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36Y1 -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36Y1
KR200434736Y1 KR2020060027332U KR20060027332U KR200434736Y1 KR 200434736 Y1 KR200434736 Y1 KR 200434736Y1 KR 2020060027332 U KR2020060027332 U KR 2020060027332U KR 20060027332 U KR20060027332 U KR 20060027332U KR 200434736 Y1 KR200434736 Y1 KR 200434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foam
urinal
supply lin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엽
강관모
Original Assignee
뉴월드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월드인텍(주) filed Critical 뉴월드인텍(주)
Priority to KR2020060027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외통(10)과,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측면(20a)과 상면이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상단이 내통(20)의 내부 공간 상부에 위치하고 외통(10)의 하부를 관통한 후 하단이 소변기의 거품 수용부에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외통(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변기로 거품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거품공급관(24)가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세식, 좌변기, 밸브

Description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Foam Generating Device for Foam Type Toile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의 사시도 ,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통 12 : 개방공
20 : 내통 24 : 거품공급관
30 : 물공급부 32 : 물공급라인
34 : 수량조절밸브 36 : 부표
40 : 공기공급부 42 : 공기공급라인
44 : 공기량조절밸브 46 : 체크밸브
50 : 약품조 52 : 약품공급라인
52a : 조절핀 54 : 약품량조절밸브
60 : 향기액조 62 : 향기액공급라인
64 :향기액량 조절밸브 81 : 캡
본 고안은 포세식(泡洗式) 소변기(3)용 거품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 화장실이고, 최근에 와서는 화장실문화라고 까지 일컬어 질 정도로 일상생활에서 화장실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화장실에서도 특히 그 주체라 할 수 있는 변기의 형태나 구조는 사회의 발달과 인간생활의 풍요로 인하여 청결성과 기능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 보이고 있는데, 근자에는 변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한 장소에 물을 담수하여 필요시 수세할 수 있는 수세식의 양변기 또는 소변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최근의 기술로는, 물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수세의 효과를 높히기 위하여 변기내부에 담수된 물속으로 공기의 유통관을 유입시키고 이 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거품을 함유한 물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물만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경제성에 비하여 순수한 물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포발생력이 떨어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구조로서 물에 기포성의 약품을 혼합하여 강제로 거품 을 발생시켜 얻어지는 거품으로 수세하는 포세식 변기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액상의 세제가 들어 있는 약품통의 내부에 심지를 넣고 심지의 상부에 설치된 블로워나 송풍팬을 통하여 심지상의 액상세제를 기포화시키는 구조였으나 장치가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여 큰 호응은 얻지 못하였다.
최근에 시판되는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는 전기전자 장치로서 거품 발생의 정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데, 고장이 잦고 전기전자 장치의 불량이 많으며, 고장이 날 경우 A/S도 잘 되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품의 발생이 일정하지 않으며, 거품발생 장치의 내부가 전혀 보이지 않고 전기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버튼만을 사용하여 거품 발생 정도를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품 발생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포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거품 발생이 일정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품발생장치의 몸체를 투명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거품의 발생 상태를 보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이 적고 소음 특성이 우수한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생된 거품을 소변기에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는,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에 있어서, 외통(10)과,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측면(20a)과 상면이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상단이 내통(20)의 내부 공간 상부에 위치하고 외통(10)의 하부를 관통한 후 하단이 소변기의 거품 수용부에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외통(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변기로 거품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거품공급관(24)가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는 외통(10)과,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측면(20a)과 상면이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된다. 내통(20)의 개방된 하부는 외통(10)의 하면 대비 들떠 있어 물이 저항을 받지 않고 출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소변기를 위한 거품공급관(24)은 상단이 내통(20)의 내부 공간 상부에 위치하고, 외통(10)의 하부를 관통한 후, 하단이 소변기의 거품 수용부에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외통(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변기(3)로 거품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게 구비된다.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된다.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된다.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 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내통(20) 내부의 거품발생상태와 소변기로 거품이 유입되는 상태을 직접 보면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약품량조절밸브(54)를 조작하여 원하는 사용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외통(10) 및 내통(2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는 공기공급부(4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소음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공급부(40)는 외통(10)과 이격되어 화장실 외부에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는 외통(10)은 소변기 몸체(3)의 상부에 구비되고 0외통(10)의 하면에는 거품공급관(24)이 관통되는 개방공(12)이 구비된다.
약품조(50)는 외통(10)의 상부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약품조(50)의 상부에는 향기액조(60)가 구비되고, 향기발생장치(60)는 향기발생액의 흐름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향기액량 조절밸브(64)가 구비된 향기액공급라인(62)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약품조(50)의 상부에 약품을 주입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약품은 알콜계 계면 활성제 또는 알콜계 계면 활성제인 네코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세면수를 활용하는 양변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발생 약품은 약품공급라인(52)을 통해 외통(10)으로 공급되어 물과 섞이고, 공기공급부(40)(또는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된 기포는 공기공급라인(42)을 통해 직접 내통(20)으로 유입되어 거품을 발생시킨다. 공기공급부(40)의 작동이 멈춘 경우 역류에 의해 전기장치인 공기공급부(40)(또는 기포발생기)가 손상받을 수 있어 체크밸브(44)를 구비한다. 발생한 거품은 거품공급관(24) 및 개방공(12)을 경유하여 소변기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거품발생장치의 몸체 및/또는 밸브 몸체를 투명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거품의 발생 상태를 보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고장이 적고 소음 특성이 우수한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발생된 거품을 소변기에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에 있어서,
    외통(10)과, 상기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측면(20a)과 상면이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내통(20)의 내부 공간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통(10)의 하부를 관통한 후 하단이 소변기의 거품 수용부에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외통(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변기로 거품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거품공급관(24)가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상기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상기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상기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상기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상기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 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내통(20) 내부의 거품발생상태와 소변기로 거품이 유입되는 상태을 직접 보면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약품량조절밸브(54)를 조작하여 원하는 사용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10) 및 내통(2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4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소음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공급부(40)는 상기 외통(10)과 이격되어 화장실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소변기 몸체(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통(10)의 하면에는 상기 거품공급관(24)이 관통되는 개방공(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조(50)는 상기 외통(10)의 상부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약품 조(50)의 상부에는 향기액조(60)가 구비되고, 상기 향기발생장치(60)는 향기발생액의 흐름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향기액량 조절밸브(64)가 구비된 향기액공급라인(62)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조(50)의 상부에 약품을 주입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품은 알콜계 계면 활성제 또는 알콜계 계면 활성제인 네코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2020060027332U 2006-09-30 2006-09-30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200434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332U KR200434736Y1 (ko) 2006-09-30 2006-09-30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332U KR200434736Y1 (ko) 2006-09-30 2006-09-30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36Y1 true KR200434736Y1 (ko) 2006-12-28

Family

ID=4178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332U KR200434736Y1 (ko) 2006-09-30 2006-09-30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895B1 (ko) * 2012-05-03 2012-10-15 박영순 포세식 소변기
KR101545125B1 (ko) * 2013-07-24 2015-08-21 김아인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KR20200042557A (ko) 2018-10-15 2020-04-24 (주)에코하이테크 포세식 변기용 거품생성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895B1 (ko) * 2012-05-03 2012-10-15 박영순 포세식 소변기
KR101545125B1 (ko) * 2013-07-24 2015-08-21 김아인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KR20200042557A (ko) 2018-10-15 2020-04-24 (주)에코하이테크 포세식 변기용 거품생성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0409C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JP2016527420A (ja) 自己水洗トイレ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JP2008138422A (ja) 洗浄水吐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200434736Y1 (ko)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100755747B1 (ko) 포세식 좌변기
KR200434735Y1 (ko)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100784674B1 (ko) 포세식 좌변기
JP2007314973A (ja) 洋風便器装置
KR100784669B1 (ko) 포세식 소변기
KR101318410B1 (ko)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9996B1 (ko)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KR101577681B1 (ko) 거품공급장치
JP2003253727A (ja) 防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102107691B1 (ko) 포세식 변기용 거품생성 제어 시스템
KR200361194Y1 (ko) 변기의 포세정장치
JP2007314974A (ja) 洋風便器装置
KR200247242Y1 (ko) 포세식 좌변기
KR200351198Y1 (ko)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JP5473308B2 (ja) 水洗便器用薬液供給装置
KR200316413Y1 (ko) 수세식과 포세식 겸용 변기의 거품발생장치
KR20110045894A (ko)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US7096515B2 (en) Cartridge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supplements to a toilet cistern
CN219118307U (zh) 一种可根据用户需求调节浓度配比的水箱清洁结构
KR20120057843A (ko) 포세 방식 변기를 위한 거품 발생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