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02A -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02A
KR20200109802A KR1020190029467A KR20190029467A KR20200109802A KR 20200109802 A KR20200109802 A KR 20200109802A KR 1020190029467 A KR1020190029467 A KR 1020190029467A KR 20190029467 A KR20190029467 A KR 20190029467A KR 20200109802 A KR20200109802 A KR 2020010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toilet
foam supply
indoor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996B1 (ko
Inventor
송기풍
Original Assignee
송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풍 filed Critical 송기풍
Priority to KR102019002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발생된 거품을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와,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을 검출하는 환경센서 및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 중에서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공급부를 제어하여 검출된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내조에 공급된 거품의 두께를 목표 두께로 유지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FOAM WASHABLE TOILET AND PORTABLE TOILET HAVING IT}
본 발명은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품을 변기 내면에 살포하여 거품으로 오물을 씻고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수세식 변기는 물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수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담수된 물속으로 공기의 유통관을 유입시키고 이 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거품을 이용한 방식이 있으나, 순수한 물만을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기포 발생력이 떨어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구조로서, 물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세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변기 내부에 약품이 포함된 거품을 제공하여 거품에 의해 변기 내부가 세정되도록 하는 거품발생장치를 이용하는 포세식 변기가 개발되었다. 포세식 변기는 물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공원 등의 이동식 화장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에는 일정한 거품두께를 유지하도록 변기 내부에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변기 내부에 공급된 거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소멸한다.
그런데 이러한 거품 소멸 시간은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지기 때문에 변기 내부에 동일한 거품량을 공급하더라도 거품의 두께가 기준 두께보다 얇아진다.
이로 인해, 포세식 변기의 세정 능력이 떨어지고 변기 내부의 냄새가 올라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973호(2011.01.27.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변기의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을 검출하는 환경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 중에서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된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내조에 공급된 거품의 두께를 목표 두께로 유지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센서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센서는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이 증가하도록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고,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낮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이 감소하도록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높을 경우의 거품 공급주기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낮을 경우의 거품 공급주기보다 짧아지도록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습도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상기 실내온도에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값을 근거로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을 검출하는 환경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포세식 변기가 최초 온 되는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 중에서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하며, 상기 이후 주기 중에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환경 조건과 거품공급량을 근거로 상기 내조의 거품 두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품 두께가 목표 두께에 대비하여 미리 설정된 두께 이하이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미리 설정된 두께 이하이면, 상기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에 관계없이 거품을 강제로 공급시키고, 거품을 강제 공급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재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와,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와, 상기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 상기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온도를 낮추는 에어컨; 상기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높이는 난방기; 및 상기 이동식 화장실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습도를 낮추도록 상기 환풍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실내온도를 높이도록 상기 난방기를 작동시키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온도를 낮추도록 상기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이동식 화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변기의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포세식 변기의 세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변기 내부의 거품의 두께를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 없이도 실내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변기의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온도와 거품소멸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실내온도별 거품공급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습도와 거품소멸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설치된 이동식 화장실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설치된 이동식 화장실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1)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10)와, 거품을 발생하는 거품공급부(20)와, 포세식 변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와, 포세식 변기(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세식 변기(1)는 깔때기 모양으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55)와, 외조(55)를 화장실의 바닥에서 지지하는 지지부(59)와, 외조(55)의 내부에서 외조(55)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내조(57)와, 외조(55)와 내조(57)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51) 및 시트부(5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시트부(51)를 상부에서 덮는 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51)는 외조(55)와 내조(57)를 견고하게 형성하는 안착부(53)와, 안착부(5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쿠션부(52)를 포함한다.
포세식 변기(1)는 사용자가 커버(54)를 열고, 쿠션부(52)에 앉아 용변을 보는 경우, 사용자의 용변이 내조(57)에 체류하는 거품(B)에 의해 내조(57)에 닿지 않으면서 변 배출구(58)로 이동한다. 변 배출구(58)로 이동된 변은 자중에 의해 변 배출구(58)를 개방하여 하측의 오물통으로 낙하한다.
포세식 변기(1)의 세정액 공급부(10)는 본체(70)와 별도로 마련되어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는 저수조(11) 및 약품조(13)와, 거품공급부(20)의 혼합챔버(21)에 물 또는 약품을 제공하는 물공급관(12a)과 약품공급관(12b)을 포함한다. 약품조(13)에 저장되는 약품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와 같이 기포 발생력이 우수한 알코올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포세식 변기(1)의 거품공급부(20)는 혼합챔버(21)와, 혼합챔버(21)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22)와, 혼합챔버(21)에서 발생한 거품을 포세식 변기(1)의 외조(55)와 내조(57)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23)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1)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제어기(100)는 포세식 변기(1)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알고리즘 또는 이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세식 변기의 제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기(100)는 조작부(4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조작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40)는 포세식 변기(1)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40)를 조작하여 포세식 변기(1)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기포발생펌프(2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포발생펌프(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100)는 기포발생펌프(22)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통해 기포발생펌프(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기(100)는 포세식 변기(1)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을 검출하는 환경센서(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환경센서(110)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센서(110)는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센서(110)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환경센서(110)를 통해 검출된 환경 조건을 근거로 거품 공급시간과 거품 공급정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거품 공급주기를 변경시켜 실내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거품 공급관(23)을 통해 내조(57)에 공급되는 거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온도와 거품소멸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거품 소멸시간(s), 가로축은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제1 시간(t1) 내지 제3 시간(t3)은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 제1 온도(T1) 내지 제3 온도(T3)에 대응된다. 이때, 제3 온도(T3)는 제1 온도(T1)보다 고온이고, 제1 시간(t1)은 제3 시간(t3)보다 짧은 시간이다.
온도가 높을수록 내조(57)의 거품이 소멸하는 시간이 짧고 온도가 낮을수록 거품이 소멸하는 시간이 온도가 높은 경우보다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거품이 상대적으로 빨리 소멸되지 않지만,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거품이 상대적으로 빨리 소멸되기 때문에 거품두께가 목표 두께를 유지하지 못하고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에 따라 거품 소멸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변기의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해, 거품 두께가 목표 두께인 3 - 6cm 가 아닌 0.5 - 1cm 까지 얇아지기 때문에 포세식 변기의 세정 능력이 떨어지고 변기 내부의 냄새가 올라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제어기(100)는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내온도를 근거로 거품 공급주기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22)를 제어함으로써 실내온도에 관계없이 내조(57)에 공급되는 거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포세식 변기의 세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실내온도별 거품공급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온도가 1℃ 내지 4℃이면, 2초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60초 거품 공급을 중단한다. 2초 온/ 60초 오프의 주기로 내조(57)에 거품을 공급한다.
실내온도가 4℃ 내지 8℃이면, 2.2초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50초 거품 공급을 중단한다. 2.2초 온/ 50초 오프의 주기로 내조(57)에 거품을 공급한다.
실내온도가 8℃ 내지 12℃이면, 2.4초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40초 거품 공급을 중단한다. 2.4초 온/ 40초 오프의 주기로 내조(57)에 거품을 공급한다.
실내온도가 12℃ 내지 16℃이면, 2.6초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30초 거품 공급을 중단한다. 2.4초 온/ 30초 오프의 주기로 내조(57)에 거품을 공급한다.
실내온도가 16℃ 내지 20℃이면, 2.8초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20초 거품 공급을 중단한다. 2.8초 온/ 20초 오프의 주기로 내조(57)에 거품을 공급한다.
실내온도가 20℃ 내지 24℃이면, 3.0초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10초 거품 공급을 중단한다. 3.0초 온/ 10초 오프의 주기로 내조(57)에 거품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실내온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거품이 일부 소멸하더라도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온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을 증가시킴과 함께 거품 공급정지시간을 감소시켜 거품 공급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거품두께를 연속해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습도와 거품소멸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거품 소멸시간(s), 가로축은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제1 시간(t1) 내지 제3 시간(t3)은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습도 제1 습도(H1) 내지 제3 습도(H3)에 대응된다. 이때, 제3 습도(H3)는 제1 습도(H1)보다 높은 습도이고, 제1 시간(t1)은 제3 시간(t3)보다 짧은 시간이다.
습도가 높을수록 내조(57)의 거품이 소멸하는 시간이 짧고 습도가 낮을수록 거품이 소멸하는 시간이 습도가 높은 경우보다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습도가 낮으면, 거품이 상대적으로 빨리 소멸되지 않지만, 습도가 높으면, 거품이 상대적으로 빨리 소멸되기 때문에 거품두께가 목표 두께를 유지하지 못하고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습도에 따라 거품 소멸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변기의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해, 거품 두께가 목표 두께인 3 - 6cm 가 아닌 0.5 - 1cm 까지 얇아지기 때문에 포세식 변기의 세정 능력이 떨어지고 변기 내부의 냄새가 올라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실내습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거품이 일부 소멸하더라도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습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을 증가시킴과 함께 거품 공급정지시간을 감소시켜 거품 공급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거품두께를 연속해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온도와 실내습도를 함께 고려하여 거품 공급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실내온도와 실내습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거품 공급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실내온도의 가중치를 실내습도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실내온도에 실내온도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실내습도에 실내습도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값을 근거로 거품 공급을 조정할 수 있다. 실내온도가 높고 실내습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을 증가시킴과 함께 거품 공급정지시간을 감소시키고, 실내온도가 낮고 실내습도가 낮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을 감소시킴과 함께 거품 공급정지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내온도와 실내습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조건을 이용하여 거품 공급주기를 조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어기(100)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실내 환경 조건별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포세식 변기(1)의 최초 온 시, 최초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실내 환경 조건별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한다. 이는, 포세식 변기(1)의 최초 온 시에는 내조(57)에 거품이 없는 상태이므로, 거품을 많이 공급하고 그 이후부터는 실내 환경 조건에 따라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거품만을 보충하기 위해 거품을 상대적으로 적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기(100)는 실내 환경 조건에 따른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할 때, 실내 환경 조건과 거품공급량을 근거로 내조(57)의 거품 두께를 판단한다. 이때, 거품공급량에 대비한 실내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거품 두께를 판단한다. 즉, 거품공급량에 대비하여 실내 환경 조건에 따른 거품 소멸을 고려하여 거품 두께를 판단한다. 목표 거품 두께에 대응하는 거품공급량을 공급한 경우, 거품이 잘 소멸한 실내 환경 조건인지 거품이 잘 소멸하지 않는 실내 환경 조건인지에 따라 비율적으로 거품 두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거품 두께가 목표 두께에 대비하여 미리 설정된 두께 이하이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미리 설정된 두께 이하이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에 관계없이 거품을 강제로 공급시킨다. 거품을 강제 공급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다시 거품 공급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거품 두께가 목표 두께에 도달하면, 강제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미리 저장된 실내 환경 조건별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다시 거품 공급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설치된 이동식 화장실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식 화장실은 포세식 변기(1), 에어컨(200), 난방기(210) 및 환풍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컨(200)은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온도를 낮춘다.
난방기(210)는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높인다.
환풍기(220)는 이동식 화장실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에어컨(200), 난방기(210) 및 환풍기(220)는 포세식 변기(1)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설치된 이동식 화장실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식 화장실은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제어기(100)의 입력측에는 환경센서(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100)의 출력측에는 에어컨(200), 난방기(210) 및 환풍기(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100)는 실내온도와 실내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거품 공급시간과 거품 공급정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거품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때, 실내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실내습도를 낮추도록 환풍기(220)를 작동시킨다. 제어기(100)는 실내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실내온도를 높이도록 난방기(210)를 작동시킨다. 제어기(100)는 실내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실내온도를 낮추도록 에어컨(200)을 작동시킨다.
10 : 세정액 공급부 20 : 거품 공급부
22 : 기포발생펌프 23 : 거품공급관
55 : 외조 57 : 내조
100: 제어기 110: 환경센서

Claims (9)

  1.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을 검출하는 환경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 중에서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된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내조에 공급된 거품의 두께를 목표 두께로 유지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인 포세식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는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인 포세식 변기.
  4.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높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이 증가하도록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고,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낮을수록 거품 공급시간이 감소하도록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포세식 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높을 경우의 거품 공급주기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가 낮을 경우의 거품 공급주기보다 짧아지도록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포세식 변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습도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상기 실내온도에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값을 근거로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포세식 변기.
  8.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을 검출하는 환경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포세식 변기가 최초 온 되는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동안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 중에서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포세식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하며,
    상기 이후 주기 중에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환경 조건과 거품공급량을 근거로 상기 내조의 거품 두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품 두께가 목표 두께에 대비하여 미리 설정된 두께 이하이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미리 설정된 두께 이하이면, 상기 환경 조건별로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주기에 관계없이 거품을 강제로 공급시키고, 거품을 강제 공급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환경센서를 통해 검출된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거품을 재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
  9. 이동식 화장실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와,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와, 상기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거품 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거품 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
    상기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온도를 낮추는 에어컨;
    상기 이동식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높이는 난방기; 및
    상기 이동식 화장실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습도를 낮추도록 상기 환풍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실내온도를 높이도록 상기 난방기를 작동시키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온도를 낮추도록 상기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이동식 화장실.
KR1020190029467A 2019-03-14 2019-03-14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KR10218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67A KR102189996B1 (ko) 2019-03-14 2019-03-14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67A KR102189996B1 (ko) 2019-03-14 2019-03-14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02A true KR20200109802A (ko) 2020-09-23
KR102189996B1 KR102189996B1 (ko) 2020-12-11

Family

ID=7270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67A KR102189996B1 (ko) 2019-03-14 2019-03-14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34B1 (ko) 2021-03-16 2022-09-02 김상구 접이식 이동변기
KR102382181B1 (ko) 2021-10-07 2022-04-04 서원주 포세식 좌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683A (ko) * 2006-12-25 2009-09-14 에코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소변기
KR100990823B1 (ko) * 2010-08-25 2010-10-29 (주)토텍 에너지 절약형 이동식 간이 화장실의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10008973A (ko) 2009-07-21 2011-01-27 송기풍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9597A (ko) * 2017-07-19 2019-01-29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683A (ko) * 2006-12-25 2009-09-14 에코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소변기
KR20110008973A (ko) 2009-07-21 2011-01-27 송기풍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90823B1 (ko) * 2010-08-25 2010-10-29 (주)토텍 에너지 절약형 이동식 간이 화장실의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90009597A (ko) * 2017-07-19 2019-01-29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96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996B1 (ko)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TWI720131B (zh) 衛生洗淨裝置
TWI706072B (zh) 衛生洗淨裝置
TWI707078B (zh) 衛生洗淨裝置
KR101050247B1 (ko)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8410B1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KR20160104955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20140045757A (ko) 다기능 위생비데
KR100456447B1 (ko) 포세식 변기의 제어 장치
KR20190009597A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55802A (ko) 화장실 변기의 제어장치
JP7100284B2 (ja) 浴室システム
KR200345840Y1 (ko) 포세식 변기의 제어 장치
KR101870206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2010090621A (ja) 衛生洗浄装置
JP6327603B2 (ja) 便器装置
KR100756919B1 (ko) 온수세정기의 자동물내림 제어방법
JP2006274710A (ja) 洗浄装置
KR102511960B1 (ko) 변기 세정수 공급장치
JP7424329B2 (ja) 浴槽洗浄システム、給湯システムおよび浴槽洗浄制御方法
JP2023072464A (ja) 排水システム
JP7134741B2 (ja) 泡発生装置及び便器装置
KR20180023599A (ko) 절수 및 탈취 양변기
JP2023072465A (ja) 除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