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053U -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 Google Patents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053U
KR20100009053U KR2020090002571U KR20090002571U KR20100009053U KR 20100009053 U KR20100009053 U KR 20100009053U KR 2020090002571 U KR2020090002571 U KR 2020090002571U KR 20090002571 U KR20090002571 U KR 20090002571U KR 20100009053 U KR20100009053 U KR 201000090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asing
washbasin
pres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팔
Original Assignee
서영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팔 filed Critical 서영팔
Priority to KR2020090002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053U/ko
Publication of KR20100009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변기와 세면기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변기와 세면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됨에 따라 화장실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며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변기, 세면기, 수납.

Description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Toilet unit}
본 고안은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할 때에는 밖으로 꺼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시켜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하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는 좌식 변기와 세면기 등이 설치되는바, 일반적으로 모두 외부로 드러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변기와 세면기가 모두 외부로 드러나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근래 1인가구의 증가로 원룸이나 오피스텔과 같이 1인이 생활할 수 있는 주거 형태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거형태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주거형태로서 화장실 또한 최대한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변기와 세면기등이 모두 외부로 드러나게 설치될 경우 화장실 내부가 복잡하여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금 답답함 마저 느끼게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화장실 공간을 보다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와 세면기의 설치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실 내부를 깔끔하게 정리하면서도 최대한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화장실 내부 벽면에 변기와 세면기를 수납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여 화장장실 내부를 깔금하게 정리하면서도 최대한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를 제안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변기와 세면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어 화장실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며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유발된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변기와 세면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어 화장실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며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기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를 제안하며, 상기 변기 상부에 세면기가 더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 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변기/세면기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변기/세면기가 수납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변기/세면기가 꺼내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변기가 꺼내진 상태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기를 축 고정하는 축고정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변기/세면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에 매설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200) 및 세면기(3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면기(300)는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구성이나, 이하에서는 변기(200)와 세면기(300)가 모두 채택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변기(200)와 세면기(300)를 모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싱(100)은 이단으로 구획되게 구성할 수 있다. 케이싱(100) 중간에 구획판(102)이 설치됨으로써 케이싱(100)이 2분할 되는바, 아래쪽에는 변기(200)를 설치하고 위쪽에는 세면기(30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세면기(300)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물탱크(400)를 더 설치하여 줄 수 있다. 상기 물탱크(400)는 외부 수도관에서 공급된 물을 일정량 모아두었다가 변기(200)와 세면기(300)에 물공급관(410)을 통해 공급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400)은 물공급관(410)을 외부 수도관과 직접 연결하게 되면 설치할 필요가 없는 구성이다.
변기(200)는 케이싱(100) 내부에 축 고정된다. 관 형태로 구성된 설치축관(210)에 의해 축 고정되는바, 들어서 회전시키게 되면 세워지면서 케이싱(100)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축관(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관(212)과 한 쌍의 고정관(214)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관(2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회동관(212)이 관 끼움 형태로 끼워짐으로써 설치축관(210)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관(212)의 안쪽면고 고정관(214)의 바깥쪽 면 사이에는 밀폐링(216)을 끼워줌으로써 수밀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축관(210)은 가운데가 막혀있다. 회동관(212) 가운데에 가름판(213)이 형성됨으로써 막힘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설치축관(210)의 일측 즉, 일측 고정관(214)에는 물탱크(400)에서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물공급관(410)과 연결되어 있어서 변기(20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타측 즉, 타측 고정고나(214)에는 변기(200)에서 발생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배출관(220)과 연결되어 있어서 변기(200) 사용후 발생한 오수를 배출할 수 있 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수배출관(220)은 뒤집어진 'u'자 형태로 굴곡된 것으로서 상단이 설치축관(210) 위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설치축관(210)에는 항상 물이 차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수배출관(220)의 구성에 따르면, 변기(200)를 사용한 후 오수를 배출할 때에는 통상 사용되는 변기와 마찬가지로 물을 내리는 손잡이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공급관(410)을 통해 변기(200)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서 수위가 상기 오수배출관(220) 상단보다 높아지게 되면 사이펀효과를 유발하여 오수가 배출되게 된다. 이후, 변기(200)를 들어서 세우게 되더라도 변기(200)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이 아래쪽에 모여 있음에 따라 오수배출관(220)을 막아주는 상태를 유지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세면기(300)는 케이싱(100)에 구획된 두 공간 중 위쪽에 설치된다. 변기(200)와 마찬가지로 축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할 때에는 꺼내서 사용하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들어서 세워주게 되면 회동하여 케이싱(100)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된다. 상기 세면기(300)도 변기(200)와 마찬가지로 물공급관(410)을 통해 물탱크(4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며, 오수배출관(220)과도 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한 물을 상기 오수배출관(220)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을 화장실 벽면에 설치하여 줄 수 있다. 이때 벽면에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벽면에 매설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싱(100)에 도어(110)를 설치하여 변기(200)와 세면기(300)가 외부로 보이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싱(100)은 벽면을 파서 형성할 경우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이는 변기(200)와 세면기(300)를 수납가능하게 설치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업자라면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변기/세면기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변기/세면기가 수납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변기/세면기가 꺼내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변기가 꺼내진 상태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기를 축 고정하는 축고정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변기/세면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싱, 110 : 도어,
200 : 변기, 210 : 설치축관,
220 : 오수 배출관, 300 : 세면기,
400 : 물탱크.

Claims (4)

  1. 변기(200)가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100)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200)는 설치축관(210)에 의해 축 고정되어 회전시켜 케이싱(100)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되,
    상기 설치축관(210)은 가운데가 막혀 있는 것으로서, 일측은 물공급관(410)과 연결되어 변기(200)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타측은 오수배출관(220)과 연결되어 변기(20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배출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200) 상부에 세면기(300)가 더 설치되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100)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300)는 축 고정되어 회전시켜 케이싱(100)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KR2020090002571U 2009-03-06 2009-03-06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KR201000090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571U KR20100009053U (ko) 2009-03-06 2009-03-06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571U KR20100009053U (ko) 2009-03-06 2009-03-06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53U true KR20100009053U (ko) 2010-09-15

Family

ID=4419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571U KR20100009053U (ko) 2009-03-06 2009-03-06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0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22B1 (ko) * 2013-05-15 2013-08-21 김두복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KR102439334B1 (ko) * 2021-03-16 2022-09-02 김상구 접이식 이동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22B1 (ko) * 2013-05-15 2013-08-21 김두복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KR102439334B1 (ko) * 2021-03-16 2022-09-02 김상구 접이식 이동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5754A (ko) 폐수를 활용한 수압펌프식 양변기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3197713U (ja) 排水回収用容器及び貯水用容器
CN101182722A (zh) 一种带中水箱的节水马桶系统
KR20100009053U (ko) 변기/세면기의 수납구조
CN101725169B (zh) 一种废水利用装置和多功能全自动废水利用抽水马桶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CN102877670A (zh) 多功能淋浴房
CN201474010U (zh) 接力式楼房净化节水器
CN201024486Y (zh) 节水冲便系统
CN201671146U (zh) 节水装置
KR20140019134A (ko) 절수가능한 투명변기
KR200456807Y1 (ko) 비누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세면대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395208Y1 (ko)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KR200380194Y1 (ko) 소켓형 배수트랩
CN103669511A (zh) 节水池
CN103485394A (zh) 一种用于卫生间的节水装置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CN212772652U (zh) 一种适用于家庭卫生间的新型节水装置
CN203270723U (zh) 冲水水箱
CN2470413Y (zh) 一种节水、无漏式坐便器
KR20090117035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RU2456411C2 (ru) Способ слива отработанной воды из раковины умывальника
KR200166030Y1 (ko) 절수식 화장실구조
CN201447751U (zh) 马桶的双冲水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