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757A -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757A
KR20130089757A KR1020110147168A KR20110147168A KR20130089757A KR 20130089757 A KR20130089757 A KR 20130089757A KR 1020110147168 A KR1020110147168 A KR 1020110147168A KR 20110147168 A KR20110147168 A KR 20110147168A KR 20130089757 A KR20130089757 A KR 2013008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advertisement
keyword list
lis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821B1 (ko
Inventor
박한나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21B1/ko
Priority to PCT/KR2012/011353 priority patent/WO2013100510A1/ko
Publication of KR2013008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키워드 설정부; 및 디스플레이 광고 및 키워드 목록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매체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광고는 매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내에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되고, 키워드 목록은 광고 영역 또는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ADVERTISE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에 광고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질의어만 입력하면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와 연관된 광고 데이터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광고주들에게 광고 데이터를 노출할 최적의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넷 광고 중 하나는 검색 광고로서, 광고주로부터 광고와 연관된 특정 검색어를 등록 받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검색어를 입력 받으면 검색 결과와 함께 특정 검색어와 연관하여 등록 받은 광고를 노출한다.
한편, 인터넷 광고 중 다른 하나는 배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광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0848306호(등록일 2008년 07월 18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의 광고 영역에 여러 개의 광고 데이터를 롤링하면서 노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광고의 경우 광고 영역에 대한 마우스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가 이루어질 경우 화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고 화면의 팝업이 실행되게 된다. 사용자가 굳이 알고 싶은 정보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팝업 광고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찾아보는 검색 광고에 비해 디스플레이 광고는 단순히 보여주는 방식의 소극적인 행태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스팸(spam)과 다름없는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광고는 한정된 정보만을 보여줄 뿐 상품 판매 직전의 단계까지 직접 이어 줄 수 있는 적극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비와 대비하여 온라인 광고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고 의구심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광고의 경우 광고 클릭 시 광고주의 사이트로 바로 링크되거나 광고 화면이 팝업 되어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얼마나 많이 소비하였는지에 대한 측정이 불가하고, 이러한 한계 때문에 광고주에게 클릭 회수 이외에 광고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 영역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디스플레이 광고와 검색 광고가 서로 공존하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를 제공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삽입하여 즉시 통합 검색이 가능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광고 영역에 삽입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키워드 설정부; 및 디스플레이 광고 및 키워드 목록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매체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광고는 매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내에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되고, 키워드 목록은 광고 영역 또는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설정부는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 목록은 관련 키워드 중 일정 개수의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추출부는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관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설정부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키워드 목록을 편집하는 키워드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편집부는 관련 키워드를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삭제하는 기능,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수정하는 기능,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타입을 설정하는 기능,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목록은 광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발생 시 광고 영역 상에 오버레이 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목록은 광고 영역에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면 인터랙션 영역 상에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가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마다 롤링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는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롤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키워드가 고정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표 키워드는 QC(query count),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되거나 광고주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가 선택되면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별로 QC(query count)량을 집계하는 효과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광고 및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 광고를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하되, 광고 영역 또는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키워드 목록을 노출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키워드 설정 단계; 및 디스플레이 광고 및 키워드 목록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매체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광고는 매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내에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되고, 키워드 목록은 광고 영역 또는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통합 검색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를 보기만 하는 행태에서 벗어나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즉시 취할 수 있어 유익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영역에 삽입된 키워드 목록에서 특정 키워드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통합 검색이 즉시 이루어지므로 검색창에 검색어를 직접 타이핑하는 수고는 물론, 불필요한 검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광고를 집행하는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검색 광고와 결합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광고와 검색 광고 상호 간의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 검색 쿼리 증대로 로딩수(PV), 방문자수(UV) 등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광고를 접한 사용자들의 관심도를 디스플레이 광고 영역에 삽입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키워드를 클릭한 사용자들에 대한 데모를 파악하여 향후 타겟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광고 영역에 삽입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구매로 즉시 이어질 수 있어 이러한 구매관련 키워드의 상승률을 분석함으로써 광고주의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효과 분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제공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 영역 상에 키워드 목록이 노출되는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 상에 키워드 목록이 직접 노출되는 다른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의 키워드 목록에 대한 광고 효과를 보여주는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제공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은 광고주(110),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광고주(110)와 사용자(140)는 실질적으로는 광고주(110)나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광고주(110)가 이용하는 단말기,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단말기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은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입찰, 광고와 검색어간의 매칭, 광고나 광고주의 정렬,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제공, 광고의 노출에 따른 과금 및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수익 배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의 일반적인 기술적 사항들, 즉,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검색 광고 및/또는 배너 광고 플랫폼에 관한 사항들과 같이 종래기술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사이트"와 같이 매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사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한 설명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일반적인 PC의 웹 사이트 접속이 아닌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사이트"라는 용어는 퍼블리싱 사이트 또는 상술한 퍼블리셔라는 용어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사이트는 퍼블리셔(130)에 나타난 개별 퍼블리셔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이트"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노출"은 사이트(퍼블리셔)를 통해 그 광고주와 연관된 텍스트, 이미지, 소리, 동영상, 하이퍼링크 등의 홍보성 컨텐츠가 해당 사이트의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사이트 방문자)가 제공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홍보성 컨텐츠에 대해 마우스 클릭, 스크린 터치 등의 반응을 보임으로써, 광고주가 홍보성 컨텐츠의 전달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가 유도한 상황은 일례로, 광고주와 연관된 페이지를 광고를 선택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에게 자신의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이트를 통해 사이트가 포함하는 페이지들을 제공하거나 입력되는 검색어를 통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으로 페이지들을 통해 노출하기 위한 광고들을 전달받아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입력한 검색어를 광고 플랫폼(120)으로 전달할 수 있고, 광고 플랫폼(120)으로부터 검색어에 대한 광고를 전달받아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광고를 직접 제공 받는 경로(화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온라인 환경에서 광고들은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제1 광고 플랫폼, 제2 광고 플랫폼, ···) 각각은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제1 퍼블리셔, 제2 퍼블리셔, ···)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퍼블리셔를 통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 각각은 사용자(140)에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를 통해 상술한 광고의 노출을 포함하여 통합검색, 키워드 검색, 블로그 서비스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140)는 퍼블리셔(130)의 페이지 뷰를 통해 퍼블리셔(130) 상에 노출된 광고를 접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주체일 수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제공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광고 플랫폼에 포함되어 동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플랫폼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키워드 설정부(210), 광고 제공부(220), 검색 제공부(230), 효과 분석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이하, '관련 키워드 목록'이라 칭함)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광고를 제공할 때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설정부(210)는 키워드 추출부(211)와, 키워드 편집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키워드 추출부(211)는 광고주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키워드 추출부(211)는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포함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로 추출하되,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일정 개수의 상위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 편집부(212)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관련 키워드 목록을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편집부(212)는 광고주를 대상으로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에디터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련 키워드 목록에 키워드를 추가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삭제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수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타입을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고주는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 목록에 삽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를 추가, 삭제, 수정하는 등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키워드 설정부(210)는 기존에 구축된 포함 검색어 정보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광고 별로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에디터 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9은 에디터 툴에 대한 예시 화면으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디터 툴의 화면 구성이나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광고주를 대상으로 광고 관리를 위한 서비스 화면에서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기 위한 '키워드 에디터'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주가 '키워드 에디터' 메뉴에 접근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디스플레이 광고 목록(310)을 우선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고주는 디스플레이 광고 목록(310)에서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광고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추출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 설정 화면(410)을 제공한다. 이에, 광고주는 옵션 설정 화면(410)을 통해 기간, 성별, 연령, 지역 등 키워드 추출을 위한 옵션을 지정한 후, '키워드 추출' 메뉴(420)를 통해 키워드 추출을 요청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광고주에 의해 지정된 추출 옵션에 따라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포함 키워드를 추출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함 키워드 목록(510)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함 키워드 목록(510)은 QC 순으로 포함 키워드가 정렬되며 상위 15개 정도의 포함 키워드가 화면 상에 보이도록 노출되고 나머지는 스크롤 다운으로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 설정부(210)는 해당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추출된 포함 키워드 중 QC 순으로 상위 키워드를 키워드 추출 목록(5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가 포함 키워드 목록(510) 내의 키워드를 키워드 추출 목록(520)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포함 키워드 목록(510)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개별 선택이 가능한 선택 입력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설정부(210)는 키워드 추출 목록(520)을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키워드 셋 에디터 보내기' 메뉴(530)를 제공한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광고주가 '키워드 셋 에디터 보내기' 메뉴(530)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추출 목록(610)과,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기 위한 편집 툴(이하, '키워드 셋 에디터'라 칭함)(62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고주가 키워드 추출 목록(610) 내의 키워드를 키워드 셋 에디터(620)로 드래그 하면 해당 키워드가 키워드 셋 에디터(620)로 삽입되고, 이때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 삽입된 키워드는 관련 키워드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련 키워드 목록은 키워드 셋 에디터(620)를 통해 자유롭게 추가, 삭제, 수정이 가능하다.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는 키워드가 기본적으로 QC 순으로 정렬되어 보여지나,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 위/아래 순서를 드래그로 쉽게 조정 가능하다. 이때,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의 키워드 정렬 순서가 관련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 키워드 별 노출 순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 특정 키워드를 클릭하면 해당 키워드의 텍스트 수정 또한 가능하다.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 설정된 관련 키워드 목록은 기본적으로 키워드가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 마다, 예컨대 1개씩 3초마다 실시간 롤링되는 형태로 노출되지만, 광고주가 실시간 롤링 방식이 아닌 고정 방식을 원할 경우 대표 키워드로 설정된 키워드가 고정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대표 키워드는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단위 개수의 상위 키워드로 설정되거나, 광고주가 직접 선택한 키워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는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키워드 개수가 사전에 정해진 최소 개수 미만이거나 사전에 정해진 최대 개수를 초과할 경우 관련 키워드 목록의 설정 불가를 알리는 팝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때 최소 개수 또는 최대 개수는 광고주가 직접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는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다른 서비스와의 공유 내지 연동을 위하여 '미투데이로 보내기', '블로그에 스크랩 하기', '카페로 보내기', '메일 보내기', '지식 쇼핑 바로 가기' 등 각종 인터랙션 메뉴를 관련 키워드 목록의 하단에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키워드 셋 에디터(620)에서는 관련 키워드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노출 영역을 광고주가 직접 선택 가능하도록 메뉴 확장이 가능하다. 사용자를 대상으로 매체에서 제공되는 페이지에는 페이지 상단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광고가 일정 시간 동안 독점하는 형태로 노출되는 광고 영역(예컨대, 타임 보드), 다양한 타겟팅 기법과 인터렉티브한 특수형 소재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광고가 롤링되는 형태로 노출되는 광고 영역(예컨대, 롤링 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보드와 같은 광고 영역의 경우 상기한 인터랙션 메뉴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광고 영역은 물론, 인터랙션 영역 모두 관련 키워드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키워드 설정부(210)는 관련 키워드 목록의 노출 영역에 대한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요컨대, 키워드 설정부(210)는 키워드 셋 에디터(620)를 통해 키워드 추출 목록(610) 내의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 목록으로 삽입하는 기능, 광고주로부터 직접 입력된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 목록으로 삽입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삽입된 키워드를 삭제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삽입된 키워드를 수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삽입된 키워드의 노출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타입을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의 노출 영역에 대한 선택 기능 등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주가 키워드 셋 에디터(620)를 통해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 후 '확인' 버튼(630)을 입력하면 설정이 완료된 최종의 관련 키워드 목록(640)을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 설정부(210)는 광고주가 디스플레이 광고가 실제 노출되는 환경에서 해당 디스플레이 광고에 설정된 관련 키워드 목록을 미리 볼 수 있도록 '미리보기' 메뉴(650)를 제공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광고주가 디스플레이 광고의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미리보기를 요청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팝업 화면(710)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미리보기 팝업 화면(710)에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매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가 보여지며, 광고주에 의해 설정된 광고 영역(예컨대, 타임 보드, 롤링 보드 등) 상에 광고주의 디스플레이 광고(720) 및 관련 키워드 목록(730)이 노출되는 상황을 재현하여 보여줄 수 있다. 광고주에 의해 관련 키워드 목록(730)이 실시간 롤링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키워드를 해당 기준에 따라 단위 시간 마다 롤링하여 보여주고, 고정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대표 키워드를 고정하여 보여줄 수 있다. 즉, 광고주는 미리보기 팝업 화면(710)을 통해 자신이 설정한 관련 키워드 목록(730)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키워드 목록(730)에 대한 펼침 버튼(▼)을 클릭해보고 스크롤 다운하면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들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 설정부(2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주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 캐스트 검색 환경에서 캠페인에 등록된 디스플레이 광고 목록(820)을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보여 줄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210)는 광고주가 디스플레이 광고 목록(820)에서 특정 광고를 선택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광고의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정보 화면(910)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때 상세 정보 화면(910) 상에 해당 광고의 관련 키워드 목록을 불러오거나 수정 가능한 '키워드 셋 에디터 바로 가기' 메뉴(9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고주가 '키워드 셋 에디터 바로 가기' 메뉴(920)를 선택하면 도 6을 통해 설명한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에디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키워드 설정부(210)는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즉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광고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있는 매체를 대상으로 디스플레이 광고 및 디스플레이 광고에 설정된 관련 키워드 목록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고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매체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면 광고 요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 키워드 목록을 해당 매체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퍼블리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터넷 사이트 또는 모바일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퍼블리셔로서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페이지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페이지에 노출하고자 하는 광고를 요청하여 광고 플랫폼의 구성 요소인 광고 제공부(220)로부터 디스플레이 광고 및 관련 키워드 목록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로 노출하되, 광고 제공부(220)에서 제공 받은 디스플레이 정보 및 관련 키워드 목록을 해당 페이지에 노출하는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광고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지에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광고 영역(1010)과, 광고 영역(1010)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광고의 관련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인터랙션 영역(1020)이 보장된다. 즉, 광고 서버는 광고 영역(1010)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노출하고 현재 노출된 디스플레이 광고의 타이틀(1021)을 인터랙션 영역(1020)에 노출할 수 있다. 특히, 광고 서버는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노출 영역이 인터랙션 영역(1020)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광고가 광고 영역(1010)에 노출된 시점에 인터랙션 영역(1020) 상에 해당 광고의 관련 키워드 목록(1022)을 노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서버는 인터랙션 영역(1020)에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 마다 실시간 롤링하면서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서버는 인터랙션 영역(1020)에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단위 개수의 키워드를 고정하여 노출할 수 있다. 실시간 롤링 방식의 경우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차례로 노출되며, 고정 방식의 경우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위 키워드 또는 광고주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 키워드가 대표 키워드로 고정 노출될 수 있다. 인터랙션 영역(1020)에는 관련 키워드 목록(1022)에 대한 펼침 버튼(▼)이 활성화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펼침 버튼을 이용하여 노출된 키워드 이외에 목록에 포함한 전체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서버는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노출 영역이 광고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 키워드 목록(1112)를 인터랙션 영역(1120)이 아닌, 광고 영역(1110) 상에 직접 노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서버는 광고 영역(1110)에 대하여 사용자 이벤트(1111)(예컨대, 마우스 오버)가 발생하면 관련 키워드 목록(1112)를 광고 영역(1110) 상에 오버레이(overlay) 하여 노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된 광고 영역(1110)에 마우스 오버 시 현재 노출된 광고의 관련 키워드 목록(1112)이 광고 영역(1110)에 나타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버는 광고 영역(1110)에 관련 키워드 목록(1112)에 포함된 키워드를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 마다 실시간 롤링하면서 노출하거나,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단위 개수의 키워드를 고정하여 노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고 영역(1110)에는 관련 키워드 목록(1112)에 대한 펼침 버튼(▼)이 활성화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펼침 버튼을 이용하여 노출된 키워드 이외에 목록에 포함한 전체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광고가 롤링 보드와 같은 광고 영역(1210)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광고 영역(1210)에 대한 마우스 오버 등의 사용자 이벤트(1211) 발생 시에 관련 키워드 목록(1212)이 광고 영역(1210) 상에 오버레이 되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버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페이지 내에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 영역 또는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노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보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버는 관련 키워드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를 광고 플랫폼의 구성 요소인 검색 제공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검색 제공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검색 제공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인터넷 상의 자료, 예컨대 지식iN, 카페/블로그, 사전, 이미지, 동영상, 음악, 최신 뉴스, 지역, 책, 쇼핑 등 관련된 모든 자료를 통합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고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노출할 때 검색 광고에 비해 광고주에 의해 미리 준비된 검색 결과 포맷을 화면 상단에 노출할 수 있다. 즉, 관련 키워드 목록이 확정되면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광고주가 미리 사전에 셋팅할 수 있으며 관련 포맷을 검색 페이지의 상단에 노출할 수 있다. 이는, 광고주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보고 관련 키워드 목록(1022)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효과 분석부(240)는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광고 집행 후 집행에 따른 광고 효과(ROI, return on investment)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효과 분석부(240)는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별로 QC량을 집계할 수 있다. 효과 분석부(240)는 광고주를 대상으로 광고 효과를 보고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통해 광고 효과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효과 분석부(240)는 관련 키워드 목록에 구성된 QC량(또는 백분율)을 시간대 별 그래프로 보여줄 수 있다. 이때, 분석 결과 화면에서는 전체 QC량을 보여줄 수 있고,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별로 각각의 QC량을 보여줄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는 파일 형식(예컨대, 엑셀, 워드 등)으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효과 분석부(240)는 해당 시간에 측정된 관련 키워드 목록에서 어떤 키워드가 가장 QC량이 많았는지 기록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효과 분석부(240)는 로그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로 관련 키워드 목록에서 어떤 키워드에 관심이 많았는지 통계를 산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더 나아가, 효과 분석부(240)는 연령별, 지역별 등 다양한 분류 방식 별로 관련 키워드 목록 중 어떤 키워드에 관심이 많았는지를 집계하여 보여줄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광고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클릭하여 검색 페이지로 접근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를 구매한 검색 광고의 광고주들에게 유리한 액션이 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광고 집행 시간대에 검색 광고의 클릭율을 측정하여 검색 광고의 광고주가 지불하게 되는 비용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 광고의 광고주에게 보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광고에 의한 유입을 통해 증가된 검색 광고의 클릭에 대해서는 그 부가 비용 중 일정 부분을 디스플레이 광고의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검색 광고의 광고주들에게 부가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제공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1610)에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를 추출한 후, 일정 개수의 관련 키워드로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관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관련 키워드 목록을 편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를 대상으로 관련 키워드 목록에 대한 에디터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출된 관련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광고주에 의해 직접 입력된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삭제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수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타입을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 관련 키워드 목록의 노출 영역에 대한 선택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즉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에 구축된 검색어 정보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광고 별로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광고주가 원하는 키워드를 관련 키워드 목록에 삽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련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추가, 삭제, 수정 등이 가능한 편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1620)에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있는 매체를 대상으로 디스플레이 광고 및 디스플레이 광고에 설정된 관련 키워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매체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면 광고 요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 키워드 목록을 해당 매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페이지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는 페이지의 정해진 광고 영역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노출하고, 아울러 광고 영역 또는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통해 관련 키워드 목록을 노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서버는 광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발생 시 관련 키워드 목록을 광고 영역 상에 오버레이 하여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서버는 광고 영역에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면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된 시점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인터랙션 영역 상에 노출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버는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 마다 실시간 롤링하면서 노출하거나(실시간 롤링 방식),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키워드를 고정하여 노출할 수 있다(고정 노출 방식). 실시간 롤링 방식의 경우,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차례로 노출할 수 있다. 고정 노출 방식에서의 대표 키워드는 QC 또는 CC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되거나 광고주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펼침 버튼이 활성화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펼침 버튼을 이용하여 노출된 키워드 이외에 목록에 포함한 전체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광고 영역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광고를 보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1630)에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지식iN, 카페/블로그, 사전, 이미지, 동영상, 음악, 최신 뉴스, 지역, 책, 쇼핑 등 인터넷 상의 모든 자료를 통합 검색하여 해당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고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광고와 함께 노출된 관련 키워드 목록 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단계(1640)에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광고 집행 후 집행에 따른 광고 효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된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관련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별로 QC량을 집계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관련 키워드 목록에 구성된 QC량(또는 백분율)을 시간대 별 그래프로 보여주거나, 관련 키워드 목록에서 어떤 키워드가 가장 QC량이 많았는지 기록하여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로그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관련 키워드 목록에서 어떤 키워드에 관심이 많았는지를 집계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 영역에 관련 키워드 목록을 통합 검색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를 보기만 하는 행태에서 벗어나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즉시 취할 수 있어 유익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영역에 삽입된 키워드 목록에서 특정 키워드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통합 검색이 즉시 이루어지므로 검색창에 검색어를 직접 타이핑하는 수고는 물론, 불필요한 검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를 집행하는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검색 광고와 결합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광고와 검색 광고 상호 간의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광고를 접한 사용자들의 관심도를 디스플레이 광고와 함께 노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키워드를 클릭한 사용자들에 대한 데모를 파악하여 타겟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210: 키워드 설정부
220: 광고 제공부
230: 검색 제공부
240: 효과 분석부

Claims (34)

  1.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키워드 설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 및 상기 키워드 목록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매체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는 상기 매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내에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되고,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광고 영역 또는 상기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관련 키워드 중 일정 개수의 키워드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설정부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상기 키워드 목록을 편집하는 키워드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편집부는,
    상기 관련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상기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수정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타입을 설정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광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발생 시 상기 광고 영역 상에 오버레이 되어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광고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면 상기 인터랙션 영역 상에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가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마다 롤링되어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는,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롤링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키워드가 고정되어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키워드는,
    QC(query count),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되거나, 광고주에 의해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별로 QC(query count)량을 집계하는 효과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14. 디스플레이 광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를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하되, 상기 광고 영역 또는 상기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상기 키워드 목록을 노출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이용하여 추출되되,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추출된 관련 키워드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광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키워드 목록을 상기 광고 영역 상에 오버레이 하여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광고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면 상기 키워드 목록을 상기 인터랙션 영역 상에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마다 롤링하여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키워드를 고정하여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페이지로 전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서버.
  21. 디스플레이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 목록을 설정하는 키워드 설정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 및 상기 키워드 목록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된 매체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는 상기 매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내에 정해진 광고 영역에 노출되고,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광고 영역 또는 상기 광고 영역과 관련된 인터랙션(interaction)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설정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의 제목 또는 문구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이용하여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관련 키워드 중 일정 개수의 키워드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 단계는,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설정 단계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상기 키워드 목록을 편집하는 키워드 편집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편집 단계는,
    상기 관련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상기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삭제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를 수정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타입을 설정하는 기능, 상기 키워드 목록을 구성하는 키워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광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발생 시 상기 광고 영역 상에 오버레이 되어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은 상기 광고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가 노출되면 상기 인터랙션 영역 상에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가 단위 개수씩 단위 시간마다 롤링되어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는,
    QC(query count) 또는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의 순으로 롤링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30.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목록의 노출 시에는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대표 키워드로 선정된 키워드가 고정되어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키워드는,
    QC(query count), CC(click count)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되거나, 광고주에 의해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제공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하여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 별로 QC(query count)량을 집계하는 효과 분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광고 제공 방법.
  34. 제21항 내지 제27항, 제32항, 제3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47168A 2011-12-30 2011-12-30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168A KR101930821B1 (ko) 2011-12-30 2011-12-30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2/011353 WO2013100510A1 (ko) 2011-12-30 2012-12-24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168A KR101930821B1 (ko) 2011-12-30 2011-12-30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40A Division KR20180137455A (ko) 2018-12-13 2018-12-13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57A true KR20130089757A (ko) 2013-08-13
KR101930821B1 KR101930821B1 (ko) 2018-12-20

Family

ID=4869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168A KR101930821B1 (ko) 2011-12-30 2011-12-30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0821B1 (ko)
WO (1) WO20131005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941B1 (ko) * 2014-06-05 2015-06-11 김수현 프레임 검색결과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US20200005329A1 (en) * 2013-09-09 2020-01-02 UnitedLex Corp. Unique documents determination
CN111415202A (zh) * 2020-03-23 2020-07-14 政采云有限公司 一种广告投放方法及相关装置
US11113355B2 (en) 2018-08-08 2021-09-07 Nhn Corporation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ebpage to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13A (ko) * 1999-11-08 2000-09-05 양종석 배너 광고에 연계된 쿠폰 검색 및 발행 장치 및 방법
KR20050117628A (ko) * 2004-02-20 2005-12-15 주식회사 하이켐텍 2차 키워드와 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넷 키워드 광고방법
KR101074568B1 (ko) * 2009-01-23 2011-10-17 조재범 클릭 방식의 광고 검색이 가능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그방법
US20100241516A1 (en) * 2009-03-18 2010-09-23 Google Inc. Editing interface
KR101175162B1 (ko) * 2009-11-23 2012-08-20 김대중 검색창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광고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5329A1 (en) * 2013-09-09 2020-01-02 UnitedLex Corp. Unique documents determination
US11978057B2 (en) 2013-09-09 2024-05-07 UnitedLex Corp. Single instance storage of metadata and extracted text
KR101526941B1 (ko) * 2014-06-05 2015-06-11 김수현 프레임 검색결과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US11113355B2 (en) 2018-08-08 2021-09-07 Nhn Corporation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ebpage to user terminal
CN111415202A (zh) * 2020-03-23 2020-07-14 政采云有限公司 一种广告投放方法及相关装置
CN111415202B (zh) * 2020-03-23 2023-11-10 政采云有限公司 一种广告投放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510A1 (ko) 2013-07-04
KR101930821B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648B2 (en) Advertisement server device,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nd advertisement server program
KR100913475B1 (ko) 복수의 광고 영역에 관한 광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06140A1 (en) System and method of cursor-based content delivery
AU2009255462B2 (en) Automatic ad group creation in a networked advertising environment
JP4740630B2 (ja) 流行創出型広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511961A (ja) 広告仲介サイトを利用した電子広告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70111350A (ko) 문맥광고/정보의 맵핑 적중률 향상을 위한 광고/정보 노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문맥광고/정보 추천 서비스 시스템
JP2011508319A (ja) ビデオ品質測定
JP2009265833A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方法
JP2005242711A (ja) 広告配信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1134251A (ja) 広告料を分配する広告管理サーバ、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30821B1 (ko)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282741A1 (en) Method for offering advertisement according to search intention segmentation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05242753A (ja) 広告配信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8217163A (ja) 広告サーバ装置、広告表示方法、および広告サーバプログラム
KR102038285B1 (ko)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JP4764224B2 (ja) 有料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閲覧による報酬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29483B1 (ko)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7455A (ko)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79466A1 (en) System and method of cursor-based content delivery
KR101812161B1 (ko) 사용자 개개인에게 제공된 광고 저장 서비스를 이용하여 광고 타겟팅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697973B2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KR101827864B1 (ko)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검색광고를 추가 노출 및 과금하는 검색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12162B1 (ko) 모바일 광고의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8347A (ko) 틈입형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