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855A -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855A
KR20200110855A KR1020190030305A KR20190030305A KR20200110855A KR 20200110855 A KR20200110855 A KR 20200110855A KR 1020190030305 A KR1020190030305 A KR 1020190030305A KR 20190030305 A KR20190030305 A KR 20190030305A KR 20200110855 A KR20200110855 A KR 20200110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server
user
brail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152B1 (ko
Inventor
유충기
Original Assignee
(주)블루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모바일 filed Critical (주)블루모바일
Priority to KR102019003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1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855A/ko
Priority to KR1020200147549A priority patent/KR102259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H04M1/7259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Abstract

비콘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 상기 비콘 모듈과 통신가능한 RFID 리더기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지팡이, 상기 지팡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SMART BRAILLE BLOCK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보행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고, GPS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탐색된 경로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시각 또는 청각에 기반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므로 지도 등의 영상으로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는 시각 장애인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에 기반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할 경우, 이동 중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주위 상황에 대해 무감각해지고, 주위의 위험을 감지할 수 없어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시각에 기반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움직임을 멈춘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된 보행 안내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청각에 기반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할 경우,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등이 교통 약자가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이어폰 등을 이용하여 보행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주변의 자동차 경적 등의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또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을 통하여 주위 정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이동할 때에는 맹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의 지면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거나, 횡단 보도나 보행로 상에 시공된 점자 블록과 계단이나 출입구의 벽면 등에 부착된 점자판 등을 이용하여 주변 정보를 얻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지팡이 만을 이용하여 정확한 이동 경로를 식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점자 블록이 시공되어 있거나 점자판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제 점자 블록과 점자판을 찾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것은 물론, 쉽게 찾을 수 없게 되므로 길안내 서비스를 받거나 비상상황 발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그 효용성이 매우 낮다.
최근에 미래의 먹거리이자 트랜드의 핵심이라고 불리고 있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이 보급되면서 IT의 개인화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가전 제품 및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각종 콘텐츠들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모바일 기기와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중 하나인 블루투스(bluetooth)의 경우, 종래에는 블루투스를 사용하기 위해 장치들 간에 페어링(pairing)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페이링 과정은 전력 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에 배터리를 가진 모바일 장치에서 장시간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블루투스 스마트(Bluetooth smart),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 BLE)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나 스마트 기기 등은 페어링 과정없이 장치들 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기존 블루투스 방식에 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가 길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제조 단가도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목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비콘(beacon)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비콘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페어링 과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블루투스 비콘들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0897호(2016. 01. 0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은, 비콘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 상기 비콘 모듈과 통신가능한 RFID 리더기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지팡이, 상기 지팡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점자블록은 점형 점자블록 및 선형 점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길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길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간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종류 및 상기 경로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의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이 배치된 현장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비콘 모듈에는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팡이로부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길안내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팡이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후보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구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점수가 가장 높은 후보 구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팡이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점자블록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형 점자블록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의 RSSI 값 및 그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분기점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길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정보를 상기 지팡이에 전송하고, 상기 지팡이는, 상기 알림정보에 대응하는 진동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하는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길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길안내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점자 블록들 각각에 비콘을 구비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등의 교통 약자에게 특정 장소 예를 들어, 복잡한 철도 역사 내에서의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길안내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점자 블록을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장소에서의 길안내 서비스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길안내 시스템은 점자 블록에 비콘을 구비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점자 블록에 대한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길안내 시스템은 점자 블록에 구비된 비콘을 이용하여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글로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한 세계 시장 진출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에 기반한 길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팡이 및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은 비콘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100), 상기 비콘 모듈과 통신가능한 RFID 리더기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지팡이(200), 상기 지팡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400)를 포함한다.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도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지팡이(200)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모든 종류의 안내수단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점자블록(100)은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블록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점자블록(100)은 인도나 상가 내, 지하철 역사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는 지하철 역사 내에서 점자블록(100)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예시를 주로 설명하나, 개시된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 예에 개시된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술한 컴퓨터의 일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음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보행 및 길안내를 보조하는 음성안내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상술한 컴퓨터의 일종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서버(400)는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며, 처리 결과로서 생성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 단말(300) 또는 서버(400)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으로서 기술되나, 그 주체는 특정 단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다른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지팡이(2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통신모듈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나 근거리 통신 모듈의 일종일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지팡이(200)는 점자블록(100)에 구비된 비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정보를 서버(400)에 전송하고, 서버(400)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길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지팡이(20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스스로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빠른 처리가 필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직접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고, 서버(400)와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직접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콘 단말들은 점자 블록들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길안내 서비스에 필요한 특정 위치 예를 들어, 보행로 상에서 직선 보행, 방향 전환 및 목적지 발견 위치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에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웹을 통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수집 및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지만, 서버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호 연동 처리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설치 장소들 각각의 그룹 단위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점자 블록(100)들 각각에 대한 비콘들의 그룹 정보와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비콘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비콘 위치 정보와, 기준 경로 정보와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길안내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대한 최적 거리 및 시간, 최단 거리 및 시간 등으로 추출된 기준 경로를 저장하는 기준 경로 정보 및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등록되는 개인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명,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이 특정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점자 블록(100)들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비콘들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특정 장소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 교통 약자 등의 사용자에게 보행을 돕는 점자 블록(100)에 비콘을 구비하여 사물 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점자 블록 길안내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보행 중에 사용자가 목적지나 비상 탈출구, 대비 장소 등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직선 보행, 방향 전환, 거리 정보, 도착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안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이동 중에 실시간으로 길안내 경로 또는 비상 탈출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를 대비하고, 사용자가 잘못 보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기준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300)은 이동경로를 새로이 추출하여 실제 이동 경로와 대비하여 보다 신속하게 이동 또는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목적지나 비상 탈출구, 대비 장소 등에 도착되면, 즉, 목적지나 비상 탈출구, 대비 장소 등에 위치하는 점자 블록(100)의 비콘이 인식되면, 목적지나 비상 탈출구, 대비 장소 등에 도착되었음을 음성으로 안내한다. 그러나 비상 탈출구나 대비 장소에 도착되지 않으면, 다시 이동 경로 상의 비콘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목적지나 비상 탈출구, 대비 장소 등으로 이동하도록 상술한 안내단계를 반복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점자블록(100)은 점형 점자블록(102) 및 선형 점자블록(104)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선형 점자블록(104)은 직선 이동경로상에 배치되고, 점형 점자블록(102)은 이동경로의 교차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점자블록(100)의 종류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더욱 다양한 종류의 점자블록(100)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점자블록(100)은 비콘 단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 단말(110)은 점자블록(100)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비콘 단말(110)은 모든 점자블록(10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거나,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점자블록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점자블록(100)의 종류에 따라 비콘 단말(110)의 신호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300) 또는 상기 서버(4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 또는 서버(400)는 점자블록(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점자블록(100)이 점형 점자블록(102) 인지, 또는 선형 점자블록(104)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팡이(200)는 비콘 단말(11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ID 수신기(210)를 포함한다.
또한, 지팡이(200)는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블루투스 통신 모듈(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FID 수신기(210)는 비콘 단말(110)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팡이(200)의 지면방향에 설치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내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 또는 서버(400)는 비콘 단말(110)로부터 지팡이(20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점자블록(1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점자블록(100)이 선형 점자블록(104)인 경우 직진구간이므로 사용자가 직진하여 보행하도록 안내하고, 점자블록(100)이 점형 점자블록(102)인 경우 교차지점이므로 사용자에게 방향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방향전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에 기반한 길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510) 및 사용자(51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점자블록들(522 내지 528을 포함)이 도시된 지도(50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지도(500)는 지하철 역사 내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점자블록들은 각각 비콘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소정의 간격 혹은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점자블록에 비콘 단말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5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51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여러 점자블록들 각각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를 비교하되, RSSI 값이 가장 큰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점자블록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사용자(51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51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GPS 신호 또는 AP로부터 수신되는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51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510)의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510)의 현재 이동방향을 판단하며, 사용자(510)의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길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사용자(510)가 직진구간에 위치한 경우 계속해서 직진할 것을 안내하고, 교차지점, 갈림길, 계단, 막다른 길 혹은 방향전환이 필요한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사용자(510)에게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사용자(51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목적지로 사용자(510)를 안내하는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에게 길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사용자(510)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510) 주변의 구간, 객체, 이벤트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510)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버(400)는, 상기 길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종류 및 상기 경로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정보는 선형 점자블록들이 연속되는 공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즉 점형 점자블록들에 의하여 구간이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점자블록들이 연속되는 경우 해당 구간은 직진구간인 것으로 판단 및 구분될 수 있으며, 점형 점자블록이 나타나는 경우 방향을 전환하거나 갈림길이 있는 것이므로 이후에는 새로운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간정보는 계단, 화장실, 엘리베이터, 장애물, 기둥, 상점 등 다양한 객체에 기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역사의 경우 경로상에 계단이 있는 경우 계단 이전까지가 하나의 구간으로 분류되고, 계단이 또 다른 구간으로 분류되며, 계단 이후의 경로가 또 다른 구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의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 즉 도 3에 도시된 사용자(510)가 위치한 구간을 판단하고, 사용자(510)가 위치한 다음 구간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구간이라거나, 계단이라거나, 갈림길이라거나 하는 등의 정보를 미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510)가 다음 구간을 보행하기 위한 준비를 미리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거나, 스스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510)의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400)는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 점자블록이 배치된 경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점자블록이 배치된 경로를 따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510)의 위치에 기반하여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며, 경로상에서 구간이 변경될때마다 해당 구간 및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5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510)를 안내함에 있어, 선형 점자블록(522)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510)로 하여금 전진하도록 하는 안내를 제공하고, 다음 점형 점자블록(524)까지의 거리정보를 획득 혹은 산출하며, 다음 점형 점자블록(524)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5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510)가 점형 점자블록(524)에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우측으로 회전하여 진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되, 해당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하여야 하는 점자블록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의 용량이 작아질 수 있으며, 이에 빠르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510)가 목적지(530)에 가고자 하는 경우, 서버(400)는 사용자(510)의 위치를 판단하고, 점자블록(526 및 528)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510)를 점자블록(526) 방향으로 안내하고, 사용자(510)가 점자블록(526)에 도달하는 경우 다음 점자블록(528) 방향으로 안내하며, 사용자(510)가 점자블록(528)에 도달하는 경우 왼쪽으로 이동하여 목적지(530)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제 현장에는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없던 장애물이 발생하거나, 시설의 고장, 길의 훼손, 시설물의 신설 혹은 폐쇄 등 다양한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이 배치된 현장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비콘 모듈에는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위치의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비콘 단말과 통신하여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40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서버(400)에 저장된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지팡이(200)로부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길안내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있다 하여도, 해당 정보와 상이한 현장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현장정보를 우선하여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510)가 위치한 구간을 특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지팡이(200)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후보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구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점수가 가장 높은 후보 구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비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는 해당 비콘 단말이 속하는 구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서로 다른 비콘 신호들에 포함된 구간 정보를 획득하고, 각각의 구간에 속하는 비콘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RSSI값에 기초하여 사용자(510)가 속한 구간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값이 큰 신호들이 더 많이 수신되는 구간에 사용자(510)가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각각의 비콘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RSSI 값을 점수화 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각각의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RSSI 값을 이용해서 0.0 내지 1.0의 점수대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0.0은 무효값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0.6 내지 1.0 은 0.5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값들은 실제 RSSI값이 -50이하의 값이기 때문에 동일 위치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위 처리 결과로 비콘 신호는 십단위의 점수대 별로 그룹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점수대별 구역 그룹핑을 카운트하고, 각 점수대 별로 동일 구역의 비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동일 점수대에 단일 구역만 존재하면 해당 구역정보를 확정하고, 동일 점수대에 다른 구역이 존재하면 각 구역의 가장 큰 값을 갖는 비콘 값을 합산하여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팡이 및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지팡이(200)는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20)을 손잡이 혹은 기타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지팡이(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서버(400)에 전달하거나,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길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지팡이(200)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점자블록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형 점자블록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의 RSSI 값 및 그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분기점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400)의 판단이 없는 경우에도 지팡이(2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변의 점형 점자블록을 인식하며, 그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점형 점자블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방향전환이나 기타 객체, 이벤트 등에 미리 대응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지팡이(200)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점자블록의 패턴이 다섯 블록 전진한 후 우회전하는 패턴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지팡이(20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지팡이(200)는 사용자에게 음성이나, 진동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다섯 번 진동한 후 우회전이면 짧게 두 번 진동, 좌회전이면 짧게 세 번 진동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지팡이(200)가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살짝 흔들리게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지팡이(200)는 점형 점자블록이 사용자의 경로상에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진동을 통해 시끄러운 곳이나 외부에서도 정보를 쉽게 전달받을 수 있고, 경로상의 변동사항에 대해 미리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지팡이(200)는 경로상의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를 진동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지팡이(200)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팡이(200)는 서로 다른 점자블록의 비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비콘 단말에는 서로 다른 식별자(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비콘 신호에는 이러한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가장 강한 비콘 신호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300)은 서로 다른 비콘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각각의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위치판단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위치판단 기준값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데, 각 위치에서 산출되는 위치판단 기준값은 미리 측정되어 지도상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지도상에서 산출된 위치판단 기준값이 매칭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점자블록의 배치에 따라 각 위치에서 측정되는 비콘 신호들 및 그 신호의 세기는 상이할 것이므로, 각각의 위치에서 산출되는 위치판단 기준값은 서로 상이할 것이다. 따라서, 위치판단 기준값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자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점자블록이 배치되지 않은 곳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도정보 또는 수신되는 비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점자블록이 배치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2 내지 306)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위치에 대한 변동사항이나 추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하여 잘못된 정보를 정정하며, 서로 다른 시각장애인들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시각장애인들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킨 길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시설물을 구축하거나 시각장애인 시설을 보완하는 경우 구축된 빅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각장애인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외부 서버(6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관리하는 서버와 공유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이동경로상에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받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외부 서버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지하철역을 나서는 시간에 맞추어 택시를 미리 예약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도움이 필요하거나 긴급상황에 있는 경우 지팡이(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00)는 해당 요청정보를 소방서나 병원, 보호자 등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외부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팡이(200)나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된 버튼(물리적 버튼 혹은 터치스크린의 버튼을 포함)을 이용하여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지팡이(200)의 모션을 이용하여 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팡이(200)의 끝부분을 원형이나 8자형 등으로 움직이거나, 지팡이(200)의 끝을 바닥에 소정의 횟수 이상 부딪히는 등의 동작을 통해, 각각의 동작에 미리 매칭되어 있는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팡이(200)에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 혹은 충격 센서가 미리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300)은 지팡이(200)의 모션에 따라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지팡이(200)의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점자 블록 또는 복수의 점자 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되, 각 점자 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지팡이(200)에 구비된 RFID 수신기의 이동방향 및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지팡이(200)의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외부기관에 전달되어 사용자를 구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상태에 대한 추가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구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미리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의 전달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400)는 외부 서버(6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안전정보 및 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중교통의 도착정보, 승강장 이격거리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사용자 주변의 시설물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계단의 유무, 계단의 높이 및 칸수, 장애물의 위치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점자블록
200 : 지팡이
300 : 사용자 단말
400 : 서버

Claims (10)

  1. 비콘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
    상기 비콘 모듈과 통신가능한 RFID 리더기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지팡이;
    상기 지팡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블록은 점형 점자블록 및 선형 점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종류를 판단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길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길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간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종류 및 상기 경로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구간의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이 배치된 현장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의 비콘 모듈에는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팡이로부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길안내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변동사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팡이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후보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구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점수가 가장 높은 후보 구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팡이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의 RSSI 값을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점자블록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형 점자블록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의 RSSI 값 및 그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분기점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길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길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정보를 상기 지팡이에 전송하고,
    상기 지팡이는,
    상기 알림정보에 대응하는 진동알림을 출력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자블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하는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길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20190030305A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217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305A KR102178152B1 (ko)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20200147549A KR102259251B1 (ko) 2019-03-18 2020-11-06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305A KR102178152B1 (ko)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549A Division KR102259251B1 (ko) 2019-03-18 2020-11-06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855A true KR20200110855A (ko) 2020-09-28
KR102178152B1 KR102178152B1 (ko) 2020-11-12

Family

ID=7280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305A KR102178152B1 (ko)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07A (ko) 2020-12-08 2022-06-15 김민근 시각장애인을 위한 말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02A (ko)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110127457A (ko) * 2010-05-19 2011-11-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Gps와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
KR101172000B1 (ko) * 2011-04-12 2012-08-07 휴앤에스(주)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KR20120116035A (ko) * 2011-04-12 2012-10-22 휴앤에스(주)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101268486B1 (ko) * 2011-12-09 2013-06-04 오규태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KR101343543B1 (ko) * 2013-03-06 2014-01-15 김지훈 Rfid/nfc태그에 고유번호 및 문자를 부여한 알고리즘 점자블록 시각장애인 안내유도시스템 및 안내방법
KR101501062B1 (ko) * 2014-07-17 2015-03-12 김지훈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KR20160000897A (ko) 2014-06-25 2016-01-06 (주)에이블테크 Ble 기반의 손목형 안내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1708144B1 (ko) * 2016-01-12 2017-02-1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패턴 인식 시스템이 구비된 지팡이
KR20170035742A (ko) * 2015-09-23 2017-03-31 홍의찬 전자식 보행 보조 장치
KR101748777B1 (ko) * 2015-09-10 2017-06-20 주식회사 엔스푼즈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101841531B1 (ko) * 2017-07-19 2018-03-23 이태양 Nfc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02A (ko)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110127457A (ko) * 2010-05-19 2011-11-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Gps와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
KR101172000B1 (ko) * 2011-04-12 2012-08-07 휴앤에스(주)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KR20120116035A (ko) * 2011-04-12 2012-10-22 휴앤에스(주)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101268486B1 (ko) * 2011-12-09 2013-06-04 오규태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KR101343543B1 (ko) * 2013-03-06 2014-01-15 김지훈 Rfid/nfc태그에 고유번호 및 문자를 부여한 알고리즘 점자블록 시각장애인 안내유도시스템 및 안내방법
KR20160000897A (ko) 2014-06-25 2016-01-06 (주)에이블테크 Ble 기반의 손목형 안내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1501062B1 (ko) * 2014-07-17 2015-03-12 김지훈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KR101748777B1 (ko) * 2015-09-10 2017-06-20 주식회사 엔스푼즈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20170035742A (ko) * 2015-09-23 2017-03-31 홍의찬 전자식 보행 보조 장치
KR101708144B1 (ko) * 2016-01-12 2017-02-1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패턴 인식 시스템이 구비된 지팡이
KR101841531B1 (ko) * 2017-07-19 2018-03-23 이태양 Nfc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07A (ko) 2020-12-08 2022-06-15 김민근 시각장애인을 위한 말하는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152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ia et al. Electronic white cane for blind people navigation assistance
KR101730266B1 (ko) 장애인을 위한 IoT 기반 길안내 장치 및 방법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US20170067754A1 (en) Intelligent blind guiding device
KR10179627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시스템
Castillo-Cara et al. Ray: Smart indoor/outdoor routes for the blind using Bluetooth 4.0 BLE
KR102075646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방법
US981053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acon-based navigation
KR20110134143A (ko) 시각장애인용 길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단말
JP3769257B2 (ja) 歩行者誘導システム、歩行者誘導方法、及び進行方向情報生成プログラム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2259251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JPH09220266A (ja) 歩行者移動支援装置
Meliones et al. Blindhelper: A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for blinds and visually impaired
JP2015521319A (ja) Gps及び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視覚障害者向け音響信号システム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8458A (ko)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JP2007122735A (ja) 歩行者移動支援装置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US20220406220A1 (en)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29852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CN111757263A (zh) 一种定位数据的分享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01888541B1 (ko)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KR20160105134A (ko)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터치맵 생성 방법, 안내 방법, 및 제공 방법
CN107543559A (zh) 旅游景点智能导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