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23B1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123B1
KR101888123B1 KR1020110147167A KR20110147167A KR101888123B1 KR 101888123 B1 KR101888123 B1 KR 101888123B1 KR 1020110147167 A KR1020110147167 A KR 1020110147167A KR 20110147167 A KR20110147167 A KR 20110147167A KR 101888123 B1 KR101888123 B1 KR 10188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pplication
user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756A (ko
Inventor
변은자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1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ADVERTISEMENT USING MOBILE APPL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노출할 광고 소재를 제어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질의어만 입력하면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와 연관된 광고 데이터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광고주들에게 광고 데이터를 노출할 최적의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광고 중 하나는 국내등록특허 제10-0848306호(등록일 2008년 07월 18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 내 소정의 광고 영역에 임의의 광고 데이터를 롤링하면서 노출하는 것이다. 일 예로,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특정 시간과 특정 광고 영역에 노출하기 위한 광고를 미리 등록 받고, 상기 특정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특정 광고 영역에 상기 광고를 노출한다. 또한, 인터넷 광고 중 다른 하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와 연관된 특정 검색어를 등록 받고, 이용자로부터 특정 검색어를 입력 받으면 검색 결과와 함께 상기 특정 검색어와 연관하여 등록 받은 광고를 노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고 방식은 제한된 광고 영역에 임의 광고를 무작위로 노출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목도를 높이지 못하고 이로 인해 광고 효과를 얻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광고만을 노출하게 됨에 따라 한정된 광고 영역과 제한된 키워드 선택으로 인하여 광고 시장을 확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타겟팅 요소를 활용하여 더욱 효과적인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새로운 매칭 로직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광고 소재의 매칭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정보 추출부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스캔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 어플리케이션 별 버전(version) 정보, 어플리케이션 별 실행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 별로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명, 버전 정보, 실행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고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고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고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타겟팅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광고 소재의 매칭 값으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매칭 로직으로 광고 타겟팅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주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지, 업데이트 되어 있는지, 얼마나 실행되고 있는지, 바로 가기 아이콘은 추가되어 있는지 등 다양한 정보를 이용한 매칭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별 관련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미 설치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광고의 예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광고의 예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은 광고주(110),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광고주(110)와 사용자(140)는 실질적으로는 광고주(110)나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광고주(110)가 이용하는 단말기,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단말기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은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입찰, 광고와 검색어간의 매칭, 광고나 광고주의 정렬,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제공, 광고의 노출에 따른 과금 및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수익 배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의 일반적인 기술적 사항들, 즉,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검색 광고 및/또는 배너 광고 플랫폼에 관한 사항들과 같이 종래기술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사이트"와 같이 매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사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한 설명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일반적인 PC의 웹 사이트 접속이 아닌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사이트"라는 용어는 퍼블리싱 사이트 또는 상술한 퍼블리셔라는 용어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사이트는 퍼블리셔(130)에 나타난 개별 퍼블리셔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이트"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노출"은 사이트(퍼블리셔)를 통해 그 광고주와 연관된 텍스트, 이미지, 소리, 동영상, 하이퍼링크 등의 홍보성 컨텐츠가 해당 사이트의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사이트 방문자)가 제공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홍보성 컨텐츠에 대해 마우스 클릭, 스크린 터치 등의 반응을 보임으로써, 광고주가 홍보성 컨텐츠의 전달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가 유도한 상황은 일례로, 광고주와 연관된 페이지를 광고를 선택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에게 자신의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이트를 통해 사이트가 포함하는 페이지들을 제공하거나 입력되는 검색어를 통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으로 페이지들을 통해 노출하기 위한 광고들을 전달받아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입력한 검색어를 광고 플랫폼(120)으로 전달할 수 있고, 광고 플랫폼(120)으로부터 검색어에 대한 광고를 전달받아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광고를 직접 제공 받는 경로(화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온라인 환경에서 광고들은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제1 광고 플랫폼, 제2 광고 플랫폼, ···) 각각은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제1 퍼블리셔, 제2 퍼블리셔, ···)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퍼블리셔를 통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 각각은 사용자(140)에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를 통해 상술한 광고의 노출을 포함하여 통합검색, 키워드 검색, 블로그 서비스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주체일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140)는 퍼블리셔(130)의 페이지 뷰를 통해 퍼블리셔(130) 상에 노출된 광고를 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광고 타겟팅 시스템(2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광고 플랫폼에 포함되어 동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플랫폼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타겟팅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10), 정보 추출부(220), 그리고 광고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 가능한 모든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은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고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한 모든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에 대하여 광고 별로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이하, '광고 어플 정보'라 칭함)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광고주의 경우 자신이 배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쿠폰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등에 대하여 광고 등록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베이스(210)는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각각의 광고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각각의 광고(광고 A, 광고 B, …, 광고 N)에 대하여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명, 최신 버전 정보, 실행 조건, 접근 조건, 분류 정보(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실행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 실행 시간대, 실행 유지 시간, 현재 실행 여부 등에 대한 조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조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치(예컨대, 홈 화면, 메인 메뉴 화면 등), 바로 가기 아이콘 추가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광고 어플 정보 중 파일 명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신 버전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조건, 접근 조건, 분류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역, 접근 상태, 카테고리와 각각 비교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2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이하, '모바일 어플 정보'라 칭함)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상에서 소정의 매체에 접속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매체에서 제공되는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광고를 결정하기 위하여, 정보 추출부(22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정보를 스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목록, 어플리케이션 별 버전 정보, 어플리케이션 별 실행 내역 정보(실행 횟수, 실행 시간대, 실행 유지 시간, 현재 실행 여부 등), 어플리케이션 별 접근 상태(아이콘 위치, 바로 가기 아이콘 추가 여부 등), 어플리케이션 별 카테고리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모바일 어플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광고주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여 광고 소재의 매칭 값으로 활용한다. 다시 말해, 광고 제공부(23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광고 어플 정보와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모바일 어플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어플리케이션 접근 상태,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 정보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광고 소재(이하, '타겟 광고'라 칭함)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기준으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제공부(230)는 광고 어플 정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광고를 위주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가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가 특정 키워드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A의 설치를 유도하는 광고 Ⅰ(도 4)과, 어플리케이션 A와 관련된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 Ⅱ(도 5)를 등록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광고 제공부(230)는 어플리케이션 A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어플리케이션 A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Ⅰ를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A가 설치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Ⅱ를 제공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A를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의 접속 시에는 어플리케이션 A의 설치를 유도하는 광고 Ⅰ를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A를 이미 설치한 사용자의 접속 시에는 어플리케이션 A와 관련된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 Ⅱ를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광고 소재를 차별화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기준으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광고 소재를 차별화 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가 어플리케이션 B를 최신 버전 v2.0으로 업데이트 하는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여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 Ⅲ를 등록했다고 가정할 때,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B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 B가 이전 버전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광고 Ⅲ를 타겟 광고로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 이미 v2.0의 어플리케이션 B가 설치되어 있으면 타겟 광고로의 선정 대상에서 광고 Ⅲ를 배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을 기준으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역이 광고 어플 정보에 포함된 실행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광고 소재를 차별화 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가 10회 이상 또는 10분 이상 어플리케이션 C를 실행한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여 쿠폰 정보가 포함된 광고 Ⅳ를 등록했다고 가정할 때,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C의 실행 횟수 또는 실행 유지 시간을 확인하여 10회 이상 실행되거나 10분 이상 실행된 경우 광고 Ⅳ를 타겟 광고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부(230)는 광고 어플 정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광고들을 중심으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접근 상태를 기준으로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가 어플리케이션 D에 대한 바로 가기 아이콘을 추가하지 않은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여 바로 가기 아이콘 추가와 관련된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광고 Ⅴ를 등록한 경우,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C의 바로 가기 아이콘 추가 여부를 확인하여 바로 가기 아이콘이 추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광고 Ⅴ를 타겟 광고로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 이미 바로 가기 아이콘이 추가되어 있으면 타겟 광고로의 선정 대상에서 광고 Ⅲ를 배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별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개수가 상위인 카테고리를 광고 소재의 매칭 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교육' 카테고리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많은 경우 광고 어플 정보에서 카테고리 정보가 '교육'으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광고를 타겟 광고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광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목록, 버전 정보, 실행 내역, 접근 상태, 카테고리 중 두 개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광고 소재의 매칭 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광고 타겟팅 시스템(200)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 소재를 사용자의 모바일 어플 정보에 따라 차별화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타겟팅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에 대하여 광고 별로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즉 광고 어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화 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어플 정보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명, 최신 버전 정보, 실행 조건(실행 횟수, 실행 시간대, 실행 유지 시간, 현재 실행 여부 등에 대한 조건 정보), 접근 조건(아이콘 위치, 바로 가기 아이콘 등에 대한 조건 정보), 카테고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620)에서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즉 모바일 어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스캔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 어플리케이션 별 버전 정보, 어플리케이션 별 실행 내역 정보(실행 횟수, 실행 시간대, 실행 유지 시간, 현재 실행 여부 등), 어플리케이션 별 접근 상태(아이콘 위치, 바로 가기 아이콘 추가 여부 등), 어플리케이션 별 카테고리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광고 어플 정보와 모바일 어플 정보를 비교하여 모바일 어플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어플리케이션 접근 상태,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 정보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광고 소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타겟팅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 정보를 타겟팅 요소로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광고 소재를 차별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광고 소재의 매칭 값으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매칭 로직으로 광고 타겟팅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 소재를 사용자의 모바일 어플 정보에 따라 차별화 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고 타겟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광고 타겟팅 시스템
210: 데이터베이스
220: 정보 추출부
230: 광고 제공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 별로 상기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접근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스캔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 어플리케이션 별 버전(version) 정보, 어플리케이션 별 실행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명, 버전 정보, 실행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접근 상태에 상기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접근 상태에 상기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접근 상태에 상기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을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시스템.
  8.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 별로 상기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 유지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접근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스캔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 어플리케이션 별 버전(version) 정보, 어플리케이션 별 실행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명, 버전 정보, 실행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단계는,
    상기 접근 상태에 상기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할 광고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타겟팅 방법.
  13. 제8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47167A 2011-12-30 2011-12-3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167A KR101888123B1 (ko) 2011-12-30 2011-12-3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167A KR101888123B1 (ko) 2011-12-30 2011-12-3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56A KR20130089756A (ko) 2013-08-13
KR101888123B1 true KR101888123B1 (ko) 2018-08-13

Family

ID=4921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167A KR101888123B1 (ko) 2011-12-30 2011-12-3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014B1 (ko) * 2013-11-21 2016-09-28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89652B2 (en) * 2014-06-24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nerating advertisements for search results that reference software applications
KR102328195B1 (ko) * 2014-07-28 2021-11-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22133B1 (ko) * 2018-01-12 2021-03-0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30308B1 (ko) * 2019-01-15 2019-10-08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타겟 후보에 대한 광고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298498B1 (ko) * 2019-05-29 2021-09-03 주식회사 티앤케이팩토리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타겟팅 광고 방법
WO2021009583A1 (en) * 2019-07-17 2021-01-21 Abhik Saha Instant answers to search queries
KR102298656B1 (ko) * 2021-01-15 2021-09-06 주식회사 쪼이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023A (ja) * 2008-09-11 2010-03-25 Access Co Ltd 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ユーザ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10145063A1 (en) * 2009-12-15 2011-06-16 Microsoft Corporation Targeting applications with advertis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7286B2 (en) * 2007-07-07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information based on a user profile in a mobile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023A (ja) * 2008-09-11 2010-03-25 Access Co Ltd 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ユーザ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10145063A1 (en) * 2009-12-15 2011-06-16 Microsoft Corporation Targeting applications with advertis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56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123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50265B2 (en) Methods of dynamically creating personalized Internet advertisements based on advertiser input
KR101001794B1 (ko) 유저 정보를 기반으로 한 연관 그룹별 연관광고 노출 방법및 시스템
US20140025469A1 (en) Reward granting apparatus, reward granting method, and reward granting program
KR102066664B1 (ko) Sns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00306030A1 (en) Contextual Content Targeting
JP2014522015A5 (ko)
US20130311300A1 (en) Method of advertising technology
KR100958699B1 (ko)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US20090106098A1 (en) Affiliated advertising widget
JP2009265833A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方法
JP4859893B2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4503893A (ja) 異種の分散された媒体の間のコンテンツコラボレーション
KR20120074626A (ko) 간접클릭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30211B1 (ko) 다양한 링크옵션을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3901B1 (ko)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KR101483618B1 (ko) 웹페이지의 쿠키정보 및 리퍼러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757A (ko)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419B1 (ko) 타겟 정보 조합에 따른 소재 타겟팅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292718A1 (en) System for 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campaigns
JP6546724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
RU2671618C1 (ru) Онлайн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рекламных страниц на сайте и управления их содержанием (варианты)
EP2941749A1 (en) User-based analysis of advertisement pools
KR101812161B1 (ko) 사용자 개개인에게 제공된 광고 저장 서비스를 이용하여 광고 타겟팅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162B1 (ko) 모바일 광고의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