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021A - 배변패드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배변패드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021A
KR20200109021A KR1020190027975A KR20190027975A KR20200109021A KR 20200109021 A KR20200109021 A KR 20200109021A KR 1020190027975 A KR1020190027975 A KR 1020190027975A KR 20190027975 A KR20190027975 A KR 20190027975A KR 20200109021 A KR20200109021 A KR 2020010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defecation
moving
loa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124B1 (ko
Inventor
노이환
Original Assignee
노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환 filed Critical 노이환
Priority to KR102019002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1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compressing or compacting articles or materials prior to wrapping or insertion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량의 배변패드를 적재한 후 효율적으로 밀봉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따라 전진하면서 기 설정된 개수의 배변패드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적재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이동부; 제1이동부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제1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배변패드를 압축시켜 주기 위한 압축부; 및 압축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이동부를 포함하되, 제1이동부는,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바부재; 제1회전바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제1회전바부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축부재; 일측이 제1회전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제1회전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1지지부재; 제1지지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제1회전축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제1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모터부재; 및 제1회전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1회전모터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1모터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변패드 적재 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Defecation Pad}
본 발명은 배변패드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량의 배변패드를 적재한 후 효율적으로 밀봉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소비재 제품은 형상이 균일하거나 대칭이 아니며, 그에 따라 이들 제품을 포장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들 제품이 적당한 방법으로 포장되지 않는다면, 패키지 강도 및 일체성이 나빠지게 될 수 있으며, 초과하는 양의 포장 재료가 필요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결과적인 패키지는 소비자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정의 사이즈의 패키지 내에 가능한 많은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소비재 제품은 형상이 균일하거나 대칭이 아니며, 그에 따라 이들 제품을 포장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들 제품이 적당한 방법으로 포장되지 않는다면, 패키지 강도 및 일체성이 나빠지게 될 수 있으며, 초과하는 양의포장 재료가 필요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결과적인 패키지는 소비자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정의 사이즈의 패키지 내에 가능한 많은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이한 포장 단점을 갖고 있는 비대칭 제품의 특히 전형적인 예로는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및 팬티라이너가 있다. 유사한 배출 영역 근방에 위치되는 부가적인 흡수성 재료로 인해서 제품의 가랑이 부분이 웨이스트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어서, 이들 제품은 특히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패드는 종종 윤곽을 형성한다. 각 기저귀 또는 패드는 외부 패키지내로 삽입되기 전에 통상 반으로 접혀있기 때문에, 이러한 두께의 차이는 기저귀 또는 실금 패드가 포장되는 경우에 더욱 심해진다. 또한, 기저귀 또는 패드가 패키지내로 삽입되기 전에 통상 압축되어 있으며, 이들 제품의 프로파일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성의 차이는 추가적인 포장의 어려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제품이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라 잇따라서 제조 영역에 잔류하도록 기저귀, 성인용 실금 패드 및 이와 유사한 제품은 연속적인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 패드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품은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가동 운반 장치상의 평면에 놓여 있는 제조 영역에 통상 잔류한다. 다음에, 기저귀 또는 패드는 반으로 접혀진 다음 직립 위치로 회전된다. 이러한 직립위치에 있어서, 기저귀 또는 패드는 접혀진 노즈 부분(이후에는 기부 단부라고함)이 선도하여 연속적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기저귀 또는 패드는 포장을 위해서 소정 개수의 기저귀 또는 패드를 어레이(또는 스택)로 모으는 어레이 형성 장치로 놓여진다. 스태커(stacker) 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라고 하는 이러한 어레이 형성 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기저귀 또는 패드를 포함하는 어레이(또는 스택)내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전진하는 일련의 제품으로 전환시킨다. 다음에, 제품 어레이는 다른 포장 단계로 전진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1378호(2016.11.16.)는 기존 배변패드 제조 장치에서 티슈를 부착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하게 하며, 하나의 제조 장치로 여러 형태의 배변패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배변패드 제조 장치, 배변패드 제조 방법 및 배변패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펄프를 분쇄하며, 분쇄된 펄프 및 SAP(Superabsorbent Polymer)를 흡입하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트제조부 및 상기 시트제조부로부터 시트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면서 필름 및 부직포를 부착하여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패드제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기존 배변패드 제조 장치에서 티슈를 부착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하게 하며, 하나의 제조 장치로 여러 형태의 배변패드를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펄프 및 SAP(Superabsorbent Polymer)를 시트 형태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트 양면을 티슈로 가공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배변패드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하나의 제조 장치로 여러 형태의 배변패드를 제조하도록 하여, 여러 형태의 배변패드를 제조하기 위해 다수 개의 배변패드 제조 장치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0042호(2014.08.14.)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절취선이 구비된 배변패드의 제조가 가능한 배변패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패드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보호층과 흡수층 및 방수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다수 영역으로 절취가 가능한 절취부가 구비된 단위배변패드 중, 상기 보호층을 공급하는 보호층공급부; 상기 흡수층을 공급하는 흡수층공급부; 상기 방수층을 공급하는 방수층공급부 및 각 층의 절취부를 생성하는 절취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변패드 제조 장치는, 제품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제품이 비균일한 방법으로 포장되어야 하는 최적의 포장이 종종 요구되나, 자동화되고 기계적인 제조/포장 공정의 부재로 인해 균일한 포장을 완성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137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004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량의 배변패드를 적재한 후 효율적으로 밀봉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따라 전진하면서 기 설정된 개수의 배변패드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배변패드를 압축시켜 주기 위한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바부재; 상기 제1회전바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바부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축부재; 일측이 상기 제1회전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제1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모터부재; 및 상기 제1회전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회전모터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1모터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패드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할 시에, 배변패드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배변패드를 압축부로 이송할 시에, 배변패드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변패드의 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회전바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부재에 복수개가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회전바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회전축부재에 고정 형성되는 제1회전바; 일측이 상기 제1회전바의 다른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1연장바; 및 상기 제1연장바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장바는, 상기 제1회전바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제1회전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90도 내지 135도의 각도 중 어느 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격실부재; 외측에 상기 격실부재를 장착 설치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하기위한 루프체인부재; 상기 루프체인부재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루프체인부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체인구동부재; 상기 체인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체인구동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구동제어부재; 상기 루프체인부재의 내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루프체인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격실부재에 수납된 배변패드를 상기 제1이동부에 의해 이동하기 위한 위치까지 강제하는 가동스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재하기 위한 배변패드의 수량을 입력받아 상기 체인구동제어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제1이동부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배변패드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각각 눌러 압축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프레스부재;상기 프레스부재의 외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압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스부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압축구동부재; 및 상기 압축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압축구동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압축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회전바부재; 상기 제2회전바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바부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2회전축부재; 일측이 상기 제2회전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제2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2회전모터부재; 및 상기 제2회전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회전모터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2모터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동할 시에, 배변패드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송할 시에, 배변패드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변패드의 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회전바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부재에 복수개가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회전바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2회전축부재에 고정 형성되는 제2회전바; 일측이 상기 제2회전바의 다른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2연장바; 및 상기 제2연장바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장바는, 상기 제2회전바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제2회전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90도 내지 135도의 각도 중 어느 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부 및 상기 제2이동부를 90도로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압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부 및 상기 제2이동부를 지지하는 방향전환판; 일측이 상기 방향전환판의 하부 중심에 고정 형성되어, 회전하는 방향전환축; 일측이 상기 방향전환축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방향전환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축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방향전환모터; 및 상기 방향전환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전환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방향전환모터로 전달하기 위한 전환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량의 배변패드를 적재한 후 효율적으로 밀봉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은 배변패드의 경우에도, 자동화되고 기계적인 제조/포장 공정으로 균일한 포장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설치 공간의 크기에 따라 배변패드 적재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배변패드 적재 장치의 직선길이보다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적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이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제1회전바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압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2이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제2회전바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는 방향전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있는 제1가이드부재 및 도 6에 있는 제2가이드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변패드 적재 장치(10)는, 적재부(100), 제1이동부(200), 압축부(300) 및 제2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는,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따라 전진하면서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개 또는 15개 등)의 배변패드를 적재하며, 일측에 장착 설치된 제1이동부(200)에 의해 해당 적재된 배변패드가 이동된다.
제1이동부(200)는, 적재부(10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적재부(100)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준다.
압축부(300)는, 제1이동부(200)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제1이동부(200)에 의해 적재부(100)로부터 이동된 배변패드를 압축시켜 주며, 제2이동부(400)에 의해 해당 압축된 배변패드가 이동된다.
제2이동부(400)는, 압축부(30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압축부(300)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P)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포장기기(P)는, 압축부(30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압축부(300)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제2이동부(400)에 의해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배변패드를 포장하여 완제품 형태로 제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이동부(200)와 압축부(300) 사이에 레일을 형성하여 제1이동부(200)는 레일로 배변패드를 전달하고, 레일은 배변패드를 압축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이동부(400)와 포장기기(P) 사이에 레일을 형성하여 제2이동부(400)는 레일로 배변패드를 전달하고, 레일은 배변패드를 포장기기(P)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배변패드 적재 장치는, 일정량의 배변패드를 적재한 후 효율적으로 밀봉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 및 적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은 배변패드의 경우에도, 자동화되고 기계적인 제조/포장 공정으로 균일한 포장을 완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적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재부(100)는, 다수 개의 격실부재(110), 다수개의 루프체인부재(120), 체인구동부재(130) 및 체인구동제어부재(140)를 포함한다.
격실부재(110)는, 루프체인부재(120)의 외측에 장착 설치되며,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해당 형성한 공간에 낱개의 배변패드를 수납한다.
루프체인부재(120)는, 내측에 체인구동부재(130)가 장착 설치되어 체인구동부재(130)에 의해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하며, 외측에 격실부재(110)를 장착 설치한다.
체인구동부재(130)는, 루프체인부재(120)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제어부재(140)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루프체인부재(120)를 구동시켜 준다.
체인구동제어부재(140)는, 체인구동부재(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구동제어신호를 체인구동부재(13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부(100)는, 입력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재(150)는, 사용자로부터 적재하기 위한 배변패드의 수량을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배변패드의 수량에 따를 수량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수량정보를 제어부재(14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인구동제어부재(140)는, 입력부재(150)로부터 수량정보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수량정보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구동제어신호를 체인구동부재(1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부(100)는, 가동스트리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스트리퍼(160)는, 루프체인부재(120)의 내측에 장착 설치되며, 루프체인부재(12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격실부재(110)에 수납된 배변패드 뭉치를 제1이동부(200)에 의해 이동하기 위한 위치까지 강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부(100)는, 밀봉 또는 포장하고자 하는 배변패드의 수량을 변화하는 시장선호도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장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이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이동부(200)는, 제1회전바부재(210), 제1회전축부재(220), 제1지지부재(230), 제1회전모터부재(240), 제1모터제어기(250)를 포함한다.
제1회전바부재(210)는, 적재부(100)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1회전축부재(220)는, 제1회전바부재(210)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제1회전바부재(210)를 회동시켜 준다.
제1지지부재(230)는, 일측이 제1회전축부재(220)의 양단에 형성되어, 제1회전축부재(220)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두 개가 구비된다.
제1회전모터부재(240)는, 제1지지부재(23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제1회전축부재(220)와 연결 형성되어, 제1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부재(220)를 회전시켜 준다.
제1모터제어기(250)는, 제1회전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1회전모터부재(240)로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이동부(200)는, 적재부(100)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할 시에, 배변패드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지지부재(230)는, 배변패드를 압축부(300)로 이송할 시에, 배변패드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변패드가 이동하는 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칭 형성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바부재(210)는, 제1회전축부재(220)에 복수개가 고정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바부재(210) 는, 제1회전축부재(220)를 중심으로 두 개가 대칭 형성되고, 제1회전모터부재(240)가 180도 회전하도록 제1모터제어기(250)는 제1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1회전모터부재(2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회전모터부재(240)의 회전을 통해 제1회전축부재(220)가 회전하게 되며 제1회전바부재(210)가 180도 회전하여 두 개 중 하나의 제1회전바부재(210)가 배변패드를 이동시키고 배변패드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정지한다. 그 다음 제1회전축부재(220)가 다시 180도 회전하도록 제1모터제어기(250)는 제1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1회전모터부재(2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회전모터부재(240)의 회전을 통해 제1회전축부재(220)가 회전하게 되며 제1회전바부재(210)가 180도 회전하여 두 개 중 다른 하나의 제1회전바부재(210)가 다음 배변패드를 이동시키고 배변패드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정지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제1회전바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바부재(210)는, 제1회전바(211), 제1연장바(212), 제1이동바(213)를 포함한다.
제1회전바(211)는, 일측이 제1회전축부재(220)에 고정 형성된다.
제1연장바(212)는, 일측이 상기 제1회전바(211)의 다른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다.
제1이동바(213)는, 제1연장바(212)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연장바(212)는, 제1회전바(211)의 다른 일측에 45도 내지 9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회전바부재(210)는, 회동하는 제1이동바(213)가 항상 일정한 면적으로 배변패드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배변패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압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압축부(300)는, 압축부(300)는, 두 개의 프레스부재(310), 두 개의 압축구동부재(320) 및 압축제어부재(330)를 포함한다.
프레스부재(310)는, 제1이동부(200)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배변패드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눌러 압축시켜 준다.
압축구동부재(320)는, 프레스부재(310)의 외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압축제어부재(330)로부터 압축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압축제어신호에 따라 프레스부재(310)를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구동부재(320)는, 압축에 용이한 유압실린더(oil hydraulic cylinder, 유압에 의해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nger)를 왕복 직선운동시켜 기계적인 일을 행하게 하는 장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압축제어부재(330)는, 압축두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압축제어신호를 압축구동부재(320)로 전달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2이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이동부(400)는, 제2회전바부재(410), 제2회전축부재(420), 제2지지부재(430), 제2회전모터부재(440), 제2모터제어기(450)를 포함한다.
제2회전바부재(410)는, 압축부(300)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P)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2회전축부재(420)는, 제2회전바부재(410)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제2회전바부재(410)를 회동시켜 준다.
제2지지부재(430)는, 일측이 제2회전축부재(420)의 양단에 형성되어, 제2회전축부재(420)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두 개가 설치된다.
제2회전모터부재(440)는, 제2지지부재(43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제2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부재(420)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2모터제어기(450)는, 제2회전모터부재(4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회전모터부재(440)로 전달하여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이동부(400)는, 제2가이드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460)는, 압축부(300)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P)로 이동할 시에, 배변패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지지부재(430)는, 배변패드를 포장기기(P)로 이송할 시에, 배변패드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변패드의 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회전바부재(410)는, 제2회전축부재(420)에 복수개가 고정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회전바부재(410)는, 제2회전축부재(420)를 중심으로 두 개가 대칭 형성되고, 압축부(300)에 의해 배변패드의 압축이 종료되면, 제2회전모터부재(440)가 180도 회전하도록 제2모터제어기(450)는 제2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회전모터부재(4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회전모터부재(440)의 회전을 통해 제2회전축부재(420)가 회전하게 되며 제2회전바부재(410)가 180도 회전하여 두 개 중 하나의 제2회전바부재(410)가 배변패드를 이동시키고 이동로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정지한다. 이때 배변패드를 이동시키고 정지한 하나의 제2회전바부재(410)는 제1이동부(200)에 의해 압착부(300)로 이동하는 배변패드가 압착지점을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회전모터부재(440)가 다시 180도 회전하도록 제2모터제어기(450)는 제2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제2회전모터부재(4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회전모터부재(440)의 회전을 통해 제2회전축부재(420)가 회전하게 되며 제2회전바부재(410)가 180도 회전하여 두 개 중 다른 하나의 제2회전바부재(410)가 다음 배변패드를 이동시키고 배변패드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정지한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제2회전바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2회전바부재(410)는, 제2회전바(411), 제2연장바(412), 제2이동바(413)를 포함한다.
제2회전바(411)는, 일측이 제2회전축부재(420)에 고정 형성된다.
제2연장바(412)는, 일측이 제2회전바(411)의 다른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다.
제2이동바(413)는, 제2연장바(412)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회전바부재(410)는, 회동하는 제2이동바(413)가 항상 일정한 면적으로 배변패드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배변패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변패드 적재 장치(10)는, 적재부(100), 제1이동부(200), 압축부(300), 제2이동부(400), 방향전환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부(100), 제1이동부(200)는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압축부(300) 및 제2이동부(400)는, 방향전환부(5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방향전환부(500)는, 압축부(3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압축부(300) 및 제2이동부(400)를 90도로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9는 도 8에 있는 방향전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방향전환부(500)는, 방향전환판(510), 방향전환축(520), 방향전환모터(530), 전환제어기(540)를 포함한다.
방향전환판(510)은, 압축부(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압축부(300) 및 제2이동부(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향전환축(520)은, 일측이 방향전환판(510)의 하부 중심에 고정 형성되어, 방향전환모터(530)에 의해 회전한다.
방향전환모터(530)는, 일측이 방향전환축(52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방향전환제어신호에 따라 방향전환축(520)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전환제어기(540)는, 방향전환모터(5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전환신호를 생성시켜 방향전환모터(530)로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부(300)에서 배변패드에 대한 압축이 끝나면, 전환제어기(540)는, 방향전환모터(5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90도 방향전환신호를 생성시켜 방향전환모터(530)로 전달하고, 방향전환신호를 전달받은 방향전환모터(530)는 방향전환축(520)을 90도 회전시켜 방향전환판(510)의 상부에 형성된 압축부(300) 및 제2이동부(400)는 같이 회전하게 되고, 제2이동부(400)는 압축이 완료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P)로 이동시킨 후에, 전환제어기(540)는, 방향전환모터(5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90도 방향전환신호를 생성시켜 방향전환모터(530)로 전달하고, 방향전환신호를 전달받은 방향전환모터(530)는 방향전환축(520)을 90도 회전시켜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방향전환판(510)의 상부에 형성된 압축부(300)에 제1이동부(200)에 의해 이동하는 다음 배변패드가 안착됨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배변패드 적재 장치(10)는, 일정량의 배변패드를 적재한 후 효율적으로 밀봉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10)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은 배변패드의 경우에도, 자동화되고 기계적인 제조/포장 공정으로 균일한 포장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설치 공간의 크기에 따라 배변패드 적재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구현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7에서 제1예로 설명한 배변패드 적재 장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보다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도 10은 도 3에 있는 제1가이드부재 및 도 6에 있는 제2가이드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제1예 및 제2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의 제1가이드부재(260)는, 상부 일측에 센서(s)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61)를 구비하며, 고정부재(261)가 인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이동홈부(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홈부(262)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고정함이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부재(26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제1예 및 제2예에 따른 배변패드 적재 장치의 제2가이드부재(460)는, 상부 일측에 센서(s)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61)를 구비하며, 고정부재(461)가 인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이동홈부(4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홈부(462)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고정함이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부재(46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배변패드 적재 장치
100 : 적재부
200 : 제1이동부
300 : 압축부
400 : 제2이동부

Claims (5)

  1.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격실을 구비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따라 전진하면서 기 설정된 개수의 배변패드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배변패드를 압축시켜 주기 위한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배변패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바부재;
    상기 제1회전바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바부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축부재;
    일측이 상기 제1회전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제1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회전모터부재; 및
    상기 제1회전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회전모터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1모터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패드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배변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격실부재;
    외측에 상기 격실부재를 장착 설치하며, 폐쇄된 루프 경로를 따라 전진하기위한 루프체인부재;
    상기 루프체인부재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루프체인부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체인구동부재;
    상기 체인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체인구동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구동제어부재;
    상기 루프체인부재의 내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루프체인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격실부재에 수납된 배변패드를 상기 제1이동부에 의해 이동하기 위한 위치까지 강제하는 가동스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패드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재하기 위한 배변패드의 수량을 입력받아 상기 체인구동제어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패드 적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제1이동부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배변패드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각각 눌러 압축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프레스부재;
    상기 프레스부재의 외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며, 압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스부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압축구동부재; 및
    상기 압축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압축구동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압축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패드 적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배변패드를 포장기기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2회전바부재;
    상기 제2회전바부재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바부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2회전축부재;
    일측이 상기 제2회전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제2회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2회전모터부재; 및
    상기 제2회전모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회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회전모터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2모터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패드적재 장치.
KR1020190027975A 2019-03-12 2019-03-12 배변패드 적재 장치 KR10221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75A KR102210124B1 (ko) 2019-03-12 2019-03-12 배변패드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75A KR102210124B1 (ko) 2019-03-12 2019-03-12 배변패드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21A true KR20200109021A (ko) 2020-09-22
KR102210124B1 KR102210124B1 (ko) 2021-02-01

Family

ID=7270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975A KR102210124B1 (ko) 2019-03-12 2019-03-12 배변패드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1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853A (zh) * 2021-04-29 2021-08-06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少片包装的包装机
CN114132558A (zh) * 2021-11-22 2022-03-04 上海凯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能进行铝箔分层回收利用的加工处理设备
CN115593696A (zh) * 2022-11-09 2023-01-13 襄阳市盈乐卫生用品有限公司(Cn) 一种纸尿裤生产中的高效装袋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33U (ja) * 1991-06-26 1993-01-14 花王株式会社 物品の排出装置
JP2005255286A (ja) * 2004-03-09 2005-09-22 Asahi Breweries Ltd 操作装置及び搬送装置
JP2006264737A (ja) * 2005-03-24 2006-10-0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体形成装置
KR20080027188A (ko) * 2006-09-21 2008-03-26 옵티마 필링 앤드 팩키징 머신스 게엠베하 이송 경로를 따라서 상품 더미의 규칙적인 선형 전방공급을 위한 왕복 전방 공급 장치
KR20140100042A (ko) 2013-02-05 2014-08-14 유종현 배변패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패드 제조방법
KR20160131378A (ko)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배변패드 제조 장치
KR20170103456A (ko) * 2016-03-04 2017-09-13 (주)제일위생 위생제품 자동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33U (ja) * 1991-06-26 1993-01-14 花王株式会社 物品の排出装置
JP2005255286A (ja) * 2004-03-09 2005-09-22 Asahi Breweries Ltd 操作装置及び搬送装置
JP2006264737A (ja) * 2005-03-24 2006-10-0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体形成装置
KR20080027188A (ko) * 2006-09-21 2008-03-26 옵티마 필링 앤드 팩키징 머신스 게엠베하 이송 경로를 따라서 상품 더미의 규칙적인 선형 전방공급을 위한 왕복 전방 공급 장치
KR20140100042A (ko) 2013-02-05 2014-08-14 유종현 배변패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패드 제조방법
KR20160131378A (ko)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배변패드 제조 장치
KR20170103456A (ko) * 2016-03-04 2017-09-13 (주)제일위생 위생제품 자동포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853A (zh) * 2021-04-29 2021-08-06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少片包装的包装机
CN113212853B (zh) * 2021-04-29 2023-03-10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少片包装的包装机
CN114132558A (zh) * 2021-11-22 2022-03-04 上海凯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能进行铝箔分层回收利用的加工处理设备
CN115593696A (zh) * 2022-11-09 2023-01-13 襄阳市盈乐卫生用品有限公司(Cn) 一种纸尿裤生产中的高效装袋装置
CN115593696B (zh) * 2022-11-09 2023-09-22 襄阳市盈乐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纸尿裤生产中的高效装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124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124B1 (ko) 배변패드 적재 장치
CN103747767B (zh) 超声密封设备和超声密封方法
US11325801B2 (en) Disposable produc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EP3092995B1 (e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ultrasonic welding method of sheet-like member associated with absorbent article
KR100436533B1 (ko) 의류 제조방법 및 장치
EP3092993B1 (e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ultrasonic welding method of sheet-like member associated with absorbent article
EP3092994B1 (e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ultrasonic welding method of sheet-like member associated with absorbent article
JP5542475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US8973734B2 (en) Device for aligning and transferring articles
US20050250634A1 (en) Gathering and pressing device for a folded box-gluing machine
EP1399377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f rolls from a rewinder and rewinder comprising said device
WO1999023984A1 (en) Individually wrapped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production
EP3752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 elongate stack of folded tissues
JP6059904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A2691079A1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roducts and a low pressure storage device therefore
CN206384219U (zh) 一种纸包装机
CN215044361U (zh) 一种新式条盒外包装透明纸整形美容器
CN206384218U (zh) 一种卷筒纸供给装置
CN215207229U (zh) 一种用于卫生用品堆垛装置
CN108697543B (zh) 用于制造吸收性物品的方法及设备
CN108698778B (zh) 用于接合材料的方法及用于供给材料的装置
CN111867950B (zh) 吸收性物品制造方法以及吸收性物品制造装置
CN209441741U (zh) 一种三维包装机的推盒装置
CN107027843A (zh) 一种自动包装的鲜面条制售机
CN106516186B (zh) 一种包装及输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