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125B1 -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 Google Patents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25B1
KR101545125B1 KR1020130087460A KR20130087460A KR101545125B1 KR 101545125 B1 KR101545125 B1 KR 101545125B1 KR 1020130087460 A KR1020130087460 A KR 1020130087460A KR 20130087460 A KR20130087460 A KR 20130087460A KR 101545125 B1 KR101545125 B1 KR 10154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ion tank
water
hose
toil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076A (ko
Inventor
김아인
Original Assignee
김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인 filed Critical 김아인
Priority to KR102013008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포세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일정부분이 물에 담수되도록 위치하되,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이 변기본체부에 결합되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0)는 “
Figure 112013066992314-pat00005
” 자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연결관(110)과 삽입홈(120)이 각각 구성되되, 상기 연결관(110)은 꺾임 되어 상기 변기본체부(300)의 일측과 결합구성 되며 상기 삽입홈(120)으로 상기 제어장치(400)와 연결된 호스(410)가 삽입되고, 상기 폭기조(100)의 하부 일측에는 폭기조(100)의 하부가 일정부분 물에 담수되되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부력방지홈(130)이 구성되어, 수조(200)의 내부에 상기 폭기조(100)의 설치가 용이하고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하며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Toilet Fosse-type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본 발명은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기조의 상부 양측에 구성되는 연결관과 삽입홈이 각각 구성되어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되 물의 높이 보다 높게 구성되며, 부력에 의해 폭기조가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시 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편리성이 부여되며, 상기 삽입홈이 구성된 폭기조를 수조의 내측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을 변기본체부와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변기는 그 형태나 구조가 사회발달과 더불어 인간생활의 풍요로 인하여 그 청결성과 기능성을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다. 근래에는 변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한 장소에 물을 담수하여 필요 시 변기를 수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식 양변기 또는 좌변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수세식 변기가 변기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많은 물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에는 물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세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변기 내부에 약품이 포함된 거품을 제공하여 거품에 의해 변기내부가 세정되도록 하는 거품발생장치를 이용하는 포세식변기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거품발생장치를 이용하는 포세식 변기는 물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공원 등의 이동식 화장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170294 (특)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세정수로 발생시킨 거품을 이용하여 용변을 처리하는 포세식 양변기에 있어서, 수조(110)에 저장된 세정수에 기포를 지속적으로 혼입되게 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변기본체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거품공급부(100)와; 상기 거품공급부(100)에서 공급된 거품이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경사진 경사면 전체에 동시에 균등하게 흐르도록 거품의 흐름을 유도하는 변기본체부(200)와; 상기 거품공급부(100)에서 공급된 거품이 변기본체부(200)의 하부와 분뇨통(500) 사이에서 과다한 거품량에 의한 역류를 방지하고, 일정량의 거품막을 유지되게 하여 상기 분뇨통(50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개폐부(300)와; 상기 거품공급부(100)에 기포를 혼입시켜 발생되는 거품량과 거품발생시간 및 동결방지를 위해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공급부(100)는 변기본체부(200)의 후면에 부착되며 항상 물이 공급되어 일정수위로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물에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세정수로 혼합되는 공간인 수조(110)와; 상기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간이고 수조(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110)에 미량의 계면활성제를 지속적으로 낙하시켜 물과 혼합시키는 계면활성제통(120)과; 상기 수조(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하부는 세정수와 기포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구(135)가 형성되며 상부는 변기본체부(200)와 연결되어, 중간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유입된 세정수와 기포에 의해 거품이 발생 되면 변기본체부(200)에 공급하는 폭기조(130)와; 동파방지를 위해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조 열선(14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폭기조의 내부로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해서 폭기조의 하부 일측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다수의 호스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변기의 흔들림 또는 견고한 고정이 어려운 구조로 구성되어 자칫 홈에서 호스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재차 수조의 상부를 개방시켜 빠진 호스를 다시 홈에 끼워 넣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손에 물이 닿을 수밖에 없으며 수중 속에서 호스를 홈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압력과 장시간 담수된 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하여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폭기조의 상부 양측에 변기본체부와 결합되는 연결관과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호스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각각 구성하되, 수조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높이 보다 높게 구성하여 설치 시 사용자의 손이 물에 닿지 않게 되어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폭기조의 하부 일측에 부력방지홈을 구성하여 설치 후 부력에 의해 물에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호스의 외주를 감싸며 삽입홈에 끼움 되는 패킹을 구성하기 상기 호스가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력을 확보함은 물론, 상기 폭기조의 상부 일측에 기포확인홈을 구성하여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폭기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포세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일정부분이 물에 담수되도록 위치하되,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이 변기본체부에 결합되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0)는 “
Figure 112013066992314-pat00001
” 자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연결관(110)과 삽입홈(120)이 각각 구성되되, 상기 연결관(110)은 꺾임 되어 상기 변기본체부(300)의 일측과 결합구성 되며 상기 삽입홈(120)으로 상기 제어장치(400)와 연결된 호스(410)가 삽입되고, 상기 폭기조(100)의 하부 일측에는 폭기조(100)의 하부가 일정부분 물에 담수되되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부력방지홈(130)이 구성되어, 수조(200)의 내부에 상기 폭기조(100)의 설치가 용이하고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하며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의하면, 수조의 내부에 담수된 물에 일정부분이 담수되되 부력방지홈에 의해 물에 뜨지 않게 됨과 더불어 폭기조의 일측이 수조 내측과 결합될 수 있게 되어 고정력을 확보함은 물론,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삽입홈을 통해 내부로 삽입 되되 패킹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수조 내부에 설치 시 사용자의 손이 물이 닿지 않게 되어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부 일측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성이 부여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패킹의 결합 및 분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와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폭기조(100)의 상부 양측에 구성되는 연결관(110)과 삽입홈(120) 각각 구성되어 수조(200)의 내부에 위치하되 물의 높이 보다 높게 구성되며, 부력에 의해 폭기조(100)가 물에서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설치 시 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편리성이 부여되며, 상기 삽입홈(120)이 구성된 폭기조(100)를 수조(200)의 내측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110)을 변기본체부(300)와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세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일정부분이 물에 담수되도록 위치하되,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이 변기본체부에 결합되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0)는 “
Figure 112013066992314-pat00002
” 자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연결관(110)과 삽입홈(120)이 각각 구성되되, 상기 수조(200)의 내부에 담수된 물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110)은 꺾임 되어 상기 변기본체부(300)의 일측과 결합구성 되며 상기 삽입홈(120)으로 상기 제어장치(400)와 연결된 호스(410)가 삽입되고, 상기 폭기조(100)의 하부 일측에는 폭기조(100)의 하부가 일정부분 물에 담수되되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부력방지홈(130)이 구성되어, 수조(200)의 내부에 상기 폭기조(100)의 설치가 용이하고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하며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폭기조(100)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13066992314-pat00003
” 자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변기본체부(200)와 결합되는 연결관(110)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110)의 타측에는 호스(410)가 삽입되는 삽입홈(120)이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120)의 경우 호스(41)가 폭기조(100)의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측 끝부가 상기 연결관(110)의 상측면과 유사한 높이로 구성된다.
즉, 상기 폭기조(100)가 수조(200)의 내부로 담수 될 때 연결관(110)과 삽입홈(120)은 물에 닿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폭기조(100)의 삽입홈(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4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410)를 감싸며 삽입홈(120)에 끼움 되는 패킹(1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패킹(140)은 삽입홈(120)의 외주 또는 내주에 끼움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외주에 끼움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종래에 있어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폭기조의 내부로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해서 폭기조의 하부 일측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다수의 호스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변기의 흔들림 또는 견고한 고정이 어려운 구조로 구성되어 자칫 홈에서 호스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재차 수조의 상부를 개방시켜 빠진 호스를 다시 홈에 끼워 넣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손에 물이 닿을 수밖에 없으며 수중 속에서 호스를 홈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압력과 장시간 담수된 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하여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의 삽입홈(120)으로 인하여 제어장치(400)와 연결되는 호스(410)를 폭기조(100)의 내부로 삽입시키되, 내부 깊숙이 위치됨으로써 호스(410)가 빠질 염려가 전혀 없게 되어 사용자는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호스(4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패킹(140)의 구성으로써 상기 호스(410)의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폭기조(1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높이 물이 담수된 수조의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부력으로 인해 상기 폭기조(100)의 담수된 물위로 뜨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조(100)의 하부 일측에 부력방지홈(130)이 더 구성된다.
상기 부력방지홈(130)의 구성으로 인하여 폭기조(100)의 내부로 물이 일정높이까지 차게 되며 상기 폭기조(100)가 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부력방지홈(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관(110)이 변기본체부(300)와 결합되며 제어장치(400)와 연결된 호스(410)가 삽입홈(120)으로 삽입되어 패킹에 의해 고정된 후, 상기 제어장치(400)를 작동시키게 되면 호스(410)에서 바람이 나와 물과 만나 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기포는 상부로 이동되며 연결관(110)을 통해 변기본체부(300)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폭기조(10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연결관(110)과 일정간격 떨어진 부분에 폭기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기포확인홈(150)이 구성되어 포세식 양변기를 사용 시에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거나, 기포가 잘 생성되고 있는지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기포확인홈(150)의 경우 평상시에는 기포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마개를 구성하여 잠금을 시켜 놓고, 필요시에 마개를 열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폭기조(10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내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포확인홈(150)은 선택적으로 상기 마개를 이용하여 열림-닫힘을 할 수 있게 되며 기포확인 및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포확인홈(150)은 수조(200)의 내부에 물이 담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폭기조(100)를 설치 한 후, 물을 담수시키게 될 때 부력방지홈(130)을 통해 인입된 공기가 제어장치(400)와 변기본체부(300)로 유동하지 않고 기포확인홈(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기조(100)는 연결관(110)이 변기본체부(300)의 일측과 결합되며, 삽입홈(120)이 위치되는 수조(200)의 벽면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20) 보다 일정간격 하부로 이격된 폭기조(100)의 외주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 돌출테(160)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테(160)의 사이에 고정부재(170)를 구성하여, 상기 수조(200)의 측면과 결합부재(180)로 고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폭기조(100)의 연결관(110)이 변기본체부(300)와 결합되어 고정되며 삽입홈(120)이 구성된 부분이 수조(200)의 벽면과 결합부재(170)로 결합 구성되어 외부 충격 등에 있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폭기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0)의 내부에 설치되되 물이 부력방지홈(130)을 통해 일정부분까지 차오르게 되며 내부로 차오른 물속에 호스(410)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장치(4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호스(410)에서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기포는 내부를 통해 변기본체부(300)로 투입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폭기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상승된 거품이 중력에 의해 상승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써,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의하면, 수조의 내부에 담수된 물에 일정부분이 담수되되 부력방지홈(130)에 의해 물에 뜨지 않게 됨과 더불어 폭기조(100)의 일측이 수조 내측과 결합될 수 있게 되어 고정력을 확보함은 물론,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삽입홈(120)을 통해 내부로 삽입 되되 패킹(14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수조 내부에 설치 시 사용자의 손이 물이 닿지 않게 되어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부 일측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성이 부여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폭기조 101 : 공간부
110 : 연결관 120 : 삽입홈
130 : 부력방지홈 140 : 패킹 150 : 기포확인홈
160 : 돌출테 170 : 고정부재 180 : 결합부재
200 : 수조 300 : 변기본체부 400 : 제어장치
410 : 호스

Claims (4)

  1. 포세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일정부분이 물에 담수되도록 위치하되,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이 변기본체부에 결합되는 폭기조는 상부 양측에 연결관(110)과 삽입홈(120)이 각각 구성되되, 상기 연결관(110)은 꺾임 되어 상기 변기본체부(300)의 일측과 결합구성되며 상기 삽입홈(120)으로 상기 제어장치(400)와 연결된 호스(410)가 삽입되고, 상기 폭기조(100)의 하부 일측에는 폭기조(100)의 하부가 일정부분 물에 담수되되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부력방지홈(130)이 구성되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0)는 “
    Figure 112014083491712-pat00012
    ” 자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0)에는 상기 호스(4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410)를 감싸며 삽입홈(120)에 끼움 되는 패킹(140)이 구성되며,
    상기 폭기조(100)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연결관(110)과 일정간격 떨어진 부분에 폭기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기포확인홈(150)이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120) 보다 일정간격 하부로 이격된 폭기조(100)의 외주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 돌출테(160)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테(160)의 사이에 고정부재(170)를 구성하여, 상기 수조(200)의 측면과 결합부재(180)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수조(200)의 내부에 상기 폭기조(100)의 설치가 용이하고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 하며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87460A 2013-07-24 2013-07-24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KR10154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460A KR101545125B1 (ko) 2013-07-24 2013-07-24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460A KR101545125B1 (ko) 2013-07-24 2013-07-24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76A KR20150012076A (ko) 2015-02-03
KR101545125B1 true KR101545125B1 (ko) 2015-08-21

Family

ID=5248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460A KR101545125B1 (ko) 2013-07-24 2013-07-24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33B1 (ko) 2018-09-04 2019-10-24 (주)에코하이테크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36Y1 (ko) * 2006-09-30 2006-12-28 뉴월드인텍(주)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101025040B1 (ko) 2010-10-06 2011-03-25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포세식 양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36Y1 (ko) * 2006-09-30 2006-12-28 뉴월드인텍(주)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101025040B1 (ko) 2010-10-06 2011-03-25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포세식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33B1 (ko) 2018-09-04 2019-10-24 (주)에코하이테크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76A (ko)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363B2 (ja) 便器装置
KR101257162B1 (ko) 수세식 위생기구
JP2010024780A (ja) トイレ装置
JP5291404B2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US9732506B2 (en) Anti-overflow toilet with detachable primary and secondary drain tubes
KR101545125B1 (ko)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
JP4967836B2 (ja) 浴室
KR200493746Y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JP2008274566A (ja) 便器本体及び洋風水洗式便器
KR100676924B1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변기
JP2014055446A (ja) 便器装置
JP5906437B2 (ja) 便器装置
JP2007314957A (ja) 洋風便器装置
JP5013944B2 (ja) 洋風水洗式便器
KR102035533B1 (ko)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JP2006291496A (ja) 水洗トイレ用手洗器の排水構造
JP2008038384A (ja) 排水ユニット
CN106894484A (zh) 一种发泡装置和座便器
JP2017053203A (ja) トイレユニット
US20090100579A1 (en) Toilet Device
JP6327603B2 (ja) 便器装置
JP2018119282A (ja) トイレ設備
JP2019141547A (ja) 仮設トイレ
JP2007016501A (ja)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
JP2012229612A (ja) 水洗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