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683A -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683A
KR20090096683A KR1020097003618A KR20097003618A KR20090096683A KR 20090096683 A KR20090096683 A KR 20090096683A KR 1020097003618 A KR1020097003618 A KR 1020097003618A KR 20097003618 A KR20097003618 A KR 20097003618A KR 20090096683 A KR20090096683 A KR 20090096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cleaning
gas
ozo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이로 이토
마사유키 구주마키
다카시 텐마
마사카주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에코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코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9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시에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또 소변기의 세정수 사용량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소변기의 배수관로의 폐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소변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는 인체감지센서(7)와, 제어장치(11)와, 세정력이 강한 기체(예를 들면 오존이 혼합된 공기 등)를 발생하는 기구(14))와, 발생한 세정력이 강한 기체가 흐르는 기체유로(La)와,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수공급계통(Lw)을 구비하고 있으며, 세정력이 강한 기체와 세정수가 혼합하도록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계통(Lw)이 합류하며,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계통(Lw)이 합류한 세정용유체경로(La)는 소변기 상부(1a)의 세정유체배출구(5)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변기

Description

소변기{Urinal}
본 발명은 남성용변기 혹은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 있는 화장실은, 남녀가 병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남성용 변기, 즉 소변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은 행해지지 않게 되어 있다. 그것에 대하여, 사무실용 빌딩 및 기타 상업시설에 있어서는, 남녀 화장실이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업시설에 있는 화장실에서는 여전히 소변기의 수요가 존재한다.
최근, 환경 문제 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그같은 소변기에 있어서도, 절수 및/또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감소 요청이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소변기에 있어서, 절수를 위해 세정수량을 감소시키면, 소변기에 부착된 소변(오줌)을 씻어 흘려 버리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씻어 흘려 버리지 못한 소변이 악취 발생의 원인으로 되어, 남성용 화장실에 불쾌한 악취가 가득할 수도 있다. 즉 소변기의 세정과 절수는 종래에 있어서는 상반되는 관계이며, 그 때문에 소변기에 있어서 절수는 대단히 곤란한 것이었다.
또, 소변기를 사용할 때, 소변기에 부딪힌 소변이 물보라를 일으키면서 광범위하게 튀는 현상은 잘 알려져 있다. 광범위하게 흩날린 소변의 물보라는, 세정수에 의해 씻어 흘려지지 않고, 소변기의 주변에 잔존한다. 여기서, 소변은 유기질이기 때문에 잔존한 소변의 물보라는 부패하여, 독특한 악취를 발생시킨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즉, 소변기의 배수(배뇨)관로에 있어서, 오물이 존재하면 당해 오물의 주위에 소변이 잔존, 퇴적하여 요석이 되어, 배수관로가 폐색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그 외의 종래 기술로는, 예를 들면, 오존 가스와 수돗물을 인젝터에 보내,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오존수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오존수를 소변기에 공급하는 기술이 존재한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관련 종래 기술에서는 용변에 대한 오존 공급의 타이밍이나, 오존 공급량의 제어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재도 없어 소변기를 효과적으로 자동 세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에 더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특허문헌1] 특개 2001-241086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또 소변기의 세정수 사용량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소변기의 배수관로의 폐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소변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변기(시스템A)는, 인체감지센서(7)와, 제어장치(콘트롤유닛(11))와, 세정력이 강한 기체(예를 들면 오존이 혼합된 공기 등)를 발생하는 기구(예를 들면, 오존발생장치(14))와, 발생한 세정력이 강한 기체가 흐르는 기체유로(La)와,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수공급계통(Lw)이 있고, 세정력이 강한 기체와 세정수가 혼합하도록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계통(Lw)이 합류하며,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계통(Lw)이 합류한 세정용유체경로(La)는 소변기 상부(1a)의 세정유체배출구(5)에 연통되어 있어, 상기 콘트롤유닛(11)은, 인체감지센서(7)에 의해 소변기(1)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감지할 때,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기체유로(La) 및 세정용유체경로(Lc)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1의 소정 시간 만큼 배출하며, 인체감지센서(7)에 의해 소변기(1)의 사용이 완료된 것을 감지했을 때 세정수 및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합류시켜 혼합한 상태에서 세정용유체경로(Lc)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2의 소정 시간 만큼 배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1).
상기 세정력이 강한 기체로서는, 예를 들면 오존(O₃)이나, 안정화시킨 염소(Cl₄), 기화한 각종 약제의 오일 에센스, 기체 상태인 허브, 카테킨, 후라보노이드, 파라볼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변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은, 인체감지센서(7)와, 제어장치(콘트롤유닛(11))와, 세정력이 강한 기체(예를 들면, 오존이 혼합된 공기 등)를 발생하는 기구(예를 들면, 오존발생장치(14))와, 세정력이 강한 발생 기체가 흐르는 기체유로(La)와,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수공급계통(Lw)을 구비하고 있고, 세정력이 강한 기체와 세정수가 혼합하도록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계통(Lw)은 합류하며,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계통(Lw)이 합류한 세정용유체경로(Lc)는 소변기 상부(1a)의 세정유체배출구(5)에 연통되어 있는 소변기(1)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체감지센서(7)에 의해 소변기(1)가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하는 공정(S11)과, 소변기(1)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감지할 때에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1의 소정 시간 만큼 배출하는 공정(S16)과, 인체감지센서(7)에 의해 소변기(1)의 사용이 완료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공정(S17)과, 소변기(1)의 사용이 완료된 것을 감지할 때에 세정수 및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합류시켜 혼합한 상태로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2의 소정 시간 만큼 배출하는 공정(S19, S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소변기(A)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세정수 및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합류하여 혼합된 상태로 세정용유체경로(Lc)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2의 소정 시간 만큼 토출시킨 후,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기체유로(La) 및 세정용유체경로(Lc)를 경유하여서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 3의 소정 시간 만큼 토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2).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소변기(A)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도, 세정수 및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합류시켜 혼합된 상태로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2의 소정시간만큼 토출시킨 후,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세정유체배출구(5)로부터 제3의 소정시간만큼 토출하는 공정(S2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세정수로서는 상수 혹은 중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계통(Lw)에, 당해 공급계통(Lw)을 흐르는 세정수를 기능수로 하기 위한 기구(활수기(2))를 설치하는(기능성물이 되도록 구성한다)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정수를 기능수로 하기 위한 기구(기능성물로 만드는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세정수공급계통(Lw)을 흐르는 물에 강력한 자력을 작용시키도록 자계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2는 제1실시예의 콘트롤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사상이 발생하기 이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소변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표준적인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5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소변기가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의 제어 플로우차트.
도6은제1실시예에서 자동적으로 보수세정을 행하는 경우의 제어 플로우차트.
도7은 제1실시예에서 작업자가 세정하는 경우의 제어 플로우차트.
도8은 제1실시예에서 정전을 제외한 이상 시의 제어 플로우차트.
도9는 제1실시예에서 정전 시의 제어 플로우차트.
도10은 제1실시예에서 각종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의 제어 플로우차트.
도11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12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13은 제2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14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15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16은 제3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변기(본체) 2 : 활수기
3 : 선회류발생장치 4 : 믹서기
5 : 세정유체배출구 7 : 인체검지센서
8 : 주변환경검지센서 9 : 상업전원/교류전원
10,10B : 제어부 11,11A,11B : 콘트롤유닛
12 : 송풍기 13 : 고압트랜스
14 : 오존발생기 111 : 운전제어블록
112 : 오존발생결정블록 113 : 공급전압결정블록
114 : 회전수결정블록 115 : 데이터베이스
La : 기체유로 Lc : 세정용유체경로
Lw : 세정수공급경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 ~ 도12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전체를 부호 A로 나타내는 소변기 시스템은, 소변기본체(소변기)(1)와, 제어부(10)와,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경로(Lw) 및 세정용유체유로(La)를 갖고 있다.
제어부(10)는, 콘트롤유닛(11)과 송풍기(12)와, 고압트랜스(13) 및 오존발생장치(14)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는, 교류전원(9)(예를 들면, 상업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콘트롤유닛(11)은, 송풍기(12)의 기동 및 정지나 송풍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고압트랜스(13)를 조작하여 오존발생장치(14)에의 고압전류의 공급을 제어하고 있다. 오존발생장치(14)는, 고압전류가 공급되면 세정력이 강한 오존을 발생한다. 발생한 오존은 송풍기(12)로부터 압송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오존을 포함한 공기가 되어, 기체유로(La)를 흘러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정수공급경로(Lw)에는, 상류측(소변기(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차례대로, 전자밸브(V1), 플러쉬(flush) 밸브(V2), 활수기(2), 역지(역류방지)밸브(V3), 선회류발생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활수기(2)는 세정수공급경로(Lw)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세정수공급경로(Lw)를 흐르는 세정수에 강력한 자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선회류발생장치(3)는, 막대를 세정수공급경로(Lw)내에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고, 세정수공급경로(Lw)를 흐르는 물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물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뒷부분에서 설명한 기·액혼합장치(간단히 믹서기 또는 혼합기라 한다 )(4)내에서의 기체(오존을 포함한 세정력이 강한 공기)와 세정수와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기체유로(La)와 세정수공급경로(Lw)는, 다같이 혼합기(4)에 연통되어 있고, 혼합기(4) 내에서, 기체유로(La)를 흘러지나간 기체(오존을 포함한 세정력이 강한 공기)와 세정수공급경로(Lw)를 흘러지나간 세정수가 혼합되어, 소변기(1)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용유체가 만들어진다.
혼합기(4)의 배출측에는, 세정용유체경로(Lc)의 일단이 접속되어, 세정용유체경로(Lc)의 타단은 소변기(1)의 상방에 설치된 세정유체배출구(이하, 스프레더(spreader(살포기))라고 한다)(5)에 연통되어 있다. 스프레더(5)는, 소변기(1)의 상측 주연부에 있어서,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예를 들면, 2개의 배출구로부터 세정용유체를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레더(5)를 폭방향 전체를 커버하도록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1에 나타내는 것처럼, 소변기(1)의 상측 주연부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하는 방법이 스프레더(5)로부터 세정용 유체를 유출할 때에 가압할 필요가 없고, 절수라는 취지에도 일치한다. 또, 도1에 나타내는 것처럼 스프레더(5)가 설치되어 있다면, 소변기(1)의 측면에 세정용유체의 「튀어서 되돌아옴」을 방지하는 「가장자리」부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세정작업에 드는 노력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소변기(1)의 전면 상부(상연부)(1a)의 중앙부에는, 인체검지용센서(7)와, 주변환경(예를 들면, 변기 주변의 온도, 습도, 오존 농도 및 암모니아 농도, 냄새)을 감지하여, 감지한 내용을 발신하는 주변환경센서(8)(예를 들면, 온도센서, 습도센서, 향기센서, 오존센서 등)이 장비되어 있다. 인체검지용센서(7) 및 주변환경센서(8)는, 입력신호 라인(Si)에 의해 콘트롤유닛(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1에 있어서, 부호(Si2)는, 콘트롤유닛(11)으로부터 전자밸브(V1)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여, 콘트롤유닛(11)의 구성을 설명한다.
콘트롤유닛(11)은, 운전제어블록(111)과 오존발생블록(112), 공급전압결정블록(113), 회전수결정블록(114), 데이터베이스(115), 타이머(116)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117a~117e)(제1인터페이스~제5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수결정블록(114)은 송풍기(12)의 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1인터페이스(117a)는, 인체센서(7)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인터페이스(117a)는, 라인(L1)을 통하여 운전제어블록(11)과 접속하고 있으며, 라인(L2)에서 타이머(116)와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116)는, 라인(L3)을 사이에 두고 운전제어블록과 접속되어 있다. 운전제어블록(111)은 라인(L4)를 사이에 두고 제3인터페이스(117c)와 접속되어 있다.
제2인터페이스(117b)는 주변환경센서(8)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인터페이스(117b)는 라인(L5)를 사이에 두고 오존발생결정블록(112) 과 접속되어 있다. 오존발생블록(112)은 라인(L6)을 사이에 두고 공급전압결정블록(113)과 접속되고, 라인(L8)을 사이에 두고 회전수결정블록(114)과 접속되어 있다.
공급전압결정블록(113)은 라인(L7)을 사이에 두고 제4인터페이스(117d)와 접속되어 있다. 회전수결정블록(114)은 라인(L9)을 사이에 두고 제5인터페이스(117e)와 접속되어 있다.
제3인터페이스(117c) 및 제4인터페이스(117d)는 고압트랜스(13)와 접속되어 있다. 제5인터페이스(117e)는 송풍기(12)의 모터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115)는, 라인(L10)을 사이에 두고 오존발생결정블록과 접속되고, 라인(L11)을 사이에 두고 운전제어블록(111)과 접속되며, 라인(L12)을 사이에 두고 공급전압결정블록(113)과 접속되고, 라인(L13)을 사이에 두고 회전수결정블록(114)과 접속되어 있다.
소변기 사용자로부터 소변기(1)에 가까운 손가락을 인체센서(7)가 검지했다면, 그 손가락의 정보는 제1인터페이스(117a)를 경유하여 운전제어블록(111)에 전달된다. 동시에, 인터페이스(117a) 및 라인(L2)을 경유하여 변기 앞에 서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 검출 신호가 타이머(116)에 전달되고, 타이머(116)는 사용자가 변기 앞에 선 시점부터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카운트된 경과시간은 라인(L3)을 사이에 두고 운전제어블록(111)에 전달된다.
운전제어블록(111)은, 데이터베이스(115)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운전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그 운전제어신호는 인터페이스(117c)를 경유하여 고압트랜 스(13)(도1)에 발신된다.
주변환경센서(8)로부터 수신된 정보, 예를 들면, 소변기(1)가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에 있어서의 환경정보(예를 들면 온도 및 습도의 정보)는, 제2인터페이스(117b)와 라인(L5)을 경유하여 오존발생결정블록(112)에 전달된다. 오존발생결정블록(112)은 데이터베이스(115)에 기억된 맵에 따라 적정한 오존발생량을 연산한다. 오존발생결정블록(112)에서 연산된 오존발생량에 관한 정보는, 라인(L6)을 경유하여 공급전압결정블록(113)에 전달됨과 동시에. 라인(L8)을 경유하여 회전수결정블록(114)에 전달된다.
공급전압결정블록(113)은, 오존발생량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보내진 맵(map)에 기초를 두어, 오존발생장치(14)(도1)에 공급하는 전압을 연산하여, 연산으로 구할 수 있었던 오존발생장치(14)에의 공급전압에 관한 정보를 라인(L7) 및 인터페이스(117d)를 경유하여, 고압트랜스(13)(도1)에 전달한다.
회전수결정블록(114)은 오존발생량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보내진 맵에 적용하여, 송풍기(12) 모터의 회전수를 연산한다. 회전수결정블록(114)에서 구할 수 있었던 회전수는, 라인(L9) 및 인터페이스(117e)를 경유하여, 송풍기(12)(도1)에 전달된다.
다음으로는 도3~도12를 기초로 하여, 소변기(시스템)A에 있어서의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도3은 사건이 발생하기 이전의 단계(대기시)에 있어서의 제어를 나타낸다.
여기서, 어떤「사건」이라 함은
사용자가 소변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표준적인 사례(도4),
소변기가 연속하여 사용되는 사례(도5),
자동적으로 보수세정을 행하는 사례(도6),
수동으로 세정하는 사례(메인티넌스(유지/보수)세정을 행하는 사례)(도7),
정전을 제외한 이상 발생시(도8),
정전 발생시(도9),
각종의 설정을 변경하는 사례(도10)
의 7가지 정도를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도3을 참조하여,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이전 단계(대기 시)에 있어서의 제어를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 전원 OFF 상태로부터, 전원을 켜고(스텝(S1)), 사용자가 소변기(1)의 앞에 설 때까지는 대기한다(스텝(S2)).
대기중에 소변기(1)를 설치한 곳(남자 화장실)에 있어서의 환경정보, 예를 들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스텝(S3)). 그리고, 상술한 어떤 사건이 발생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단한다(스텝(S4)).
또한, 스텝(S3)에 있어서는, 각종 센서를 사용하여 현재의 실내환경을 측정, 판정하여 다단계 맵 형식에 의해 오존공기(스프레더(5)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같음)의 사전 유출시간/농도, 오존수 흘림시간/농도, 오존 공기의 사후 유출시간/농도를 결정한다. 또, 오존농도(산화/분해속도)는, 미리 정해진 온도, 습도, 경과시간에 의해 맵 상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정수화(constant value;일정값)하고 있다.
상기한 사건이 발생했다면(스텝(S4)가 YES), 스텝(S5)으로 진행하고, 발생하지 않았다면(스텝(S4)가 NO), 스텝(S2) 이하를 반복한다. 스텝(S5)에서는, 발생한 사건에 대응하는 제어, 즉 도4~도12에 도시한 것 중 어떤 것의 제어를 실행한다.
도4는, 사용자가 소변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표준적인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4에서 나타내는 제어는, 도4에 있어서 「도3의 스텝(S5)」으로 표기된 공정으로부터 시작된다. 도4의 제어에 있어서, 인체검지센서(7)에 의해 사용자가 소변기(1)의 앞에 서는 것을 검지한다(스텝(S11)).
스텝(S12)에서는, 전회에 소변기(1)가 사용됐을 때에 있어서, 최후에 오존공기의 유출이 종료하고 나서, 120초 이상이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단한다. 120초 이상 경과했다면(스텝(S12)가 YES) 스텝(S14)으로 진행하고, 120초 이상 경과하지 않았다면(스텝(S12)가 NO) 후술하는 도5의 제어를 실행한다(스텝(S13)).
스텝(S14)에서는, 표준적인 세정(표준세정)을 개시하여, 표준세정을 2초간 지속한다(스텝(S15)의 루프 과정). 표준세정 개시로부터 2초 경과했다면((스텝(S15)가 YES), 오존공기를 2~60초(제1소정시간) 유출한다(스텝(S16)). 본 명세서에서는, 스텝(S16)에 있어서 오존공기의 유출을 「오존공기의 사전유출」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스텝(S17)에서는, 소변기(1)의 앞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러난 것을 검지한다. 스텝(S17)에서 사용자의 물러난 손가락을 검지한 후, 0.5초 경과하기까지 대기한다(스텝(S13)의 루프 반복). 만일 0.5초가 경과했다면(스텝(S18)이 YES), 오존수(오존공기를 혼합한 세정수:이하, 같음)에 의한 세정이 3~5초(제2소정시간)동안에 걸쳐서 행해진다(스텝(S19)). 도5에서 나타내는 사례와 같이, 소변기(1)가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매회의 세정수의 사용량을 감소시켜도 좋다.
스텝(S19)에 있어서, 오존수에 의한 물흘림세정이 종료한 후, 5~10초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20)이 NO의 루프). 스텝(S19)에 있어서, 오존수에 의한 유수(물흘림)세정이 종료한 후, 5~10초 경과했다면(스텝(S20)이 YES), 스프레더(5)로부터 오존공기를 1~5초간에 걸쳐서 유출한다(스텝(S21)). 본 명세서에서는, 스텝(S21)에 있어서 오존공기의 유출을 사후유출이라고 기재한다. 스텝(S21)의 사후유출 후, 도3의 R1로 진행한다.
도4의 제어, 즉, 사용자가 소변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표준적인 제어로는, 스텝(16)에 있어서의 오존공기의 사전유출로, 세정력이 강한 오존을 혼합한 공기(에어)가 소변기(1)의 상방의 스프레더(5)로부터 소변기(1)의 주변영역에 흘러넘치도록 공급된다. 그 때문에 소변이 소변기(1)에 부딪혀 매우 작은 물보라가 산란해도, 당해 소변의 물보라는 스프레더(5)로부터 유출되는 세정력이 강한 기체(오존공기)와 반드시 접촉하여, 예를 들면 산화하여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소변기(1) 주위에 소변이 비산하는 것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텝(19)에 있어 오존수에 의한 세정은, 세정수에 세정력(산화력)이 강한 오존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기(1)를 세정한 세정수가 배수관로를 흐를 때, 오존도 배수관로를 흐르기 때문에 배수관로에 퇴적하려고 하는 요석을 세정,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배수관로에 있어서의 요석(오줌의 특정 성분의 석출로 형성되는 딱딱한 돌)의 퇴적 혹은 성장을 억제하여, 배수관로의 폐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세정수에는 세정력(산화력)이 강한 오존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젖은 면적을 확보하면서, 세정수량을 감소(절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또, 스텝(21)의 오존공기의 사후유출에 의해 사용자가 떠난 후에 소변기(1)의 주변에 비산한 소변을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반응시키며(산화반응을 일으킴), 게다가 소변기(1) 주변에 있어서 균을 제거하거나 살균을 확실히 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5는, 소변기(1)가 연속하여 사용된 사례에 있어서의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5에 있어서의 제어는, 도5에 있어서 「도4의 스텝(S13)」이라고 표기된 공정으로부터 시작된다. 스텝(S31)에서 세정의 제어를 개시한다. 도4의 스텝(S13)으로부터 2초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스텝(S32)에서 NO의 루프), 2초 경과했다면(스텝(S32)이 YES), 오존공기를 소변기(1)의 스프레더(5)로부터 2~60초간 사전유출시킨다(스텝(S33)).
스텝(S34)에서, 소변기(1)로부터 떠난 사용자의 손가락을 검지했다면, 당해 검지 후, 0.5초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35)이 NO의 루프). 사용자가 소변기(1)로부터 떠나고 나서부터 0.5초가 경과했다면(스텝(S35)이 YES), 오존수에 의해 유수(물흘림)세정을 1~2초간 동안 행한다(스텝(S36)). 오존수에 의해 유수세정(스텝(S36))이 종료하고 나서 5~10초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스텝(S37)이 NO의 루 프), 5~10초 경과했다면(스텝(S37)이 YES), 오존공기 사후유출(도4에 있어서의 스텝(S16)의 설명참조)을 1~5초간 행한다(스텝(S38)). 스텝(S38)의 오존공기 사후유출이 종료했다면, 도3의 R2로 진행한다.
도5에서 나타내는 제어(소변기가 연속해서 사용되는 제어)에 있어서의 작용효과는, 도4의 사용자가 소변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표준적인 제어에 있어서의 작용효과와 같다. 여기서, 도5의 사례에서 세정수에 의한 소변기(1)의 세정이, 약간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세정수의 사용량을 감소시켜도, 충분한 세정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6은, 자동적으로 보수세정을 행하는 제어를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의 제어는, 「도3의 스텝(S5)」로부터 시작된다. 도6의 스텝(S41)에서는, 4~8시간에 걸쳐 소변기(1)가 이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소변기(1)가 이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4~8시간에 걸쳐 계속되었다면(스텝(S41)이 YES), 스텝(S42)으로 진행한다. 소변기(1)가 이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4~8시간에 걸쳐 계속되지 않는다면(스텝(S41)이 NO), 도3의 스텝(S5)으로 되돌아가 대기한다(스텝(S41)이 NO의 루프).
스텝(S42)에서는 보수세정을 개시한다. 보수세정에 있어서는, 소변기(1)의 스프레더(5)로부터 2~60초간에 걸쳐 오존공기를 유출한다(스텝(S43): 사전유출). 스텝(S43)에 있어서 오존공기의 사전유출을 행한 후, 오존수에 의한 유수세정이 1~5초간 행해진다(스텝(S44)). 그리고, 도3의 R1로 진행한다.
도6의 자동적으로 보수세정을 행하는 제어에 있어서도, 오존공기의 사전유출 및 오존수에 의한 유수세정에 의해 소변기(1) 및 소변기 주변은 청결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7은, 예를 들어 작업원에 의한 수작업으로 소변기(1)를 세정하는(메인티넌스(유지,관리,정비,보수) 세정) 경우의 제어를 설명하고 있다. 도7에 있어서의 제어도, 도7에 있어서 「도3의 스텝(S5)부터」라고 표시된 공정부터 시작된다. 도7에 있어서, 스텝(S51)에서는 수동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메인티넌스 세정이 개시되어(스텝(S52)), 오존을 혼합하고 있지 않은 세정수를 유출시키는 세정이 1~5초간 행해진다(스텝(S53)). 그리고, 도3의 R1로 진행한다. 수작업에 의한 소변기(1)의 세정에 있어서는, 세정용 약제 등을 별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세정력이 강한 오존을 세정수에 혼합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정수에는 오존을 혼합하지 않는 것이다.
도8은, 정전을 제외한 이상 시에 있어서의 제어를 설명한다. 도8에 있어서의 제어도, 도8에 있어서 「도3의 스텝(S5)부터」라고 표시된 공정부터 시작된다. 도8에 있어서, 스텝(S61)에서는 이상(예를 들면, 소변이 끝났는데도 물흘림(유수)이 시작되지 않거나 세정수의 유출이 멈추지 않는 경우 등)을 검지한다. 그리고, 경고음을 발생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에 고장모드를 표시한다(스텝(S62)). 스텝(S63)에서는, 검지된 이상 내용을 이상모드 별로 분류한 후에, 이상 횟수를 카운트하고, 검지된 이상 내용을 ,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115)(도2참조)에 기억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스텝(S64))하여, 도3의 R1로 진행한다.
도8의 제어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정전을 제외한 이상 형태가 통계적으로 파악되어, 고장원인의 특정이 용이하게 되어,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후의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한층 더 성능향상에 기여하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는, 정전 시의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9의 제어도, 도9에 있어서 「도3의 스텝(S5)부터」라고 표시된 공정부터 시작된다. 도9에 있어서, 스텝(S71)에서는, 정전을 검지하여, 정전중(스텝(S72))임을 나타내는 손가락을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에 표시한다(스텝(S73)). 스텝(S74)에서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보조전원 등을 사용하여, 일정시간 내에는 시스템의 동작을 보장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동작을 정지시킨다(스텝(S75)).
도9의 정전 시의 제어에서는, 일정시간 내에는 시스템의 동작이 확보되기 때문에, 소변기의 위생에 최저한의 필요한 세정이 실행된다. 또, 세정수가 유출되고 있는 동안에 정전이 되어도, 세정수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존공기가 유출되고 있는 경우도 같다.
도 10은, 각종 설정(예를 들면, 물흘림(유수)의 시간 등)을 변경하는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10의 제어도, 도10에 있어서 「도3의 스텝(S5)부터」라고 표시된 공정부터 시작된다. 도10에 있어서, 설정버튼을 누르면(스텝(S81)), 현재의 설정 정보를 표시한다(스텝(S82)). 스텝(S83)에서는,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설정내용을 변경하는지 안하는지를 판단한다. 설정내용을 변경했다면(스텝(S3)이 YES), 스텝(S84)로 진행, 변경하지 않았다면(스텝(S83)이 NO), 도3의 R1로 진행한다. 스 텝(S84)에서는, 변경해야 할 설정내용을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도시하지 않은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한다. 입력된 설정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5)에 보존되어(스텝(S85)), 도3의 R1로 진행한다.
도10의 각종 설정(예를 들면, 물흘림(유수)의 시간 등)을 변경하는 경우의 제어에 의해, 절수나 산화탄소 배출 삭감을 더욱 더 향상시키도록, 각종 설정을 개선하는 여지가 생긴다.
도11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서는, 제어장치로서는 제어부(10)의 콘트롤유닛(11)만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11에서 나타내는 제1변형예에서는, 제2콘트롤유닛(11A)이 추가되어 있다. 제2콘트롤유닛(11A)에서는, 신호라인(Si3)을 통해 인체검지용센서(7)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신호라인(Si2)을 개입시켜 제2콘트롤유닛(11A)에서의 제어신호가 전자밸브(V1)에 전달된다.
제2콘트롤유닛(11A)은, 예를 들어 전지같은 축전장치(9A)를 구동전원으로 하고 있다. 도9에서 설명한 정전 시의 제어에 있어서, 스텝(S74)에서 나타나는 일정시간 내에 시스템의 동작을 보장하는 제어는 정전 시에 있어서도 축전장치(9A)(예를 들면, 전지:보조전원에 상당)에서 구동하는 제2콘트롤유닛(11A)으로부터 후술하는 전달계통(NW1)을 개입시켜 콘트롤유닛(11)으로 보내진다.
도11에 있어서 부호(NW1)은, 제1콘트롤유닛(11)과 제2콘트롤유닛(11A)과의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전달계통을 나타내고 있다. 전달계통(NW1)은 신호케이블 뿐만 아니라, 적외선신호발생장치 및 적외선신호수신장치를 갖는 적 외선무선통신시스템이어도 좋고, 전용 리모콘단말기나 모바일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오퍼레이터가 신호를 중개하는 시스템이어도 좋다. 바꿔말하면, 제1콘트롤유닛(11)과 제2콘트롤유닛(11A)과의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전달계통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11의 제1변형예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있어서는 도1~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도12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서는 제1콘트롤유닛(11)을 설치한 제어부(10)는 오존발생기(14)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12의 제2변형예에 있어서는 전자밸브(V1)를 구비하고 있는 세정수공급경로(Lw)에 제어부(10B)를 설치, 제어부(10B)에 콘트롤유닛(11B)을 설치하고 있다. 제어부(10B)는, 교류전원(9)(예를 들면 상용전원)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체검지용센서(7) 및 주변환경센서(8)는, 입력신호라인(Si)에 의해 콘트롤유닛(11B)에 접속되어 있다. 콘트롤유닛(11B)는, 신호라인(Si4)을 개입시켜 송풍기(12)의 기동 및 정지나, 송풍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신호라인(Si5)을 개입시켜 고압트랜스(13)를 조작하여 오존발생장치(14)로의 고압전류 공급을 제어하고 있다. 도12의 제2변형예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도1~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다음으로, 도13~도15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3에서는, 소변기(1)을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를 부호B로 나타낸다. 도1~도12의 제1실시예에서는, 오존발생장치(14)에서 오존을 발생하여, 공기와 혼합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13의 제2실시예에서는 약제탱크(14B)에 저장하여 모아둔 약제를 기화하여 공기와 혼합한다. 여기서,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정화한 염소(Cl₄)나 기화한 각종 약제의 오일에센스, 기체상태에 있는 허브, 카테킨, 후라보노이드, 파라볼(parabole)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3에 있어서, 약제탱크(14B)에 저장하여 모아둔 약제를 기화하는 수단으로, 전기식 히터(13B)를 사용한다. 그리고, 히터(13B)에 공급된 전력 및/또는 송풍기(12)의 송풍모터의 회전수를 콘트롤유닛(11)에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약제의 공급유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히터(13B)로 반도체 히터를 사용해도 좋다.
제1실시예의 도2에 있어서의 오존발생량결정블록(112)은, 제2실시예에서는 「약제공급유량결정블록」이 된다. 여기서, 기능블록도에서 표현한 경우는, 「오존발생량결정블록」도 「약제공급유량결정블록」도 동일한 블록에서 표현된다. 따라서, 도11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트롤유닛(11)의 블록도는, 도2와 개략 같다. 또,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록도(도2)에 있어서, 공급전압결정블록(113)에서 결정된 전압에 걸리는 전압신호가 고압트랜스(13)에 전달된다. 이에 대해, 도11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급전력공급블록에서 결정된 전력에 관계된 전력신호가 전기식 히터(13B)에 공급되게 된다.
도13의 제2실시예에서는,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제1실시예의 오존에 대해, 안정화한 염소(Cl₄)나 기화한 각종 약제의 오일에센스, 기체상태에 있는 허브, 카테킨, 후라보노이드, 파라볼 등이 대신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개략 같다.
도14는,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다. 도14의 제1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도11에서 나타내는 구성과 대응하고 있다. 즉, 도14의 제1변형예에서는, 제2콘트롤유닛(11A)을 갖고 있고, 전자밸브(V1)의 제어나 정전 시의 제어(도9 참조)는 제2콘트롤유닛(11A)이 담당한다. 도14의 다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도13의 실시예나 도11의 변형예와 같다.
도15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다. 도15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도12에서 나타내는 구성과 대응하고 있다. 즉, 도15의 제2변형예에서는, 전자밸브(V1)를 구비한 세정수공급경로(Lw)에 제어부(10B)를 설치하고, 그 제어부(10B)에 콘트롤유닛(11B)을 설치하고 있다. 도15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도13의 실시예나 도12의 변형예와 같다.
다음으로, 도16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도1의 소변기(1)를 포함한 시스템 전체가 부호A로 나타내고 있고, 그 시스템A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 전체가 부호C로 나타내고 있다. 도16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소변기(1)(도1~도12)를 갖는 시스템A 및/또는 제2실시예(도13~도15)의 시스템B의 적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해당 시스템A 및 B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절약된 수량이나 이산화탄소 삭감량에 대해, 관리용 서버(300)을 사용하여 일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여기서 도16에서는, 도1~도10에 관계된 시스템A 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도11, 도12의 변형예나, 도13~도15의 시스템B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16에서는, 소변기(시스템A)로부터 인터 넷(200)을 경유하여 관리용 서버(300)에 정보를 전달하고 있으나, 로컬영역 네트워크(LAN)에 의해 정보를 전달해도 좋으며, 혹은 전용 신호전달라인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 소변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정보를 뽑아,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기억된 각각의 소변기에 있어서의 정보를,(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관리용 서버(300)에 전달해도 좋다.
상술한 제3실시예의 소변기 시스템C에 의하면, 제1실시예 및/또는 제2실시예에 관계된 소변기(1)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절약된 물의 양이나, 이산화탄소 삭감량에 대해, 관리용 서버(300)를 사용하여 일원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절수량의 한계치(변기 세정기능을 틀리게 하지 않고 절수 가능한 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층 절수나 이산화탄소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의 기술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는 스프레더(5)를 갖는 타입의 소변기(1)에 적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스프레더를 갖지 않는 타입의 소변기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오존과 혼합된 공기와 오존과 혼합된 세정수는 상연부에 복수개가 설치된 세정유체배출구로부터 토출된다.
혹은, 환경센서로서 알코올센서 혹은 알데히드센서를 설치, 남자용 화장실의 이용자가 술취한 상태인 경우에는 배뇨량도 많고, 소변기의 사용시간이 길어질 것을 전제로, 음주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제어모드로 바꾸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낮/저녁 시간대나, 주말과 평일에는 소변기의 사용 상황이 다른 것을 고려하여 제어부(10),(10B)에 시계 및 달력으로 작동하는 부재를 설치하여 시간대, 혹은 평일과 휴일 혹은 주말로 각기 다른 운전모드를 설정하여 시각 및 날짜(요일도 포함)에 의해 운전모드를 자동적으로 바꾸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수에 기체(예를 들면, 오존이 혼합된 공기)가 혼합된 것에 의해, 세정수의 겉보기 체적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세정수의 사용량이 종래의 소변기에 비교하여 감소해도, 세정수에 의해 소변기(1)내를 씻어내는 면적은 종래 이상으로 확보되어, 소변기(1) 내에 소변이 잔존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세정수에는, 세정력(산화력)이 강한 기체(예를 들면, 오존, 그 외의 약제를 기화시킨 것)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기(1) 안에 잔존하는 소변을 산화시켜, 혹은 세정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소변기(1)에 있는 악취를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세정수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변기에 의하면, 사용중(배뇨중)에, 상술한 세정력이 강한 기체(오존 등을 혼합한 공기)가 소변기 상부쪽으로부터 소변기(1)의 주변 영역에 흘러넘치도록 공급되기 때문에, 소변이 소변기(1)에 맞아 매우 작은 물보라가 발생하여 흩어지게 되더라도, 당해 소변의 물보라가 반드시 세정력이 강한 기체와 접촉하게 되어, 세정(예를 들면 산화)시키게 된다. 즉, 소변기(1)의 주변에 비산(飛散) 된 소변의 물보라는, 세정력이 강한 기체에 의해 세정이 끝나게(예를 들어, 오존에 접촉한 경우에는 산화됨)되기 때문에, 소변 내의 유기질은 부패하여 악취원이 되지 않도록 청정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소변기(1) 주변에 비산하는 소변의 물보라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세정수에는, 세정력(산화력)이 강한 기체(예를 들면, 오존)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기(1)를 세정한 세정수가 배수관로를 흐를 때, 당해 기체도 배수관로를 흐르기 때문에 배수관로에 퇴적하려고 하는 요석을 세정,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배수관로에 있어서 요석의 퇴적 혹은 성장을 억제하여 배수관계의 폐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용자가 사용에 임하여(배뇨 시), 이른 바 「최후의 한방울」을 떨쳐버릴 때, 당해(해당) 「최후의 한방울」의 소변이 소변기(1) 밖에 비산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변기(1) 앞에서 떠난 후에, 상술한 세정력이 강한 기체(오존 등을 혼합한 공기)가 소변기 상방(1a)으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하면(청구항2), 예를 들어 오존 같은 세정력이 강한 기체는 공기보다도 무겁기 때문에, 하강하여 소변기(1) 내로부터 흘러넘쳐, 소변기(1) 주변 바닥 부분을 덮는다. 세정력이 강한 기체가 소변기(1) 주변 바닥 부분을 덮는 것에 의해, 「최후의 한방울」의 소변이 소변기(1) 밖에 비산해도, 소변기(1) 주변 바닥 부분을 덮은 세정력이 강한 기체와 접촉하여 세정(예를 들면, 산화)된다. 그 결과, 비산된 소변이 부패하여 악취원이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세정수로 중수를 이용하도록 구성하면, 물의 낭비 를 방지하고, 절수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세정수로 사용되는 상수 혹은 중수를 기능성물이 되도록 구성하면, 물의 응집이 적어지게 되어 세정효과가 더욱 더 향상되므로, 남성용 소변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2)

  1. 인체감지센서와, 콘트롤유닛과,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발생하는 기구와, 발생시킨 세정력이 강한 기체가 흐르는 기체유로와,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수공급계통을 구비하고 있으며, 세정력이 강한 기체와 세정수가 혼합하도록 기체유로와 세정수공급계통은 합류되며, 기체유로와 세정수공급계통이 합류한 세정용유체경로는 소변기상단부의 세정유체배출구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유닛은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소변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감지할 때에,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기체유로 및 세정용유체경로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로부터 제1의 소정시간 만큼 토출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소변기의 사용이 완료된 것을 감지했을 때, 세정수 및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합류시켜 혼합한 상태로 세정용유체경로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로부터 제2의 소정시간만큼 토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2. 제 1항에 이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세정수 및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합류하여 혼합한 상태로 세정용유체경로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로부터 제2의 소정시간만큼 토출한 후, 세정력이 강한 기체를 기체유로 및 세정용유체경로를 경유하여 세정유체배출구로부터 제3의 소정시간 만큼 토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KR1020097003618A 2006-12-25 2007-12-14 소변기 KR20090096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47634 2006-12-25
JP2006347634A JP4099784B1 (ja) 2006-12-25 2006-12-25 小便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683A true KR20090096683A (ko) 2009-09-14

Family

ID=3956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618A KR20090096683A (ko) 2006-12-25 2007-12-14 소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6174B2 (ko)
EP (1) EP2053170A4 (ko)
JP (1) JP4099784B1 (ko)
KR (1) KR20090096683A (ko)
CN (1) CN101501279B (ko)
AU (1) AU2007337466A1 (ko)
WO (1) WO20080785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02A (ko) * 2019-03-14 2020-09-23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2369A1 (de) * 2011-08-02 2013-02-07 Urimat Holding Ag Einsatz für die Ablauföffnung eines Urinals
US20140020166A1 (en) * 2012-07-17 2014-01-23 Darrell Metcalf Valve-Controllable Urinal Drain Line and Plumbing Component Rinse Management System for Very Low Water and/or Non-Water Use Urinals
TWI547622B (zh) * 2013-07-16 2016-09-01 許今彥 多感應場智慧小便斗
TWI588329B (zh) * 2014-03-26 2017-06-21 Toto Ltd Urinal device
TWI588331B (zh) 2014-07-23 2017-06-21 Toto Ltd 小便器裝置及小便器單元
EP3070211B1 (en) * 2015-03-18 2019-09-11 Aero Engineering, S.L. Sterilizing device and method for a toilet
JP6671635B2 (ja) * 2016-03-22 2020-03-25 Toto株式会社 除菌水吐出装置
JP6775121B2 (ja) * 2017-08-29 2020-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洗浄システム
CN111512003B (zh) * 2018-01-19 2023-01-24 As 美国股份有限公司 自动化小便池
CN108625447B (zh) * 2018-05-02 2020-05-08 曲阜市郭氏感应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节水洁具的感应清洁方法及感应清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720A (ja) 1989-08-02 1991-03-19 Casio Comput Co Ltd 入力表示装置
JPH04170924A (ja) * 1990-11-02 1992-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浴室
US5251872A (en) * 1991-07-02 1993-10-12 Uro Denshi Kogyo Kabushiki Kaisha Automatic cleaner for male urinal
JPH09158299A (ja) 1995-12-05 1997-06-17 Teshika:Kk オゾンを使用する脱臭装置付小便器
US5680658A (en) 1996-12-18 1997-10-28 Liu Chang International Co., Ltd. Urinal flushing control device
CN2281373Y (zh) 1996-12-25 1998-05-13 蔡永成 小便斗的冲水装置
TW341974U (en) * 1998-05-08 1998-10-01 guo-zheng Dai An electronic urinary with sterilizer & A/C
JP3380204B2 (ja) * 2000-02-21 2003-02-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便器の尿石防止装置
JP2001241086A (ja) 2000-02-27 2001-09-04 Shigeru Sato 男子用便器を自動的に無臭化する方法。
US6581215B1 (en) * 2000-08-03 2003-06-24 Kuo-Cheng Tai Sterilizing and air conditioning electronic urinal
JP2002253646A (ja) * 2001-03-01 2002-09-10 Oyodo Komatsu Kk トイレ用殺菌装置
JP2004060419A (ja) 2002-07-30 2004-02-26 Okuda Yukihiro 小便器の尿石等発生抑止システム
JP4170924B2 (ja) 2004-01-23 2008-10-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202005019859U1 (de) 2004-12-21 2006-04-27 T.E.M.! Techn. Entwicklungen Und Management Gmbh Spülsystem zum Zwecke der automatischen Spülung von Urinalen und ähnlichen sanitärtechnischen Einricht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02A (ko) * 2019-03-14 2020-09-23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1279B (zh) 2011-12-07
WO2008078574A1 (ja) 2008-07-03
US8136174B2 (en) 2012-03-20
EP2053170A1 (en) 2009-04-29
AU2007337466A1 (en) 2008-07-03
JP4099784B1 (ja) 2008-06-11
EP2053170A4 (en) 2012-04-25
CN101501279A (zh) 2009-08-05
US20100064425A1 (en) 2010-03-18
JP2008156929A (ja)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6683A (ko) 소변기
US20210078508A1 (en) Additive dosing sub-system for a vehicle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US20210078509A1 (en) Discharge device for vehicle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JP2007077666A (ja) 便器洗浄水生成装置及び便器洗浄システム
JP2004092278A (ja) 水洗式大便器
WO2011055356A1 (en) A toilet flushing method and system
JP6124197B2 (ja) 便器装置
JP6075708B2 (ja) 移動式トイレ装置
JP2014211034A (ja) 小便器
JP2008008133A (ja) 排尿情報測定装置
CN210886630U (zh) 一种洗衣机排水槽系统
AU2005202822A1 (en) Water diversion system
JP6057152B2 (ja) 移動式トイレ装置
KR200445937Y1 (ko) 소변기의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JPH10252117A (ja) 小便器用洗浄システム
CN218757806U (zh) 小便器
JP2000120131A (ja) 給水ユニット及び給水装置
AU2021257894B2 (en) Toilet Sub-System for a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and Related Method
JP2003049473A (ja) 水洗式小便器用薬剤溶液注入装置
JPH11247258A (ja) 洗浄水の供給装置
WO2023145649A1 (ja)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JP2009082179A (ja) 汚物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汚物流し
JP5507899B2 (ja) 仮設トイレ
JP2006083617A (ja) 水再利用装置
JP4593771B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