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541B1 -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541B1
KR101888541B1 KR1020170056382A KR20170056382A KR101888541B1 KR 101888541 B1 KR101888541 B1 KR 101888541B1 KR 1020170056382 A KR1020170056382 A KR 1020170056382A KR 20170056382 A KR20170056382 A KR 20170056382A KR 101888541 B1 KR101888541 B1 KR 10188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group
protection target
information
searc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이석현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인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인테크
Priority to KR102017005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541B1/ko
Priority to PCT/KR2017/007778 priority patent/WO20182035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대상군이 실종되면, 보호자가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실종 위치를 지도를 통해 인지하고, 지도를 토대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고, 보호대상군이 보호자의 관리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대상군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주며, 보호대상군이 보호자의 관리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보호자를 중심으로 함께 이동하는 보호대상군의 측정가능한 길이범위를 보호대상군의 이동패턴을 기초로 보호자가 복수의 구간 및 길이로 구분설정하고, 그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여 각 구간의 관리등급정도를 거리에 따라 인지하면서 관리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고, 보호대상군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군의 미확인 발생장소에 속하는 해당 행정구역의 유관기관으로 보호대상군의 외관이미지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의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잃어버린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이 실종된 경우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보호자단말(100)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태그(300)와;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44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상기 보행자 위치좌표정보 및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401)이 탑재된 보행자단말(400);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The search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on target}
본 발명은 보호대상군이 실종되면, 보호자가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실종 위치를 지도를 통해 인지하고, 지도를 토대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고, 보호대상군이 보호자의 관리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대상군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주며, 보호대상군이 보호자의 관리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보호자를 중심으로 함께 이동하는 보호대상군의 측정가능한 길이범위를 보호대상군의 이동패턴을 기초로 보호자가 복수의 구간 및 길이로 구분설정하고, 그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여 각 구간의 관리등급정도를 거리에 따라 인지하면서 관리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고, 보호대상군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군의 미확인 발생장소에 속하는 해당 행정구역의 유관기관으로 보호대상군의 외관이미지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의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잃어버린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 단위로 주말이나 휴일 및 휴가 등을 이용하여 야외로 여행을 떠나거나 유원지, 공원, 백화점 등 사람이 붐비는 곳을 자주 찾고 있다.
이와 같이, 인파가 많은 곳에서는 부모들이 잠시 부주의하더라도 동반한 아동이 다치거나 또는 미아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한편, 보호자는 아동과 동반 외출 시 손을 잡고 이동하거나 손을 놓고 이동하더라도 가시거리를 유지하면서 함께 걸어가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또한 한계가 있어 아동이 미아가 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는 바 근래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실종 아동 발생 건수는 근 3만7천여건에 다다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보호자가 보호하는 치매 노인, 장애인이나 보호자가 보호하는 애완동물의 경우에도 보호자의 부주의나 방심 때문에 없어지는 경우도 많다. 이에, 아동, 치매 노인, 장애인과 애완동물을 포함하여 보호자가 보호해야 하는 보호대상군으로 특정하여 설명한다.
이에, 보호자는 팔찌나 목걸이에 보호대상군의 신체에 이름과 연락처 등이 표기된 식별부재를 착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방식의 경우 보호대상군이 착용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외출 중 주기적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팔찌나 목걸이가 분실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보호대상군에게 쉽고 견고하게 착용시키는 것이 가능한 미아 방지구가 제안되었다.
도 1 은 종래의 미아 방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아 방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미아 방지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미아 방지구는 원통형의 몸체를 가지는 것으로, 몸체 내부에 구슬방(22)이 형성되되 상기 구슬방(22)에 자력을 가진 자력구슬(24)이 수납되어 핀공(27)이 형성된 뚜껑(26)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핀공(27)에 끼워져 자력구슬(24)에 의해 고정되는 압정 형상의 핀(28)을 포하만 고정구(20), 상기 고정구(20)의 몸체가 끼워지는 구멍(13)이 천공된 뚜껑(12)에 의해 밀폐되는 것으로 몸체 내부에 가운데가 빈 환형의 자석(14)이 형성된 분리구(10) 및 상기 핀(28)에 끼워진 후 핀(28)이 핀공(27)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고정구(20)에 고정되는 라벨(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미아방지구는 압정형태를 갖는 금속재질의 핀(28)이 뚜껑(26)에 끼워지면 복수의 자력구슬(24)이 자력에 의해 핀(28)에 달라 붙게 된다. 이때, 핀(28)에 외력을 가해 빼내려 할 경우 자력구슬(24)들이 붙어 있음으로써, 핀이 외측으로 당겨지면 자력구슬(24)들이 구슬방(22)의 상측 즉, 그 지름이 좁아지는 입구측으로 이동되어 핀(28)을 압박하여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호대상군에게 쉽고 견고하게 착용시킬 수 있으면서도 탈거가 어려워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미아방지구는 보호대상군이 미아 또는 유실 즉, 실종되면, 보호자가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인지하고, 이를 토대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하는 수단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미아방지구는 보호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보호대상군이 멀어질 경우 보호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0355429호(2004년06월28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보호대상군이 실종되면, 보호자가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실종 위치를 지도를 통해 인지하고, 지도를 토대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대상군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보호자를 중심으로 함께 이동하는 보호대상군의 측정가능한 길이범위를 보호대상군의 이동패턴을 기초로 보호자가 복수의 구간 및 길이로 구분설정하고, 그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여 각 구간의 관리등급정도를 거리에 따라 인지하면서 관리할 수 있게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지도를 통해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보호자가 자신이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거리, 위치뿐만 아니라 방향까지도 인지하면서 보호대상군을 관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6목적은 보호대상군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군의 미확인 발생장소에 속하는 해당 행정구역의 유관기관으로 보호대상군의 외관이미지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의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잃어버린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이 실종된 경우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이 탑재된 보호자단말과;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태그와;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로부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상기 보행자 위치좌표정보 및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이 탑재된 보행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는, 상기 보행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상기 보호자단말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는,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에는, 지도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가 저장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를 갖는 DB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에는,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는,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대상군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을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보호자단말의 위치안내용 앱은, 전송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을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는, 상기 보행자단말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자단말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에 표시된 거리를 토대로 보호대상군이 이동가능하다고 예측한 경로인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단말의 위치안내용 앱은,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는, 상기 보행자단말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과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가 전송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미확인 발생시간당 보호대상군의 이동거리를 연산한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을 이은 선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이 실종된 경우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이 탑재된 보호자단말과;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태그와; 거리마다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설치된 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치 위치정보를 갖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로부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 및 상기 설치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고정형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설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상기 보호자단말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보호대상군이 실종되면, 보호자가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실종 위치를 지도를 통해 인지하고, 지도를 토대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대상군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를 중심으로 함께 이동하는 보호대상군의 측정가능한 길이범위를 보호대상군의 이동패턴을 기초로 보호자가 복수의 구간 및 길이로 구분설정하고, 그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여 각 구간의 관리등급정도를 거리에 따라 인지하면서 관리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를 중심으로 보호자의 주변에 존재하는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지도를 통해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자신이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거리, 위치뿐만 아니라 방향까지도 인지하면서 보호대상군을 관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대상군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군의 미확인 발생장소에 속하는 해당 행정구역의 유관기관으로 보호대상군의 외관이미지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의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잃어버린 보호대상군을 수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종래의 미아 방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아 방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미아 방지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보행자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보호자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보호대상군 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8은 위치안내용 태그를 포함하게 삼각지역을 형성한 보행자단말들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으로 이루어진 삼각지역의 보행자단말들이 선택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보행자단말들을 통해 위치안내용 태그가 중첩되게 포함하는 두 곳의 삼각지역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보호대상군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보호자의 신호 수신가능구간에 보호대상군이 위치하는 것이 표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인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보호자가 수색요청한 보호대상군의 실종발생시점과 예측이동시점 때를 이동경로로 표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보호자가 수색요청한 보호대상군의 실종발생시점과 예측이동시점을 연결하는 예측도달 이동경로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장되어 표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보호자가 수색요청한 보호대상군의 실종발생시점과 예측이동시점을 연결하는 예측도달 이동경로가 여러 개인 경우를 표시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보호자가 수색요청한 보호대상군의 실종발생시점과 예측이동시점을 연결하는 예측도달 이동경로가 여러 개인 경우를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각 예측도달 이동경로 중 보행자단말을 통해 보호대상군을 감지할 수 있는 예측도달 이동경로는 제거된 상태로 표시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1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에 가변형 단말인 보행자단말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상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에서 원하는 구간의 개수 및 거리를 선정할 수 있게 안내하는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상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을 세분화하여 선택한 해당 구간임을 안내하는 선택구간 안내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을 통해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에서 원하는 구간의 개수 및 거리를 기본적으로 선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을 통해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의 개수를 감소시켜 선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을 통해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각 구간에서 특정구간의 거리를 증대하고, 다른 특정구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선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은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을 수색하는데 있어서, 보행자단말(400)인 가변형 스캐너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고정형 스캐너(1100)를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을 수색하는데 있어서, 보행자단말(400)을 이용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은 크게 보호자단말(100),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 위치안내용 태그(300) 및 보행자단말(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보호자단말(100)은 외출 시 보호자(P)가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OP)의 실종을 인지한 경우 실종이 인지된 보호대상군(OP)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가 후술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위치안내용 앱(101)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보호자단말(100)에 임베디드(embeded) 방식으로 탑재되거나, 보호자단말(100)의 구동시스템(OS)에 인스톨(install)하는 방식으로 탑재되어진다. 즉, 보호자가 보호자단말(100)을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보호자단말(100)에는 정보입력부(110), 정보저장부(120), 정보출력부(130), GPS수신부(140), 정보통신부(150) 및 제어부(160)가 구비되어진다.
먼저, 정보입력부(110)는 보호자(P)가 외부장소에서 자신이 보호하고 있는 보호대상군(OP)이 실종 시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수색 요청 및 그 수색 요청에 따라 안내되는 지도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보호자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정보입력부(210)에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120)는 보호자(P)가 외부장소에서 자신이 보호하고 있는 보호대상군(OP)이 실종 시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수색 요청 및 그 수색 요청에 따라 안내되는 지도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안내용 앱(101)과 같은 응용프로그램, 후술되는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 및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1000) 등과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재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130)는 보호자(P)가 외부장소에서 자신이 보호하고 있는 보호대상군(OP)이 실종 시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수색 요청 및 그 수색 요청에 따라 안내되는 지도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출력부재가 선택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GPS수신부(140)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부재이다.
상기 정보통신부(150)는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근거리통신모듈(151) 및 무선인터넷 통신모듈(152)이 적용되어진다.
먼저, 근거리통신모듈(151)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혹은 매개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특히,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단,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모듈(142)은 블루투스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근거리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인터넷 통신모듈(152)은 후술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나 지도제공서버(400)와 데이터 통신시 이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부재이다.
상기 제어부(160)는 보호자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위치안내용 앱(101)을 운영하여 보호자(P)가 외부장소에서 자신이 보호하고 있는 보호대상군(OP)이 실종 시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수색 요청 및 그 수색 요청에 따라 안내되는 지도정보의 출력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자단말(100)의 종류에는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를 후술되는 보행자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이 소지한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중계수신 함으로써,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주변에 보행하는 보행자단말(400)에서 그 보호대상군(OP)이 소지한 위치안내용 태그(300)의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취득할 수 있게 제어하는 서버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는 DB부(210)가 탑재되어진다.
그 탑재되어지는 DB부(210)에는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행자단말(400)을 식별하는 보행자단말 식별정보, 보호자의 연락처 및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와, 지도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가 저장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가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해당 회원정보에 보호대상군(OP)이 실종되었다고 인지하는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 저장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는 보호자단말(100)에 전송되는 것으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거나 또는 지도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가 저장된 지도제공서버(500)와 연계하여, 그 연계되는 지도제공서버(500)에서 실시간으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제공 받아 가공 후 보호자단말(100)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처럼,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지도제공서버(500)와 연계하는 이유로, 보호자(P)가 보호대상군(OP)과 함께 이동하는 외부장소는 전국 어디든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장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의 데이터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건물을 새로 짓거나 도로 증설에 따른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로 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기 때문에 필요로 할 때에만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제공 받아 서비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GPS수신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전송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에게만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는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설정되는 반경의 범위이거나 또는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보호자 위치좌표정보가 속하는 행정구역 범위든 다양한 수색구역범위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되는 보행자단말(400)에서는 기설정 주기마다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그 전송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하거나 또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서 보행자단말(400)들로 현재위치의 전송을 요청하는 보행자 현재위치 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하면, 보행자단말(400)의 위치안내용 앱(401)은 GPS수신부(440)로부터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보행자단말(4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는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보호대상군(OP)이라 함은 보호자(P)가 보호하는 아동 및 노인이나 애완동물을 포함하여, 보호자(P)가 외출 시 관찰 관리의 부주의 내지 방심으로 인해 실종가능한 대상체들을 뜻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안내용 태그(30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 비콘모듈이나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오차가 센티미터(㎝, 대략 5센티미터 내외) 단위로 발생되기 때문에 그 위치에 대한 정확성이 매우 높은 효율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비콘모듈을 이용하여 보호대상군 거리안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보호대상군 거리안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태그(300)는 비콘모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무선신호 전송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안내용 태그(300)로 이용되는 비콘모듈은 일반적으로, 케이스, 비콘칩, 안테나 및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호대상군(OP)에 부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탈착가능하게 제공되고, 비콘칩은 보호대상군 거리안내신호를 생성하며, 안테나는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거리안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는 비콘칩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행자단말(400)은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보행자 위치좌표정보 및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401)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보행자단말(400)의 구성은 보호자단말(100)과 동일하게 정보입력부(410), 정보저장부(420), 정보출력부(430), GPS수신부(440), 정보통신부(450) 및 제어부(460)와 더불어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보행자단말(400)에도 위치안내용 앱(401)이 탑재되어진다.
한편, GPS수신부(440)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부재이다.
또한, 보행자단말(400)에 탑재된 위치안내용 앱(301)은 백그라운드(back-groud) 상태로 실행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를 통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3개 이상의 보행자단말(400)들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해당 회원정보에 해당 보호대상군(OP)이 실종상태라고 등록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삼변 측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그 전송되는 해당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삼각지역을 형성하게 하는 각 보호대상군 인지신호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을 선택하여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을 주로 참조하여, 보호대상군(OP)에 구비된 위치안내용 태그(300) 주변에 여러 대의 보행자단말(400a,400b,400c,400d,400e,400f,400g)이 이동위치하는데, 여기서 위치안내용 태그(300)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의 값은 비례하여 커진다.
이에,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위치안내용 태그(300) 주변에 위치하는 여러 대의 보행자단말(400a,400b,400c,400d,400e,400f,400g)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의 값이 가장 큰 삼각지역을 이루는 3개의 보행자단말(400a,400b,400c)을 선택함으로써, 오차의 발생이 최소화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는데 이용한다.
이와 더불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도 9를 주로 참조하여, 보다 정확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보행자단말(400g,400h,400i,400j,400k,400l)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다수의 삼각지역을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지역 중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중첩하는 삼각지역들의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전송한 3개의 보행자단말(400g,400h,400i,400j,400k,400l)들, 예를 들어, 첫 번째 삼각지역을 이루는 3개의 보행자단말(400g,400h,400i)들과 두 번째 삼각지역을 이루는 3개의 보행자단말(400j,400k,400l)들을 이용하여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보호대상군(OP)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되도록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보호자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호자(P)가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을 지도정보를 통해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보호자단말(100)의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에는 도 10을 주로 참조하여, 보호자(P)가 위치하는 보호자 현재위치지점(CP) 및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하는 보호대상군 현재위치지점(KP)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P)를 표시하는 보호자 현재위치지점(CP)의 경우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이루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고, 보호대상군 현재위치지점(KP)만 표시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서는 보호자(P)가 자신이 보호하는 보호대상군(OP)의 거리, 위치뿐만 아니라 방향까지도 인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자단말(100)에는 동서남북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방향센서부(170)가 구비되어진다.
이에 따라,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방향센서부(170)에서 생성된 방향정보를 참조하여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이를, 도 10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살펴보면, 보호자(P)의 기준방향은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북서방향으로서, 그 북서방향이 보호자(P)의 기준방향이다.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인지된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하는 방향을 연산하여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보호자(P)의 기준방향인 북서방향을 기준으로 보호대상군(OP)의 방향은 좌측보다 조금 더 회전한 8시와 9시 사이의 방향이다.
이후,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그 생성된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음성정보로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방을 기준으로 8시와 9시 사이의 방향으로 회전하세요' 등으로 보호자(P)를 기준으로 보호대상군(OP)의 방향을 안내하여 줌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서는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자(FP)들이 직접 보호대상군(OP)을 찾을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서 관리하는 DB부(210)에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가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를 추출한 상태에서, 다수의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을 갖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부터 순차적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 참여 여부를 문의하는 보호대상군 수색참여 문의정보,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로 이루어진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하되, 그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받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을 수행한다는 보호대상군 수색착수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서는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하는 해당 행정구역의 유관기관으로 보호대상군의 외관이미지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의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없어진 보호대상군(OP)을 수색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미아 또는 유기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하는 단체가 운영하는 유관기관 단말(600)이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유관기관 단말(600)은 관할 경찰서, 관할 주민센터, 관할 구청 등과 같은 곳 등이 선택 적용되어진다.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더불어 최근에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긴급상황 발생장소정보(일예로, 행정구역별 주소)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수색요청신호를 그 긴급상황 발생장소의 관할지역에 위치하는 유관기관 단말(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호대상군 수색요청신호에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취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서는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송신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는 보행자단말(400)이 위치안내용 태그(300) 주변에 없어,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평균이동거리를 감안하여 작성되는 예측가능한 여러 이동경로를 지도 상에 안내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1을 주로 참조하여,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에 표시된 거리를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이동가능하다고 예측한 경로인 예측 도달 이동경로(710)가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700)을 생성한다.
이때,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700)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71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FP)과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가 전송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미확인 발생시간당 보호대상군(OP)의 이동거리를 연산한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을 이은 선분으로 표시된 것이다.
한편,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에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을 이루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보호자(P)의 현재위치도 속할 경우 그 보호자(P)의 위치도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호자(P)가 자신의 위치와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함께 확인하면서 찾을 수 있도록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GPS수신부(140)에서 획득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그 전송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보호자(P)가 위치하는 보호자 현재위치지점(CP)을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에 표시한다.
여기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에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의 전송시간을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시간 표시부(1020) 및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부(1030)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하고, 그 산정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만큼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a)에 표시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a)를 연장하고, 그 연장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a)가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a)을 기설정 주기마다 생성하고, 이를 보호자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에도,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a)에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의 전송시간을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시간 표시부(1020) 및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부(1030a)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이를 모두 표시하여 준다.
즉, 도 13을 주로 참조하여,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의 수가 6개인 경우 이를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b) 상에 모두 표시하여 준다.
이때에도,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b)에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의 전송시간을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시간 표시부(1020) 및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부(1030c)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c)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가 2개 이상인 경우 모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에 해당하는 거리에서 새로운 보행자단말(400m)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를 토대로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의 수신가능범위 내에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의 끝단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된 경우 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d)만 포함함으로써, 보호자(P)가 보다 빨리 보호대상군(OP)을 수색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그리고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을 수색하는데 있어서, 고정형 스캐너(1100)를 이용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 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고정형 스캐너(1100)를 이용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은 보호자단말(100),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 위치안내용 태그(300) 및 고정형 스캐너(11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보호자단말(100)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이 실종된 경우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부재이다.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부재이다.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는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부재이다.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는 거리마다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설치된 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치 위치정보를 갖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 및 상기 설치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형 스캐너(1100)는 행정구역 상에 새롭게 설치될 수 있고, 비용절감을 위해 건물이나 여러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무선공유기(AP)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설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전송되는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고정형 스캐너(1100) 에게만 상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는 지도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가 저장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를 갖는 DB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대상군(OP)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확보)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하며,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을 상기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의 대수는 적어도 3개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3개의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3개의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동서남북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방향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방향센서부(170)에서 생성된 방향정보를 참조하여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하는 방향을 연산하여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의 DB부(210)에는,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를 더 포함하고,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하는 단체가 운영하는 유관기관 단말(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으로 인지된 경우 그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상기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더불어 상기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으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유관기관 수색요청신호를 그 긴급상황 발생장소의 관할지역에 위치하는 유관기관 단말(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서는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송신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는 고정형 스캐너(1100)의 수를 수신가능 범위가 어느 정도 중첩되게 설치되는 않은 지역 또는 일부 미설치 지역에서의 경우 고정형 스캐너(1100)에서 보호대상궁 고정형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에는, 가변형 스캐너인 주변의 보행자단말(4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440)가 구비되고, 위치안내용 앱(401)이 탑재된 보행자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고정형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에게만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의 위치안내용 앱(401)은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보행자 위치좌표정보 및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대상군(OP)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확보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을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보행자단말(400)의 대수는 적어도 3개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3개의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3개의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보행자단말(400)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삼각지역을 형성하게 하는 각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이 선택되어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다수의 삼각지역을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지역 중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중첩하는 삼각지역들의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서 관리하는 DB부(210)에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가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를 추출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을 갖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부터 순차적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 참여 여부를 문의하는 보호대상군 수색참여 문의정보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로 이루어진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하되, 그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받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을 수행한다는 보호대상군 수색착수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에 표시된 거리를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이동가능하다고 예측한 경로인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FP)과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가 전송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미확인 발생시간당 보호대상군(OP)의 이동거리를 연산한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을 이은 선분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는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이 구비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송신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가능한 주변의 보행자단말(400)의 위치안내용 앱(401)에서 수신하여 생성된 정보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하고, 그 산정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만큼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를 연장하고, 그 연장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기설정 주기마다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2개 이상인 경우 모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거리에서 새로운 보행자단말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를 토대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의 수신가능범위 내에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의 끝단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된 경우 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는 제외한 상태로 보행자단말(400)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에서는 보호자(P)가 소지한 보호자단말(100)에서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송신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 정도에 위치한 경우 고정형 스캐너나 가변형 스캐너가 없이도 보호대상군과의 거리간격을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세기측정정보를 토대로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결착한 보호대상군(OP)의 거리를 인지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거리 길이 정도에 따라 수신신호세기(RSSI)가 기록된 거리별 세기측정정보 관련 데이터가 구비제공되어질 수 있다.
한편, 보호자단말(100)의 정보저장부(120)에는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이 저장되어진다.
여기서,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은 보호자(P)가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에서 원하는 구간의 개수 및 거리를 선정할 수 있게 안내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이미지화면이다.
도 17을 주로 참조하여,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에는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보호대상군에 구비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을 신호 수신가능구간(WS)으로 특정할 때, 그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의 길이가 표시되는 신호 수신가능구간 길이 표시칸(710)과,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복수의 구간으로 세분화되되, 그 세분화되는 복수의 구간을 선별하여 선택하는 구간별 선택메뉴(720)와,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을 세분화한 각 구간의 명칭이 표시되는 구간별 명칭표시칸(730)과,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각 구간의 길이가 표시되는 구간별 길이표시칸(740)과, 세분화되는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의 각 구간을 증대 또는 감소를 요청하는 구간가감메뉴(750)로 이루어진다.
한편, 구간별 명칭표시칸(730) 및 구간별 길이표시칸(740)은 보호자(P)가 정보입력부(210)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구조이며, 구간별 선택메뉴(720)의 경우 그 표시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라디오 버튼으로 표시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콤보박스(드롭다운리스트)나 체크박스 등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GUI element)를 활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을 통해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을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주된 이유는 보호자(P)를 중심으로 반경 70m 내외에서 함께 이동하는 보호대상군(OP)의 이동패턴을 기초로 보호자(P)가 안심구간(SS), 관심구간(IS) 및 위험구간(DS) 등의 세부적인 구간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P)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호자(P)가 이를 인지하여 각 구간의 관리등급정도를 거리에 따라 인지하면서 관리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에, 보호자(P)는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을 실행한 상태에서, 정보입력부(210)를 조작하여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의 출력을 요청하면, 위치안내용 앱(101)은 정보저장부(220)에서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을 추출하고, 이를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보호자(P)는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 상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 개수에서 증대가 필요할 경우 구간가감메뉴(750)를 클릭하여 자신이 원하는 개수 만큼 증대시키면, 그 증대된 개수만큼 구간별 선택메뉴(720), 구간별 명칭표시칸(730) 및 구간별 길이표시칸(740)도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 상에 증대되어 표시되어진다.
또한, 보호자(P)는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된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 중 구간별 명칭표시칸(730)에 해당 구간의 명칭을 정보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입력하고, 구간별 길이표시칸(740)에 자신이 생각하는 길이를 정보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또한, 사용 중 해당 구간의 설정을 비활성화 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간별 선택메뉴(720)를 클릭하여 활성화 여부를 지정하면 된다.
이에, 도 19는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을 통해 보호자(P)가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인 수신가능구간(WS)을 안심구간(SS), 관심구간(IS) 및 위험구간(DS)의 기본적인 구간 및 평균 거리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0은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을 통해 보호자(P)가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인 수신가능구간(WS)의 기본구간인 안심구간(SS), 관심구간(IS) 및 위험구간(DS) 중 관심구간(IS)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1은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을 통해 보호자(P)가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각 구간인 수신가능구간(WS)의 세부구간인 안심구간(SS), 관심구간(IS) 및 위험구간(DS) 중 안심구간(SS)과 위험구간(DS)의 거리는 감소시키고 관심구간(IS)의 거리는 증대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700)을 통해 보호자(P)가 선택한 안전구간(SS), 관심구간(IS) 및 경보구간(DS)과 같은 각 구간에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할 때 이를 보호자(P)가 인지할 수 있게 정보를 출력안내한다.
이러한 정보는 소리, 영상,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 또한 보호자(P)가 직접 지정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을 주로 참조하여, 보호자단말(100)의 정보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선택구간 안내화면(800)은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을 세분화하여 선택한 해당 구간인 안전구간(SS) 임을 안내하는 화면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구간 안내화면(800)을 살펴보면, 보호자단말을 중심으로 위치안내용 태그에서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을 세분화하여 선택한 해당 구간임을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위치구간 표시칸(810)과, 보호자(P)와 보호대상군(OP)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표시칸(820)이 구비되어진다.
이처럼, 각 구간의 정보 안내는 TTS(Text To Speech)를 기반으로 하는 음성이나 경보음과 같은 소리,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할 수 있다.
100 : 보호자단말 101,401 : 위치안내용 앱
110,410 정보입력부 120,420 : 정보저장부
130,430 : 정보출력부 140,440 : GPS부
150,450 : 정보통신부 151,451 : 근거리 통신모듈
152,452 : 무선인터넷 통신모듈 160,460 : 제어부
170,470 : 방향센서부 200 : 보호대상군 관리서버
210 : DB부 211 : 회원정보 DB
212 :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 300 : 위치안내용 태그
400 : 보행자단말 500 : 지도제공서버
600 : 유관기관 단말 700 : 보호대상군 인지구간 선정화면
710 : 신호 수신가능구간 길이 표시칸
720 : 구간별 선택메뉴 730 : 구간별 명칭표시칸
740 : 구간별 길이표시칸 750 : 구간가감메뉴
800 : 선택구간 안내화면 810 : 보호대상군 위치구간 표시칸
820 : 거리표시칸
900 :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
1000 :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
1010 : 예측 도달 이동경로
1020 :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시간 표시부
1030 : 현재시간 표시부

Claims (36)

  1.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이 실종된 경우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보호자단말(100)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태그(300)와;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44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상기 보행자 위치좌표정보 및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401)이 탑재된 보행자단말(400);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는, 지도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가 저장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를 갖는 DB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대상군(OP)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하며,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상기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에 표시된 거리를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이동가능하다고 예측한 경로인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가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을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700)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FP)과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가 전송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미확인 발생시간당 보호대상군(OP)의 이동거리를 연산한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을 이은 선분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c)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가 2개 이상인 경우 모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에 해당하는 거리에서 새로운 보행자단말(400m)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를 토대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의 수신가능범위 내에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b,1010c,1010d,1010e,1010f,1010g)의 끝단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된 경우 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d)만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전송되는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에게만 상기 수색대상군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단말(400)의 대수는 적어도 3개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3개의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3개의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보행자단말(400)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삼각지역을 형성하게 하는 각 보호대상군 인지신호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이 선택되어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의 DB부(210)에는,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상기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를 추출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을 갖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부터 순차적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 참여 여부를 문의하는 보호대상군 수색참여 문의정보, 상기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로 이루어진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하되, 그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받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을 수행한다는 보호대상군 수색착수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다수의 삼각지역을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지역 중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중첩하는 삼각지역들의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동서남북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방향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방향센서부(170)에서 생성된 방향정보를 참조하여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하는 방향을 연산하여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의 DB부(210)에는,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를 더 포함하고,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하는 단체가 운영하는 유관기관 단말(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으로 인지된 경우 그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상기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더불어 상기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으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유관기관 수색요청신호를 그 긴급상황 발생장소의 관할지역에 위치하는 유관기관 단말(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는,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이 구비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송신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가능한 주변의 보행자단말(400)의 위치안내용 앱(401)에서 수신하여 생성된 정보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하고, 그 산정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만큼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a)에 표시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a)를 연장하고, 그 연장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1010a)가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1000a)을 기설정 주기마다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세기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구비한 보호대상군(OP)의 거리를 인지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을 신호 수신가능구간(WS)으로 표시하고,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은 복수의 구간으로 세분화되며,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은 보호자(P)에 의해 그 수가 가감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은 보호자(P)에 의해 각 구간의 거리가 증감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8.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이 실종된 경우 그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보호자단말(100)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부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와;
    외출 시 보호자의 보호관리를 받는 보호대상군에 구비되어, 해당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전송하는 위치안내용 태그(300)와;
    거리마다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설치된 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치 위치정보를 갖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 및 상기 설치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고정형 스캐너(110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설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를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에는, 지도가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가 저장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를 갖는 DB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대상군(OP)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가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하며,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상기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의 DB부(210)에는,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를 더 포함하고, 행정구역별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을 수색하는 단체가 운영하는 유관기관 단말(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으로 인지된 경우 그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상기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더불어 상기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으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유관기관 수색요청신호를 그 긴급상황 발생장소의 관할지역에 위치하는 유관기관 단말(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440)가 구비되고, 위치안내용 앱(401)이 탑재된 보행자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고정형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에게만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의 위치안내용 앱(401)은,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수신가능한 주변의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와 상기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색대상군 가변형 수색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보행자 위치좌표정보 및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로 이루어진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대상군(OP)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확보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900)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전송되는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수색구역범위에 위치하는 고정형 스캐너(1100) 에게만 상기 수색대상군 고정형 수색요청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스캐너(1100)의 대수는 적어도 3개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3개의 고정형 스캐너(11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3개의 보호대상군 고정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고정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동서남북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방향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방향센서부(170)에서 생성된 방향정보를 참조하여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보호자(P)의 기준방향을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위치하는 방향을 연산하여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보호자 기준 보호대상군 방향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3. 삭제
  24. 삭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보행자단말(400)의 대수는 적어도 3개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3개의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3개의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 및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호대상군(OP)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전송하는 보행자단말(400)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삼각지역을 형성하게 하는 각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이 선택되어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의 개수가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개수보다 많은 경우 해당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기준으로 다수의 삼각지역을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지역 중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중첩하는 삼각지역들의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의 DB부(210)에는, 보호자가 등록한 정보로서, 보호자의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자가 보호하는 보호대상군의 외관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와 보호대상군을 식별하는 보호대상군 식별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식별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를 추출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가 가장 큰 값을 갖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부터 순차적으로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 참여 여부를 문의하는 보호대상군 수색참여 문의정보 보호대상군 확인 보호자 수색지도화면, 보호자 신상정보 및 보호대상군 이미지정보로 이루어진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하되, 그 보행자 수색문의신호를 전송받는 해당 보행자단말(400)로부터 실종된 보호대상군의 수색을 수행한다는 보호대상군 수색착수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이 속하는 행정구역별 지도정보를 상기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DB(212)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에 표시된 거리를 토대로 보호대상군(OP)이 이동가능하다고 예측한 경로인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그 추출된 행정구역별 지도정보 상에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정보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에는, GPS위성으로부터 경도와 위도를 포함하는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수색대상군 발생신호에 보호자 위치좌표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며,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는, 상기 보행자단말(400)로부터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에 해당하는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미확인 발생지점(FP)과 상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전송된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정보가 전송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미확인 발생시간당 보호대상군(OP)의 이동거리를 연산한 거리의 지점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을 이은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는, 실종된 보호대상군(OP)이 구비한 위치안내용 태그(300)에서 송신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를 수신가능한 주변의 보행자단말(400)의 위치안내용 앱(401)에서 수신하여 생성된 정보이고,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호대상군 세기측정정보와 보행자 위치좌표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상기 보호대상군 가변형 위치좌표정보를 참조하여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산정하고, 그 산정된 보호대상군(OP)의 시간당 이동거리만큼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를 연장하고, 그 연장된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표시된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을 (기설정 주기마다) 상기 보호자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군 관리서버(200)는, 상기 보호대상군 미확인 보호자 수색 지도화면에 표시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가 2개 이상인 경우 모두 표시하되, 그 표시되는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거리에서 새로운 보행자단말로부터 보호대상군 인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보호대상군 인지신호에 포함된 보행자 위치좌표를 토대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의 수신가능범위 내에 각각의 예측 도달 이동경로의 끝단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된 경우 그 보호대상군 예측이동지점(EP)이 포함하는 예측 도달 이동경로는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100)의 위치안내용 앱(101)은,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대상군 위치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식별자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보호대상군(OP) 임을 인지하고, 수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인 세기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를 구비한 보호대상군(OP)의 거리를 인지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용 앱(101)이 탑재된 보호자단말(100)을 중심으로 상기 위치안내용 태그(300)로부터 전송가능한 거리까지의 구간을 신호 수신가능구간(WS)으로 표시하고,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은 복수의 구간으로 세분화되며,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마다 보호자에게 안내되는 정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은 보호자(P)에 의해 그 수가 가감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가능구간(WS)이 세분화된 복수의 구간은 보호자(P)에 의해 각 구간의 거리가 증감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KR1020170056382A 2017-05-02 2017-05-02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KR10188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82A KR101888541B1 (ko) 2017-05-02 2017-05-02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PCT/KR2017/007778 WO2018203584A1 (ko) 2017-05-02 2017-07-19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82A KR101888541B1 (ko) 2017-05-02 2017-05-02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541B1 true KR101888541B1 (ko) 2018-09-21

Family

ID=6372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82A KR101888541B1 (ko) 2017-05-02 2017-05-02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8541B1 (ko)
WO (1) WO20182035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860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군중 관리 시스템
WO2023212151A1 (en) * 2022-04-27 2023-11-02 Armored Things, Inc. Simulation-driven localization and tracking of peop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8895A (ja) *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リキッド・デザイン・システムズ 対象者発見支援システム及び対象者情報発信装置
KR200482398Y1 (ko) * 2016-03-07 2017-01-18 조데이빗현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254A (ko) * 2007-05-23 2008-11-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전파식별 리더의 위치 측정 방법 및 그를위한 전파식별 시스템
KR20150006494A (ko) * 2013-07-08 2015-01-19 권형석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KR20160090578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기가레인 비콘을 이용한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8895A (ja) *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リキッド・デザイン・システムズ 対象者発見支援システム及び対象者情報発信装置
KR200482398Y1 (ko) * 2016-03-07 2017-01-18 조데이빗현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860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군중 관리 시스템
KR102277245B1 (ko) 2018-11-26 2021-07-14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군중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23212151A1 (en) * 2022-04-27 2023-11-02 Armored Things, Inc. Simulation-driven localization and tracking of peo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3584A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an et al. An IoT-based autonomous system for workers'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with real-time alarming, monitoring, and positioning strategies
KR101033200B1 (ko) Rfid와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체 위치 확인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17432B (zh) 用于利用跟踪装置定位个体和物体的设备和方法
KR100859093B1 (ko) Rfid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0302B1 (ko) 비콘신호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0468124Y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575776B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인식 지팡이
KR101556675B1 (ko) 통신단말을 이용한 이동비콘의 위치산출방법
WO2012143952A2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safe remote on-line tracing, shadowing, surveillance, inter-communication, location, navigation, tagging, rescue, recovery and restitution of humans and stolen/missing chattels, and the method/s thereof
CN102754416A (zh) 用于非相关的标签的移动监控的系统和方法
KR20070114637A (ko) 맹인에게 주변정보를 자동으로 음성 안내하는무선태그/리더장치 및 그 방법
KR101888541B1 (ko)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KR101888543B1 (ko) 분실물 회수관리 안내시스템
JPH09220266A (ja) 歩行者移動支援装置
KR20140085848A (ko) 차량 위치 기반 교통 신호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신호 검출 방법
KR20190080287A (ko) 고정용비콘을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1888540B1 (ko) 보호대상군 관리시스템
KR100725262B1 (ko) 대상물의 위치추적 및 확인이 가능한 가로등ㆍ보안등감시제어시스템과, 위치확인방법
US20050046577A1 (en) Detection system,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60124543A (ko) 안테나 구비 휴대단말기에 의한 대상체 이격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테나 구비 휴대단말기에 의한 대상체 이격위치 모니터링 방법
KR20110059155A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7984B1 (ko)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CA3043725C (en) Method and system for embedded device localization-based progressive indicators
KR101645816B1 (ko) 유저 식별을 통한 실내 및 실외 통합 네비게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