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477A -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477A
KR20200108477A KR1020207024159A KR20207024159A KR20200108477A KR 20200108477 A KR20200108477 A KR 20200108477A KR 1020207024159 A KR1020207024159 A KR 1020207024159A KR 20207024159 A KR20207024159 A KR 20207024159A KR 20200108477 A KR20200108477 A KR 2020010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arget
advertisement
area setting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시미즈
시게토 카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그룹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그룹
Publication of KR2020010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구획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취득하고, 취득된 대상자수의 누적치가 소정의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지역 설정부를 구비해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03370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DM(다이렉트 메일) 배포 대상 에어리어를 확정하고, 선택된 분석 방법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기초해 '스코어링 분석', '중회귀 분석' 또는 '프로파일링 분석'을 행하여, 분석된 수치에 따라 DM 배포 대상 에어리어의 리스트를 정렬해, 배포 계획 부수 또는 배포 계획 에어리어수의 범위 내에서 실제 배포 가능한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분석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0-277567호 공보
임의의 기준에 의해 결정한 평가 대상 지역별로 광고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유의미한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리스폰스(response)수에 대응하는 대상자수를 갖는 평가 대상 지역의 설정이 요구된다. 또한, 평가 대상 지역은, 예를 들면 복잡한 순서에 의해 설정되는 것보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러 형태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절한 리스폰스수에 대응하는 대상자수를 갖는 평가 대상 지역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구획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취득하고, 취득된 대상자수의 누적치가 소정의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지역 설정부를 구비하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컴퓨터를,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구획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취득하고, 취득된 대상자수의 누적치가 소정의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지역 설정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형태에 의하면, 적절한 리스폰스수에 대응하는 대상자수를 갖는 평가 대상 지역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평가 대상 지역의 설정 순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가 평가 대상 지역 설정을 위해 실행하는 처리 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광고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CO1)는 광고 회사(CO2)에게 광고를 의뢰한다. 광고 회사(CO2)는 광고주(CO1)로부터의 의뢰를 받아, 광고로서 어떠한 시책을 취할 것인가를 검토하고, 검토한 시책에 따른 광고를 광고 제공 수단(300)을 이용해 실시한다. 광고 제공 수단(300)은 광고 회사(CO2)가 광고 제공 대상자(이하, 단순히 '대상자'라고 기재한다, YS)에게 광고를 제공하는데 이용하는 수단이다. 광고 제공 수단(300)은 대상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고 제공 수단(300)에는 웹페이지에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웹 서버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광고 제공 수단(300)에는 신문 삽입 광고, 다이렉트 메일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광고 제공 수단(300)은 텔레비전 방송이나 라디오 방송 등이라도 무방하다.
광고 제공 수단에 의해 광고를 제공 받은 대상자 가운데, 어떤 대상자(YS)는 광고에 대한 리스폰스(응답)로서의 행동을 취한다. 대상자(YS)가 취하는 리스폰스에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구입 신청 접수의 전화 번호에 전화를 해 상품 구입의 신청이나 상품의 문의를 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대상자(YS)가 취하는 리스폰스에는, 예를 들면 통신 판매 사이트를 이용한 상품의 구입이나 구입 신청 엽서 등의 우편물을 이용한 구입 신청 등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대상자(YS)로부터의 리스폰스는 광고주(CO1)에 의해 집계된다. 광고주(CO1)는 리스폰스의 집계 결과를 광고 회사(CO2)로 전달한다.
광고주(CO1)는 광고주(CO1)로부터 전달 받은 리스폰스의 집계 결과를 이용해 광고 효과를 평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고 효과의 평가에서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에 의해 나타나는 평가 대상 지역별 광고 효과를 평가한다. 지견으로서, 광고 제공 수단(300)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평가 대상 지역에서 유의미한 광고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리스폰스수(목표 리스폰스수)는 거의 정해져 있다. 그리고, 목표 리스폰스수가 정해지면, 목표 리스폰스수를 얻는데 필요한 대상자(YS)의 수(목표 대상자수)도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평가 대상 지역은, 그곳에 존재하는 대상자(YS)의 수가 목표 대상자수에 기초해 결정한 소정의 조건(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지역이다. 한편, 목표 대상자수는, 광고 제공 수단(300)이나 광고의 내용 등에도 의하지만, 일례로서 20,000명 정도이다. 목표 대상자수가 20,000명으로 정해진 경우, 평가 대상 지역에서의 대상자수는 지역 설정 조건에 기초해 20,000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한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평가 대상 지역은 광고 회사(CO2)가 갖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설정되고, 설정 결과가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로서 얻어진다.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한 평가 대상 지역의 설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고 회사(CO2)는, 평가 대상 지역별로 광고 효과를 평가한 결과에 기초해, 보다 높은 광고 효과가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시책을 다시 검토한다. 광고 회사(CO2)는 검토한 시책에 따른 광고를 제공하고, 제공한 광고에 응한 대상자의 리스폰스에 기초해 시책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고에 대한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이 실현된다.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도 2를 참조해,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어부(101), 기억부(102), 조작부(103) 및 표시부(104)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의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101)로서의 기능은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어부(101)는 지역 설정부(111)를 구비한다. 지역 설정부(111)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한다. 지역 설정부(111)는, 우편 번호 구획(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의 일례)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의 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로 구획을 선택해 나간다. 지역 설정부(111)는, 선택된 구획의 광고 대상자수의 누적수가 미리 정해진 수치 범위(목표 대상자수의 범위)에 도달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갖는 1개의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처리(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지역 설정부(111)는 상기 지역 설정 처리에 의한 평가 대상 지역의 설정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를 생성한다. 지역 설정부(111)는 생성된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를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 기억부(122)에 기억시킨다.
기억부(102)는 제어부(101)가 이용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도 2의 기억부(102)는,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 기억부(121) 및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 기억부(122)를 구비한다.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 기억부(121)는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를 기억한다.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는, 예를 들면 나라 전역을 우편 번호에 의해 구분한 지역인 우편 번호 구획별로 우편 번호 구획에 존재하는 대상자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3은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는 구획 번호별로 우편 번호 구획과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정보이다.
여기에서, 구획 번호별로 대응지워진 우편 번호 구획은, 예를 들면 구획 번호 '0'의 우편 번호 구획을 기점으로 하여, 구획 번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하나 앞의 우편 번호 구획과 인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이 대응지워진다. 일례로, 구획 번호 '0'에는 나라 전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우편 번호 구획이 대응지워지고, 구획 번호 '1' 이후에 대해서는 남하해 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하나 앞의 우편 번호 구획과 인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이 대응지워진다.
또한, 구획 번호별로 대응지워지는 대상자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국세 조사 결과 등에 기초하여 입력되면 된다. 또한, 대상자수는, 대응 우편 번호 구획에서의 인구를 그대로 반영시켜도 되고, 대응 우편 번호 구획에서의 인구 중 일정 이상 연령의 인구를 반영시켜도 되고, 어느 한 성별에 해당하는 인구를 반영시켜도 된다. 구획 번호별로 대응지워지는 대상자수에 해당하는 거주자의 조건에 대해서는 광고의 내용 등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설명을 도 2로 되돌린다.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 기억부(122)는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를 기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는 지역 설정부(111)의 지역 설정 처리에 의한 평가 대상 지역의 설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4는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1221)는, 평가 대상 지역 번호별로 해당 구획과 누적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정보이다.
평가 대상 지역 번호는, 대응하는 평가 대상 지역에 부여되는 번호(식별자)를 나타낸다. 해당 구획의 영역은 대응하는 평가 대상 지역에 포함되는 우편 번호 구획(해당 구획)을 나타낸다. 누적 대상자수는, 대응하는 평가 대상 지역에서의 대상자의 총수이며, 대응하는 해당 구획에 포함되는 우편 번호 구획별 대상자수의 총계가 된다.
설명을 도 2로 되돌린다. 조작부(103)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조작자, 조작 디바이스나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조작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가리킨다.
표시부(104)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표시 디바이스 혹은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지역 설정 처리예]
도 5를 참조해, 본 실시 형태의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가 실행하는 지역 설정 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 기억부(121)가 기억하는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가 나타나 있다.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의 지역 설정부(111)는, 조작자의 조작부(103)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지역 설정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는 것에 응답해 지역 설정 처리를 개시한다.
지역 설정부(111)는, 지역 설정 처리의 개시에 있어서, 우선, 구획 번호의 오름차순에 따라, 구획 번호 '0'으로부터 차례로 구획 번호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가산(누적)해 나간다.
지역 설정부(111)는, 구획 번호별로 대응해 대상자수를 누적할 때마다, 누적된 대상자수(누적 대상자수)가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지역 설정 조건은 누적 대상자수가 목표 대상자수에 기초하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 목표 대상자수를 임계치로 해도 된다. 혹은, 목표 대상자수에 대해, 필요한 리스폰스수를 얻는데 최저로 필요한 수에 대해 일정한 마진을 고려해 설정되어 있는 등의 경우에는, 목표 대상자수로부터 일정치를 줄인 수치를 임계치로서 정하고, 누적 대상자수가 임계치 이상인 것을 지역 설정 조건으로 해도 된다.
도 5에는, 구획 번호 '0'으로부터 차례로 대상자수를 누적해 간 결과, 구획 번호 'a'의 단계에서 얻어진 누적 대상자수가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지역 설정부(111)는, 구획 번호 '0'∼ 'a'에 대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의 집합에 의한 지역을 첫번째 평가 대상 지역(제1 평가 대상 지역)으로 설정한다.
하나의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하면, 지역 설정부(111)는 지금까지의 누적 대상자수를 리셋해 '0'명으로 한 다음, 구획 번호 'a'의 다음 구획 번호 'a+1'로부터 다시 구획 번호의 오름차순에 따라 대상자수를 순차적으로 누적하고, 대상자수를 1개 누적할 때마다 누적 대상자수가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도 5에는, 구획 번호 'a+1'로부터 차례로 대상자수를 누적해 간 결과, 구획 번호 'b'의 단계에서 얻어진 누적 대상자수가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 설정부(111)는, 구획 번호 'a+1'∼'b'에 대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의 집합에 의한 지역을 두번째 평가 대상 지역(제2 평가 대상 지역)으로 설정하고, 지금까지의 누적 대상자수를 리셋한다.
이후, 지역 설정부(111)는 마찬가지의 순서로 평가 대상 지역을 순차적으로 설정해 나간다. 그리고, 지역 설정부(111)는 최종적으로 마지막 구획 번호 'N'까지 대상자수를 누적해 나간다.
마지막 구획 번호 'N'까지 대상자수를 누적한 결과, 구획 번호 'N-1'∼'N'에 대응하는 누적 대상자수가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그대로 구획 번호 'N-1'∼'N'에 대응하는 우편 번호 구획에 의한 지역을 마지막 제M 평가 대상 지역으로 설정해도 된다.
한편, 마지막 구획 번호 'N'까지 대상자수를 누적한 결과, 구획 번호 'N-1'∼'N'에 대응하는 누적 대상자수가 목표 대상자에 비해 상당히 적어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지역 설정부(111)는, 예를 들면 구획 번호 'N-1'∼'N'의 우편 번호 구획을 지금까지 설정된 평가 대상 지역에 포함시키도록 조정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역 설정부(111)는, 구획 번호 'N-1'∼'N'의 우편 번호 구획과 가까운 우편 번호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에, 구획 번호 'N-1'∼'N'의 우편 번호 구획을 포함시키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정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지역 설정부(111)가 지도상에 구획 번호별 우편 번호 구획이 대응지워진 지도 정보를 참조해도 된다. 또한, 지역 설정부(111)는, 구획 번호 'N-1'∼'N'의 우편 번호 구획을 적절히 복수의 평가 대상 지역에 분산해 포함시키도록 조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구획 번호 'N-2'의 우편 번호 구획을 포함해 설정된 평가 대상 지역이, 마지막 제M 평가 대상 지역이 된다.
[처리 순서예]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가 지역 설정 처리에 관해 실행하는 처리 순서예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1: 지역 설정 처리의 개시에 있어서,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의 지역 설정부(111)는, 변수 n에 대해 초기치로 '0'을 대입하고, 변수 m에 대해 초기치로 '1'을 대입한다. 변수 n은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 기억부(121)가 기억하는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서의 구획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변수 m은 지역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되는 평가 대상 지역에 부여되는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스텝 S102: 지역 설정부(111)는,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로부터 구획 번호 'n'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tnum)를 취득한다.
스텝 S103: 지역 설정부(111)는, 스텝 S102에 의해 취득한 대상자수(tnum)를 누적 대상자수(Tnum)에 가산(누적)함으로써 누적 대상자수(Tnum)를 갱신한다.
스텝 S104: 지역 설정부(111)는, 스텝 S103에 의해 갱신된 누적 대상자수(Tnum)에 대해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지역 설정 조건은,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누적 대상자수가 목표 대상자수에 기초해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인 것이라도 된다.
한편, 지역 설정 조건이, 상기와 같이 누적 대상자수가 목표 대상자수에 기초하는 임계치 이상인 것일 경우, 누적 대상자수가 임계치에 대해 상당히 커질 가능성 있다. 이 경우, 평가 대상 지역으로서 필요 이상으로 다수의 대상자수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를 피하고 싶으면 지역 설정 조건으로 임계치에 대해 하한과 상한을 마련함으로써, 누적 대상자수가 소정의 수치 범위(임계치의 하한에서 상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지역 설정 조건 하에서, 스텝 S104의 판단에서 누적 대상자수가 임계치의 상한을 초과한 경우, 지역 설정부(111)는, 예를 들면 마지막에 대상자수를 누적한 우편 번호 구획에 대해, 임계치의 상한까지의 대상자수를 포함하는 첫번째 우편 번호 구획(제1 분할 우편 번호 구획)과, 제1 분할 우편 번호 구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나머지 대상자수를 포함하는 두번째 분할 우편 번호 구획(제2 분할 우편 번호 구획)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지역 설정부(111)는, 제1 분할 우편 번호 구획에 대응하는 대상자수까지를 누적해 구해지는 수치로 누적 대상자수를 보정한다. 지역 설정부(111)는, 이와 같이 보정한 누적 대상자수에 의해 스텝 S104에서 지역 설정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스텝 S105: 스텝 S104에서 지역 설정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지역 설정부(111)는, 스텝 S104에서의 판단 대상이 된 누적 대상자수에 대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의 집합에 의한 지역을 제m 평가 대상 지역으로 설정한다.
스텝 S106: 지역 설정부(111)는 지금까지의 누적 대상자수를 리셋한다. 이에 따라, 이후의 스텝 S103에 의한 누적 대상자수의 누적은 누적 대상자수(Tnum)가 '0'인 상태로부터 개시된다.
스텝 S107: 또한 지역 설정부(111)는, 스텝 S105에 의한 제m 평가 대상 지역의 설정에 따라 변수 m을 증가시킨다.
스텝 S108: 스텝 S104에서, 지역 설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혹은 스텝 S107의 처리 후, 지역 설정부(111)는 변수 n을 증가시킨다.
스텝 S109: 지역 설정부(111)는, 현재의 변수 n에 대해 N+1 이상('N'은 구획 번호의 최대치)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변수 n이 N+1 미만인 경우에는, 아직 대상자수를 누적하지 않은 우편 번호 구획이 남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역 설정부(111)는 스텝 S102로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 S110: 한편, 스텝 S109에서 변수 n이 N+1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지역 설정부(111)는, 현재의 누적 대상자수(Tnum)에 대해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스텝 S111: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지역 설정부(111)는, 스텝 S110에서의 판단 대상으로 여겨진 누적 대상자수에 대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의 집합에 의한 지역을 제m 평가 대상 지역으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스텝 S111에서 설정된 제m 평가 대상 지역이 마지막으로 설정되는 제M 평가 대상 지역이 된다.
스텝 S112: 한편, 스텝 S110에서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지역 설정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10에서의 판단 대상이었던 누적 대상자수에 대응하는 우편 번호 구획을, 현시점까지 설정된 평가 대상 지역에 대해 포함하도록 조정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마지막 스텝 S105에 의해 설정된 제m 평가 대상 지역이 마지막 제M 평가 대상 지역이 된다.
여기에서, 도 6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평가 대상 지역은, 실제 지역에서의 교통 사정이나 지형적인 사정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하나의 평가 대상 지역은, 실제로는 폭이 넓은 하천에 의해 분단되어 있어 사람의 왕래에 제한이 있거나, 도로 사정이나 근린 상업 시설과의 위치 관계 등에 의해 상업적인 행동 범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지역이 혼재되어 있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어떤 특수한 사정에 해당하는 평가 대상 지역의 경우, 리스폰스의 평가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광고 회사(CO2)는, 도 6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평가 대상 지역을 지도와 대조시켜, 상기와 같이 특수한 사정이 해소되도록, 평가 대상 지역에 포함하는 우편 번호 구획을 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정은, 예를 들면 설정된 평가 대상 지역과, 우편 번호 구획이 대응지워진 지도 정보를 대조시킴으로써,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가 특수한 사정에 해당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판단한 다음에 실행하도록 되어도 된다.
한편,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구획으로는,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예로 든 우편 번호 구획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구획은 전화 번호에 기초해 구분된 구획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획은, 지역을 격자상으로 구분한 구획(격자상 구획)이라도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남북 방향에 따른 소정의 단위 거리와 동서 방향에 따른 소정의 단위 거리에 의해 지역을 구분함으로써, 사각형의 격자상 구획이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하나의 격자상 구획을 형성하는 남북 방향 및 동서 방향의 단위 거리는, 예를 들면 평가 대상이 되는 광고, 지역의 인구 등을 고려해 설정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격자상 구획을 본 실시 형태의 구획으로 채용하는 경우, 도 3의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로는, 우편 번호 구획을 대신해 격자상 구획이 표시되고, 격자상 구획별 대상자수가 저장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격자상 구획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광고 시스템 하에서 독자적으로 결정한 것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표준 지역 메시 등과 같이 규격화된 것을 이용하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규격화된 격자상 구획을, 본 실시 형태의 광고 시스템의 용도에 따른 형태로 분할 혹은 결합하도록 해 변경한 격자상 구획을, 본 실시 형태의 구획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격자상 구획은, 예를 들면 우편 번호 구획보다 넓은 면적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편 번호 구획에 따라서는 인구가 없거나 혹은 인구가 매우 적은 것 같은 상황 때문에, 평가 대상 지역을 적절히 설정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우편 번호 구획보다도 넓은 면적을 정한 격자상 구획을 이용함으로써, 평가 대상 지역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의 총괄]
(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일 형태는,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예를 들면, 우편 번호 구획)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구획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취득하고, 취득된 대상자수의 누적치가 소정의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지역 설정부를 구비하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우편 번호 구획에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리스트를 이용해, 유의미한 리스폰스수가 기대되는 대상자수를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우편 번호 구획의 집합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적절한 리스폰스수에 대응하는 대상자수를 갖는 평가 대상 지역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100)로서의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여기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한다'란,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인터넷이나 WAN, LAN, 전용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개재해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포터블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CD-ROM 등의 비일시성(non-transitory) 기록 매체라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당해 프로그램을 배송하기 위해 배송 서버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기록 매체도 포함된다. 배송 서버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식의 프로그램의 코드와 다른 것이라도 된다. 즉, 배송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인스톨 가능한 것이라면, 배송 서버에서 기억되는 형식은 상관 없다. 한편, 프로그램을 복수로 분할해 각각 다른 타이밍에 다운로드한 후에 단말 장치에서 합체되는 구성이나, 분할된 프로그램의 각각을 배송하는 배송 서버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네트워크를 개재해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라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여러 형태는, 적절한 리스폰스수에 대응하는 대상자수를 갖는 평가 대상 지역을 간단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0: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101: 제어부, 102: 기억부, 103: 조작부, 104: 표시부, 111: 지역 설정부, 121: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 기억부, 122: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 기억부, 300: 광고 제공 수단, 1221: 평가 대상 지역 설정 정보

Claims (2)

  1.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구획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취득하고, 취득된 대상자수의 누적치가 소정의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지역 설정부를 구비하는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2. 컴퓨터를, 소정의 구분 규칙에 따라 지역을 구분해 얻어지는 구획별로 광고 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수를 대응시킨 구획별 대상자수 정보에 기초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구획에 대응지워진 대상자수를 취득하고, 취득된 대상자수의 누적치가 소정의 지역 설정 조건을 만족한 단계에서, 선택된 구획을 포함하는 평가 대상 지역을 설정해 나가는 지역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지역 설정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07024159A 2018-02-27 2019-02-21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08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3704 2018-02-27
JPJP-P-2018-033704 2018-02-27
PCT/JP2019/006647 WO2019167808A1 (ja) 2018-02-27 2019-02-21 広告関連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477A true KR20200108477A (ko) 2020-09-18

Family

ID=6780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59A KR20200108477A (ko) 2018-02-27 2019-02-21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17049A1 (ko)
EP (1) EP3761250A4 (ko)
JP (1) JP7021339B2 (ko)
KR (1) KR20200108477A (ko)
CN (1) CN111788595A (ko)
CA (1) CA3091435A1 (ko)
TW (1) TW201937430A (ko)
WO (1) WO20191678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7567A (ja) 2008-10-07 2010-12-09 Giken Shoji International Co Ltd Dm配布エリア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694B2 (ja) * 2000-03-09 2002-08-12 株式会社オークス 新聞折込広告の配布区域指定支援設備
JP4334831B2 (ja) * 2001-11-15 2009-09-30 技研商事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ダイレクトメール配布管理システム
JP2006040002A (ja) * 2004-07-28 2006-02-09 Nikko Tsushin Kk 販売管理システム
JP4327899B2 (ja) * 2006-11-08 2009-09-09 株式会社シリウステクノロジーズ 広告情報提供方法、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広告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5091609B2 (ja) * 2007-09-27 2012-12-05 西川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配達区域決定支援システム
JP2012032893A (ja) * 2010-07-28 2012-02-16 Sevennet Kk エリア・ターゲッティング広告配信システム
JP6279038B1 (ja) 2016-08-31 2018-02-14 テラル株式会社 脱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7567A (ja) 2008-10-07 2010-12-09 Giken Shoji International Co Ltd Dm配布エリア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7430A (zh) 2019-09-16
CA3091435A1 (en) 2019-09-06
EP3761250A4 (en) 2021-12-22
JPWO2019167808A1 (ja) 2020-12-03
CN111788595A (zh) 2020-10-16
US20210217049A1 (en) 2021-07-15
WO2019167808A1 (ja) 2019-09-06
JP7021339B2 (ja) 2022-02-16
EP3761250A1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0232B (zh) 互联网广告投放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hattak et al. Willingness to pay for travel information
US87448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churn reporting based on engagement metrics
De Bock et al. Predicting website audience demographics forweb advertising targeting using multi-website clickstream data
CN107483982B (zh) 一种主播推荐方法与装置
CN109272360B (zh) 一种广告智能推荐方法、系统及装置
CN109872170B (zh) 广告投放反馈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160239871A1 (en) Server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method of generating advertisement schedule
Sakano et al. Airport security and screening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US
KR20120091958A (ko) 지역 광고 시스템 및 지역 광고 가격 산출 방법
US11032609B2 (en) Analysis of television viewership data for creating electronic content schedules
KR101888123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EP28920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for customized service
Levy et al. The role of public policies in reducing smoking prevalence: results from the Michigan SimSmoke tobacco policy simulation model
CN101971198A (zh) 利用关键词定性和定量评价品牌的方法
US20220122118A1 (en) Plann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oratelli et al. State-of-the-art on ecosystem-based solutions for disaster risk reduction: The case of gravity-driven natural hazards in the Alpine region
KR20200108477A (ko) 광고 관련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Siikamaki et al. International willingness to pay for the protection of the Amazon rainforest
RU2016141978A (ru) Способ анализа массивов данных о билетах авиапассажиров и компьютерный программный проду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Pelegrin et al. On tie breaking in competitive location under binary customer behavior
KR101914372B1 (ko)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JP6800829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Olaniyi et al. Impact of Forest Policy and Law on Forest Management in Gambari Forest Reserve in Oyo State, Nigeria
US20100185485A1 (en) Allocation of internet advertising inven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