준신호(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일 때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교반부(7) 높이의 절반 이상인 수위로 설정되어야만, 의류 중 드럼의 바닥면(51b)에 위치된 영역(L2)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상기 기준수위가 교반부(7)의 최고점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헹굼단계(S60)는 상기 드럼(5)의 회전을 종료하는 회전종료과정(S61), 상기 분사부(39)의 작동을 종료하는 분사종료과정(S65), 및 상기 교반부(7)를 회전시키는 교반과정(S6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헹굼단계(S60)에서 상기 배수부(38)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터브의 외부로 배수하지 않는다.
상기 분사종료과정(S65)은 상기 분사밸브(395)가 노즐 급수관(393)을 폐쇄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회전종료과정(S61)과 교반과정(S63)은 클러치(95)가 상기 회전축(57)과 상기 로터(93)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터(93)가 회전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교반과정(S63)은 상기 교반 바디(71)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교반 바디(71)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에 기준수위의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과정(S63)이 진행되면, 의류 중 분사과정(S55)에서 물이 공급되지 않은 영역(L2)에도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L2 영역에 잔류하는 오물을 의류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헹굼단계(S60)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69),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교반부(7)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교반종료단계(S70), 상기 배수부(38)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S80)를 진행한다.
상기 교반종료단계(S70)는 제어부가 상기 스테이터(9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제2배수단계(S80)는 제어부가 상기 펌프(383)를 작동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2배수단계(S8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5)과 교반부(7)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 포함된 물을 상기 터브(3)로 배출하는 제2탈수단계(S90)를 진행한다. 상기 제2탈수단계(S90)에서 상기 드럼과 교반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탈수단계(S40)를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캐비닛 커버 121: 투입구 13: 도어
15: 지지부 3: 터브 31: 터브 바디
33: 커버 35: 터브 투입구 37: 급수부
371: 급수관 373: 급수밸브 38: 배수부
381: 제1배수관 383: 펌프 385: 제2배수관
39: 분사부 391: 노즐 393: 노즐 급수관
395: 분사밸브 4: 감지부 41: 연통관
43: 센서 5: 드럼 51: 드럼 바디
51a: 원주면 51b: 바닥면 53: 드럼 투입구
55: 관통홀 57: 회전축 571: 축 관통홀
573: 축 체결부 7: 교반부 71: 교반 바디
74: 바디 회전축 9: 구동부 91: 스테이터
93: 로터 931: 로터 체결부 95: 클러치

Claims (8)

  1.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의 드럼; 상기 드럼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드럼 투입구;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배수부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분리과정, 및 상기 분리과정의 진행 중 상기 배수부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과정을 포함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과정, 및 상기 회전과정의 진행 중 상기 분사부가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과정을 포함하는 제1헹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헹굼단계의 진행 중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는 상기 분리과정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헹굼단계는 상기 제1탈수단계의 배수과정이 완료된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헹굼단계의 진행 중 상기 감지부가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이 종료되는 회전종료과정, 상기 분사부의 작동이 종료되는 분사종료과정, 및 상기 교반부가 회전하는 교반과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상인 때 개시되는 제2헹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교반부 높이의 절반 이상인 수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헹굼단계의 진행 중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과정은 상기 교반부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헹굼단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교반부의 회전이 중단되는 교반종료단계;
    상기 배수부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 및
    상기 제2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에 포함된 물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탈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30418A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18A KR20200110918A (ko)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18A KR20200110918A (ko)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18A true KR20200110918A (ko) 2020-09-28

Family

ID=7280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18A KR20200110918A (ko)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9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JP2008206966A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05482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523764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制御方法
KR20010094413A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2020011216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3328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717171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KR101620437B1 (ko) 세탁방법 및 세탁기
KR2020011091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88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919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2308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4875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70117388A (ko)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CN110770384B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CN110741117B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KR10256066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5065873A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機への洗剤液投入方法
WO2015185008A1 (zh) 滚筒式洗衣机
JPH1176688A (ja) 遠心脱水装置
KR2021009745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7604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7347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