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208Y1 -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 Google Patents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08Y1
KR200395208Y1 KR20-2005-0018224U KR20050018224U KR200395208Y1 KR 200395208 Y1 KR200395208 Y1 KR 200395208Y1 KR 20050018224 U KR20050018224 U KR 20050018224U KR 200395208 Y1 KR200395208 Y1 KR 200395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reservoir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남
Original Assignee
문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남 filed Critical 문재남
Priority to KR20-2005-0018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배수구를 가지는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생활폐수를 저수조 연결관 또는 하수구 연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출시키는 배출선택관과, 상기 배출선택관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하수를 저수조 연결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수하며, 적어도 변기를 1회 세척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의 저수량을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변기의 세척시 일정한 양의 세척수를 변기로 공급할 수 있는 변기 저수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기존의 세면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세면대에서 생활폐수를 그 오염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하수처리하거나, 변기 세척용수로 재활용함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이며, 경제적인 절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Water saving device of toilet stool that use selective discharge of life wastewater}
본 고안은 변기 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택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마련된 세면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세면기에서 사용된 생활폐수의 상태에 따라 변기의 집수통 또는 하수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여 절수가 가능하도록 한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의 화장실에는 용변을 볼 수 있는 변기와, 용변 후 손을 닦을 수 있는 세면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세면대에서 사용한 생활폐수는 그대로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물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세면대에서 사용한 생활폐수를 변기의 용수로 이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0159227호에는 별도의 보조탱크를 마련하여, 욕조 등에서 사용한 생활폐수가 그 보조탱크로 유입되도록 하고, 그 보조탱크의 생활폐수를 변기의 집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여, 생활폐수를 변기의 용수로 사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보조탱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정의 욕실의 가용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생활폐수의 오염정도에 관계없이 모든 생활폐수를 보조탱크에 집수함으로써 보조탱크가 오염되며, 그 오염된 물을 변기의 용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균의 번식 등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0150862호 역시 세면대에서 사용된 생활폐수를 별도의 보조탱크에 보관하고, 이를 변기의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세면대에서 사용된 폐수는 비누 또는 세제의 사용여부, 폐수의 오염 정도와 무관하게 집수되어 변기의 용수로 이용되는 것이며, 이는 악취의 발생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 이외에 등록실용신안공보 0164218호는 세면대의 하부에 저수조를 마련하고, 변기 저수탱크의 물이 부족한 경우 그 저수조로부터 변기 저수탱크에 모터를 이용하여 강제로 저수된 물을 유입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절수를 위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역시 폐수의 오염정도에 관계없이 모든 생활폐수를 변기의 용수로 사용하고 있어, 변기를 이용할 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0247255호에는 세면기에 두 개의 배수관이 연결되며, 그 각각의 배수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배수가 가능하도록 두개의 배출장치가 구비된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이용하는 양변기'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즉, 세면기에 두 배출밸브를 두어 비교적 깨끗한 물은 변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저수조로 보내고, 오염된 물은 하수구로 직접 배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양변기의 절수장치는 기존의 배출밸브가 하나뿐인 세면대는 사용할 수 없어 범용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변기의 저수조 이외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에 문제가 발생하며, 그 별도의 저수조와 양변기 저수조 사이의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생활폐수의 오염정도를 판단하여, 변기 용수로의 이용이 적합한 생활폐수만을 선택하여 변기 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기존의 세면대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배수구를 가지는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생활폐수를 저수조 연결관 또는 하수구 연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출시키는 배출선택관과, 상기 배출선택관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하수를 저수조 연결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수하며, 적어도 변기를 1회 세척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의 저수량을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변기의 세척시 일정한 양의 세척수를 변기로 공급할 수 있는 변기 저수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 따른 일실시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하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세면대(10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세면대(100)에서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하수구 연결관(110) 또는 저수조 연결관(12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는 배출선택관(200)과, 상기 저수조 연결관(120)을 통해 유입된 생활폐수 또는 상수를 저수하며, 레버의 눌림에 따라 저수된 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기(400)로 유출시키는 변기 저수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상기 배출선택관(200)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선택관(200)은 관상이며, 하단부 측면에 저수조 연결관(120)이 연결됨과 아울러 내주면 일부에 통수성 고정부재(211)가 마련된 몸체부(210)와, 그 몸체부(210)의 통수성 고정부재(211)에 의해 고정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스위치형 밸브(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부에서 세면대(100)의 상부로 돌출된 팝업 드레인(pop-up drain) 밸브(130)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세면대(100)의 물을 하수구 연결관(110)으로 배출하는 하수구 밸브(23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스위치형 밸브(220)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형 밸브(220)는 상기 통수성 고정부재(211)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부(2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밸브 몸체부(221)와, 세면대(100)의 배출구를 밀폐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밀폐부(223)와, 상기 밸브 몸체부(221)의 내주면 일부에 고정되며, 저면부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며, 그 경사면의 일측면에 홈이 마련되고, 타측면은 홈이 마련되지 않은 개폐제어부재(224)와, 상기 밀폐부(223)의 저면에 연결되며, 저면의 외주면에 하향의 첨점 요철부가 다수로 마련된 개폐구동 몸체부(225)와, 개폐구동 몸체부(225)의 첨점 요철부와 맞물리는 상향의 첨점 요철부가 마련되며, 그 상향의 첨점 요철부의 일부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제어부재(225)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22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223)를 하향 이동시켜 세면대(100) 배수구를 닫는 개폐구동 회전부재(226)와, 상기 몸체부(221)의 저면에 위치하여 개폐구동 회전부재(226)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222)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227은 마감부재이다.
상기 밀폐부(223)는 세면대(100)의 배수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그 밀폐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힘을 하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힘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일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세면대(100)는 하나의 배수구가 마련되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상기 세면대(100)의 배수구는 스위치형 밸브(220)에 의해 개폐된다. 스위치형 밸브(220)는 밀폐부(223)의 중앙부인 힘전달부재를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밀폐부(223)를 누르면 이 힘은 개폐구동 몸체부(225)를 통해 개폐구동 회전부재(226)로 전달되어, 개폐구동 회전부재(226)는 하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개폐제어부(224)의 형상을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223)를 누르는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222)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동 회전부재(226)은 상향 이동하며, 그 개폐제어부(224)의 홈에 삽입될때에는 밀폐부(223)가 열린상태가되며, 홈이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 개폐구동 회전부재(226)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 밀폐부(223)가 닫힌 상태에서는 세면대(100)에 물을 저수할 수 있으며, 밀폐부(223)가 열린 상태에서는 세면대(100)에 저수된 물을 배출한다.
상기 세면대(100)에서 사용된 물은 열린 상태의 스위치형 밸브(220)를 통해 배출선택관(200)으로 배출되며, 그 배출선택관(200)에서는 하수구 밸브(23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세면대(100)에서 배출되는 물을 변기 저수조(300) 또는 하수구로 배출한다.
상기 하수구 밸브(230)는 세면대(100)의 상부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팝업 드레인 밸브(130)를 조작하여 구동되는 방식이며, 이는 일반적인 세면대(100)를 이용하여 다른 두 경로를 통해 세면대(100)에서 사용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상기 팝업 드레인 밸브(130)의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팝업 드레인 밸브(130)에는 하수구 밸브(230)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에 다른 색상을 사용하거나, 테그를 사용하여 팝업 드레인 밸브(130)를 확인하여 하수구 밸브(23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팝업 드레인 밸브(130)가 눌려진 상태에서는 하수구 밸브(230)가 열린 상태가 되며, 세면대(100)의 물은 배출선택관(200)과 하수구 연결관(110)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이와 달리 팝업 드레인 밸브(13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수구 밸브(230)는 닫힌 상태이며, 세면대(100)의 물은 배출선택관(200)과 저수조 연결관(120)을 통해 변기 저수조(300)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서 배출선택관(2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세면대(100)의 원형 배수구를 반원형의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로 밀폐하고, 그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의 선택적 개폐를 통해 세면대(100)에서 사용한 물을 변기 저수조(300) 또는 하수구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 각각은 하수구 연결관(110) 및 저수조 연결관(120)에 각각 설치된 것이며,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의 밀폐부의 색상을 달리하여 각각 하수구 또는 저수조(300)에 연결된 것임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의 밀폐부의 패턴을 다르게 만들어 시각장애인도 용이하게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의 역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두 스위치형 밸브(220,220') 각각은 상기에서 설명한 스위치형 밸브(220)의 구조와 동일한 것이거나,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세면대(10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세면대(100)에서 사용한 물을 그 오염정도에 따라 하수구 또는 저수조로 선택적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세면대(100)에서 사용된 비교적 덜 오염된 물이 저수되는 변기 저수조(300)와 그 변기 저수조(300)에 저수된 물을 세척수로 이용하는 변기(400)의 구조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 적용되는 변기 저수조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변기 저수조(300)는 횡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저수공간을 제공하며, 그 일측 상단부에 저수조 연결관(120)이 연결되어 세면대(100)에서 사용된 물을 공급받아 저수하는 본체(310)와, 상기 저수조 연결관(120)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서 이물을 여과하는 제1여과기(320)와, 본체(310)의 전면부 일부에 마련되어 저수되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331) 및 저수되는 물에 의해 부유되어 저수된 유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부표(332)를 포함하는 유량계(330)와, 저수된 물의 양이 변기(400)에서 세척수로 1회 사용할 양보다 적은 경우 상수를 본체(3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상수 유입기재(340)와, 세척수 레버(351)의 조작에 의하여 본체(310)에 저수된 물을 변기(400)로 배출하는 세척수 공급부(350)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350)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본체(310)의 폭의 일부를 막도록 설치된 제2여과기(360)와, 본체(310)의 저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을 하수구로 배출하는 배출관(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육안으로 판별하여 비교적 이물이 없고, 오염도가 낮은 생활폐수는 선택적으로 변기 저수조(300)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생활폐수는 저수조 연결관(120)을 통해 변기 저수조(300)의 본체(310)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310)의 형상은 높이에 비하여 길이가 더 긴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20 내지 30ℓ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크기이다.
이는 세면대(100)보다 낮은 위치에서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수하기 위한 것이며, 설치시 불안정성을 감안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50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연결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생활폐수는 제1여과기(320)를 통해 여과된다. 제1여과기(320)는 본체(310)의 내측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다.
이처럼 여과된 생활폐수는 본체(310)에 저수되며, 그 저수되는 물의 양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유량계(330)를 본체(310)의 정면에 마련된다.
상기 유량계(330)는 투명한 창이거나, 투명한 창(331)과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한 색상의 부표(33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량계(330)를 통해 확인된 저수된 물의 양이 만수위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 이상 변기 저수조(300)로 생활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세면대(100)의 생활폐수를 하수구로 배출하도록 선택한다.
이와 같이 변기 저수조(300)에 저수된 생활폐수는 변기 세척수로 사용이 가능하며, 세척수 공급부(350)에 의하여 1회 세척에 필요한 정도의 세척수가 변기(400)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350)를 통해 변기(40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2여과기(360)를 통해 다시 여과되어 이물이 없는 세척수로 변기(400)를 세척함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변기(400)에 고여있는 물을 보다 깨끗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악취의 발생과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기(400)에서 세척수의 사용이 많아 변기 저수조(300)에 저수된 물이 세척수로 1회 사용될 양보다 적은 경우 상기 상수 유입기재(340)를 통해 상수가 변기 저수조(300)의 본체(310)로 유입되며, 그 유입은 1회 사용할 세척수의 양이 저수되면 중단된다.
도 7a와 도 7b는 상기 상수 유입기재(340)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수 유입기재(340)은 상수 유입관(341)과, 상수 유입관(341)과는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개폐관(342)과, 상기 개폐관(342)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상향 이동한 경우 상기 상수 유입관(341)을 닫는 개폐부재(343)과, 상기 개폐부재(343)에 연결되는 부력부재(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수 유입기재(340)는 부력부재(344)의 위치에 따라 개폐부재(343)의 위치가 결정되어 상수 유입관(341)을 통해 상수가 유입되거나 유입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수 유입기재(340)를 두어 변기 저수조(300)에 저수되는 생활폐수의 양이 1회 사용될 변기 세척에 필요한 양 보다 적은 경우 물을 보충함으로써, 변기 저수조(300)에는 항상 변기를 1회 세척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물이 저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세면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세면대에서 생활폐수를 그 오염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하수처리하거나, 변기 세척용수로 재활용함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인 절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생활폐수를 변기 세척용수로 이용이 가능하여,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절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별도의 저수조를 사용하지 않고, 변기 저수조를 이용하여 생활폐수를 변기 세척용수로 재활용함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의 사용 효율성을 높이며, 저수조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배출선택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스위치형 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팝업 드레인 밸브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서 배출선택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에 적용되는 변기 저수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6에 도시한 상수 유입기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세면대 200:배출선택관
300:변기 저수조 400:변기

Claims (6)

  1. 하나의 배수구를 가지는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세면대에서 사용된 생활폐수를 저수조 연결관 또는 하수구 연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출시키는 배출선택관; 및
    상기 배출선택관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하수를 저수조 연결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수하며, 적어도 변기를 1회 세척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의 저수량을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변기의 세척시 일정한 양의 세척수를 변기로 공급할 수 있는 변기 저수조를 포함하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선택관은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며, 측면에 저수조 연결관이 연결되는 결합공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 내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세면대 배수구를 개폐하는 스위치형 밸브;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내측에 위치하여 세면대 상단에서의 팝업 드레인 밸브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세면대의 생활폐수가 저수조 연결관 또는 하수구 연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하수구 밸브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선택관은 상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두 스위치형 밸브를 이용하여 각각 세면대의 배수구의 절반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형 밸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밀폐부;
    저면부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며, 그 경사면의 일측면에 홈이 마련되고, 타측면은 홈이 마련되지 않은 개폐제어부재;
    상기 밀폐부의 저면에 연결되며, 저면의 외주면에 하향의 첨점 요철부가 다수로 마련된 개폐구동 몸체부;
    상기 개폐구동 몸체부의 첨점 요철부와 맞물리는 상향의 첨점 요철부가 마련되며, 그 상향의 첨점 요철부의 일부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를 하향 이동시켜 세면대 배수구를 닫는 개폐구동 회전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위치하여 개폐구동 회전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저수조는 변기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고, 그 상부면이 세면대 이하의 높이를 가지며, 그 높이에 비하여 전면의 길이가 더 긴 직육면체의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에 마련되어 최소 저수량의 물이 변기 저수조에 항상 저수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 본체의 저면에서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 유입기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변기 저수조에 저수된 물을 일정한 양만큼 변기 세척용수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재;
    상기 저수조 본체의 측면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 연결관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저수조 연결관 결합공;
    상기 저수조 연결관 결합공의 주변에 마련되어 생활용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기;
    상기 제1여과기와 세척수 공급기재의 사이에서 본체의 폭방향의 격벽을 이루는 제2여과기;
    상기 본체의 일부에 마련된 투명창 및 그 투명창의 내측에서 저수된 물의 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표를 구비하는 유량계;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여 최대 저수량 이상 유입되는 물을 하수구로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20 내지 30ℓ의 저수용량을 저수할 수 있는 높이에 비하여 전면의 폭이 더 긴 직육면체 형상이며, 변기와 별도의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KR20-2005-0018224U 2005-06-24 2005-06-24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KR200395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24U KR200395208Y1 (ko) 2005-06-24 2005-06-24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24U KR200395208Y1 (ko) 2005-06-24 2005-06-24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08Y1 true KR200395208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24U KR200395208Y1 (ko) 2005-06-24 2005-06-24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87B1 (ko) * 2007-10-19 2009-11-09 박흥복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170037314A (ko) 2015-09-25 2017-04-04 김현 절수형 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87B1 (ko) * 2007-10-19 2009-11-09 박흥복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170037314A (ko) 2015-09-25 2017-04-04 김현 절수형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128A (en) Modular bathroom unit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454984Y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KR101846000B1 (ko) 세면수를 변기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한 절수기 장치
KR200484308Y1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밸브절수장치
KR200395208Y1 (ko)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KR20180122061A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 절수기 장치
CN2428527Y (zh) 一种分流净水和废水的卫生排水管
CN2473233Y (zh) 家庭节水装置
CN207727649U (zh) 一种卫生间用节水设备
CN101718109B (zh) 大型公共场所废水再利用系统
CN2435434Y (zh) 家用废水净化利用装置
KR20130085087A (ko) 배출선택관이 구비된 변기
CN201771026U (zh) 生活用水二次利用装置
CN201148643Y (zh) 楼道生活废水利用装置
KR20000027953A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 장치
CN101654921A (zh) 高层建筑节水系统
CN201598680U (zh) 利用洗涤废水冲洗便池的装置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0166030Y1 (ko) 절수식 화장실구조
CN2428522Y (zh) 家用节水器
CN2224227Y (zh) 家庭节水装置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CN2428521Y (zh) 家用节水器
KR200179569Y1 (ko) 절수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