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410B1 -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410B1
KR101318410B1 KR1020110068461A KR20110068461A KR101318410B1 KR 101318410 B1 KR101318410 B1 KR 101318410B1 KR 1020110068461 A KR1020110068461 A KR 1020110068461A KR 20110068461 A KR20110068461 A KR 20110068461A KR 101318410 B1 KR101318410 B1 KR 10131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ubble
supply
inner tank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855A (ko
Inventor
송기풍
Original Assignee
송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풍 filed Critical 송기풍
Priority to KR102011006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4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적절한 시기에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포세식 변기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와, 세정액으로 거품을 생성하여 내조로 공급하는 거품공급부와, 거품을 공급하는 시간 간격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내조에 체류하는 거품의 두께를 감지하는 거품 감지 센서와,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거품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거품 두께 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간격과 다르게 거품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포세식 변기에 일정 두께 이상의 거품이 항상 체류시켜 세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거품을 변기 내면에 살포하여 거품으로 오물을 씻어버리고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기의 형태나 구조는 사회 발달과 더불어 인간생활의 풍요로 인하여 그 청결설과 기능성을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다. 변기는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한 장소에 물을 담수하여 필요시 수세할 수 있는 수세식의 양변기 또는 좌변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 수세식 변기는 물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수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담수된 물속으로 공기의 유통관을 유입시키고 이 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거품을 이용한 방식이 있으나, 순수한 물만을 이용하여 기포를 방생시키기 때문에 기포 발생력이 떨어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구조로서, 물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세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변기 내부에 약품이 포함된 거품을 제공하여 거품에 의해 변기 내부가 세정되도록 하는 거품발생장치를 이용하는 포세식 변기가 개발되었다. 포세식 변기는 물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공원 등의 이동식 화장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적절한 시기에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는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내조에 마련되고 상기 내조에 체류하는 거품의 두께에 대응하는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포세식 변기가 최초 온 되는 최초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되, 상기 이후 주기 중에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거품 공급 주기에 관계없이 거품 공급이 즉시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고, 거품 공급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면 상기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다시 주기적으로 거품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은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와,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아 거품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거품을 상기 내조에 제공하는 거품공급부와, 상기 내조에 마련되고 상기 내조에 체류하는 거품의 두께에 대응하는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에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포세식 변기가 최초 온 되는 최초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이후 주기 중에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거품 공급 주기에 관계없이 거품 공급을 즉시 수행하고, 거품 공급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면 상기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다시 주기적으로 거품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포세식 변기에 일정 두께 이상의 거품이 항상 체류하고 있으므로 세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거품 공급 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강제 거품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제어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포세식 변기(1)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10)와, 거품을 발생하는 거품공급부(20)와, 포세식 변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와, 포세식 변기(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세식 변기(1)는 깔때기 모양으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55)와, 외조(55)를 화장실의 바닥에서 지지하는 지지부(58)와, 외조(55)의 내부에서 외조(55)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거품 감지 센서(60)가 거품면에 장착된 내조(57)와, 외조(55)와 내조(57)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51) 및 시트부(5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시트부(51)를 상부에서 덮는 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51)는 외조(55)와 내조(57)를 견고하게 형성하는 안착부(53)와, 안착부(5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쿠션부(52)를 포함한다.
포세식 변기(1)는 사용자가 커버(54)를 열고, 쿠션부(52)에 앉아 용변을 보는 경우, 사용자의 용변이 내조(57)에 체류하는 거품(B)에 의해 내조(57)에 닿지 않으면서 변 배출구(58)로 이동한다. 변 배출구(58)로 이동된 변은 자중에 의해 변 배출구(58)를 개방하여 하측의 오물통(미도시)으로 낙하한다.
포세식 변기(1)의 세정액 공급부(10)는 본체(70)와 별도로 마련되어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는 저수조(11) 및 약품조(13)와, 거품공급부(20)의 혼합챔버(21)에 물 또는 약품을 제공하는 물공급관(12a)과 약품공급관(1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약품조(13)에 저장되는 야품은 생분해성과 기포발생력이 우수한 알코올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트가 일례로서 제안된다.
포세식 변기(1)의 거품공급부(20)는 혼합챔버(21)와, 혼합챔버(21)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22)와, 혼합챔버(21)에서 발생한 거품을 포세식 변기(1)의 외조(55)와 내조(57)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23)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거품 공급 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강제 거품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포세식 변기(1)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기능 버튼이 조작될 수 있는 조작부(40)와, 거품의 두께를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60)와, 제어 전반을 관장하며, 거품 공급 시간 또는 거품량을 조정하는 제어부(100)와, 포세식 변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와, 거품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0)와, 거품 발생을 위한 각종 장치들을 구동하는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포세식 변기(1)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40)를 조작하여, 포세식 변기(1)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거품감지센서(60)는 포세식 변기(1)의 내조(57)에 부착된다. 거품감지센서(60)는 거품 공급관(23)을 통하여 내조(57)에 공급되는 거품의 두께를 감지한다. 거품감지센서(60)는 조도센서일 수 있다. 거품감지센서(60)가 조도센서인 경우 포세식 변기(1)의 내조(57)에서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품감지센서(60)는 거품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거품감지센서(60)에 덮여있는 거품의 두께가 줄어들수록 조도가 커지고, 덮여있는 거품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조도가 작아진다.
제어부(100)는 거품 공급 시간 또는 거품 두께 정보를 이용하여 포세식 변기(1)의 내조(57)에 공급되는 거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도 3a을 참조하면,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거품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도3b를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1)의 최초 온 시, 일정량 이상의 거품이 공급되도록 상대적으로 긴 시간(제1시간)동안 거품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최초 공급 이후에는 그 공급 시간 간격을 줄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제2시간) 동안 거품을 공급한다. 이는, 포세식 변기(1)의 최초 온 시에는 내조(57)에 거품이 없는 상태이므로, 거품을 많이 공급하고 그 이후부터는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거품만을 보충하기 위해 거품을 상대적으로 적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00)는 거품감지센서(60)에 의해 전송되는 거품의 두께 정보에 따라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도 4a를 참조하면, 거품 감지 센서(6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내조(57)의 거품이 일정 두께(T1) 이하인 것으로 확인하면,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 시간에 관계없이 거품을 강제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강제 거품 공급 시간은 설계 시 미리 정해진 시간이거나, 거품감지센서(60)에 의해 측정되는 두께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바람직하게는, 1~2cm, T2)까지 거품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거품의 두께 정보에 따라 거품 공급을 강제로 개시한 후, 일정 시간 t1이 경과하면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 시간에 따라 다시 거품 공급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거품의 두께 정보에 따라 거품 공급을 강제로 개시한 후, 거품의 두께가 일정한 두께 T2에 도달하면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 주기에 따라 다시 거품 공급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4a와 도 4b에 대한 설명을 별개로 하였지만, 제어부(100)는 도 4a에서 설명한 제어 방식과, 도 4b에서 설명한 제어 방식을 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강제 거품 공급 후, 일정 시간(t1) 또는 일정 두께(T1) 조건 중 먼저 만족되는 조건에 따라 강제 거품 공급을 종료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거품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술한 것처럼, 미리 정해진 시간이 아닌 시간에 거품을 강제 공급하는 경우, 강제 거품 공급이 중단되면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다시 거품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30)는 포세식 변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는 거품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내조(57)의 거품 두께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표시부(30)는 거품이 공급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세식 변기의 제어흐름도이다.
제어부(100)는 포세식 변기(1)가 최초 온되면, 미리 저장된 시간에 거품을 공급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마다 거품을 공급하는 거품 공급 시간이 동일하지만, 도 3b를 참조하면 최초 온 시 거품이 공급되는 거품 공급 시간이 가장 길고, 그 이후의 거품 공급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다. 다만, 거품 공급 시간은 설계 시 설계자에 의해 정해지거나,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200,210)
제어부(100)는 거품 감지 센서(60)로부터 전송되는 거품 두께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 이하로 거품이 줄어드는지 확인하고, 내조(57)의 거품이 미리 정해진 두께 이하로 줄어들면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거품 공급 주기에 관계없이 거품을 바로 공급한다.(220,230)
제어부(100)는 거품 감지 센서(60)에 의한 정보에 따라 거품을 공급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하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메모리(110)에 저장된 거품 공급 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240,210)
제어부(100)는 거품 감지 센서(60)에 의한 정보에 따라 거품을 공급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는 않았지만 거품의 두께가 일정 두께(T1)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강제 거품 공급을 정지하고, 메모리(110)에 저장된 거품 공급 주기에 따라 거품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250, 230. 210)
한편, 상술한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두께”는 설계자에 의해 정해지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Claims (9)

  1.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펌프와, 상기 혼합챔버에 발생된 거품을 상기 외조와 내조 사이로 안내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는 거품공급부;
    상기 내조에 마련되고 상기 내조에 체류하는 거품의 두께에 대응하는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되,
    상기 포세식 변기가 최초 온 되는 최초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되,
    상기 이후 주기 중에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거품 공급 주기에 관계없이 거품 공급이 즉시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고, 거품 공급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면 상기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다시 주기적으로 거품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품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세정액이 저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상기 외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거품이 체류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에 존재하는 오물이 오물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오물의 자중에 의해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구와, 상기 포세식 변기 본체와 별도로 마련되고 물과 약품을 각각 저장하며 저장된 물과 약품을 통해 세정액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와, 상기 세정액을 제공받아 거품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거품을 상기 내조에 제공하는 거품공급부와, 상기 내조에 마련되고 상기 내조에 체류하는 거품의 두께에 대응하는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와, 상기 내조에 거품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에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포세식 변기가 최초 온 되는 최초 1주기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이후 주기 동안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상기 거품을 공급하고,
    상기 이후 주기 중에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거품 공급 주기에 관계없이 거품 공급을 즉시 수행하고,
    거품 공급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거품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면 상기 거품 공급을 중단하고 다시 주기적으로 거품을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68461A 2011-07-11 2011-07-11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461A KR101318410B1 (ko) 2011-07-11 2011-07-11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461A KR101318410B1 (ko) 2011-07-11 2011-07-11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55A KR20130007855A (ko) 2013-01-21
KR101318410B1 true KR101318410B1 (ko) 2013-10-16

Family

ID=4783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461A KR101318410B1 (ko) 2011-07-11 2011-07-11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597A (ko) 2017-07-19 2019-01-29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457B1 (ko) * 2020-08-14 2022-06-28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4660B1 (ko) * 2020-11-26 2022-07-25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42470B1 (ko) * 2022-02-14 2024-02-29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34A (ja) * 2001-05-15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便器用泡発生装置
KR20030091488A (ko) * 2002-05-28 2003-12-03 이성호 포세식 변기의 거품 공급방법
JP2008031815A (ja) * 2006-07-27 2008-02-14 Sanwa Jutaku Kk 便器内での泡層形成装置。
KR101050247B1 (ko) 2009-07-21 2011-07-19 송기풍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34A (ja) * 2001-05-15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便器用泡発生装置
KR20030091488A (ko) * 2002-05-28 2003-12-03 이성호 포세식 변기의 거품 공급방법
JP2008031815A (ja) * 2006-07-27 2008-02-14 Sanwa Jutaku Kk 便器内での泡層形成装置。
KR101050247B1 (ko) 2009-07-21 2011-07-19 송기풍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597A (ko) 2017-07-19 2019-01-29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55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410B1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TW201128028A (en) Toilet flushing assembly and sequence
KR101590158B1 (ko) 거품 세정식 양변기
JP6754940B2 (ja) 衛生洗浄装置
TWI707078B (zh) 衛生洗淨裝置
KR101050247B1 (ko) 포세식변기용 거품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141684A1 (ja) 便器装置および便器
KR102189996B1 (ko)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KR20180107868A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JP2007314973A (ja) 洋風便器装置
KR20120014663A (ko) 비데장치 및 좌대 세정기를 구비한 양변기
KR20140045757A (ko) 다기능 위생비데
KR101418508B1 (ko) 화장실 변기의 제어장치
KR200434736Y1 (ko)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JP2020016131A (ja) 手洗い器付き水洗便器装置
JP6765034B2 (ja) 衛生洗浄装置
KR20190009597A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56447B1 (ko) 포세식 변기의 제어 장치
JP2018053574A (ja) 便器装置
JP6327603B2 (ja) 便器装置
CN105002967A (zh) 一种外置式洁具发泡装置
KR200345840Y1 (ko) 포세식 변기의 제어 장치
KR20100068781A (ko) 절수 기능이 구비된 욕실의 샤워장치
JP2007215870A (ja) 石鹸液吐出装置
JP2007215871A (ja) 石鹸液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