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334B1 - 접이식 이동변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이동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334B1
KR102439334B1 KR1020210034101A KR20210034101A KR102439334B1 KR 102439334 B1 KR102439334 B1 KR 102439334B1 KR 1020210034101 A KR1020210034101 A KR 1020210034101A KR 20210034101 A KR20210034101 A KR 20210034101A KR 102439334 B1 KR102439334 B1 KR 10243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rame
fixed
rotat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김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구 filed Critical 김상구
Priority to KR102021003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escription

접이식 이동변기 { Foldable mobile toilet }
본 발명은 접이식 이동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를 고정프레임틀과 회전프레임틀 및 변기부로 구성시켜, 변기부와 회전프레임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접이식 이동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의 수세식 화장실은 별도로 설치된 정화조에 분뇨를 일정기간 저장한 후 처리하고 있지만 급수시설 등이 없거나 배관시설이 쉽게 동결되는 추운 지역의 가정에서는 별도의 정화조를 구비한 수세식 화장실을 설치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화장실 하부에 분뇨통을 설치하는 재래식 화장실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가정용 재래식 화장실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관리가 쉽지가 않다.
근래 들어 캠핑 등에 적합한 간이 변기나 노인, 환자, 아동을 위한 이동식 간이 변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간이 변기는 고정다리부와, 변좌와, 상기 변좌 하부의 고정다리부 사이에 거치되어 대소변을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의 상부에 용기덮개와, 측면부에 개폐식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체결되는 배출구 덮개와, 물투입구와 상기 물투입구에 체결되는 물투입구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간이 변기는 이동이나 보관을 위해 부품을 분리하고 조립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부품들을 분리하지 않고는 부피를 줄일 수 없어 간편한 이동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21899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를 고정프레임틀과 회전프레임틀 및 변기부로 구성시켜, 변기부와 회전프레임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접이식 이동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소를 이동하며 사용하도록 된 이동변기로서, 하부에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틀과, 상기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회전프레임틀을 연결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회전프레임틀에 설치되는 변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기부는 상기 회전프레임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 1 변기케이싱과, 상기 회전프레임틀에 설치되며 저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변기케이싱과,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는 배출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에 발효제를 공급하도록 공급공과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으로 유입된 발효제를 상기 공급공으로 안내하는 안내경사패널이 내부에 형성된 공급탱크가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에는 회전형탄성교반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회전형탄성교반수단은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저면패널에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저면패널 저면에 설치되고, 교반축의 단부가 상기 작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교반샤프트와,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저면패널의 상면 테두리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교반시트와, 상기 교반샤프트에 형성되는 베어링홈과, 상기 교반샤프트와 상기 탄성교반시트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어링홈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안내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탱크에는 상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제를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내측바닥에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이송형균일공급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이송형균일공급수단은 상기 공급탱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제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안내패널과,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브러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접이식 이동변기는 변기를 고정프레임틀과 회전프레임틀 및 변기부로 구성시켜, 변기부와 회전프레임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변기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변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변기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변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접이식 이동변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변기라 명명함)는 장소를 이동하며 사용하도록 된 이동변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이동변기(10)는 고정프레임틀(20)과 회전프레임틀(30)과 연결와이어(40)와 변기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틀(20)은 하부에 지지프레임(21)들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틀(20)과 상기 지지프레임(21)틀은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프레임틀(20)은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세워지도록 지지프레임(21)이 경사지게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은 상기 고정프레임틀(20)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은 사각의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프레임틀(30)에 회전되게 끼움된다.
상기 고정프레임틀(20)의 양내측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에는 양측에 상기 축공에 끼움되도록 연결축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변기부(50)가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틀(20)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이 상기 탄성패드를 가압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틀(20)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탄성패드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와이어(40)는 상기 고정프레임틀(20)의 상단부와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의 타단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와이어(40)는 상기 고정프레임틀(20)과 상기 회전프레임틀(3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직각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을 지지하게 하여, 사용자가 상기 회전프레임틀(30)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의 단부를 부착하여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의 상부에는 타원형의 지지패널링을 더 부착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지패널에 착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변기(10)를 보관 또는 이동시에는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을 상기 고정프레임과 같이 직립되게 회전시켜 상기 고정프레임틀(20)의 내부에 끼운 후 보관 및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은 상기 고정프레임틀(20)에 억지끼움되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밴드로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기부(50)는 상기 회전프레임틀(30)에 설치된다.
상기 변기부(50)는 상기 회전프레임틀(30)에 설치되며 일측면(배면패널)에 배출구(511)가 형성된 제 1 변기케이싱(51)과, 상기 회전프레임틀(30)에 설치되며 저면에 유출구(521)가 형성된 제 2 변기케이싱(52)과, 상기 배출구(511) 및 상기 유출구(521)에 설치되는 배출호스(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는 체결구(51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512)에는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 발효제를 공급하도록 슬릿구조의 공급공(541)과 충진공(542)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542)으로 유입된 발효제를 상기 공급공(541)으로 안내하는 안내경사패널(543)이 내부에 형성된 공급탱크(54)가 더 끼움된 후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공급탱크(54)는 상기 체결구(512)에 끼운 후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의 내면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경사패널(543)은 상기 공급탱크(54)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공급공(541)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탱크(54)에는 상기 충진공(542)을 통해 발효제가 투입되어 충진되며, 충진된 발효제는 상기 안내경사패널(543)에 안내되어 상기 공급공(541)을 통해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바닥면에 전달되고,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 배치된 발효제의 상부에 분(糞)이 배치되어 발효제와 함께 발효됨과 아울러 건조되도록 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탱크(54)에는 발효제 이외에 톱밥이나 분쇄된 볏짚을 충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발효제와 함께 톱밥이나 볏집을 충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효제는 미생물 발효제이며 효모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탱크(54)에는 외면에 도어를 힌지결합하여 상기 공급공(54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하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 발효제를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탱크(54)의 저면에는 송풍펜을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펜의 바람에 의해 상기 공급공(541)을 통해 배출되어 떨어지는 발효제가 날리면서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바닥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틀(20)에는 상기 공급탱크(54)의 충진공(542)을 통해 발효제를 공급하도록 발효제가 충진된 발효제탱크를 나사체결하고, 상기 발효제탱크와 상기 충진공(542)을 밸트가 마련된 호스 또는 관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은 상기 제 2 변기케이싱(52)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의 내측면에 상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는 사용자의 대변인 분(糞)이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변기케이싱(52)에는 소변인 뇨(尿)가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 수용되는 분(糞)과 발효제는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이 회전시 상기 배출구(511)를 통해 배출호스(53)를 따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2 변기케이싱(52)에 수용되는 뇨(尿)는 상기 유출구(521)의 배출호스(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제 2 변기케이싱(52)의 뇨(尿)는 자중에 의해 상기 유출구(521)를 통해 바로 배출되고,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 수용되는 분(糞)은 일정시간 상기 발효제에 의해 발효된 후 상기 회전프레임틀(30)이 직립되게 회전시 상기 배출구(511)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에는 회전형탄성교반수단(6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회전형탄성교반수단(60)은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저면패널에 형성되는 작동공(61)과,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저면패널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교반축의 상단부가 상기 작동공(61)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모터(62)와, 상기 교반축의 상단부에 일단이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는 교반샤프트(63)와, 상기 교반샤프트(63)와 상기 교반축을 덮으면서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저면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교반시트(64)와, 상기 교반샤프트(63)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베어링홈(65)과, 상기 교반샤프트(63)와 상기 탄성교반시트(64)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어링홈(65)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부가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교반시트(64)의 저면을 가압하며 안내되는 안내볼베어링(66)으로 이루어져, 상기 교반모터(6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교반축과 상기 교반샤프트(63)가 회전하면서 분(糞)과 발효제를 교반하여 분의 발효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분(糞)이 분쇄되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에 의해 상기 탄성교반시트(64)에 상기 교반샤프트(63)가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볼베어링에 의해 상기 분과 발효제가 걸림되어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교반시트(64)는 테두리부분이 부착되어 상기 탄성교반시트(64)의 저면과 상기 저면패널의 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샤프트(63)가 상기 탄성교반시트(64)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탄성교반시트(64)의 상부에 있는 분(糞)과 발효제를 가압하면서 이동시켜 교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샤프트(63)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교반진동기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진동기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상기 탄성교반시트(64)와 분 및 발효제에 전달되어 교반 및 분의 분쇄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탱크(54)에는 상기 공급공(54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제를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내측바닥에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이송형균일공급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이송형균일공급수단(70)은 상기 공급탱크(54)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고정브라켓(7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이송실린더(72)와, 상기 이송실린더(72)의 이송축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회전모터(73)와, 상기 회전모터(73)의 회전축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회전브라켓(74)과, 상기 회전브라켓(74)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공급공(54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제를 공급받아 안내하며 상기 공급탱크(54)의 하부에 배치되는 안내패널(75)과, 상기 이송실린더(72)의 이송축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구동모터(76)와, 상기 구동모터(76)의 회전축에 일단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는 탄성코일스프링(77)과, 상기 탄성코일스프링(77)의 타단에 나사되어 고정되는브러쉬(78)패널과 상기 브러쉬(78)패널에 일단이 부착되는 브러쉬(78)핀들로 구성된 브러쉬(78)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공(541)을 통해 발효제가 배출되면 상기 이송실린더(72)가 구동하여 상기 안내패널(75)을 상기 공급공(541)의 하측에 배치된 후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패널(75)의 상부에 발효제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안내패널(75)이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타측내면과 근접되게 배치되면, 상기 회전모터(73)가 작동하여 상기 안내패널(75)을 회전시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발효제가 떨어져 상기 제 1 변기케이싱(51)의 바닥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실린더(7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내패널(75)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발효제를 안내하여 바닥면에 균일하게 발효제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이송실린더(72)가 구동하여 상기 안내패널(75)을 이동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76)를 구동시켜 상기 탄성코일스프링(77)과 상기 브러쉬(78)를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78)가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이송실린더(72)를 구동시켜 상기 안내패널(75)을 복귀시키게 되면, 상기 브러쉬(78)가 바닥면에 쌓인 발효제를 평편하게 평탄화시킴으로써, 발효제가 없는 바닥면에 변(糞)이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발효제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코일스프링(77)에 의해 브러쉬(78)가 발효제에 걸림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상기 탄성코일스프링(77)의 탄성에 의해 브러쉬(78)가 발효제를 가압하면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패널(75)이 복귀 후 상기 구동모터(76)를 작동하여 상기 브러쉬(7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패널(75)의 저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안내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안내진동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내패널(75)이 진동되어 상기 발효제가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안내패널(75)에 안내되는 과정에서 걸림되거나 마찰되어 정체되거나 떨어지지않고 안내패널(75)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이동변기
20 : 고정프레임틀
21 : 지지프레임
30 : 회전프레임틀
40 : 연결와이어
50 : 변기부
51 : 제 1 변기케이싱
511 : 배출구
512 : 체결구
52 : 제 2 변기케이싱
521 : 유출구
53 : 배출호스
54 : 공급탱크
541 : 공급공
542 : 충진공
543 : 안내경사패널
60 : 회전형탄성교반수단
61 : 작동공
62 : 교반모터
63 : 교반샤프트
64 : 탄성교반시트
65 : 베어링홈
66 : 안내볼베어링
70 : 이송형균일공급수단
71 : 고정브라켓
72 : 이송실린더
73 : 회전모터
74 : 회전브라켓
75 : 안내패널
76 : 구동모터
77 : 탄성코일스프링
78 : 브러쉬

Claims (3)

  1. 장소를 이동하며 사용하도록 된 이동변기로서,
    하부에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고정프레임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틀;
    상기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회전프레임틀을 연결하는 연결와이어; 및
    상기 회전프레임틀에 설치되는 변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기부는 상기 회전프레임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 1 변기케이싱과, 상기 회전프레임틀에 설치되며 저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변기케이싱과,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는 배출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에 발효제를 공급하도록 공급공과 충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으로 유입된 발효제를 상기 공급공으로 안내하는 안내경사패널이 내부에 형성된 공급탱크가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에는 회전형탄성교반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회전형탄성교반수단은,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저면패널에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저면패널 저면에 설치되고, 교반축의 단부가 상기 작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교반샤프트와,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저면패널의 상면 테두리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교반시트와,
    상기 교반샤프트에 형성되는 베어링홈과,
    상기 교반샤프트와 상기 탄성교반시트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어링홈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안내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에는 상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제를 상기 제 1 변기케이싱의 내측바닥에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이송형균일공급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이송형균일공급수단은,
    상기 공급탱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제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안내패널과,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브러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변기.

KR1020210034101A 2021-03-16 2021-03-16 접이식 이동변기 KR10243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01A KR102439334B1 (ko) 2021-03-16 2021-03-16 접이식 이동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01A KR102439334B1 (ko) 2021-03-16 2021-03-16 접이식 이동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334B1 true KR102439334B1 (ko) 2022-09-02

Family

ID=8328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01A KR102439334B1 (ko) 2021-03-16 2021-03-16 접이식 이동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3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678A (ko) * 2005-05-25 2006-11-29 원하연 좌변기의 좌대 회동장치
KR20100009053U (ko) * 2009-03-06 2010-09-15 서영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KR101284213B1 (ko) * 2013-06-12 2013-07-08 대우산업 주식회사 자연 발효소멸식 화장실의 분뇨처리장치
KR20200070144A (ko) * 2018-12-07 2020-06-17 송창영 휴대용 화장실로 사용 가능한 접이식 의자가 부착된 생존가방
KR102189996B1 (ko) 2019-03-14 2020-12-11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678A (ko) * 2005-05-25 2006-11-29 원하연 좌변기의 좌대 회동장치
KR20100009053U (ko) * 2009-03-06 2010-09-15 서영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KR101284213B1 (ko) * 2013-06-12 2013-07-08 대우산업 주식회사 자연 발효소멸식 화장실의 분뇨처리장치
KR20200070144A (ko) * 2018-12-07 2020-06-17 송창영 휴대용 화장실로 사용 가능한 접이식 의자가 부착된 생존가방
KR102189996B1 (ko) 2019-03-14 2020-12-11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8859B (zh) 用於清掃機的吸嘴
CN107931218A (zh) 一种药材清洗装置
CN101518432A (zh) 一种拖把漂洗机及机洗拖把
CN217336917U (zh) 一种可变容积的宠物喂食器
CN107713823A (zh) 食物处理装置及其碗组件和搅拌刀组件
KR102439334B1 (ko) 접이식 이동변기
CN105534459B (zh) 一种用于水槽式清洁设备的门板系统
CN209303205U (zh) 一种多功能的谷物筛选装置
CN109330539A (zh) 家用全自动洗鞋机
CN109549573A (zh) 一种新型扫地机的擦地机构及扫地机
CN111389698A (zh) 一种农业生产用具有烘干功能水果清洗装置
CN109122362A (zh) 一种宠物喂食器
CN200974913Y (zh) 滚筒式洗衣机
CN208547205U (zh) 一种适用与高粘性发酵饲料的干燥机
CN206119946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水果削皮装置
CN1199591A (zh) 带餐具洗净干燥机的清洗台
CN209203203U (zh) 家用全自动洗鞋机
CN205359405U (zh) 一种用于水槽式清洁设备的门板系统
CN208573689U (zh) 一种改进型便捷清洗机
CN104624551B (zh) 一种高效拖把清洗脱水一体机
CN208755437U (zh) 一种稳固型五星脚
CN208739848U (zh) 一种新型的饲料给料装置
CN105725909B (zh) 一种座便器上盖板的翻转装置
CN219441774U (zh) 一种避免堵塞的大米抛光机
CN110241762A (zh) 一种道路清扫车圆盘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